KR101764377B1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제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377B1
KR101764377B1 KR1020170036273A KR20170036273A KR101764377B1 KR 101764377 B1 KR101764377 B1 KR 101764377B1 KR 1020170036273 A KR1020170036273 A KR 1020170036273A KR 20170036273 A KR20170036273 A KR 20170036273A KR 101764377 B1 KR101764377 B1 KR 10176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ry eye
eye syndrome
prese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훈
변인무
김지용
엄영섭
송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컬오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컬오,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컬오
Priority to KR102017003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Y10S514/91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Rheu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안구건조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구건조증에서 눈물량의 증가, 점액층의 회복(MUC5AC 농도 증가) 및 염증 완화(LDH 감소)를 통한 안구표면 손상회복(각막형광염색등급의 감소)에 기여함으로써,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 안구건조증을 부작용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제{A Composition for Treating Dry Eye Syndrome Comprising Natural Extracts}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안구건조증(dry eye syndrome)은 건성안 증후군 또는 눈 마름 증후군이라고도 불리우며, 눈을 촉촉하게 적셔서 부드럽고 편안한 눈 상태를 유지해 주는 눈물층의 양과 질이 감소하거나 변동이 생겨, 즉 눈물층 (점액층, 수성층, 지질층)에 이상이 생김으로써 발생하는 안구의 건조감, 피로감, 이물감, 작열감, 흐려 보임 등 여러 가지 불편한 증상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안구건조증의 원인으로는 1) 노화(가장 흔한 원인으로 정상적인 노화 현상에 의해 눈물의 분비량의 감소나 눈물의 상태가 변하게 되어 나타남), 2) 동반질환(류마티스성 관절염, 쇼그렌 증후군, 루프스, 공피증, 당뇨병, 비타민A 결핍증 등의 질병이 있으면 눈물 생산이 줄어들게 됨), 3) 방사선이나 염증으로 인한 눈물샘 손상, 4) 각막의 예민성 감소(각막의 지각이 마비되는 신경영양 각막염(neurotrophic keratitis)이나 장기간 콘택트 렌즈를 사용해서 눈 표면의 감각이 무디어지면 눈물의 생산이 감소), 5) 과도한 눈물의 증발(안검에 있는 지방 분비선이 병균에 의해 염증이 생기거나 막히면 지방질 분비가 적어지고, 지질층이 적어지면 수분성분의 눈물이 쉽게 증발), 6) 라식수술, 7) 눈꺼풀 속말림, 눈꺼풀 겉말림, 눈꺼풀염 같은 눈꺼풀 문제, 8) 만성결막염(결막에서 점액 분비선 역할을 담당하는 술잔세포들이 만성적인 염증으로 줄어들면 점액 분비량이 적어져 수분을 점액층에 붙잡아 둘 수 없기 때문에 수성 눈물층이 곧 눈물관을 타고 코로 흘러나가 버리게 됨), 9) 갑상선 질환(갑상선 항진증에서 눈이 돌출되고 커져 과도하게 눈물이 증발되거나 갑상선 기능저하로 눈물생성이 감소), 10) 여성호르몬 감소(갱년기에 의한 여성호르몬이 감소되면 눈물생성이 감소되고 술잔세포의 감소로 인해 눈물막이 불안정 해짐), 11) 약물복용(눈물생성을 감소시키는 약물에 의해 눈물이 마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약물로는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이뇨제, 지사제, 스코포라민 같은 부교감 신경차단제, 고혈압 치료를 위한 베타차단제, 수면제, 피임약, 일부 여드름 치료제, 일부 항우울제, 일부 마취제 등이 존재), 12) 환경 요인(주위 환경이 건조하거나, 연기나 먼지 자극, 미세먼지, 햇볕, 바람 등으로 눈이 자극되거나, 독서나 컴퓨터를 하면서 무의식 중에 눈 깜박임의 횟수가 줄어들면 안구 건조증이 생기기 쉬움) 등이 있다(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보건복지부).
안구건조증에 대한 치료법으로는 눈물을 인공적으로 보충하기 위한 인공누액 점안, 염증반응을 억제시키기 위한 스테로이드 점안, 치료용 콘택트 렌즈 착용, 눈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여 눈물을 오래 머물게 하기 위한 눈물점 폐쇄 시술 등이 있다(J. Korean Ophthalmol. Soc., 46:1774-1779, 2005). 하지만, 인공누액은 그 효과가 일시적이기 때문에 하루 수차례 사용해야 하며 각막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스테로이드 제제는 장기간 사용할 경우 녹내장 및 백내장과 같은 치명적인 부작용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또한, 치료용 콘택트 렌즈는 사용하기 불편하며 오히려 감염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고, 눈물점 폐쇄 시술은 수술이라는 거부감과 함께 눈물흘림 등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원상회복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상기 치료법들의 가장 큰 단점은 근본적인 원인 해결이 아닌 대증요법이라는 점이다(국제 공개특허 제WO2014-171748호).
따라서, 부작용 발현 빈도가 낮아 안전하면서도 단순히 증상만을 완화시키는 대증요법제가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눈물층 이상 개선 및 염증을 완하시켜 안구건조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제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 안구건조증에 대해 부작용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전하게 처방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물질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봉독, 사향 및 녹용의 복합 증류추출물이 안구건조증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봉독, 사향 및 녹용의 증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봉독, 사향 및 녹용의 증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 의약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봉독, 사향 및 녹용 등의 천연 한약재를 다양한 추출방법(열수추출, 알코올추출, 증류추출 등)으로 추출하여 오랜기간 그 효과를 비교관찰하였다. 상기 천연 한약재들은 추출방법에 따라 그 임상적 효능이 상당히 차이가 나는 점을 발견하였으며, 놀랍게도 봉독, 사향 및 녹용의 증류추출물의 경우 다른 추출방법에 의한 경우와 달리 안구건조증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증류추출" 방식은 한약재를 용매(바람직하게는, 증류수)에 섞고, 이를 가열 등의 방식으로 기화시켜 유효성분을 수득하는 추출방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a) 봉독 , 사향 및 녹용을 용매에 혼합하는 단계
먼저, 봉독, 사향 및 녹용을 적합한 용매에 혼합한다. 상기 봉독, 사향 및 녹용은 각각 용매에 혼합하여 증류추출한 뒤 각각의 단독 증류추출물들을 다시 혼합할 수도 있으며, 봉독, 사향 및 녹용을 동시에 용매에 혼합하고 이들의 복합물을 증류추출하여 복합 증류추출물을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독 증류추출물의 혼합 방식보다 복합 증류추출 방식이 안구건조증에 대한 치료효능이 높다.
본 발명에서 이용가능한 적합한 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글리콜, (h) 헥산 (i) 디에틸에테르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을 이용하여 증류한다.
복합 증류추출 방식을 이용할 경우, 예를 들어, 물(바람직하게는, 증류수) 1,350 ㎖를 기준으로 봉독(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된 봉독 분말) 10 내지 1,000 ㎎, 사향(바람직하게는, 노루사향 또는 서사향) 0.1 내지 10 g 및 녹용 1.5 내지 150 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봉독은 고용량을 투여하면 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사향과 더불어 고가의 한약재에 해당하므로 필요 이상으로 혼합하지 않는 것이 좋다.
(b) 증류 단계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을 증류시켜 증류추출물을 얻는다. 증류추출은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증류추출기(예를 들어, DM-100 또는 DM-200 등)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0 내지 110℃의 온도로 1 내지 5시간 추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독 증류추출물들의 혼합(A+B+C) 및 복합 증류추출물(D-1)은 눈물 내 LDH 농도가 대조군 대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복합 증류추출물(D-1)의 경우 각막 형광염색 등급, 눈물량, 눈물 내 MUC5AC 농도 및 눈물 내 LDH 농도에서 유의미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도 6 내지 9).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증류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약제학적 조성물에 이용될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비강 투여, 점안 투여,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0 ㎎/㎏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에어로졸, 스프레이, 점안제, 경구제 및 주사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점안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상기 봉독, 사향 및 녹용의 증류추출물 외에 점안제로 적합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안제로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등장화제, 완충제, 안정제, pH 조절제 및 용제 등이 있다.
상기 등장화제는 점안제의 생리적 전해질의 등장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등장화제는 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 내지 40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제는 점안제의 산도 또는 알칼리도를 조정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약제 조성물이 자극을 일으키지 않고 눈에 의해 수용되기 위해서는 포유동물의 눈물과 같거나 비슷한 pH를 가진 등장액인 것이 중요하다. 전형적으로 점안제의 pH는 7.1 내지 7.3이 적합하며, 이에 따라 완충제는 본 발명에서 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5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점안제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완충제로는 아미노카프론산, 인산일수소나트륨 및 인산이수소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안제에 완충제로서 사용되는 인산염의 농도는 시력위협 복합성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며, 생리적 수준(71.45 mmol/L) 이상의 인산염, 즉 과도한 인산염은 손상된 각막 표면에 사용할 때 불용성 인산칼슘의 축적물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안정제는 점안제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서 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1 중량부 미만이면 점안액의 안정성 확보에 부적절한 문제가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오히려 점안액의 안정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상기 안정제로는 에데트산 나트륨 및 과붕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천연 눈물의 pH를 생리적 상태로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염산 및 수산화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pH 조절제는 점안제 조성물의 pH가 7.1 내지 7.3 범위로 되게 조절하는데 적량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안제는 방부제 함유 점안액 또는 무방부제 점안액으로 제형화가 가능하며, 방부제를 함유한 점안제의 제형화에 사용되는 방부제로는 염화벤잘코늄, 메필파라벤 및 에틸파라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며, 이의 함량은 주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한편, 눈의 건조증을 위한 점안액은 특히 자주 사용할 뿐 아니라 오래 동안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예민한 눈에 자극을 주기 쉬우므로 이로 인해 각막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바 경우에 따라 무방부제 점안액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점안제 조성물의 점안제가 액제 형태의 경우에는 상기 점안제 조성물에 용제를 추가하여 사용하며, 상기 용제로는 멸균 정제수 또는 주사용 증류수가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함량은 제조하고자 하는 점안액의 총 용량에 필요한 양에 맞추어 사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즉, 점안액의 경우에는 전체 점안액 중 상기 점안제 조성물 외에 용제로 사용량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안제는 액제의 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점안제의 조성물의 권장되는 사용량 및 사용 횟수는 1회 1적, 1일 5 내지 6회 점안하되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안구건조증은 염증을 동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점안제는 안구건조증 동물 모델에서 눈물 내 LDH 농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켜 안구내 염증 완화에 기여한다. 또한, 각막 형광염색등급과 눈물 내 MUC5AC 농도의 경우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효과를 보여, 안구건조증에서 안구표면 손상 회복과 안구표면 보호 점액 정상화를 통한 치료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침투율이 현저히 높기 때문에(52.91%, 표 3), 점안제를 이용한 투여 방식 외에 눈꺼풀 등 경피투여의 방식으로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봉독, 사향 및 녹용의 증류추출물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봉독, 사향 및 녹용의 증류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안구건조증증을 개선하는데 매우 우수한 작용을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미 생체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매우 안전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봉독, 사향 및 녹용의 증류추출물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봉독, 사향 및 녹용의 증류추출물 이외에, 그 작용(안구건조증 개선 작용)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종래부터 사용되어오던 안구건조증 개선제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정제수, 일가 알코올류(에탄올 또는 프로필 알코올), 다가 알코올류(글리세롤, 1,3-부티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고급 지방산류(팔미틸산 또는 리놀렌산), 유지류(소맥 배아유, 동백기름, 호호바유, 올리브유, 스쿠알렌, 해바라기유, 마카데미아땅콩유, 아보가드유, 대두 수첨가 레시틴 또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소염제 및 청량제를 첨가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모노라우린산헥사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 환원라놀린, POE, 글리세릴피로글루타민산, 이소스테아린산, 디에스테르, N-아세틸글루타민 및 이소스테아릴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살균제는 히녹티올, 트리크로산, 크롤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즐렌(azulene), 살리실산 및 징크피리타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 몰식자산프로필 및 에리소르빈산 중에서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하다.
자외선 흡수제는 디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류, 멜라닌,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시녹사이트, 파라메톡시계피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2-(2-히드록시-5-메틸페닐) 벤조트리아졸, 우로카닌산 및 금속산화물 미립자 중에서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하다.
소염제로는 글리틸리틴산디칼륨 또는 알란토인을 사용할 수 있고, 청량제로는 고추틴크 또는 1-멘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봉독, 사향 및 녹용의 증류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배합할 수 있는 임의의 제형으로서 안구건조증 개선용 화장품의 형태로는 분말, 젤, 크림, 에센스, 로션, 솔젤(sol-gel), 에멀젼, 오일, 왁스, 스프레이, 미스트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봉독, 사향 및 녹용의 증류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천연 유래 성분을 이용한 안구건조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 안구건조증을 부작용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스코폴라민 주사 동물 모델에서 본 발명의 안구건조증 치료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 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눈물샘 제거 동물 모델에서 본 발명의 안구건조증 치료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 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Phenol Red Thread 검사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스코폴라민 주사 동물 모델에서 눈물 내 MUC5AC 농도를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5는 스코폴라민 주사 동물 모델에서 눈물 내 LDH 농도를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6은 눈물샘 제거 동물 모델에서 각막 형광염색 등급을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7은 눈물샘 제거 동물 모델에서 눈물량을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8은 눈물샘 제거 동물 모델에서 MUC5AC 농도를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9는 눈물샘 제거 동물 모델에서 눈물 내 LDH 농도를 비교한 데이터이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1. 시료(증류 추출물)의 제조
봉독의 증류 추출물은 동결건조된 봉독 분말(유밀봉독(주)) 100 ㎎에 3차 증류수 450 ㎖를 부어 증류추출기(DM-100)에 넣고 107℃로 3시간 추출한 다음 3회 필터링하여 증류 추출물 300 ㎖를 수득하였다. 사향의 증류 추출물은 사향(우리생약) 1 g에 3차 증류수 450 ㎖를 부어 상기 증류추출기에 넣고 107℃로 3시간 추출한 다음 3회 필터링하여 증류 추출물 300 ㎖를 수득하였다. 녹용의 증류 추출물은 녹용(비봉제약) 15 g에 3차 증류수 450 ㎖를 부어 증류추출기에 넣고 107℃로 3시간 추출한 다음 3회 필터링하여 증류 추출물 300 ㎖를 수득하였다. 상기 증류 추출물들을 단순 혼합하여 A+B+C라 표기하고 실험에 이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증류 추출물은 봉독 분말 100 ㎎, 사향 1 g 및 녹용 15 g을 혼합한 후 여기에 3차 증류수 1,350 ㎖를 부어 증류추출기(DM-100)에 넣고 107℃로 3시간 추출한 다음 3회 필터링하여 증류 추출물 900 ㎖를 수득하였다. 상기 봉독, 사향 및 녹용의 복합 증류 추출물은 D-1이라 표기하고 실험에 이용하였다.
2. 스코폴라민 주사 동물 모델에서 안구건조증 치료제 효과 평가
Male Sprague-Dawley Rat(300-350 g)를 ㈜오리엔트바이오(Orient Bio Inc., Sungnam, Korea)로부터 구입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동물들(n=12)은 5일 동안 하루 3회 스코폴라민(Scopolamine, S0929-5G; Sigma-Aldrich GmbH, Steinheim, Germany)을 0.1 ml 씩(15 mg/mL) 피하주사에 주사하고(10:00, 13:00, 16:00), 9일 동안 항온항습기(Orient Bio Inc., Sungnam, Korea)에 유지(온도 23 ± 1℃, 상대 습도 30 ± 5 %)하였다. 그 다음으로, 실험동물들을 4군(3마리씩)으로 나누어 안약을 투여하지 않은 군을 Control로, 생리식염수 투여군을 NS로 표기하여 도 1의 스케쥴에 따라 실험하였다. 상기 4군의 실험동물에 대해 눈물 내 MUC5AC 농도(MUC5AC ELISA kit 이용, ELISA kit for rabbit mucin 5 subtype AC; MyBiosource, San Diego, CA, USA) 및 LDH 농도(LDH ELISA kit 이용, CytoTox96 non-radioactive cytotoxicity assay; Promega, Madison, WI, USA)를 측정하였다.
3. 눈물샘 제거 동물 모델에서 안구건조증 치료제 효과 평가
Male Sprague-Dawley Rat(300-350 g)를 ㈜오리엔트바이오(Orient Bio Inc., Sungnam, Korea)로부터 구입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동물들(n=24)은 눈물샘 제거 수술을 시행하고, 눈물샘 제거 후 6일 후부터 안약 치료를 시작하였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물들을 총 4군(6마리씩)으로 나누어 5일 동안 하루 4회씩 안약을 점안하였다(Normal: 눈물샘을 제거하지 않은 군, Control: 눈물샘 제거 후 안약 사용하지 않은 군, NS 눈물샘 제거 후 생리식염수 투여 군). 상기 4군의 실험동물에 대해 각막 형광 염색 등급(Fluorescein sodiumimpregnated paper strip 이용, Haag-Streit, Bern, Switzerland)을 측정하였다. Fuorescein sodiumimpregnated paper strip의 끝부분을 5 μL 생리식염수에 적신 후 윗눈꺼풀을 당긴 후 위쪽 안구 표면에 희석한 염색약을 점안하였다. 염색약 점안 후 부드럽게 5번 눈을 깜빡인 후 넘치는 눈물과 염색약은 조심스럽게 닦아내고, Cobalt blue 조명 아래에서 세극등 현미경으로 각막 형광염색등급을 측정하였다. 또한, 눈물량(Phenol Red Thread 검사, 도 3)를 수행하였다. Phenol Red Thread 검사는 Phenol red-impregnated cotton thread(Zone-Quick; Showa Yakuhin Kako Co. Ltd., Tokyo, Japan)의 끝 부분 2 mm를 접어서 아래쪽 눈꺼풀 가쪽 눈구석에 30초간 위치시키고, 30초 후 cotton thread를 제거한 후 붉은색으로 변한 부분의 길이를 측정하여 검사를 수행하였다. 추가적으로, 눈물 내 MUC5AC 농도(MUC5AC ELISA kit 이용, ELISA kit for rabbit mucin 5 subtype AC; MyBiosource, San Diego, CA, USA) 및 LDH 농도(LDH ELISA kit 이용, CytoTox96 non-radioactive cytotoxicity assay; Promega, Madison, WI, USA)를 측정하였다.
4. 통계 분석방법
통계학적 검증은 세 군 이상의 비교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으로 하였으며, ANOVA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Tukey 사후분석(Post-Hoc test)을 통하여 두 군간 비교를 하였다. 통계학적 검정은 통계프로그램인 SPSS 12.0(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였다. 유의확률이 0.05보다 작은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정하였다.
실험결과
1. 스코폴라민 주사 동물 모델에서 안구건조증 치료제 효과 평가
1) 각막 형광염색등급
Control군의 평균 각막 형광염색등급(±표준편차)은 4.7 ± 1.4 이었으며, NS군에서는 3.8 ± 1.9 이었다. D-1군의 각막 형광염색등급(1.7 ±0.5)은 Control과 NS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각, P =0.004, P = 0.046). 반면 A+B+C군의 각막 형광염색등급(2.7 ± 1.0)은 Control과 NS군 보다 작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표 1).
2) 눈물 내 MUC5AC 농도
D-1군의 눈물 내 MUC5AC 농도(12.9 ± 3.7 ng/㎖)는 Control군(7.9 ± 2.0ng/㎖)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37). 반면, NS군(9.7 ±3.6 ng/㎖)과 A+B+C군(12.1 ± 2.4 ng/㎖)의 경우 Control군에 비해 큰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표 1, 도 4).
3) 눈물 내 LDH 농도
눈물 내 LDH 농도는 A+B+C군(0.10 ± 0.02 optical density [OD])과 D-1군(0.10 ± 0.01 OD) 모두 Control군(0.19 ± 0.01 OD)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각, P=0.011, P=0.007)(표 1, 도 5).
실험군 간 눈물 내 MUC5AC, LDH 농도 비교
Control NS A+B+C D-1
각막 형광염색등급 4.7 ± 1.4 3.8 ± 1.9 2.7 ± 1.0 1.7 ± 0.5
눈물 내 MUC5AC 농도, ng/㎖ 7.9 ± 2.0 9.7 ± 3.6 12.1 ± 2.4 12.9 ± 3.7
눈물 내 LDH 농도, OD 0.19 ± 0.01 0.16 ± 0.08 0.10 ± 0.02 0.10 ± 0.01
2. 눈물샘 제거 동물 모델에서 안구건조증 치료제 효과 평가
1) 각막 형광염색 등급
Normal군의 평균 각막 형광염색등급(±표준편차)은 1.5 ± 1.8 이었으며, Control군에서는 11.5 ± 2.3 이었다. NS군의 각막 형광염색등급(9.0 ± 1.9)은Control군 보다 작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반면, D-1군의 각막 형광염색등급(4.3 ± 1.2)은 Control군 및 NS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다(각, P <0.001, P = 0.001)(표 2, 도 6).
2) 눈물량
Normal군의 평균 눈물량은 8.4 ± 1.4 mm 이었으며, Control군에서는 1.9 ± 0.7 mm이었다. NS군의 눈물량(2.8 ± 1.1)은 Control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1군의 눈물량(4.3 ± 0.9)은 Control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P = 0.005) (표 2, 도 7).
3) 눈물 내 MUC5AC 농도
Normal군의 평균 눈물 내 MUC5AC농도는 9.3 ± 1.5 ng/㎖이었다. D-1군의 눈물 내 MUC5AC 농도(8.2 ± 2.0 ng/㎖)는 Control군(2.9 ± 1.2ng/㎖)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01). 반면, NS군의 눈물 내 MUC5AC 농도(5.4 ± 2.2 ng/㎖)는 Control군 보다 큰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표 2, 도 8).
4) 눈물 내 LDH 농도
Normal군의 평균 눈물 내 LDH 농도는 0.27 ± 0.07 OD였다. 눈물 내 LDH 농도는 D-1군(0.30 ± 0.08 OD) 및 NS군(0.39 ± 0.05OD) 모두 Control군(0.48 ± 0.12 OD)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D-1군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0) (표 2, 도 9).
실험군 간 각막 형광염색등급, 눈물량, 눈물내 MUC5AC, LDH 농도 비교
Normal Control NS D-1
각막 형광염색등급 1.5 ±1.8 11.5 ± 2.3 9.0 ± 1.9 4.3 ± 1.2
눈물량, mm 8.4 ±1.4 1.9 ± 0.7 2.8 ± 1.1 4.3 ± 0.9
눈물 내 MUC5AC 농도, ng/㎖ 9.3 ± 1.5 2.9 ± 1.2 5.4 ± 2.2 8.2 ± 2.0
눈물 내 LDH 농도, OD 0.27 ± 0.07 0.48 ± 0.12 0.39 ± 0.05 0.30 ± 0.08
3. 피부 침투율 측정
D-1의 피부 침투를 실험하기 위해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일반적으로 피부에 적용하는 코직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을 이용하였다. 각각의 농도를 50 mg/mL로 설정하였고 이를 200 μL씩 피부에 적하(10 mg 적하) 하여 24 시간 후 receptor phase를 취하여 HPLC 분석하여 정량하였다(표 3). 코직산의 투과량은 0.43 mg이 투과하였고 이는 적하량의 4.28%에 해당한다. 알부틴은 투과량이 검출되지 않았다. D-1은 5.29 mg이 투과하였고, 이는 적하량 대비 52.91 %에 해당하는 양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구에 직접 적용이 어려운 경우 피부를 통한 전달도 가능하다고 보인다.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D-1의 피부 침투 효능 확인
코직산 알부틴 D-1
적하량(mg) 10.00 10.00 10.00
투과량(mg) 0.43±0.12 0.00±0.00 5.29±1.46
침투 효율(%) 4.28±1.20 0.00±0.00 52.91±14.55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구건조증 동물 모델에서 눈물 내 LDH 농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켜, 안구건조증에서 발생하는 안구표면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막 형광염색등급과 눈물 내 MUC5AC 농도의 경우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효과를 보여, 안구건조증에서 안구표면 손상 회복과 안구표면 보호 점액 정상화를 통한 치료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제조예
제조예 1: 화장품의 제조
D-1: 2 ㎖, 1,3-부틸렌 글리콜: 7.0 mg, 글리세린: 1.0 mg, 폴리소르베이트 60: 1.5 mg, 친유성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mg, 미네랄 오일: 4.0 mg, 세테아릴 알코올: 3.0 mg, 방부제 소량, 조합향료 적량, 정제수(총 100 mg이 되도록 첨가)의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의약품의 제조
900 ㎖의 상기 D-1에 NaCl과 NaOH등 첨가제 및 주사용수를 사용하여 pH 7.0, 0.9% 등장액을 제조한 후, PES 0.1 필터로 3회 필터링을 하였다. 필요한 바이알병, 고무전과 알미늄캡을 멸균하고, 바이알병에 20 ㎖씩 소분한 다음 고무전과 알미늄캡으로 캡핑한 후 고압증기멸균기에 넣어 고압멸균하였다. 이물검사기를 통하여 이물검사를 실시하고, 미생물검사 및 엔도톡신검사를 실시한 후 라벨링하여 냉장보관하였다.
제조예 3: 점안제의 제조
상기 D-1에 등장화제, 완충제, 안정제, pH 조절제, 용제 등을 혼합하여 점안액을 제조하였다. D-1 50 ㎖, 등장화제로 염화나트륨 700 mg 및 염화칼륨 150 mg, 완충제로 아미노카프론산 200 mg, 안정제로 에테트산 나트륨 10 mg, pH 조절제 적량 및 용제로 멸균 정제수 적량을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점안액을 제조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봉독, 사향 및 녹용의 증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피부 외용제, 에어로졸, 스프레이, 점안제, 경구제 및 주사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건조증은 염증을 동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봉독, 사향 및 녹용의 증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젤, 크림, 에센스, 로션, 솔젤(sol-gel), 에멀젼, 오일, 왁스, 스프레이 또는 미스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4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7. 봉독, 사향 및 녹용의 증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추출물은 봉독, 사향 및 녹용의 복합 증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70036273A 2017-03-22 2017-03-2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제 KR101764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73A KR101764377B1 (ko) 2017-03-22 2017-03-2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73A KR101764377B1 (ko) 2017-03-22 2017-03-2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377B1 true KR101764377B1 (ko) 2017-08-02

Family

ID=5965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273A KR101764377B1 (ko) 2017-03-22 2017-03-2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3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301B1 (ko) * 2018-01-29 2018-04-16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37307A (ko) 2021-09-09 2023-03-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눈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30040067A (ko) 2021-09-15 2023-03-2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눈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748A1 (ko) 2013-04-18 2014-10-23 삼진제약 주식회사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경구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599907B1 (ko) 2015-08-26 2016-03-08 주식회사 메디컬오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및 이의 용도
KR101640001B1 (ko) 2016-02-23 2016-07-26 주식회사 메디컬오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약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748A1 (ko) 2013-04-18 2014-10-23 삼진제약 주식회사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경구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599907B1 (ko) 2015-08-26 2016-03-08 주식회사 메디컬오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및 이의 용도
KR101640001B1 (ko) 2016-02-23 2016-07-26 주식회사 메디컬오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약 및 이의 용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301B1 (ko) * 2018-01-29 2018-04-16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46881A1 (ko) * 2018-01-29 2019-08-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 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1517557A (ja) * 2018-01-29 2021-07-26 全北大学校産学協力団Industrial Cooperation Found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アオキ抽出物を含む眼球乾燥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JP7087088B2 (ja) 2018-01-29 2022-06-20 全北大学校産学協力団 アオキ抽出物を含む眼球乾燥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US11938162B2 (en) 2018-01-29 2024-03-26 Industrial Cooperation Found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ry eye syndrome, containing Aucuba japonica extract
KR20230037307A (ko) 2021-09-09 2023-03-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눈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30040067A (ko) 2021-09-15 2023-03-2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눈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6647T3 (es) Composiciones para el tratamiento anti-irritante de la rosacea.
US20030170199A1 (en)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based on cocoa extracts
KR101764377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제
JP2009545607A (ja) ウイルス性疾患の治療のための抽出物の使用
US2021030809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uritus
JP5306688B2 (ja) アポトーシス抑制剤
KR102120483B1 (ko)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63576B1 (ko) 플로레틴 술폰산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23113587A1 (es) Formulación de base lipídica de uso tópico oftálmico, que contiene extracto de flor de lúpulo
KR20150033797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43245B1 (ko) 감국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50450A (ko) 키토산 및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주사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EA016723B1 (ru) Синергетическая травяная композиция, применяемая при глаукоме,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CN107854628B (zh) 一种用于眼部手术术后消肿止痛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JPH09255551A (ja) 皮膚外用剤
KR101879315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진정용 조성물
JP7038448B1 (ja) 抗アレルギー用投与デバイス
JP2006265186A (ja) シリマリン含有光老化防止剤キット
KR101900408B1 (ko)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40189377A1 (en) Methods of using compositions comprising an iceland moss extract
WO2024011599A1 (en) Use of mangosteen fruit shell extract in the preparation of a medicament for burn wound therapy
KR20240042585A (ko) 안구 건조증을 완화하기 위한 약품의 조제에서의 육종용 추출물의 용도
KR100521505B1 (ko)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2024007497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opical administration containing epi-nastine or salt thereof
WO2020004696A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