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408B1 -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408B1
KR101900408B1 KR1020170122390A KR20170122390A KR101900408B1 KR 101900408 B1 KR101900408 B1 KR 101900408B1 KR 1020170122390 A KR1020170122390 A KR 1020170122390A KR 20170122390 A KR20170122390 A KR 20170122390A KR 101900408 B1 KR101900408 B1 KR 101900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ching
skin
itch
compositio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명관
이헌구
김소정
임선영
조백환
박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템디알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템디알,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템디알
Priority to KR1020170122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유래 화합물을 이용한 가려움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 가려움증을 부작용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uritus}
본 발명은 천연 성분을 포함하는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려움증(소양증, pruritus)이란 피부를 긁거나 문지르고 싶은 욕망을 일으키는 불쾌한 감각이라고 정의되며(Andersen HH et al., Human surrogate models of histaminergic and non-histaminergic itch, Acta Dermato - Venereologica. 95 (7): 7717.(2015)), 피부질환과 전신질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임에도 불구하고 그 특성은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가려움증은 전 세계 인구의 4%인 약 2억 8천만명이 고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건선(psoriasis) 인구(2-3%) 보다 유병율이 높다(Vos, T et al., Years lived with disability(YLDs) for 1160 sequelae of 289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Lancet. 380 (9859): 216396.(2012)).
가려움증은 물리적, 기계적, 화학적 인자를 비롯한 여러 가지 자극에 의해 유발되거나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염증 매개물질은 여러 염증성 피부질환에서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그러나 모든 형태의 가려움증이 매개물질과 연관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기계적 자극 또는 전기적 자극, 그리고 건조한 피부에 의해 나타나는 가려움증은 매개물질과 관련이 없이 나타날 수도 있다.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http://health.mw.go.kr)에 따르면,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매개물질로는 히스타민, 세로토닌(Serotonin), 프로스타글란딘 E(Prostaglandin E), 타키키닌(Tachykinin), 사이토카인(Cytokines), 프로테아제(Protease), 오피오이드 펩타이드(opioid peptides), 혈소판활성인자(platelet-activating factor)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히스타민은 피부의 비만세포에서 합성되어 비만세포 과립에 저장되며 여러 가지 자극에 반응하여 분비된다. H1, H2 수용체 모두 피부에 존재하나 히스타민은 H1 수용체를 통해 가려움증을 일으킨다. 히스타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을 포함한 다수의 염증성 피부질환에 관여한다.
세로토닌은 혈소판 내에 존재하며 진피 비만세포의 활성화를 일으켜 히스타민을 유리하거나 중추신경계의 5-HT3 수용체에 작용하여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프로스타글란딘 E는 그 자체로 가려움증을 유발시키지 않지만 다른 매개물질에 의한 가려움증을 증가시키는 특성이 있다. 프로스타글란딘 E 는 습진, 자외선에 의한 염증과 같은 가려움증과 연관된 피부질환에서 증가되어 있다.
P물질(Substance P)은 타키키닌 계열의 신경펩타이드(neuropeptide)로 C 신경 섬유의 후근 신경절(dorsal root ganglion)에서 합성되어 과립으로 무수 감각신경 섬유에 이동하여 존재하며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로 작용한다. P물질은 강력한 혈관확장제로서 발적과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P물질은 비만세포의 트립신분해효소에 의해 유리되며 직접적으로 또는 NK-1 수용체를 통해 진피 비만세포의 히스타민을 유리 시켜서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사이토카인은 모든 진핵세포(eukaryotic cell)에 생성되는 저분자량의 단백질로 세포 표면 수용체로 작용하며, 여기에는 interleukin(IL), chemokine, interferone 등이 포함된다. IL-1과 IL-8은 가려움증을 유발시키지는 않지만, 치료목적으로 암 환자에게 인간 재조합 IL-2를 주입했을 때에는 피부 발적, 호산구증을 동반한 심한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프로테아제의 하나인 칼리크레인(kallikrein)은 피부에 주입했을 때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칼리크레인 이외의 프로테아제인 키모트립신(chymotrypsin), 트립신(trypsin), 파파인(papain) 등도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오피오이드 펩타이드는 중추 또는 말초신경계에 작용하여 가려움증을 유발시킨다. 오피오이드 펩타이드는 μ, δ, κ 세 가지가 있으며 대부분의 약리학적 작용은 날록손(naloxone)에 의해 억제되므로 μ수용체를 통해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모르핀(morphine)은 척수내로 주입했을 때 대다수의 환자에게 가려움증을 유발시키며, 진피내 주입 시에 프로스타글란딘이나 히스타민의 유리와 관계없이 가려움증과 발적을 일으킨다.
혈소판활성인자는 광범위한 염증세포에서 분비되는 강력한 염증 유도물질인데, 혈소판 활성인자는 동물 실험상 직접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인체에서는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분비를 유도하여 간접적으로 가려움증을 유발시킨다.
원인에 따른 가려움증을 분류하면, 1) 발작적으로 발생하는 발작성 가려움증, 2) 동계 가려움증, 항문 가려움증, 외음 가려움증, 음낭 가려움증, 수인성 가려움증, 두피 가려움증을 포함하는 피부 가려움증, 3) 담즙 가려움증, 만성신부전증, 악성종양, 철겹핍성 빈혈, 진성적혈구증가증, 갑상샘기능항진증과 기능저하증, 당뇨병, 후천성 면역결핍증을 포함하는 내과질환에 동반되는 가려움증, 4) 만성단순태선, 가려움발진, 발모벽, 신경성 긁은 상처, 피부를 침범하는 행동장애, 기생충증망상 등 정신피부질환 가려움증이 있으며, 5) 기타, 감기 등과 동반된 코 가려움증 및 목 가려움증, 결막염 등의 안과질환과 동반된 안구 가려움증, 치과적 질환과 동반된 구강 내 가려움증 등이 있다.
가려움증에 대한 치료법으로서 현재까지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 마취제, 생균제, 면역억제제, UV 등 광선치료 등의 다양한 치료법이 있으나, 그 치료 효과가 일시적이거나 제한적으로 가려움증의 종류에 따라 특이성을 나타내는 문제가 있으며, 부신피질 호르몬제 및 코스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제제는 부작용을 고려하여 급성 또는 심한 경우에 한하여 단기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원인에 기한 가려움증에 효과적이면서도 안전한 치료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 가려움증에 대해 부작용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전하게 처방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물질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이소플라본 계 화합물 중 일부 화합물이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 가려움증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92675506-pat00001
상기에서, R은 H 또는 OH이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 가려움증에 대해 안전하게 처방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물질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 가려움증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히스타민(histamine)에 의한 가려움증, 클로로퀸(chloroquine)에 의한 가려움증, DNCB(2,4-Dinitrochlorobenzene)에 의한 가려움증, SLIGRL(H-Ser-Leu-Ile-Gly-Arg-Leu-NH2)에 의한 가려움증, TSLP(thymic stromal lymphopoietin)에 의한 가려움증 등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 가려움증에 대한 유의적인 치료 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가려움증에 대한 개선 및 치료 효능은 이소플라본 계의 화합물들(제니스테인(genistein), 다이드제인(daidzein), 글리시테인(glycitein) 및 에쿠올(equol))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것이 아니라, 오로지 제니스테인 및 다이드제인에서만 나타났다(실시예 6).
본 발명의 유효성분 중 하나인 제니스테인은 다음의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며, 뛰어난 항산화 효능(Han, Rui-Min et al., Comparison of Flavonoids and Isoflavonoids as Antioxidant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7 (9): 37805.(2009))으로 화장품 첨가물로 자주 이용되고 있으나, 가려움증의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화학식 2>
Figure 112017092675506-pat00002
본 발명의 유효성분 중 또 다른 하나인 다이드제인은 다음의 화학식 3의 구조를 가지며, PPAR 활성화 작용(Dang Z. C. et al., The Balance between Concurrent Activation of ERs and PPARs Determines Daidzein-Induced Osteogenesis and Adipogenesis,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19 (5): 853861.(2004)) 및 높은 농도로 투여 시 유방암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de Lemos, M. L., Effects of soy phytoestrogens genistein and daidzein on breast cancer growth, Annals of Pharmacotherapy. 35 (9): 1111811121(2001)), 다이드제인의 가려움증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화학식 3>
Figure 112017092675506-pat00003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가려움증”또는 “소양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발작성 가려움증, 동계 가려움증, 항문 가려움증, 외음 가려움증, 음낭 가려움증, 수인성 가려움증, 두피 가려움증, 코 가려움증, 목 가려움증, 구강 내 가려움증 및 안구 가려움증; 담즙 가려움증, 만성신부전증, 악성종양, 철겹핍성 빈혈, 진성적혈구증가증, 갑상샘기능항진증, 갑상샘기능저하증, 당뇨병 및 후천성 면역결핍증 등의 내과질환에 동반되는 가려움증; 및 만성단순태선, 가려움발진, 발모벽, 신경성 긁은 상처, 피부를 침범하는 행동장애 및 기생충증망상 등의 정신피부질환에 동반되는 가려움증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발작성 가려움증은 발작적으로 발생하는 가려움증이며, 만성 단순 태선이나 피부염 등에서 보인다.
동계 가려움증은 70세 이상 노인의 약 50% 이상에서 발생하며, 옴, 편평태선 등의 소양성 피부질환이나 전신적 질환에 의한 가려움증과 감별해야 한다. 여성의 경우 폐경후증후군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노화된 피부의 수분함유량 감소와 점진적인 피지분비의 감소로 인한 피부건조가 주요한 원인이며 미세한 균열과 인설이 주로 상지와 경골부에서 잘 나타난다.
항문가려움증은 항문 주변의 피부를 긁고 싶은 불쾌한 감각으로 심인성 요인이 관여 할 때가 많다. 나이에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으나 중년 이후에 더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모든 항문가려움증의 원인이 심인성인 것만은 아니며, 항문 주위의 오염과 자극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치열, 치핵, 치루, 만성 설사와 같은 대장항문질환과 매운 음식, 그리고 약제 등에 의해 더욱 자극이 심해질 수 있다. 포도알 구균, 연쇄상 구균, 곰팡이, 칸디다, 단순포진바이러스 등의 여러 감염질환이 가려움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중 칸디다 감염이 가장 흔하며 감염 시에 균열이 나타나며 표피가 물에 불은 듯한 형태를 보인다. 건선, 지루피부염, 편평태선 등의 피부질환이 항문부위에 있을 때에도 심한 가려움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다른 부위에서도 병변을 관찰할 수 있다. 항문의 신경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으로 피가 날 때까지 환부를 긁어 다른 부위의 만성 단순태선과 동일한 소견을 보일 수 있다.
외음 가려움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칸디다 감염에 의한 것이다. 그 밖의 다른 요인으로서 트리코모나스질염, 패드, 피임약, 질 세척액, 콘돔 등에 의한 접촉피부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중년 이후에는 경화위축태선이 흔한 원인이 된다. 폭스-포어다이스병(Fox-Fordyce disease)에서도 심한 가려움증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일시적인 외음 가려움증은 마찰, 발한, 또는 임신시의 외음 충혈 등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음낭 가려움증과 관련하여, 성인의 음낭은 성인의 두피처럼 곰팡이 감염에는 면역이 있으나 국소만성단순태선이 잘 발생하는 부위인데, 원인은 심인성 요인이 작용하는 경우가 많고, 태선화가 심하게 나타나며 집중적으로 치료해도 수년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수인성 가려움증은 물에 노출된 후 수분 안에 또는 물에 노출을 중단한 후에 바늘로 찌르는 듯한 심한 불쾌감이 나타나며 약 1시간 정도 지속된다. 접촉한 물의 온도와는 무관하며 피부에서 특별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 일부 환자에게서는 주변 온도의 변화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환자의 약 1/3이 가족력을 보이며 보통 만성적이고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다. 피부와 혈액에서 히스타민 농도의 증가를 보이지만 항히스타민제에 의해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 것으로 볼 때 히스타민이 유일한 매개물질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진성적혈구증가증시 나타나는 증상과 유사하므로 이와의 감별이 필요하다.
두피가려움증은 두피의 뚜렷한 병변 없이 독립적인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중년 또는 노인에서 볼 수 있는데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가려움증이 매우 심하며 발작적으로 나타나는데 피곤 또는 스트레스 시 더욱 악화된다. 감별질환으로 포진피부염, 만성단순태선, 지루피부염, 건선 등이 있다.
담즙성 간경변증이 있는 환자는 심한 전신성 가려움증을 동반한다. 가려움증은 혈장 담즙산 농도의 증가와 관련되어 있으며, 임상적으로 가려움증을 유발시키는 농도의 담즙 산을 직접 물집성 피부병변에 도포했을 때 심한 가려움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혈액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신부전 환자의 약 20-50%에서 가려움증이 발생한다. 가려움증은 국소적 또는 전신적으로 나타나며, 대부분 혈액투석 중에 증상이 심해지나 혈액투석이 일시적인 증상 완화를 일으킬 수도 있다. 혈중 히스타민, 요소, 크레아틴(creatinine)의 농도와 가려움증의 정도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환자들의 일부에서는 피부 건조증을 동반하지만 대부분 정상적인 피부를 가지고 있으며 보습제 사용이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감소시키지는 않는다.
악성종양과 관련하여, 중년 또는 노년에서 특별한 원인 없이 전신적 가려움증이 발생할 경우 악성종양에 대한 광범위한 검사가 필요하다. 호지킨(림프절의 종창을 초래하는 대표적인 질환) 환자의 15-25%에서 가려움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때로는 타는듯한 통증과 화끈거리는 현상이 동반되기도 하는데 그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백혈병에서도 전신적 가려움증이 나타날 수 있다.
철결핍증도 가려움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진성적혈구증가증과 철결핍증이 있는 환자들에게 철분제를 경구투여 한 결과 가려움증이 감소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진성적혈구증가증 환자의 약 50%가 물과 접촉한 후 수분 이내에 심한 가려움증을 경험하며 이러한 증상이 약 15-60분 정도 지속된다. 보통 목욕 후에 발생하여 목욕 가려움증(bath itch)이라 불린다. 피부에는 특별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며 물의 온도에 관련 없이 발생한다. 단, 혈청과 소변에서 히스타민이 증가되어 있다. 혈소판 응집이 히스타민을 포함한 여러 가지 가려움증 매개물질의 유발원인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갑상샘기능항진증에서 심한 전신적 가려움증이 나타날 수 있다. 피부 혈류량의 증가가 피부표면 온도를 증가 시키고 가려움증에 대한 역치를 낮추는 것이 원인이 된다. 갑상샘기능저하증에서는 점액수종 시 피부가 심하게 건조해져 전신적 가려움증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두 질환 모두에서 점막 피부 칸디다 증에 의한 성기 부위의 가려움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일부 당뇨환자에서 점막피부칸디다증에 의한 항문 성기부위의 가려움증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환자들은 전신적 가려움증이 나타날 수 있다.
후천성 면역결핍증의 중요한 증상 중 하나는 가려움증이다. 후천성 면역결핍증 환자의 가려움증의 원인으로 옴, 이증, 칸디다증, 지루피부염, 그리고 신부전, 담즙울체 등의 전신질환 있다. 또한 특징적으로 심한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전신의 구진 또는 색소성 발진이 발생하기도 한다.
만성단순태선은 피부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비비거나 긁어서 가죽같이 두꺼워지는 질환이다. 정상적인 피부에 가려움증이 발생하여 이차적으로 만성단순태선이 생길 수 있다. 일반적으로 30~50대에 흔히 발생하며, 남자보다 여자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가려움발진은 심한 가려움증이 동반된 다발성 결절이 특징인 질환으로 잘 치료되지 않으며 장기간 지속되는 특징이 있다.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빈혈, 간 질환, HIV 질환, 임신, 신부전,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발모벽은 비정상적인 욕구에 의해 머리를 뽑는 신경증이다. 정신적, 사회적 스트레스가 원인인데 가족 내에서의 스트레스, 학교생활에서의 스트레스, 형제간의 경쟁의식, 이사, 어머니의 입원, 모녀관계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소아에서 성인까지 거의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된다.
신경성 긁은 상처는 반복적이고 강박적으로 자신의 피부를 손으로 뜯고, 파내고, 긁어내어 피부병변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환자는 자신의 행동으로 인해 그 병변이 발생했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그 행동을 억제할 수 없다.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중년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며, 심리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나타나기도 한다. 가려움증, 곤충자상 등의 피부병변이 있는 부위에 발생하기도 한다. 신경성 긁은 상처는 우울증, 강박증, 불안증과도 연관이 있다. 이러한 증상은 성격이 강박적이고 완고하며, 통제적이고, 잘못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사람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인공피부염은 동정심을 유발하거나 책임을 회피하기위해 자신의 피부에 인위적으로 상처를 입혀 발생되는 피부염이다. 피부병변은 기계적인 방법 혹은 화학약품, 부식제 등에 의해 발생된다. 이 외에 손톱, 날카로운 도구, 뜨거운 금속 등이 원인이 된다. 환자는 심리적인 욕구를 만족하기 위해 자신의 몸에 상처를 내며, 여성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고 모든 연령층에서 나타날 수 있다. 대다수의 환자는 유아적이고 의존적이며 충동 조절 능력이 낮은 인격 장애를 갖고 있다.
피부를 침범하는 행동장애는 장기간 반복되는 강박적인 행동에 의한 자상행위로 여러 가지 신체 손상을 발생시킨다. 자기 자신에게 가하는 열상은 자살목적으로 이루어지고 때로 사춘기에 용감성을 과시하기 위해 시도되기도 한다.
기생충증망상은 환자 자신의 피부에 기생충이 기생한다는 확고한 집착이 있는 질환이다. 인격이나 사고 능력의 손상 없이 만성적으로 신체와 관련된 망상만을 주된 증상으로 하는 단일 증상의 건강 염려증이다. 환자들은 작은 표피부스러기 등을 작은 함, 종이 티슈, 테이프 사이에 담아 가지고 와서 검사해 달라고 하며, 환자 중 기생충 감염을 경험한 후 발생된 경우가 2-3%라고 보고 있다.
기타, 비염 등 코 관련 질환과 동반된 코 가려움증, 결막염 등 안과질환과 동반된 안구 가려움증, 치과적 원인에 기인한 구강 내 가려움증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이용되는 것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그 화합물 자체뿐만 아니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프로드러그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소망하는 약리학적 효과, 즉 가려움증의 개선 활성을 갖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염을 나타낸다. 이러한 염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및 하이드로요오다이드와 같은 무기산, 아세테이트, 아디페이트, 알기네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벤젠술포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비설페이트, 설파메이트, 설페이트, 나프틸레이트, 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설포네이트, 시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도데실설페이트, 에탄설포네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헵타노에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헤미설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2-히드록시에탄설페이트, 락테이트, 말리에이트, 메탄설포네이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옥살레이트, 토실레이트 및 운데카노에이트와 같은 유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수화물”은 소망하는 약리학적 효과를 갖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수화물을 나타낸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은 소망하는 약리학적 효과를 갖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용매화물을 나타낸다. 상기 수화물 및 용매화물도 상기한 산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프로드러그”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약리학적 효과를 발휘하기 이전에 생물전환을 하여야 하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유도체를 나타낸다. 이러한 프로드러그는 화학적 안정성, 환자 수용성, 생물학적 이용성, 기관 선택성 또는 조제의 편의를 개선하기 위하여, 작용 기간의 장기화 및 부작용의 감소를 위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프로드러그의 제조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예: Burger's Medicinal Chemistry and Drug Chemistry, 5th ed., 1:172-178 and 949-982(1995))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비강 투여, 점안 투여,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0 ㎎/㎏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에어로졸, 스프레이, 점안제, 경구제 및 주사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92675506-pat00004
상기에서, R은 H 또는 OH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가려움증을 개선하는데 매우 우수한 작용을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미 생체 안전성이 입증된 이소플라본 계열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매우 안전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92675506-pat00005
상기에서, R은 H 또는 OH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화학식 1의 화합물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외에, 그 작용(가려움증 개선 작용)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종래부터 사용되어오던 가려움증 개선제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정제수, 일가 알코올류(에탄올 또는 프로필 알코올), 다가 알코올류(글리세롤, 1,3-부티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고급 지방산류(팔미틸산 또는 리놀렌산), 유지류(소맥 배아유, 동백기름, 호호바유, 올리브유, 스쿠알렌, 해바라기유, 마카데미아땅콩유, 아보가드유, 대두 수첨가 레시틴 또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소염제 및 청량제를 첨가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모노라우린산헥사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 환원라놀린, POE, 글리세릴피로글루타민산, 이소스테아린산, 디에스테르, N-아세틸글루타민 및 이소스테아릴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살균제는 히녹티올, 트리크로산, 크롤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즐렌(azulene), 살리실산 및 징크피리타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 몰식자산프로필 및 에리소르빈산 중에서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하다.
자외선 흡수제는 디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류, 멜라닌,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시녹사이트, 파라메톡시계피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2-(2-히드록시-5-메틸페닐) 벤조트리아졸, 우로카닌산 및 금속산화물 미립자 중에서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하다.
소염제로는 글리틸리틴산디칼륨 또는 알란토인을 사용할 수 있고, 청량제로는 고추틴크 또는 1-멘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배합할 수 있는 임의의 제형으로서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품의 형태로는 토닉, 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분말, 젤, 크림, 에센스, 로션,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스프레이, 미스트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천연 유래 성분을 이용한 가려움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 가려움증을 부작용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히스타민에 의한 가려움증 유도 시,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을 대상으로 각각 1 μM 및 10 μM 농도에서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비교한 것이다(p<0.01 versus histamine treated group).
도 2은 클로로퀸에 의한 가려움증 유도 시,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을 대상으로 각각 1 μM 및 10 μM 농도에서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비교한 것이다(p<0.01 versus chloroquine treated group).
도 3은 DNCB에 의한 가려움증 유도 시,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을 대상으로 각각 1 μM 및 10 μM 농도에서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비교한 것이다(p<0.01 versus DNCB treated group).
도 4는 SLIGRL에 의한 가려움증 유도 시,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을 대상으로 각각 1 μM 및 10 μM 농도에서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비교한 것이다(p<0.05 versus SLIGRL treated group).
도 5는 TSLP에 의한 가려움증 유도 시,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을 대상으로 각각 1 μM 및 10 μM 농도에서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비교한 것이다(p<0.05 versus TSLP treated group).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실험 동물
특정 병원체가 없는 6 주된 수컷 BALB/c 마우스를 Orient Bio Korea Inc.(가평, 경기도,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고, 기류식 무균 실험대에 수용하여 표준 고형사료를 원하는 대로(ad libitum) 공급하며 사육하였다. 실시예의 개시 시점에 마우스는 7-8주령이었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된 모든 실험 동물은 전북대학교 의과대학의 실험동물의 관리 및 이용 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of th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에 의하여 승인된 프로토콜에 따라 관리되었다.
<실시예 2> 시약의 준비
이소플라본(Isoflavone)계 화합물들인 제니스테인(genistein), 다이드제인(daidzein), 글리시테인(glycitein), 에쿠올(equol) 등은 sigma사에서 구입하였으며 DMSO에 용해시킨 후 증류수에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DMSO의 함량이 0.1%가 넘지 않도록 하였다. 히스타민, 클로로퀸 및 DNCB 등도 모두 Sigma 회사에서 구입하였다.
<실시예 3> 가려움증 유발 시험
1. 히스타민 및 클로로퀸에 의한 가려움증:
이들 약물을 마우스 피하(subcutaneous)로 주사하여 가려움증을 유발하였다. 구체적으로 2 mg/ml 농도의 히스타민 그리고 4 mg/ml 농도의 클로로퀸 용액 각각 0.1 ml을 주사하였다.
2. DNCB(2,4-Dinitrochlorobenzene)에 의한 가려움증:
DNCB를 이용하여 가려움증을 유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오른쪽 귀를 면도하여 털을 제거한 후 olive oil: ethanol (1:4)에 녹인 DNCB 1% 용액 20 ㎕를 발라 감작(sensitization)시켰다. 7일 후 동일한 귀에 0.5%의 DNCB 10 ㎕을 발라주었다(Exp. Dermatol, 2002, 11:285-291).
3. SLIGRL(H-Ser-Leu-Ile-Gly-Arg-Leu-NH2)에 의한 가려움증:
SLIGRL를 이용하여 가려움증을 유발하였다. 구체적으로 SLIGRL 20 ㎍을 0.1 ㎖의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피하에 주사하여 가려움을 유발시켰다.
4. TSLP(thymic stromal lymphopoietin )에 의한 가려움증:
TSLP를 이용하여 가려움증을 유발하였다. TSLP 0.67 ㎍을 0.1 ㎖의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피하에 주사하여 가려움을 유발시켰다.
<실시예 4> 가려움증 측정
본 발명의 마우스에서 가려움증 측정은 MicroAct(Neuroscience, Inc., Tokyo, Japan) 장비를 이용하여 이 회사에서 정한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마우스를 마취 후 작은 자석을 오른쪽 뒷다리 발바닥 상부 피하에 삽입하고 봉합하였다. 마우스를 코일로 둘러싸인 챔버(chamber)에 넣고, 뒷다리를 이용하여 긁을 때 발생하는 전기장을 컴퓨터를 통하여 긁은 횟수를 기록하였으며, 이때 MicroAct의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Threshold p-p limit, 0.125V; Threshold minimum duration, 0.2s; Maximum amplitude range, 0.5V; Minimum amplitude range, 0.05V; Maximum frequency, 20Hz; Minimum frequency, 5Hz. 이 조건하에서는 연속 3회 이상 긁는 동작만 기록됨.
<실시예 5> 통계처리
모든 실험은 최소 3회 실시하였으며, 한 그룹당 마우스는 2-3 마리를 사용하였다. 통계적 분석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로 표현되었다. 통계적 비교는 one-way ANOVA와 Fisher test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unpaired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P 값의 유의수준은 0.05 미만으로 하였다.
<실시예 6> 가려움증 억제 시험 결과
1. 히스타민에 의한 가려움증 억제 효과 시험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의 히스타민에 의한 가려움증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히스타민 100 ㎍을 0.1 ㎖의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피하에 주사하여 가려움을 유발시켰다. 1 μM 및 10 μM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을 각각 히스타민과 같이 섞어 주사한 후 1 시간동안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제니스테인 및 다이드제인은 1 μM 및 10 μM 농도에서 현저하게 히스타민에 의한 가려움증을 억제하였다(p < 0.01)(도 1). 그러나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은 농도에 관계없이 히스타민에 의한 가려움증을 억제하지 못하였다(도 1).
2. 클로로퀸에 의한 가려움증 억제 효과 시험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의 클로로퀸에 의한 가려움증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클로로퀸 200 ㎍을 0.1 ㎖의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피하에 주사하여 가려움을 유발시켰다. 1 μM 및 10 μM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을 각각 클로로퀸과 같이 섞어 주사한 후 1 시간동안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제니스테인 및 다이드제인은 1 μM 및 10 μM 농도에서 현저하게 클로로퀸에 의한 가려움증을 억제하였다(p < 0.01)(도 2). 그러나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은 농도에 관계없이 클로로퀸에 의한 가려움증을 억제하지 못하였다(도 2).
3. DNCB에 의한 가려움증 억제 효과 시험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이 DNCB에 의한 가려움증을 억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DNCB 1% 용액 20 ㎕ 를 마우스 오른 쪽 귀에 발라 7일 동안 감작 (sensitization)시켰다. 7일 후 1 μM 및 10 μM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과 1% DNCB를 식염수에 용해시켜 오른쪽 귀에 바르고(음성 대조군은 생리 식염수를 발라주었다), 그 후 1 시간 동안 가려움증을 측정하였다. 제니스테인 및 다이드제인은 1 μM 및 10 μM 농도에서 현저하게 DNCB에 의한 가려움증을 억제하였다(p < 0.01)(도 3). 그러나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은 농도에 관계없이 DNCB에 의한 가려움증을 억제하지 못하였다(도 3).
4. SLIGRL에 의한 가려움증 억제 효과 시험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의 protease activated receptor 2의 아고니스트(agonist)인 SLIGRL에 의한 가려움증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SLIGRL 20 ㎍을 0.1 ㎖의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피하에 주사하여 가려움을 유발시켰다. 1 μM 및 10 μM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을 각각 SLIGRL과 같이 섞어 주사한 후 1 시간동안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제니스테인 및 다이드제인은 1 μM 및 10 μM 농도에서 현저하게 SLIGRL에 의한 가려움증을 억제하였다(p < 0.05)(도 4). 그러나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은 농도에 관계없이 SLIGRL에 의한 가려움증을 억제하지 못하였다(도 4).
5. TSLP에 의한 가려움증 억제 효과 시험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의 thymic stromal lymphopoietin(TSLP)에 의한 가려움증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TSLP 0.67 ㎍을 0.1 ㎖의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피하에 주사하여 가려움을 유발시켰다. 1 μM 및 10 μM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을 각각 TSLP과 같이 섞어 주사한 후 1 시간동안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제니스테인 및 다이드제인은 1 μM 및 10 μM 농도에서 현저하게 TSLP에 의한 가려움증을 억제하였다(p < 0.05)(도 5). 그러나 글리시테인 및 에쿠올은 농도에 관계없이 TSLP에 의한 가려움증을 억제하지 못하였다(도 5).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피부 외용제, 에어로졸, 스프레이, 점안제 및 주사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70909862-pat00006


    상기에서, R은 H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려움증은 발작성 가려움증, 동계 가려움증, 항문 가려움증, 외음 가려움증, 수인성 가려움증, 두피 가려움증, 코 가려움증, 목 가려움증, 구강내 가려움증 및 안구 가려움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려움증은 만성신부전증, 악성종양, 철겹핍성 빈혈, 진성적혈구증가증, 갑상샘기능항진증, 갑상샘기능저하증, 당뇨병 및 후천성 면역결핍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내과 질환에 동반되는 가려움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려움증은 만성단순태선, 가려움발진, 발모벽, 신경성 긁은 상처, 피부를 침범하는 행동장애 및 기생충증망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정신피부질환에 동반되는 가려움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83264309-pat00008


    상기에서, R은 H이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토닉, 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분말, 젤, 크림, 에센스, 로션,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스프레이 또는 미스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7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KR1020170122390A 2017-09-22 2017-09-22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00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90A KR101900408B1 (ko) 2017-09-22 2017-09-22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90A KR101900408B1 (ko) 2017-09-22 2017-09-22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831A Division KR101782966B1 (ko) 2017-03-14 2017-03-14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408B1 true KR101900408B1 (ko) 2018-09-20

Family

ID=6371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390A KR101900408B1 (ko) 2017-09-22 2017-09-22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4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5202A1 (en) 2005-08-31 2013-05-09 Theta Biomedical Consulting & Development Co., Inc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for treating neuro-inflammation
WO2016141219A1 (en) 2015-03-05 2016-09-09 Cosmederm Bioscience, Inc. Strontium based compositions and formulations for pain, pruritus, and inflammation
KR101782966B1 (ko) * 2017-03-14 2017-09-2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5202A1 (en) 2005-08-31 2013-05-09 Theta Biomedical Consulting & Development Co., Inc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for treating neuro-inflammation
WO2016141219A1 (en) 2015-03-05 2016-09-09 Cosmederm Bioscience, Inc. Strontium based compositions and formulations for pain, pruritus, and inflammation
KR101782966B1 (ko) * 2017-03-14 2017-09-2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보배,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966B1 (ko)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A2866527C (en) Use of isoeugenol esters in treating hyperpigmentation
KR20190101948A (ko) 수가용화(水加溶化)된 우르소데옥시콜산을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또는 중증 소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7297B1 (ko) 수면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17252026A1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hyperkeratosis disorders
US20130274231A1 (en) Compositions for use in treatment of dermatological diseases and conditions
JPS5823612A (ja) 生薬成分含有化粧料組成物
US11878008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US20230248682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y or pruritus comprising n-acetyl or n-acyl amino acid
KR101900408B1 (ko)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3375B1 (ko) 키토산 및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주사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20210065968A (ko) 심미적 피부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철 킬레이팅 화합물
WO2022170940A1 (zh) 无细胞脂肪提取物用于改善衰老和促进皮肤年轻化
US20170035802A1 (en) Method for treating itching
KR102157247B1 (ko) 김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047511B2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US20240189377A1 (en) Methods of using compositions comprising an iceland moss extract
KR102496723B1 (ko) 오피오포고닌-d를 포함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059508A1 (en) Methods of using compositions comprising an iceland moss extract
JP2018507895A (ja) ヘルペスを処置するための方法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ジヒドロケルセチンを含む組成物
KR101346125B1 (ko) 아연과 철을 함유하는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4883596B2 (ja) 皮膚薬組成物又は浴用剤
TW200900089A (en) Cosmetic preparations designed to reduce unsightly cellulite
WO2008000454A2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skin comprising ink sack liquid of cephalop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