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398B1 - 정보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398B1
KR101763398B1 KR1020160055763A KR20160055763A KR101763398B1 KR 101763398 B1 KR101763398 B1 KR 101763398B1 KR 1020160055763 A KR1020160055763 A KR 1020160055763A KR 20160055763 A KR20160055763 A KR 20160055763A KR 101763398 B1 KR101763398 B1 KR 101763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utput
unit
magnetic body
magnetic force
mo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160055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398B1/ko
Priority to CN201780032015.8A priority patent/CN109154866A/zh
Priority to PCT/KR2017/004526 priority patent/WO201718876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398B1/ko
Priority to US16/172,731 priority patent/US1150825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4Details of particular tactile cells, e.g.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고, 구동 모듈의 작동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정보 출력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정보 출력 장치{Information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인쇄물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 소리를 통한 청각적 정보 출력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대는 정보량의 증가 및 기술 발전에 따라 전자 기술이 포함된 정보 출력 장치도 많이 사용되고 있고, 다수의 화소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다양한 회로 등이 내장되어 제조의 의성이 감소하고 제어상의 불편성이 있다.
한편, 기술 발전, 생활 습관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방식의 정보 출력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별로 갖고 있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보 출력 장치를 요구할 수 있고, 특히 특정 감각이 약화된 사용자, 예를들면 시각적 능력이 약하거나 없는 경우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이 요구된다.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 시 이를 용이하게 제어하고 안정적으로 구동에 곤란이 있어 정보 출력 장치의 향상을 통한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력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적 신호의 인가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자력 부재 및 코일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이동유닛과,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운동에 연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2 이동유닛과, 상기 제2 이동유닛의 운동에 따라 제3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핀과,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운동을 상기 제2 이동유닛에게 전달하도록 구비된 전달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유닛은, 내측에 제1 가이드 홀을 갖도록 구비된 제1 가이드와, 상기 제1 가이드 홀에 위치하는 상기 자력 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상기 코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유닛과 상기 제1 방향으로 대향된 위치에 구비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 부재와 대향되게 위치한 중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력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한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서로 대향된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자력 부재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자력 부재와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상기 전달유닛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전달유닛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중앙선으로부터 오프셋되게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는, 복수의 표현 홀을 포함하는 표현 면을 갖고, 상기 표현 면의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각 정보 출력 모듈은, 상기 표현 홀을 통해 상기 표현 면으로 출입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표현 면에 돌출 신호를 표현하도록 구비된 핀과, 전기적 신호의 인가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자력 부재 및 코일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이동유닛과,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운동에 연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핀을 상기 표현 홀을 통해 상기 표현 면으로 출입하도록 구동하는 제2 이동유닛과,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운동을 상기 제2 이동유닛에게 전달하도록 구비된 전달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정보 출력 모듈의 제1 이동유닛은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서로 오프셋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각 정보 출력 모듈은, 상기 자력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한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서로 대향된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자력 부재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자력 부재와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정보 출력 모듈의 제2 이동유닛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는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는 구동 시에만 전력을 소모함으로써 전력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는 구동 모듈의 작동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모듈(IU)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변화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정보 출력 모듈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정보 출력 모듈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정보 출력 모듈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정보 출력 모듈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표시 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표시 부재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0은 표시 부재와 구동 모듈이 결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로서, 점자를 표시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복수의 표현 홀(100a)을 갖는 표현 면(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표현 면(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표현 면(100)의 내측에는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IU)들이 위치하고, 각 정보 출력 모듈(IU)들은 각 표현 홀(100a)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며, 각 정보 출력 모듈(IU)의 핀(400)이 상기 표현 홀(100a)을 통해 표현 면(100)을 출입함으로써 상기 표현 면(100)에 돌출 신호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 신호는 복수의 핀(400)이 상기 표현 홀(100a)에서 선택적으로 출입을 반복함으로써 다양한 신호 체계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표현 면(100)이 사용자에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표현 면(100)에 현출되는 상기 핀들(400)의 선택적 출입에 의한 돌출 신호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이고 국부적인 타격으로 인식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핀들(400)에 의해 타격을 받은 위치에서의 직접적인 진동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직접적이고 국부적인 타격에 의해 형성된 돌출 신호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일반적인 진동 신호와는 달리 타겟 주위에 잔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정확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돌출 신호에 의해 점자와 같이 촉각을 통해 취득되는 신호를 구현할 수 있고, 이 외에도 군사 신호, 그림 신호, 부호 신호, 방향 신호 등 다양한 신호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곡면을 포함하는 표현 면(100')을 갖는다. 이러한 곡면을 포함하는 표현 면(100')도 복수의 표현 홀(100a)을 가지며, 표현 홀(100a)의 내측에 정보 출력 모듈(IU)이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곡면이 단일의 곡률을 갖는 면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곡면은 복수의 곡률을 갖는 부정형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현 홀(100a)들 중 적어도 일부의 개방된 방향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핀(400)들 중 적어도 일부의 출입 방향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처럼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IU)을 포함하는 데,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모듈(IU)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변화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모듈(IU)은 제1 이동유닛(200), 전달 유닛(500), 제2 이동유닛(300) 및 핀(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유닛(200)은 전기적 신호의 인가에 따라 적어도 일부, 예컨대 자력부재(210) 또는 제1 가이드(230)을 포함한 코일부재(220)가 제1 방향(X1)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제1 이동유닛(200)은 전자석 원리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데,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자력 부재(210) 및 코일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는 코일부재(22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유닛(300)은 상기 제1 방향(X1)과 상이한 제2 방향(X2)을 따라 돌출되고 상기 제2 방향(X2)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방향(X2)이 제1 방향(X1)에 직교하는 방향, 즉, 상기 제1 방향(X1)이 수평한 방향인 데 대하여, 상기 제2 방향(X2)이 수직한 방향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달유닛(500)은 상기 제1 이동유닛(200)과 표현 부재(13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이동유닛(200)의 구동력을 상기 표현 부재(130)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X1)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1 이동유닛(200)의 동작을 전달유닛(500)가 표현 부재(130)에 전달하고, 이에 따라 표현 부재(130)는 상기 제1 방향(X1)과는 상이한 제2 방향(X2)으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달유닛(500)는 상기 제1 이동유닛(200)에 의해 상기 제1 방향(X1)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 이동유닛(200)은 제1 가이드(230)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제1 가이드(230)는 상기 제1 방향(X1)으로 연장된 파이프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230)는 내측에 제1 가이드 홀(230a)을 갖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가이드 홀(230a)은 제1 방향(X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홀(230a)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원통형 홀일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다각통형 홀일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양단이 개구된 홀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단이 개구된 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제1 가이드(230)의 적어도 일부 외면에 상기 코일부재(220)가 감겨지는 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가이드(230)의 외면에는 코일부재(220)가 감겨지기 용이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가이드(230)는 제1 베이스(101)에 형성된 홈(101a)에 고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30) 내부의 제1 가이드 홀(230a)에는 자력 부재(210)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자력 부재(210)는 제1 가이드 홀(230a)를 따라 가이드되어 운동할 수 있는 데, 자력 부재(210)는 제1 방향(X1)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가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자력 부재(210)의 운동은 중력의 간섭을 덜 받고 운동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현 부재(130)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자력 부재(210)의 일단은 제1 가이드(230)의 제1 가이드 홀(230a)에 삽입되고 자력 부재(210)의 타단에는 전달유닛(5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자력 부재(210)는 제1 방향(X1)을 따라 일단으로는 N극 또는 S극이 형성되고 타단으로는 반대 극성이 형성된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력 부재(210)는 상기 제1 가이드(230)에 적어도 한 극의 일부만이 삽입되면 충분한 데, 예컨대 상기 자력 부재(210)는 제1 가이드(230)에 N극 또는 S극만 삽입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자력 부재(210)는 상기 제1 가이드(230)에 자력 부재(210) 길이의 절반 이하 정도만 삽입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코일부재(220)의 권선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코일부재(220)는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도 3a 및 도 3b에서 기전력의 방향이 바뀔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자력 부재(210)의 타단에 결합된 전달유닛(500)은 도면과는 달리 자력 부재(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자력 부재(210)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표현 부재(130)를 지지함으로써 표현 부재(13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전달유닛(500)은 제2 이동유닛(300)을 향해 연장된 연장부(502)를 포함할 수 있는 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장부(502)는 제2 방향(X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502)의 단부에는 지지면(501)이 형성되어 있는 데, 상기 지지면(501)은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 이동유닛(300)의 지지면(301)과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301)은 제2 방향(X2)의 상단으로부터 제1 이동유닛(2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유닛(300)는 상기 제1 이동유닛(200)의 운동에 연동하여 제2 방향(X2)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이동유닛(300)는 제1 이동유닛(200)의 운동에 종속하여 운동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외부 전원 및/또는 제어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핀(400)은 제2 이동유닛(300)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제3 방향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상기 핀(400)은 제2 이동유닛(300)과 결합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이동유닛(300)이 제2 방향(X2)을 따라 운동하므로,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2 방향(X2)과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핀(400)은 제2 방향(X2)을 따라 전술한 표현 홀을 통한 선택적 출입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핀들(400)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이동유닛(300)과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핀(400)은 운동하는 제2 이동유닛(300)에 직접적으로 접하거나, 제2 이동유닛(300)와의 별도의 링크 기구(미도시) 또는 운동 전달 기구(미도시)에 의해 간접적으로 제2 이동유닛(300)의 제2 방향(X2)에 따른 운동에 연동하여 제3 방향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상기 핀(400)의 운동 방향인 제3 방향은 제2 이동유닛(300)의 운동 방향인 제2 방향(X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방향(X1)도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핀(400)의 운동 방향인 상기 제3 방향은 전술한 돌출 신호를 구현하기 위한 출입 방향이 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서는 핀(400)이 제2 이동유닛(300)에 결합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핀(400)이 제2 이동유닛(300)과 분리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X2)은 상기 제1 방향(X1)과 다른 방향일 수 있는 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방향(X2)은 상기 제1 방향(X1)과 직각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방향(X1)과 제2 방향(X2)은 방향 각(a)을 이룰 수 있는 데, 이러한 방향 각(a)은 제1 이동유닛(200)가 배치되는 공간과 제2 이동유닛(300)가 배치되는 공간을 고려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핀(400)의 운동 방향인 제3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같이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IU)이 구비되는 경우, 각 정보 출력 모듈(IU) 별로 또는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IU)이 그룹을 이룬 경우에는 각 그룹 별로 서로 다른 방향각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들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 출력 장치가 뒤집히는 등, 그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에, 제1 이동유닛(2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핀(400) 및/또는 제2 이동유닛(300)이, 상기 표현 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미도시)가 상기 핀(400) 및/또는 제2 이동유닛(300)과 제2 베이스(102)의 내측면(102a)과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탄성부재일 수 있는 데, 상기 제1 이동유닛(200)의 운동하는 힘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초과할 때 상기 핀(400)이 표현 면(10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유닛(300)에는 지지면(301)이 구비될 수 있는 데, 상기 지지면(301)은 전달유닛(500)의 지지면(501)과 맞닿을 수 있도록 구비되고, 전달유닛(500)의 지지면(501)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사면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301)이 전달유닛(500)의 지지면(501)과 맞닿음에 따라 제2 이동유닛(300)이 제2 방향(X2)으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a 및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전달유닛(500)dl 제1 방향(X1)을 따라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할 경우 제2 이동유닛(300)은 제2 방향(X2)을 따라 도면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이동유닛(200)과, 전달유닛(500)과, 제2 이동유닛(300)과, 핀(400)은 제1 베이스(101)와 제2 베이스(102)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101)에는 소정의 홈(101a)이 형성되어 제1 이동유닛(200)이 안착될 수 있다. 제2 베이스(102)는 제1 베이스(101)와 제2 방향(X2)으로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는 데, 그 외부 표면이 전술한 표현 면(100)이 될 수 있고, 표현 홀(100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베이스(102) 외측에 별도의 케이싱이 더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의 외면이 표현 면이 될 수 있다. 상기 표현 홀(100a)에는 핀(400)이 삽입되고, 핀(400)은 표현 홀(100a)을 통해 출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달유닛(500)과 상기 제1 방향(X1)으로 대향된 위치에 스토퍼(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140)는 제1 베이스(101)에 형성된 홈(101a) 중 상기 전달유닛(500)와 대향된 벽이 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40)에 의해 상기 전달유닛(500)의 제1 방향(X1)의 운동이 제한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40)와 상기 전달유닛(500) 사이의 최대 거리(D1)는 상기 자력 부재(210)의 상기 제1 가이드(230)에 삽입된 최대 길이(D2)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230) 내에서 자력 부재(210)가 제1 방향(X1)으로 운동함에 따라 자력 부재(210)가 제1 가이드(230) 밖으로 빠져 나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부재(220)의 상기 전달유닛(500)를 향한 단부와 상기 제1 가이드(230)의 상기 전달유닛(500)를 향한 단부 사이는 소정의 간극(D3)을 이룰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코일부재(22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어 코일부재(220)의 양단의 극성이 바뀔 때 이에 따라 자력 부재(210)가 코일부재(220)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자력 부재(210)가 제1 방향(X1)을 따라 원활히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모듈(IU)에 따르면, 도 3a 및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핀(400) 및 제2 이동유닛(300)의 구동 방향과 이를 움직이는 제1 이동유닛(200) 및 전달유닛(500)의 구동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핀(400)이 돌출된 이후에도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일부재(220)에 전기가 유지되지 않더라도, 상기 핀(400)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전력 사용 없이도 핀(400)의 동작을 자유로이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140)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전달유닛(500)과 대향되게 위치한 중간 부재(141)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실시예로서 상기 중간 부재(141)는 전달유닛(500)의 반복 이동 시 전달유닛(500)과 스토퍼(140)의 접촉으로 인한 전달유닛(500) 및/또는 자력 부재(210)의 손상을 방지하고, 및/또는 스토퍼(1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간 부재(141)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중간 부재(141)는 유기물 계열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중간 부재(141)는 무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부재(141)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서 우레탄 계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 부재(141)는 실리콘, 고무, 기타 폴리머 중 탄성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간 부재(141)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제2 이동유닛(300) 의 핀(400)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는 상기 중간 부재(141)는 제2 이동유닛(300)의 핀(400) 주위로 제2 베이스(102)의 내측면(102a)에 대향하는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중간 부재(141)는, 제2 베이스(102)의 내측면(102a)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부재(141)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모듈(IU)을 도시한 것으로, 자력 부재(210)에 인접하게 위치한 자성체(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700)는 제1 자성체(701)와 제2 자성체(7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700)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데, 예를 들면 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자성체(700)는 코발트 및/또는 니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성체(700)는 자석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머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자성체(702)는 상기 자력 부재(210)와 대향된 위치에, 상기 자력 부재(210)와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는 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유닛(500)이 제2 자성체(702)와 자력 부재(2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달유닛(500)은 비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702)는 상기 자력 부재(210)의 제1 방향(X1)으로의 운동 시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702)는 상기 자력 부재(210)가 제1 방향(X1)으로 운동 시, 상기 자력 부재(210)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키며, 이에 따라 코일 부재(220)에 전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력 부재(210)가 제1 방향(X1)으로 전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자력 부재(210)의 제1 방향(X11)으로의 전진 운동에 의해 표현 면 외측으로 돌출된 핀(400)이, 코일 부재(220)에 전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핀(400) 구동을 위한 전력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702)에 의한 인력의 크기는 제2 자성체(702)의 두께, 크기 및/또는 위치와 상기 스토퍼의 길이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 데, 이 인력의 크기는 자력 부재(210)의 제1 방향(X1)으로의 운동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자성체(701)는 상기 자력 부재(210)와 대향된 위치에, 상기 자력 부재(210)와 이격되게 위치하고, 상기 코일 부재(22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자성체(701)와 자력 부재(210)의 사이에는 스토퍼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701)에 의해 상기 코일 부재(220)에 교류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에 교번자장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교번자장에 의한 기전력으로 인해, 코일 부재(220)에 의한 자계의 힘과는 별개의 힘이 자력 부재(210)에 작용할 수 있고, 따라서 이는 코일 부재(220)에 의한 자계의 힘이 작은 경우에도 효율적인 자력 부재(210)의 운동을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교번자장 발생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코일 부재(220)와 제1 자성체(701)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자성체(701)는 상기 자력 부재(210)가 제1 방향(X1)으로 운동 시, 상기 자력 부재(210)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키며, 이에 따라 코일 부재(220)에 전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력 부재(210)가 제1 방향(X1)으로 후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701)에 의한 인력의 크기는 제1 자성체(701)의 두께, 크기 및/또는 위치와 상기 스토퍼(600)의 길이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 데, 이 인력의 크기는 자력 부재(210)의 제1 방향(X1)으로의 운동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모듈(IU)을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제1 이동유닛(200)에서 자력 부재(210)는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가이드(230) 및 코일 부재(220)가 제1 방향(X1)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 때, 전달유닛(500)은 제1 가이드(230)에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자력 부재(210)는 제1 자성체(701)에 닿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30)와 제1 자성체(701)의 사이에도 별도의 스토퍼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30)와 전달유닛(500)의 조립체가 제1 방향(X1)에 따른 왕복 운동을 함에 따라 제2 이동유닛(300) 및 핀(400)도 제2 방향(X2)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핀(400)이 돌출된 이후에도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부재(220)에 전기가 유지되지 않더라도, 상기 핀(400)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전력 사용 없이도 핀(400)의 동작을 자유로이 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자성체(701)와 제2 자성체(702)의 서로 대향하는 면들에 전술한 중간 부재가 더 구비되어 소음을 줄이고 충격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이동유닛(300)에는 가이드 홈(3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02)은 제1 베이스(101)를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02)은 제2 이동유닛(300)의 운동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데, 예컨대 제2 방향(X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101)의 상기 제2 이동유닛(300)을 향한 부분에는 가이드 돌기(10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01b)는 제2 이동유닛(300)의 운동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데, 제2 방향(X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01b)는 상기 가이드 홈(302)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이동유닛(300)는 가이드 돌기(101b)를 따라 가이드되어 제2 방향(X2)으로의 왕복 운동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홈(302) 및 가이드 돌기(101b)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2 이동유닛(300)에 형성된 지지면(301)은 도 9a에서 볼 수 있듯이, 핀(400)의 중앙을 연결한 제1 중심선(S1)과 정렬될 수 있다. 즉, 지지면(301)의 중앙과 상기 제1 중심선(S1)이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지지면(301)은 상기 제1 중심선(S1)에 대하여 오프셋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면(301)의 중앙은 도 9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중심선(S1)으로부터 제1 방향(X1)에 수직한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경우, 제1 이동유닛(200)의 중앙을 연결한 제2 중심선(S2)은 핀(400)의 중앙을 연결한 제1 중심선(S1)에 대하여 일측으로 시프트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9b 및/또는 도 10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이 제1 방향(X1)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경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정보 출력 모듈 간의 구동 모듈이 서로 자계 간섭을 일으켜 동작에 오류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면(301)에 대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의 정보 출력 모듈은 상기 표현 부재에 의해 하나 이상의 촉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모듈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다양한 촉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핀(400)의 돌출을 촉각을 통한 감지함에 따른 촉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고, 특히 점자 출력 형태의 정보 출력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로서, 점자를 표시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브레일 디스플레이 장치도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들(IU1, IU2, IU3, ...)을 포함할 수 있는 데, 6개가 하나의 셋트를 이루도록 하고, 이 셋트를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한 셋트가 총 6개의 정보 출력 모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한 셋트가 점자를 구현할 수 있는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들, 예컨대 8개의 정보 출력 모듈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전기적 신호의 인가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자력 부재 및 코일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이동유닛;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운동에 연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2 이동유닛;
    상기 제2 이동유닛의 운동에 따라 제3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핀; 및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된 것으로,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운동을 상기 제2 이동유닛에게 전달하도록 구비된 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제2 이동유닛을 향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상기 제2 이동유닛을 향한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지지면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유닛은,
    내측에 제1 가이드 홀을 갖도록 구비된 제1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 홀에 위치하는 상기 자력 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상기 코일 부재;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유닛과 상기 제1 방향으로 대향된 위치에 구비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전달유닛과 대향되게 위치한 중간 부재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한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서로 대향된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제2 자성체와 상기 자력 부재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자력 부재와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정보 출력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상기 전달유닛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전달유닛이 지지되도록 하는 제2 지지면을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면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중앙선으로부터 오프셋되게 위치하는 정보 출력 장치.
  10. 복수의 표현 홀을 포함하는 표현 면을 갖고, 상기 표현 면의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각 정보 출력 모듈은,
    상기 표현 홀을 통해 상기 표현 면으로 출입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표현 면에 돌출 신호를 표현하도록 구비된 핀;
    전기적 신호의 인가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자력 부재 및 코일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이동유닛;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운동에 연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핀을 상기 표현 홀을 통해 상기 표현 면으로 출입하도록 구동하는 제2 이동유닛; 및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운동을 상기 제2 이동유닛에게 전달하도록 구비된 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출력 모듈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핀의 중앙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중앙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중심선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위치하는 정보 출력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정보 출력 모듈의 제1 이동유닛은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서로 오프셋되게 위치하는 정보 출력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보 출력 모듈은, 상기 자력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한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서로 대향된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제2 자성체와 상기 자력 부재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자력 부재와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정보 출력 장치.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정보 출력 모듈의 제2 이동유닛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KR1020160055763A 2016-04-27 2016-05-04 정보 출력 장치 KR101763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763A KR101763398B1 (ko) 2016-05-04 2016-05-04 정보 출력 장치
CN201780032015.8A CN109154866A (zh) 2016-04-27 2017-04-27 信息输出设备
PCT/KR2017/004526 WO2017188766A1 (ko) 2016-04-27 2017-04-27 정보 출력 장치
US16/172,731 US11508259B2 (en) 2016-04-27 2018-10-27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763A KR101763398B1 (ko) 2016-05-04 2016-05-04 정보 출력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699A Division KR20170125761A (ko) 2017-07-24 2017-07-24 정보 출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398B1 true KR101763398B1 (ko) 2017-08-01

Family

ID=5965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763A KR101763398B1 (ko) 2016-04-27 2016-05-04 정보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3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2653A (zh) * 2018-05-24 2021-01-29 株式会社Dot 信息输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5213A (ja) * 2000-03-21 2001-09-28 Tohoku Techno Arch Co Ltd 点字ピン駆動装置
JP2004317729A (ja) * 2003-04-15 2004-11-11 Seiko Epson Corp 点字表示装置
JP2005266358A (ja) * 2004-03-18 2005-09-29 Seiko Epson Corp 触覚ディスプレイおよび触覚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20130017516A1 (en) * 2011-07-11 2013-01-17 Kelly Tyler Active braille timepiece &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5213A (ja) * 2000-03-21 2001-09-28 Tohoku Techno Arch Co Ltd 点字ピン駆動装置
JP2004317729A (ja) * 2003-04-15 2004-11-11 Seiko Epson Corp 点字表示装置
JP2005266358A (ja) * 2004-03-18 2005-09-29 Seiko Epson Corp 触覚ディスプレイおよび触覚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20130017516A1 (en) * 2011-07-11 2013-01-17 Kelly Tyler Active braille timepiece & related metho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2653A (zh) * 2018-05-24 2021-01-29 株式会社Dot 信息输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5774A (ko) 정보 출력 장치
US9910289B2 (en) Miniature lens driving apparatus
US10424223B2 (en) Braille actuator and braille outputting device using same
KR20170125761A (ko) 정보 출력 장치
US20160226361A1 (en) Flat Linear Vibration Motor
US9046737B2 (en) Driving apparatus for camera lens assembly
US11508259B2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US20150198817A1 (en) Lens driving apparatus
CN108604134B (zh) 多方向性驱动模块
CN112292653A (zh) 信息输出装置
KR101763398B1 (ko) 정보 출력 장치
US20210082314A1 (en) Information output device
US20210181456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763397B1 (ko) 정보 출력 장치
KR102228634B1 (ko) 정보 출력 장치
US20220230517A1 (en) Information output device
KR101788251B1 (ko) 정보 출력 장치
KR101763399B1 (ko) 정보 출력 장치
KR101896088B1 (ko) 정보 출력 장치
US11322003B2 (en) Information output device
KR20180000699A (ko) 정보 출력 장치
KR20170122689A (ko) 정보 출력 장치
KR20200085687A (ko) 정보 출력 장치
US11586289B2 (en) Information output device
KR20190025364A (ko) 정보 출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