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161B1 -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 - Google Patents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161B1
KR101763161B1 KR1020150183710A KR20150183710A KR101763161B1 KR 101763161 B1 KR101763161 B1 KR 101763161B1 KR 1020150183710 A KR1020150183710 A KR 1020150183710A KR 20150183710 A KR20150183710 A KR 20150183710A KR 101763161 B1 KR101763161 B1 KR 101763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inconel
309mol
fu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438A (ko
Inventor
김종열
이소형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케이제이에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케이제이에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3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1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7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3Arc welding or cut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026Arc welding or cut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4Welding for other purposes than joining, e.g. built-up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4Welding for other purposes than joining, e.g. built-up welding
    • B23K9/042Built-up welding on plana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4Welding for other purposes than joining, e.g. built-up welding
    • B23K9/044Built-up welding on three-dimensional surfaces
    • B23K9/046Built-up welding on three-dimensional surfaces on surfaces of revol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3Arc welding or cut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 B23K9/232Arc welding or cut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of different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 metal other than iron or aluminium
    • B32B15/01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 metal other than iron or aluminium the said other metal being copper or nickel or an alloy thereof
    • B23K2203/05
    • B23K2203/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는, 균열 또는 접합이 필요한 용접대상인 모재(100); 상기 모재(100)의 균열부 또는 접합부 상면에 융착되는 내열합금인 인코넬(200); 상기 인코넬(200) 융착면의 상면에 융착되는 스테인리스 309MoL(300); 상기 309MoL(300) 융착면의 상면에 융착되는 스테인리스 316L(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WELDED CONSTRUCTION}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이음새와 같은 특수 부분에 대한 용접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고, 용도에 따라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적층 두께를 달리하여 배관 내를 흐르는 유체의 성격에 따른 강한 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용접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로의 증기 발생기에서의 관판(管板, tube plate) 및 수실(水室)로 이루어지는 1차측 용기의 내벽면에는, 저합금강으로 이루어지는 모재의 표면에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나 니켈기 합금이 육성 용접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서 내식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서는 타입 308 또는 타입 308L의 용접 금속이 알려져 있고, 니켈기 합금으로서는 690계 니켈기 합금(인코넬 690(등록상표))이 알려져 있다.
한편, 증기 발생기나 원자로 압력 용기의 수입출구(水入出口)에 설치된 관대(管臺)에는, 보호단부(safe end)를 통해서 배관이 접속되어 있다.
이 보호단부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는 단관(短管)으로서, 이음매 용접에 의해서 관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증기 발생기에서의 수실의 내벽에는 니켈기 합금의 칸막이판이 용접됨과 함께, 칸막이판의 일부는 관판에도 용접됨으로써, 1차측 용기가 2개로 구획되어 있다.
니켈기 합금으로서는 690계 니켈기 합금(인코넬 690(등록상표))이 알려져 있다.
이 이음매 용접의 용접 구조의 일례로서는, 저합금강으로 이루어지는 모재로서의 수실 또는 관대에 적층된 690계 니켈기 합금에 의한 육성(肉盛)층, 및 상기 육성층과 칸막이판 또는 보호단부를 이음매 용접하는 690계 니켈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이음매 용접층을 구비한 것, 저합금강으로 이루어지는 모재로서의 수실에 적층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의한 육성층, 및 육성층과 칸막이판을 이음매 용접하는 690계 니켈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이음매 용접층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접 구조는, 특수유체가 흐르는 배관 내부에 적용하였을 경우, 부식 및 열에의 한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특수유체 배관에 적합하지 못하였으며, 이러한 고온 또는 특수유체 배관에 대한 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용접구조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KR 등록특허공보 10-1518155 B1
JP 특개평 24196686
US 공개공보 2013/031619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 및 특수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용접 부위에 적용할 수 있는 용접 구조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고, 용도에 따라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적층 두께를 달리하여 배관 내를 흐르는 유체의 성격에 따른 강한 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용접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는, 균열 또는 접합이 필요한 용접대상인 모재(100); 상기 모재(100)의 균열부 또는 접합부 상면에 융착되는 내열합금인 인코넬(200); 상기 인코넬(200) 융착면의 상면에 융착되는 스테인리스 309MoL(300); 상기 309MoL(300) 융착면의 상면에 융착되는 스테인리스 316L(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고온 및 특수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용접 부위에 적용할 수 있는 용접 구조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고, 용도에 따라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적층 두께를 달리하여 배관 내를 흐르는 유체의 성격에 따른 강한 내식성 및 내열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의 실제 MICROETCHING 형상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는, 균열 또는 접합이 필요한 용접대상인 모재(100); 상기 모재(100)의 균열부 또는 접합부 상면에 융착되는 내열합금인 인코넬(200); 상기 인코넬(200) 융착면의 상면에 융착되는 스테인리스 309MoL(300); 상기 309MoL(300) 융착면의 상면에 융착되는 스테인리스 316L(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재의 경우, 상용으로 사용되는 SM-82 소재를 사용하여, 이러한 SM-82 소재의 경우, 니켈 72.4 내지 67.0 중량부, 크롬 18.0 내지 22.0 중량부, 티타늄 0.42 내지 0.75 중량부, 망간 2.5 내지 3.5 중량부, 철 1.3 내지 3.0 중량부, 인 0.004 내지 0.03 중량부, 황 0.001 내지 0.015 중량부, 구리 0.01 내지 0.50 중량부, 규소 0.09 내지 0.50 중량부를 포함하는 합금으로써, 내식성 및 내열성이 강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SM-82 소재의 경우, 본 발명의 인코넬(200)의 열융착 시, 더욱 치밀한 융착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이로 인한 결합력이 강화 된다.
이러한, 상기 인코넬(200)은, 상기 모재(100)의 균열부 또는 접합부 상면에 융착되는데, 니켈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의 크로뮴, 6 내지 7중량부의 철, 2.5중량부의 타이타늄, 1중량부 이하의 알루미늄·망가니즈·규소를 첨가하는 내열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합금 조합으로 인한 내식성 강화 및 내열성 상승의 특성을 띈다.
다음으로, 상기 인코넬(200) 융착면의 상면에 접합되는 상기 309MoL(300)은, 철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 내지 0.03 중량부의 탄소, 0.3 내지 0.65 중량부의 규소, 1.0 내지 2.5 중량부의 망간, 0.02 내지 0.03 중량부의 인, 0.001 내지 0.03 중량부의 황, 0.11 내지 0.75 중량부의 구리, 12.0 내지 14.0 중량부의 니켈, 23.0 내지 25.0 중량부의 크롬, 2.0 내지 3.0 중량부의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합금으로써, 니켈의 함량을 높인 스테인레스 강으로, 질긴성질을 띄어 용접 구조에 유연성을 증가 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309MoL(300) 융착면의 상면에 접합되는 상기 316L(400)은, 철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03 중량부의 탄소, 0.3 내지 0.65 중량부의 규소, 1.0 내지 2.5 중량부의 망간, 0.02 내지 0.03 중량부의 인, 0.007 내지 0.03 중량부의 황, 0.16 내지 0.75 중량부의 구리, 11.0 내지 14.0 중량부의 니켈, 18.0 내지 20.0 중량부의 크롬, 2.0 내지 3.0 중량부의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합금으로써, 내열성이 강하여 고온에서 사용되는 이음새의 용접에 사용되는 것으로, 용접 구조의 최외곽 층으로써, 배관 내를 흐르는 유체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하므로, 내식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성질의 316L(400)을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 인코넬(200), 309MoL(300) 및 316L(400)의 융착면은, 각각 인코넬(200) 융착면이 0.8 내지 1.3mm, 309MoL(300) 융착면이 1 내지 3mm, 316L(400) 융착면이 2 내지 4mm에서 선택되는 두께로 각각 융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모재(100)와 직접적인 융착으로 용접 성능을 향상시키는 인코넬(200) 층을 0.8 내지 1.3mm에서 선택되는 두께로 최대한 얇게 구성 함으로써, 용접 구조의 경도를 낮추어 유연성을 부여 함으로써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309MoL(300)층의 경우, 1 내지 3mm에서 선택되고, 316L(400)층의 경우, 2 내지 4mm에서 선택되는 두께로서, 최외곽 융착면인, 316L(400)의 두께를 가장 두껍게 구성하고, 309MoL(300)를 상기 316L(400)보다 얇게 구성 함으로써, 내식성과 내열성을 확보하면서, 용접 구조의 경도를 낮추어 유연성을 부여 함으로써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배관 내의 유체의 성격에 따라, 상기 309MoL(300) 및 316L(400)의 두께를 변환하여 맞춤 용접이 가능하며, 상기 인코넬(200), 309MoL(300) 및 316L(400)는 서로 상호 판형의 와이어로써 용접전 인코넬(200), 309MoL(300) 및 316L(400)의 순으로 미리 접합된 용접봉의 형태로 가공되어, 용접과 동시에, 상기 순으로 용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물론 각각 개별적으로 인코넬(200), 309MoL(300) 및 316L(400)의 순으로 용접하여 적층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 모재
200 : 인코넬
300 : 309MoL
400 : 316L

Claims (5)

  1. 균열 또는 접합이 필요한 용접대상인 모재(100);
    상기 모재(100)의 균열부 또는 접합부 상면에 융착되는 내열합금인 인코넬(200);
    상기 인코넬(200) 융착면의 상면에 융착되는 스테인리스 309MoL(300);
    상기 309MoL(300) 융착면의 상면에 융착되는 스테인리스 316L(400);을 포함하는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며,
    배관 내의 유체의 성격에 따라, 상기 309MoL(300) 및 316L(400)의 두께를 변환하여 맞춤 용접이 가능하며, 상기 인코넬(200), 309MoL(300) 및 316L(400)는 서로 상호 판형의 와이어로써 용접전 인코넬(200), 309MoL(300) 및 316L(400)의 순으로 미리 접합된 용접봉의 형태로 가공되어, 용접과 동시에, 상기 순으로 용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각각 개별적으로 인코넬(200), 309MoL(300) 및 316L(400)의 순으로 용접하여 적층을 이루는 것이 가능한 용접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넬(200)은, 니켈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의 크로뮴, 6 내지 7중량부의 철, 2.5중량부의 타이타늄, 1중량부 이하의 알루미늄·망가니즈·규소를 첨가하는 내열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넬(200), 309MoL(300) 및 316L(400)의 융착면은, 각각 인코넬(200) 융착면이 0.8 내지 1.3mm, 309MoL(300) 융착면이 1 내지 3mm, 316L(400) 융착면이 2 내지 4mm에서 선택되는 두께로 각각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09MoL(300)은, 철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 내지 0.03 중량부의 탄소, 0.3 내지 0.65 중량부의 규소, 1.0 내지 2.5 중량부의 망간, 0.02 내지 0.03 중량부의 인, 0.001 내지 0.03 중량부의 황, 0.11 내지 0.75 중량부의 구리, 12.0 내지 14.0 중량부의 니켈, 23.0 내지 25.0 중량부의 크롬, 2.0 내지 3.0 중량부의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16L(400)은, 철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03 중량부의 탄소, 0.3 내지 0.65 중량부의 규소, 1.0 내지 2.5 중량부의 망간, 0.02 내지 0.03 중량부의 인, 0.007 내지 0.03 중량부의 황, 0.16 내지 0.75 중량부의 구리, 11.0 내지 14.0 중량부의 니켈, 18.0 내지 20.0 중량부의 크롬, 2.0 내지 3.0 중량부의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
KR1020150183710A 2015-12-22 2015-12-22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 KR101763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710A KR101763161B1 (ko) 2015-12-22 2015-12-22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710A KR101763161B1 (ko) 2015-12-22 2015-12-22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438A KR20170074438A (ko) 2017-06-30
KR101763161B1 true KR101763161B1 (ko) 2017-08-14

Family

ID=5927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710A KR101763161B1 (ko) 2015-12-22 2015-12-22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1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8500A (ja) * 2004-03-31 2005-10-20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溶接用Ni基合金及びそれを用いる溶接方法
JP2012196686A (ja) * 2011-03-18 2012-10-18 Mitsubishi Heavy Ind Ltd 溶接構造及び溶接工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8500A (ja) * 2004-03-31 2005-10-20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溶接用Ni基合金及びそれを用いる溶接方法
JP2012196686A (ja) * 2011-03-18 2012-10-18 Mitsubishi Heavy Ind Ltd 溶接構造及び溶接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438A (ko)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155B1 (ko) 용접 구조 및 용접 공법
JP5006321B2 (ja) 溶接結合を製作する方法、ならびに溶接結合を補修する方法
EP30643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by friction welding a first piece of steel to a second piece of steel with use of ni-based alloys adapter
JP4915251B2 (ja) 低合金鋼母材のクラッド溶接構造
JP5203064B2 (ja) 管寄せとニッケル基合金からなる伝熱管の溶接構造
JP5304392B2 (ja) 異材継手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27276B1 (ko) 열교환기용 튜브시트 제조방법
KR101763161B1 (ko)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구조
KR101763156B1 (ko) 모재, 인코넬, 309MoL 및 316L의 순서로 적층되는 용접방법
JP4885672B2 (ja) 管溶接構造体及び管溶接方法ならびに管溶接構造体を備えたボイラ装置
CN107002914B (zh) 流体导管元件以及用于形成流体导管元件的方法
CN108581139A (zh) 一种石油天然气输送用双金属复合管道的焊接方法
JP4885710B2 (ja) 高温での腐食に対する装置の保護方法
CN107803607B (zh) 用于复合板制压力容器的异种材料焊接结构
CN102581448A (zh) 一种提高不锈钢管内壁焊接接头抗应力腐蚀性能的焊接工艺方法
CN102581435B (zh) 高压加热器疏冷段中低合金钢管板的焊接工艺
EP3144505B1 (en) Gas turbine component and method of forming
CN107975786A (zh) 630℃蒸汽参数超超临界机组锅炉的集箱
CN113798641B (zh) 一种双金属复合管不锈钢埋弧焊焊丝化学成分设计方法
JP2015529563A (ja) 抵抗シーム溶接を用いるクラッド材の製造のためのシステム
Sippy Welding Tube to Tubesheet Joints for Corrosion Resisting Applications
CN201779393U (zh) 双金属复合弯头
JPS60177969A (ja) Ti−Al二重管とTi管板との組付方法
JP2015081760A (ja) 熱交換装置
JP2013174296A (ja) 継手構造及び継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