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148B1 -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판재 - Google Patents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148B1
KR101763148B1 KR1020150127359A KR20150127359A KR101763148B1 KR 101763148 B1 KR101763148 B1 KR 101763148B1 KR 1020150127359 A KR1020150127359 A KR 1020150127359A KR 20150127359 A KR20150127359 A KR 20150127359A KR 101763148 B1 KR101763148 B1 KR 101763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r
coffee
resin
composite resin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0163A (ko
Inventor
정현주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주)캠퍼스라인
정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캠퍼스라인, 정현주 filed Critical (주)캠퍼스라인
Priority to KR1020150127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14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0Centrifuges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e.g. electrostatic separators; Sets or systems of several centrifuges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판재에 관한 것으로, 커피의 가공처리 후 폐기되는 커피빈 또는 커피박을 수거하여 복합판재 테두리의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폐커피재를 수거하여 가공가능하도록 준비하는 폐커피재 준비단계; 액상레진을 혼합하여 복합레진을 생성하는 복합레진 생성단계; 복합레진이 접합되는 중간심재를 준비하는 중간심재 준비단계; 중간심재의 테두리에 복합레진을 주입 및 경화하기 위하여 테두리 몰드부를 장착하는 테두리 몰드부 장착단계; 테두리 몰드부에 복합레진을 주입 및 경화시켜 중간심재와 일체화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레진 주입 및 경화단계; 테두리와 중간심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표면재를 부착하는 표면재 부착단계; 표면재가 부착된 테두리를 가공하여 중간심재와 테두리 및 표면재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테두리 가공단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판재{COMPOSITE PANEL WITH COFFEE WASTE EDGE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판재에 관한 것으로, 커피의 가공처리 후 폐기되는 커피빈 또는 커피박을 수거하여 복합판재 테두리의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판재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방충성, 방부성, 소취성 등을 지니고 있는 열매로서, 커피액을 추출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는 대중적인 음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커피 메이커의 등장과 커피 전문점의 폭발적 증가 등으로 인해 커피관련 시장이 해마다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커피 관련 시장이 증가하면서 커피의 생산량과 수요량이 크게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커피의 제조 후에 생기는 폐커피재의 양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커피빈의 로스팅 전 과정에서 정선작업을 거치며 폐기되는 원두는, 그 부피로 인해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일반 쓰레기와 같이 소각되거나 매립되고 있다.
또한 분쇄되어 커피 추출이 완료된 커피박은, 유기질 비료의 원료로 사용되고, 대부분의 커피박은 역시 일반 쓰레기와 같이 소각되거나 매립되고 있다.
그러나 커피박은 통상 80% 내지 85%의 함수율을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으로 소각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매연이 많이 발생되며 매립 폐기시 높은 함수율에 따라 발생되는 폐액이 수질이나 토양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의 폐커피재의 대량 폐기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종래기술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5-277460가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커피박에 폴리머를 배합하고 고무 혹은 플라스틱의 각종 성형법에 따라 성형하여 가공함으로서, 폐기되는 폐커피재의 양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그 활용이 커피박에 한정되어, 액상에서 불균일하게 뜨고 가라앉는 특징을 가진 커피빈의 경우 그 활용도가 낮으며 여전히 대량으로 폐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복합판재의 테두리를 제조하는 공법에는, 테두리 부분에 플라스틱 재질로 압출하여 제작된 띠 형태의 에지밴드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방법과, 테두리 부분에 각종 수지들을 사출기와 금형을 사용하여 액상수지를 분사 후 경화시켜 테두리에 에지를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에지의 박리현상, 설비비용의 과다발생, 내구성의 문제, 사출기와 금형의 크기, 용량의 제한 등의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존의 판재공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본 발명자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4774호(2015.04.17.)에서 복합판재의 테두리를 제조하는 새로운 개념의 공법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이 방법 또한 신속성을 위해 4면에 한 번에 복합레진을 주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바, 4면에 주입되는 시간차로 인한 첨가물의 침전으로 인한 불량이 야기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주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원재료 비용이 증가하여 생산원가가 증가되고, 침전과 크랙으로 인해 미관상 아름답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합판재의 테두리를 건조시키기 위해 복합판재 전체를 가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바, 이로 인한 판재의 밴딩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넓은 면적의 건조실이나 대형 히터장치, 고가의 장치를 요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5-277460(1993.10.26.)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14774호(2015.04.17.)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심재의 테두리 1면씩 외측으로부터 복합레진을 주입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중간심재 테두리의 4면에 복합레진을 한 번에 주입하게 되어 발생하는 첨가물의 침전으로 인한 불량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커피빈과 커피박이 액상레진에 고르게 분포되게 할 수 있으며, 빠른 시간에 원하는 부위에 복합레진을 부분 충전할 수 있어 생산원가를 낮추고, 다양한 소재의 각재 및 에지(Edge)와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하고,
커피빈을 천에 접착한 상태로 중간심재와 접합시키거나 소량의 액상레진을 주입한 상태에서 커피빈을 투입하여 경화시킨 후, 그 위에 액상레진을 주입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커피빈이 불균일하게 뜨고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고,
복합레진에 광물질, 광촉매 등의 항균물질을 투입하여 사용자의 손이 높은 빈도로 접촉되는 테두리에 항균성을 부여하고,
복합레진에 축광안료, 형광안료를 투입하여 야간에도 손쉽게 복합판재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적 기능을 높이고,
복합레진에 합성커피향을 투입하여 시각적 효과 외에도 후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복합레진을 주입 및 경화시키는 틀인 테두리 몰드부에 히터를 장착시켜 대량양산에 적합하고, 넓은 면적의 건조실이나 대형 히터장치, 고가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중간심재와 테두리를 동시에 가열했을 때 나타나는 판재의 밴딩현상을 방지하고,
테두리 몰드부를 직선 또는 곡선으로 구비하여 보다 다양한 종류의 테두리를 양산할 수 있고,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커피원두의 대량 폐기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해결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폐커피재를 가공가능하도록 준비하는 폐커피재 준비단계; 폐커피재에 액상레진을 혼합하여 복합레진을 생성하는 복합레진 생성단계와;
이후 복합레진이 접합되는 중간심재를 준비하는 중간심재 준비단계와;
상기 복합레진을 주입 및 경화하기 위하여 중간심재의 테두리에 테두리 몰드부를 장착하는 테두리 몰드부 장착단계와;
이후 테두리 몰드부에 상기 복합레진을 주입 및 경화시켜 상기 중간심재와 일체화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레진 주입 및 경화단계와;
이후 테두리와 중간심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표면재를 부착하는 표면재 부착단계와;
이후 표면재가 부착된 테두리를 가공하여 중간심재와 테두리 및 표면재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테두리 가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폐커피재 준비단계는, 동력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망이 회전됨으로써 내부의 폐커피재가 건조되는 1차 수분제거 단계와;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분산된 상기 폐커피재가 외부에 장착된 열선 히터로 인해 건조되는 2차 수분제거 단계와;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분산된 상기 폐커피재에 항균제를 도포하는 항균제 분사 단계와;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분산된 상기 폐커피재에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원적외선 조사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 몰드부 장착단계는 중간심재 준비단계 후, 복합레진으로 형성된 테두리를 제외한 테두리면에 각재를 형성하여 테두리로서 결합시키는 테두리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고, 테두리 몰드부는, 상기 복합판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평행하도록 중간심재 테두리 1면당 몰드 생성 지그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장착되고, 상기 중간심재 테두리 외측으로부터 클램프로 고정되며 히터가 내장되거나 외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양 끝단에 한 쌍의 누액방지마개가 더 장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테두리 몰드부는 표면재 부착단계에서의 표면재를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부착하되, 상기 표면재가 중간심재의 가로와 세로의 폭을 넘는 규격으로 부착시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 몰드부는, 다양한 종류의 테두리를 양산하기 위하여 직선 또는 곡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폐커피재 중 커피빈은, 중간심재의 두께에 맞도록 재단된 천에 소정 간격으로 접착되거나 액상레진이 테두리 몰드부에 소량 주입된 후 커피빈을 투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준비되고, 복합레진은, 광물질, 광촉매와 같은 항균물질이 투입될 수 있으며, 축광안료, 형광안료와 같은 형광물질을 투입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복합레진은,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스티렌모노머 3~5phr, 아크릴 수지 2~5phr, 수축방지제 8~10phr, 소포제 1~2phr, 탈크 10~15phr, 수산화알루미늄 13~15phr, 실리카분말 1~2phr, 카본분말 1~2phr, 우르시올원액 1~2phr, 경화제 1~3phr, 폐커피재 5~30ph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복합레진은,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1~3phr의 항균물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실시예로 복합레진은,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1~3phr의 축광안료 나 형광안료 중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로 복합레진은,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1~5phr의 합성커피향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간심재의 테두리 1면씩 외측으로부터 복합레진을 주입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중간심재 테두리의 4면에 복합레진을 한 번에 주입하게 되어 발생하는 첨가물의 침전으로 인한 불량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커피빈과 커피박이 액상레진에 고르게 분포되게 할 수 있으며, 빠른 시간에 원하는 부위에 복합레진을 부분 충전할 수 있어 생산원가를 낮추고, 다양한 소재의 각재 및 에지(Edge)와 어우러진 복합판재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빈을 천에 접착한 상태로 중간심재와 접합시킨 후 그 위에 액상레진을 주입하는 방식 또는 1차적으로 레진을 소량 주입하고 커피빈을 투입하여 레진을 경화시키는 것으로 바닥에 접착되는 효과를 취한 후, 테두리 몰드부의 깊이에 맞도록 2차적으로 남은 레진을 모두 주입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커피빈이 불균일하게 뜨고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복합레진에 광물질, 광촉매 등의 항균물질을 투입하여 사용자의 손이 높은 빈도로 접촉되는 테두리에 항균성을 부여한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합레진에 축광안료, 형광안료를 투입하여 야간에도 손쉽게 복합판재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적 기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레진이 합성커피향을 투입하여 시각적인 효과 외에도 후각적인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복합레진을 주입 및 경화시키는 틀인 테두리 몰드부에 히터를 장착시켜 대량양산에 적합하고, 넓은 면적의 건조실이나 대형 히터장치, 고가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중간심재와 테두리를 동시에 가열했을 때 나타나는 판재의 밴딩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테두리 몰드부를 직선 또는 곡선으로 구비하여 보다 다양한 종류의 테두리를 양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커피원두의 대량 폐기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해결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포함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폐커피재의 수분을 제거하는 1차 수분제거 케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폐커피재의 수분을 재차 제거하는 2차 수분제거 케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된 폐커피재에 항균제를 분사하는 항균제 분사 케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처리된 폐커피재에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원적외선 조사 케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심재에 접합시켜 테두리의 무늬로 하기 위한 커피빈을 사전에 천에 접착한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몰드 형성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심재 테두리의 1면을 제외한 테두리가 사전에 형성되지 않은 테두리 몰드부 장착단계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심재 테두리의 1면을 제외한 테두리가 사전에 형성된 테두리 몰드부 장착단계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테두리를 구비한 복합판재의 부분예시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심재 테두리가 복합레진으로써 형성된 복합판재의 예시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심재 테두리가 복합레진 및 각재로써 형성된 복합판재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포함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폐커피재의 수분을 제거하는 1차 수분제거 케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폐커피재의 수분을 재차 제거하는 2차 수분제거 케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된 폐커피재에 항균제를 분사하는 항균제 분사 케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처리된 폐커피재에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원적외선 조사 케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심재에 접합시켜 테두리의 무늬로 하기 위한 커피빈을 사전에 천에 접착한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몰드 형성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심재 테두리의 1면을 제외한 테두리가 사전에 형성되지 않은 테두리 몰드부 장착단계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심재 테두리의 1면을 제외한 테두리가 사전에 형성된 테두리 몰드부 장착단계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테두리를 구비한 복합판재의 부분예시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심재 테두리가 복합레진으로써 형성된 복합판재의 예시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심재 테두리가 복합레진 및 각재로써 형성된 복합판재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액상레진이란 폐커피재가 첨가되기 전의 혼합물을 의미하며, 복합레진이란 상기 폐커피재가 첨가된 후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S1) 폐커피재 준비단계
상기 폐커피재 준비단계는, 수거된 폐커피재를 가공할 수 있도록 상기 폐커피재를 건조 및 항균을 실시하는 단계로, 1차 수분제거 단계, 2차 수분제거 단계, 항균제 분사 단계, 원적외선 조사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1차 수분제거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수분제거 케이스(210)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으로, 동력부(2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망(213)을 내부에 구비하고, 내측에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폐커피재를 담아 파지하여 수분을 필터망(213)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폐커피재를 1차로 건조시킨다.
상기 1차 수분제거 케이스(210)는 내부에 필터망(213)과, 필터망(213)을 파지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동력부(211)와, 상기 필터망(213)이 파지되어 배출되는 수분을 배수시키는 드레인 홀(215)로 구성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1차적으로 폐커피재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한 필터망을 이용한 공정 외에도 밀도차를 이용한 원심분리기를 통한 분리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2차 수분제거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수분제거 케이스(230)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으로, 동력부(232)를 구동시켜 임펠러(239)의 회전시킴으로써 1차로 수분이 제거된 폐커피재(237)를 분산시키고, 내부에 열풍을 유동시키는 열풍기(231)를 구비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에 설치되는 열선을 10~100℃의 온도로 조절 가능하게 설치하여, 남은 수분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임펠러(239)는 케이스 내부의 일부로 상기 폐커피재(237)가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0~120RPM의 저속으로 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건조작업으로 인해 폐커피재(237)의 함수율은 0~10%까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기(231)로 유입되는 열풍은 환풍구(235)를 통해 배출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환풍구(235)를 통해 폐커피재(237) 중 입자가 미세한 커피박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풍구(235)의 도입부에 필터가 설치됨이 좋다.
항균제 분사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균제 분사 케이스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으로, 동력부(259)를 구동하여 임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2차로 수분이 제거된 폐커피재(252)를 다시 한 번 분산시키고, 케이스(250)의 상부에 구비된 항균제 분사기(251)로 상기 폐커피재(252)에 액상 항균제를 분사시켜 항균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항균제는 수분에 용출되지 않으며 도료, 점착제 및 실리콘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무기계 항균제를 사용하고, 한 실시예로써 증류된 이온수에 규산염광물질, 실리카, 알루미나, 제오라이트, 산화칼슘 등의 광물질무기담체에 금이온, 은이온, 칼슘이온 등의 금속이온을 치환시킨 공지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균제 분사 공정이 반복되면, 상기 액상 무기계 항균제의 증류된 이온수는 건조되어 증발되게 되며, 마이크로 단위의 항균 분말은 폐커피재(252)에 침투하여 폐커피재(252) 자체에 항균성을 부여할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무기계 항균제를 분사함으로써 폐커피재(252)에 잔존할 가능성이 있는 극소량의 수분으로 인한 제조공정에서의 곰팡이나 세균의 번식을 억제함으로 인해 인체와 접촉이 쉬운 복합판재의 테두리 부분에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임펠러는 상기 항균제가 일부분에만 분사되거나 분사로부터 배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임펠러(253)(255)(257)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과정을 거치며 수분 함유량이 저하된 폐커피재는 상기 항균제 분사 케이스(250)에서 유동하며 건조될 수 있게 된다.
원적외선 조사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적외선 조사 케이스(270)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으로, 상기 원적외선 조사 케이스(270) 내부에 상기 항균제 분사 과정을 거친 폐커피재(272)를 수용시킨 후 원적외선을 조사하면, 원적외선 조사기(271)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케이스 내부로 조사되면서 상기 폐커피재(272)는 원적외선의 복사열로 인하여 건조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항균제 분사 과정에서 잔존할 수 있는 수분을 재차 제거하여 항균성을 극대화시킨다.
한편, 원적외선은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한 채로 조사되기 때문에 케이스(270)의 일부분에만 조사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원적외선 조사케이스(270)는 케이스 내부에 복수의 임펠러(273)(275)(277)를 구비하여 동력부(279)를 구동시킴으로써 케이스 내부의 폐커피재(272)가 순환되며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임펠러의 속도가 과다할 경우 상기 폐커피재(272)가 상기 케이스의 벽면으로 밀집될 우려가 있으므로 임펠러의 속도는 10~120RPM의 범위 내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 복합레진 생성단계
상기 복합레진 생성단계는 복합레진(151)의 주입 전에 커피빈(11)과 커피박(13)의 고른 분포를 위해 액상레진(150)과 커피빈(11) 및 커피박(13)을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액상레진(150)은 1,000~7,000cps(centi poise)의 점도로 형성되는 것이 커피빈(11) 및 커피박(13)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액상 레진은 일예로,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스티렌모노머 3~5phr, 아크릴 수지 2~5phr, 수축방지제 8~10phr, 소포제 1~2phr, 탈크 10~15phr, 수산화알루미늄 13~15phr, 실리카분말 1~2phr, 카본분말 1~2phr, 우르시올원액 1~2phr, 경화제 1~3ph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복합레진은,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스티렌모노머 3~5phr, 아크릴 수지 2~5phr, 수축방지제 8~10phr, 소포제 1~2phr, 탈크 10~15phr, 수산화알루미늄 13~15phr, 실리카분말 1~2phr, 카본분말 1~2phr, 우르시올원액 1~2phr, 경화제 1~3phr, 폐커피재 5~30ph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 액상레진 구성성분의 함량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 레진은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등의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C(Polycarbonate) 등의 엔지니어링 수지, 실리콘, 엘라스토머 등의 고무 액상수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베이스 레진은 불포화폴리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불포화폴리에스테르는 무색 투명한 열경화성 수지로서, 경량화가 가능하고, 부식이 없으며 실내온도에서도 경화가 가능하며 성형시 큰 압력을 요하지 않는다. 상기 불포화폴리에스테르가 100phr 미만일 경우, 경화 발열 온도가 하강하여 내충격 및 내진동 등 제품의 기계적 강도 및 표면광택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00phr 초과일 경우, 경화 발열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성형물의 성형 크랙 발생 및 성형물의 수축에 의한 휨 현상등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모노머는, 희석제의 역할을 하며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3~5phr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티렌모노머가 3phr 미만인 경우, 부분적으로 미경화되거나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5phr 초과일 경우, 지나치게 액상레진 조성물이 희석되어 경화가 어려워지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2~5phr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 수지가 2phr 미만일 경우, 수용화가 어려우며 5phr 초과일 경우 유리전이온도가 높아짐으로 인하여 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수축방지제는, 공지된 것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8~10phr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축방지제가 8phr 미만일 경우, 수축률이 과다하게 되어 응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품이 변형될 위험이 있다. 또한 10phr 초과일 경우, 크랙을 발생시키는 취성이 발현되어 제품에 불량이 생길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유해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1~2phr인 것이 바람직하며, 공지된 것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소포제가 1phr 미만일 경우, 기포제거의 효과가 떨어지며 2phr 초과일 경우, 상기 액상레진 조성물이 테두리 몰드부에 넘치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탈크는, 상기 액상레진 조성물의 점성을 높이며, 활택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탈크는,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10~15phr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탈크가 10phr 미만일 경우 강성 및 치수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15phr 초과일 경우 비중이 상승함으로 인해 제품이 과도하게 중량이 상승하거나 내스크래치성이 취약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은, 상기 액상레진 조성물 내의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13~15phr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이 13phr 미만일 경우, 열전도율이 떨어져 제조 경제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15phr 초과일 경우, 열경화가 지나치게 빠르게 이루어져 상기 액상레진이 불균일한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분말과 카본분말은 강화제의 역할을 하며,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각각 1~2phr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실리카분말과 카본분말이 1phr 미만일 경우, 강도가 떨어져 충격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2phr 초과일 경우 상기 액상레진이 용이하게 혼합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 할 수 있다.
상기 우르시올 원액은, 옻에 포함된 성분으로 상기 옻 자체에는 우르시올 이외에 질소 화합물이나 고무질, 수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불순물을 정제한 고순도의 우르시올 원액만을 사용한다. 상기 우르시올 원액은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여 효소반응을 일으켜 견고하게 굳어지면서 고유의 3차원 구조의 고분자 도막을 형성하여 외부로 상기 액상레진 조성물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우르시올 원액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100phr에 대하여 1~2phr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우르시올 원액이 1phr 미만일 경우, 상기 액상레진 조성물의 방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낮아지게 되고, 2phr 초과일 경우, 상기 우르시올 원액의 효소반응이 과도하게 되어 상기 액상레진 조성물 내에서 불규칙한 변색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액상레진 조성물이 경화반응을 통해 경화될 수 있는 역할을 하며, 공지된 것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1~3phr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화제가 1phr 미만일 경우, 상기 액상레진 조성물의 경화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제조시 작업성이 저하되고, 상기 경화제가 3phr 초과일 경우, 상기 액상레진 조성물의 경화속도가 지나치게 촉진되어 제품에 균열이 발생하여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빈(11)은, 액상레진(150)에 투입시 고체인 커피빈(11)과 액체인 레진이 고르게 분포되기 어렵고, 무게비중에 의해 커피빈(11)이 위로 떠오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15)에 소정간격으로 접착된 채로 준비되어 커피빈(11)이 액상레진(150)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커피빈(11)이 접착되는 천(15)은 황마, 삼베, 부직포, 한지 등의 무게가 작은 망사타입을 사용할 수 있으며, 권취된 상태의 소재를 준비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커피빈(11)과 천(15)을 접착시키는 접착제(17)로는 친환경적 성격의 콩, 마늘, 아교 소재나 초산비닐계열, 수성우레탄계열인 천연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빈(11)은 액상레진(150)을 이용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액상레진(150)을 테두리 몰드부(170)에 도포한 다음, 커피빈(11)을 소정간격으로 부착하면, 액상레진(150)이 경화되어 커피빈(11)이 부착되므로 액상레진(150)을 추가로 주입하여도 떠오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삭제
뿐만 아니라 상기 커피박(13)은, 커피추출과정에서 스팀증기를 거치며 수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열풍기를 사용하여 스테인레스나 스틸로 제작된 공간에서 일정시간 건조되어야 하며, 상기 커피박(13)은 액상레진(150)과 고르게 혼합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사전작업을 요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커피빈(11)과 커피박(13)은 상기 일예의 액상레진(150)인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5~30phr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합레진은,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1~3phr의 광물질, 광촉매 등의 항균물질을 투입하여 비교적 사용자의 손이 빈번하게 접촉하게 되는 테두리(130)의 항균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레진은,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1~3phr의 축광안료, 형광안료를 투입하여 야간에 손쉽게 상기 복합판재(100)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레진은,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1~5phr의 합성커피향을 투입하여 폐커피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테두리 무늬에 대한 시각적 효과에 커피의 향까지 느낄 수 있어 후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S3) 중간심재 준비단계
상기 중간심재 준비단계는, 상기 중간심재(110)를 소정의 규격으로 준비하는 단계로, 재질이 특별히 어느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예로는 원목, 집성목, 합판, 하니컴(알루미늄, 종이, 플라스틱, 무기질), MDF(중밀도섬유판, Medium Density Fiberboard), PB(파티클보드, Particle Board), 천연보드에 해당하는 질석보드, 황토보드, 숯보드, 볏짚보드, 무기보드, 석고보드 등을 소재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심재의 소정면을 제외한 테두리에 각재(120)를 결합시켜 나머지 테두리를 완성하는 공정이 선행될 수 있다.
상기 각재(120)의 결합하는 방식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예로는 쫄대방식, 접착제 접착, 결구법, 타카핀, 피스결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중간심재의 소정면을 제외한 테두리를 각재(120)로 형성할 때, 상기 복합레진(151)이 주입되는 면의 좌우로 액상의 복합레진(151)이 흐르거나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각재(120)의 길이는 상기 복합레진 테두리 부분이 완성되었을 때의 두께와 일치하게 상기 중간심재(110)의 폭을 넘어서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복합레진(151)은 각재(120)와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처리하여 1면을 제외한 각재(120) 테두리와 복합레진 테두리(130)가 일체감을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각재(120)를 다양한 소재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며, 각재(120)를 대체하여 파티션 등 일반적인 사무용 판재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에지밴딩의 형태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S4) 테두리 몰드부 장착단계
상기 테두리 몰드부 장착단계는, 상기 복합레진을 주입하여 경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합레진을 주입하고자 하는 중간심재 테두리에 테두리 몰드부(170)를 장착하는 단계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 몰드부(170)는, 클램프(171)와, 몰드 생성 지그(175)로 이루어진다.
상기 몰드 생성 지그(175)는 한 쌍의 평판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몰드 생성 지그(175)를 상기 중간심재 테두리(130)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중간심재(110)를 중심으로 하여 중간심재 테두리(130)의 외측 상부로부터 클램프(171)로 고정시킨다.
도 8을 참고하여 상기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몰드 생성 지그(175)를 상기 중간심재(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평행하도록 중간심재 테두리(130)의 1면당 1쌍씩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클램프(171)를 사용하여 상기 1쌍의 판재로 이루어진 몰드 생성 지그(175)를 상기 중간심재 테두리의 외측으로부터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클램프(171)는 C형 클램프, L형 클램프 등 공지의 것을 사용하여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으며, 보다 안정감있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클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몰드 생성 지그(175)는 장착시 양 끝단이 트이는 형상을 띠게 되므로 후술되는 복합레진(151)을 주입하게 되면 양 끝단으로 흘러내리는 현상이 불가피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고무 등의 1쌍으로 이루어진 누액방지마개(173)를 사용하여 양 끝단을 메우는 것으로써 상기 몰드 생성 지그(175)의 양 끝단으로의 복합레진(151)의 누액을 막을 수 있다.
상기 테두리 몰드부(170)는,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복합판재(100)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직선이나 곡선의 테두리 몰드부를 형성하며, 주입되는 상기 복합레진(151)의 경화를 위해 내장 열선(도시없음)이 장착된다. 이 때, 열선은 내부에 국한되지 않으며 외부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그 온도는 50~200℃까지 설정 가능하게 하여 신속하게 복합레진(151)이 경화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열선을 구비한 테두리 몰드부(170)의 사용은 중간심재(110)와 동시에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방식에서 나타나는 판재의 밴딩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가의 금형이나 대형 히터장치 및 넓은 면적의 건조실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 몰드부(170)와 상기 중간심재(110)의 접합으로 인해 생기는 미세한 틈으로 상기 복합레진(151)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몰드 생성 지그가 장착되어 상기 중간심재와 접합되는 부분에 사전에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누액방지 라인처리를 한 다음 몰드 생성 지그를 장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사전 작업으로 각각의 중간심재의 규격에 맞도록 몰드 생성 지그(175)를 구비하면, 사후 누액방지를 위한 마감처리가 없어도 상기 복합레진이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형태의 테두리 몰드부도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행되는 표면재 부착단계(S6)에서의 표면재를 사전에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부착하되, 상기 표면재가 중간심재(110)의 가로와 세로의 폭을 넘는 규격으로 부착되고, 각각의 테두리 부분이 돌출형성되어 몰드의 형태를 띠게 되면, 각각의 테두리마다 그 양측에 누액방지마개를 장착시킨 채로 상기 복합레진(151)을 주입하는 것으로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S5) 복합레진 주입 및 경화단계
상기 복합레진 주입 및 경화단계는, 장착된 테두리 몰드(170)의 안쪽 면에 혼합이 완료된 복합레진(151)을 주입하는 단계로서, 수동 및 자동주입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액상레진(150) 혼합의 일예로 제시된 경화제가 투입될 시, 부분적으로 미경화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더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경화제에 희석제로 디메틸프탈레이드, 메탄올, 글리콜류 중의 하나를 상기 경화제의 2~3배 투입하여 희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S6) 표면재 부착단계
상기 표면재 부착단계는, 각재(120)로 형성된 면을 제외한 테두리와 복합레진(151)으로 형성된 나머지 면의 테두리가 상기 중간심재(110)와 미세한 틈도 없이 일체로 형성된 후, 그 상부면과 하부면에 표면재(190)를 부착시키는 단계로, 먼저 일체로 형성된 4면의 테두리와 중간심재(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산업기계와 공구를 이용하여 평탄화시키는 샌딩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샌딩단계에 사용되는 공구는 밀링머신, 와이드샌더, 수동샌더, 자동대패 등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샌딩단계를 거친 일체의 중간심재(110) 및 4면의 테두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표면재(190)를 부착시키는데, 사용되는 부착제는 친환경적 성격의 콩, 마늘, 아교 소재나 내수성을 보강한 초산비닐계열, 우레탄계열의 내수성부착제, 유성부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재(190)는, LPM, HPM, CPM, 멜라민 라미네이트, 한지, 리노륨, 집성원목, 원목, 무늬목, 코르크, 합판, 인조대리석, 알루미늄, 스틸 등 특정 재료에 국한되지 않는다.
(S7) 테두리 가공단계
상기 테두리 가공단계는, 중간심재(110)와 일체화되고 표면재(190)가 부착된 상기 테두리(130)를 가공하는 단계로, 공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이 때, 광택효과를 더하기 위해 실리콘, 천연오일, 옻칠 등을 이용하여 테두리(130)를 마감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과정들을 거친 본 발명에 따른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는, 실시예로써 (a): 폐커피재 중 커피박만을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b): 폐커피재 중 커피빈만을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c): 폐커피재인 커피박과 커피빈을 모두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중간심재의 모든 면이 상기 테두리 몰드부(170)를 이용하여 형성되면, 도 11과 같은 형상의 복합판재가 제작되고, 중간심재의 소정면만이 상기 테두리 몰드부(170)를 이용하여 형성되면 도 12와 같은 형상의 복합판재가 제작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 : 커피빈 (13) : 커피박
(15) : 천 (17) : 접착제
(100) : 복합판재 (110) : 중간심재
(130) : 중간심재 테두리 (120) : 각재
(150) : 액상레진 (151) : 복합레진 (170) : 테두리 몰드부 (171) : 클램프
(173) : 누액방지마개 (175) : 몰드 생성 지그
(190) : 표면재
(210) : 1차 수분제거 케이스 (211) : 동력부
(213) : 필터망 (215) : 드레인 홀
(230) : 2차 수분제거 케이스 (231) : 열풍기
(232) : 동력부 (235) : 환풍구 (237) : 폐커피재 (239) : 임펠러
(250) : 항균제 분사 케이스 (251) : 항균제 분사기
(252) : 폐커피재 (253) : 제1 임펠러 (255) : 제2 임펠러 (257) : 제3 임펠러 (259) : 동력부
(270) : 원적외선 조사 케이스 (271) : 원적외선 조사기 (272) : 폐커피재 (273) : 제1 임펠러 (275) : 제2 임펠러 (277) : 제3 임펠러 (279) : 동력부

Claims (21)

  1. (S1) 폐커피재를 가공가능하도록 준비하는 폐커피재 준비단계;
    (S2) 폐커피재에 액상레진을 혼합하여 복합레진을 생성하는 복합레진 생성단계;
    (S3) 상기 복합레진이 접합되는 중간심재를 준비하는 중간심재 준비단계;
    (S4) 상기 복합레진을 주입 및 경화하기 위하여 중간심재의 테두리에 테두리 몰드부를 장착하는 테두리 몰드부 장착단계;
    (S5) 상기 테두리 몰드부에 복합레진을 주입 및 경화시켜 중간심재와 일체화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레진 주입 및 경화단계;
    (S6) 상기 테두리와 중간심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표면재가 부착되는 표면재 부착단계;
    (S7) 상기 표면재가 부착된 테두리를 가공하여 중간심재와 테두리 및 표면재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테두리 가공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폐커피재는 커피박 또는, 커피빈 또는, 커피박과 커피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커피재 중 커피빈은, 중간심재의 두께에 맞도록 재단된 천에 소정 간격으로 접착되어 준비되거나, 테두리 몰드부에 소량의 액상레진을 주입한 다음 커피빈을 투입한 후 경화시켜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레진은 항균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레진은, 형광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레진은,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스티렌모노머 3~5phr, 아크릴 수지 2~5phr, 수축방지제 8~10phr, 소포제 1~2phr, 탈크 10~15phr, 수산화알루미늄 13~15phr, 실리카분말 1~2phr, 카본분말 1~2phr, 우르시올원액 1~2phr, 경화제 1~3phr, 폐커피재 5~30ph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레진은,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ABS, PC, 고무 액상수지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합레진은,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1~3phr의 항균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합레진은,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1~3phr의 축광안료 나 형광안료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합레진은, 베이스 레진 100phr에 대하여, 1~5phr의 합성커피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커피재 준비단계는,
    동력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망이 회전됨으로써 내부의 폐커피재가 건조되는 1차 수분제거 단계;
    1차로 수분이 제거된 폐커피재를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분산시키고 내부로 열풍을 유동시키는 열풍기 또는 외부에 장착된 열선 히터로 인해 건조시키는 2차 수분제거 단계;
    2차로 수분이 제거된 폐커피재를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분산시키고, 폐커피재에 액상 항균제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항균제 분사 단계;
    원적외선 조사 케이스 내부에 항균제가 분사도포된 폐커피재를 수용시킨 후,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폐커피재를 분산시키며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원적외선 조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몰드부 장착단계는 중간심재 준비단계 후, 복합레진으로 형성될 테두리를 제외한 테두리면에 각재를 결합시키는 테두리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몰드부는,
    클램프;
    몰드 생성 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몰드부는, 상기 복합판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평행하도록 중간심재 테두리 1면당 몰드 생성 지그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장착되고, 상기 중간심재 테두리 외측으로부터 클램프로 고정되며 히터가 내장되거나 외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몰드부는, 양 끝단에 한 쌍의 누액방지마개를 더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몰드부는, 표면재 부착단계에서의 표면재를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부착하되, 상기 표면재가 중간심재의 가로와 세로의 폭을 넘는 규격으로 부착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몰드부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21. 청구항 1,4,5,6,7,8,9,10,11,15,16,17,18,19,2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재.
KR1020150127359A 2015-09-09 2015-09-09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판재 KR101763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359A KR101763148B1 (ko) 2015-09-09 2015-09-09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359A KR101763148B1 (ko) 2015-09-09 2015-09-09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163A KR20170030163A (ko) 2017-03-17
KR101763148B1 true KR101763148B1 (ko) 2017-07-31

Family

ID=58502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359A KR101763148B1 (ko) 2015-09-09 2015-09-09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600B1 (ko) * 2019-01-04 2019-06-28 황재순 커피박이 포함된 건축 자재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112B1 (ko) * 2019-02-12 2019-11-04 (주) 크로바가구 복합 판재의 테두리 성형방법 및 그 제품
KR102035969B1 (ko) 2019-04-12 2019-10-23 황재순 커피박이 포함된 친환경 합성 목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3654B1 (ko) 2020-11-17 2022-06-28 조현순 커피박이 포함된 친환경 합성 목재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813B1 (ko) 2009-08-03 2011-07-29 (주)캠퍼스라인 테두리에 인조대리석을 갖는 불연복합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불연복합패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460A (ja) 1991-06-15 1993-10-26 Unie Kafue:Kk コーヒー残渣組成物
KR101514774B1 (ko) 2014-01-03 2015-05-04 (주)캠퍼스라인 복합판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판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813B1 (ko) 2009-08-03 2011-07-29 (주)캠퍼스라인 테두리에 인조대리석을 갖는 불연복합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불연복합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600B1 (ko) * 2019-01-04 2019-06-28 황재순 커피박이 포함된 건축 자재 및 그 제조 방법
WO2020141916A1 (ko) * 2019-01-04 2020-07-09 황재순 커피박이 포함된 건축 자재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163A (ko)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148B1 (ko) 폐커피재를 이용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합판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판재
US7014726B2 (en) Rock laminate
CN102423891A (zh) 一种以低密度杨木单板为基材的无甲醛实木复合地板及其制造方法
US20090291286A1 (en) Laminate manufacturing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US5789032A (en) Moldless coated board
KR101514774B1 (ko) 복합판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판재
CN105966004A (zh) 一种无醛复合人造板及其制造方法
CN107088929B (zh) 一种能释放负离子的免漆健康装饰板材及其制备方法
US2006012513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unter tops
US20150328921A1 (en) Quartz-like finished composite counterto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1916521B1 (ko) 디자인과 기능성이 우수한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1045730A1 (en) Engineered ston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CN101929236B (zh) 负离子木石生态防水地板及其制作方法
KR20130092702A (ko) 프린팅 도포 방식을 이용한 목재판의 표면처리 방법
WO2021116818A1 (en) Process for producing bathroom or kitchen sanitary ware and sanitary ware thus obtained
CN1236703A (zh) 微胶合装饰层压板、其制造方法及由其制造的制品
CN1319488A (zh) 树脂成型用的材料及使用这种材料的树脂成型物
KR20100008884A (ko) 표면에 보호막을 갖는 인조 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101268639B1 (ko) 가공물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RU2814228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з древесно-минерально-полимерного композита (ДМПК), имитирующего природный
KR101267653B1 (ko) 재활용 아크릴칩을 포함한 인조 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US3265791A (en) Method of die-baking moldable wood fiber parts
KR20230116333A (ko) 친환경 레진 생산 및 이를 통한 제품 사출 제작 시스템
US20100255245A1 (en) Building component of an organic or recyclabl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RU229484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дерева с инкрустацией янтар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