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032B1 - 관 보수공법 - Google Patents

관 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032B1
KR101763032B1 KR1020150151864A KR20150151864A KR101763032B1 KR 101763032 B1 KR101763032 B1 KR 101763032B1 KR 1020150151864 A KR1020150151864 A KR 1020150151864A KR 20150151864 A KR20150151864 A KR 20150151864A KR 101763032 B1 KR101763032 B1 KR 101763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spokes
binder
adh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389A (ko
Inventor
정용태
Original Assignee
정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태 filed Critical 정용태
Priority to KR1020150151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03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관, 하수관 등의 관의 내측을 보수하는 관 보수공법에 있어서,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측에 유연재질의 튜브를 삽입하는 튜브삽입단계와; 상기 삽입된 튜브의 일측을 상기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일측에 고정하는 튜브일측고정단계와; 상기 튜브를 상기 관의 내면에 밀착시키는 튜브밀착단계와; 상기 튜브의 타측을 상기 관의 타측에 고정하는 튜브타측고정단계와; 상기 튜브의 외측면과 상기 관의 내측면의 사이에 결합제를 충진하는 결합제충진단계를; 포함하는 관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상수관, 하수관 등의 관의 내측에 튜브삽입단계와, 튜브일측고정단계와, 튜브밀착단계와, 튜브타측고정단계와, 결합제충진단계를 포함하는 관 보수공법으로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지 아니하고 간단한 작업으로 관을 보수할 수 있음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 보수공법{Repairing method of pipe}
본 발명은 관 보수공법 즉, 도로를 해체하지 않고 관로를 보수하는 비굴착 관 보수공법 특히, 유연재질의 튜브를 보수(또는 보강)하고자 하는 관의 내측에 결합하는 관을 보수 또는 보강하는 관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상수도관, 하수도관 등은 노후화나 지하 지반의 침하, 지상으로부터의 토압의 변동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균열, 파손, 부식, 마모가 발생하거나, 또는 이음부가 이완되며, 따라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음용수의 오염, 물의 유실, 지하수의 오염, 토양의 유실로 인한 지하 공동화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지중의 상, 하수도관을 개보수함에 있어서, 지면을 굴착한 후 신관으로 교체하거나 보수하는 전통적인 방식과, 지면굴착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 즉, 온전한 도로의 파손, 지면굴착 공사 후 토양의 침식과 폐기물 처리의 곤란성, 소음과 분진, 혼잡지역의 교통체증 유발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식으로 도로를 해체하지 않고 관로를 보수하는 비굴착 공법이 병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비굴착 보수공법은 크게 신관삽입공법(Slip lining), 보강튜브경화공법(Cured-in-place lining; CIPL), 변형관삽입공법(Close-fit lining),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제관공법(Spirally wound pipes lining) 등이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슬립라이닝공법이 있다.
상기 슬립라이닝공법은 중, 대구경관을 보수하는 방법으로서, 삽입관의 재료는 주로 PE관이 사용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가용성 PVC관도 사용되고 있고, 또한 이외에도 강관, 닥타일주철관, GRP/FRP관도 사용될 수 있다. 관을 삽입하는 방법은 견인하거나 삽입하는 방식이 사용되며, 관을 삽입한 후에는 기존 관과 삽입관 사이에 그라우팅을 하여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이러한 슬립라이닝공법은 주변의 시설이나 구조물들에 지장을 주지 않고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공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슬립라이닝공법은 기존 관에 삽입관을 삽입한 후 공기 또는 물 등을 주입하여 삽입관이 기존 관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하므로,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고, 준비 및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허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88115 특허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0510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수관, 하수관 등의 관의 내측에 튜브삽입단계와, 튜브일측고정단계와, 튜브밀착단계와, 튜브타측고정단계와, 결합제충진단계를 포함하는 관 보수공법으로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지 아니하고 간단한 작업으로 관을 보수할 수 있음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관 보수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동식튜브밀착장치를 이용하여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에 삽입된 튜브를 마찰력에 의해 타측으로 당기면서 관의 내면에 밀착시킴으로써,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측면에 튜브를 팽팽하고, 긴밀하게 밀착 결합시킬 수 있는 관 보수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연결되는 이동식튜브밀착장치의 개수나 이동식튜브밀착장치들 상호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길이나 보수하고자 하는 구간을 쉽게 조정할 수 있는 관 보수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동식튜브밀착장치의 바퀴살에 신축이 가능한 신축부를 구비함으로써, 이동식튜브밀착장치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크기나 형상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관 보수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동식튜브밀착장치의 바퀴살에 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측면에 돌출부가 있더라도 이동식튜브밀착장치가 잘 통과할 수 있는 관 보수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튜브의 외측면에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여 보수하고자 하는 관과 튜브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이격공간에 충진되는 결합제에 의해 관과 튜브가 견고히 결합되는 관 보수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관 보수공법은, 상수관, 하수관 등의 관의 내측을 보수하는 관 보수공법에 있어서,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측에 유연재질의 튜브를 삽입하는 튜브삽입단계와; 상기 삽입된 튜브의 일측을 상기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일측에 고정하는 튜브일측고정단계와; 상기 튜브를 상기 관의 내면에 밀착시키는 튜브밀착단계와; 상기 튜브의 타측을 상기 관의 타측에 고정하는 튜브타측고정단계와; 상기 튜브의 외측면과 상기 관의 내측면의 사이에 결합제를 충진하는 결합제충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밀착단계는 이동식튜브밀착장치를 상기 튜브의 내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튜브를 마찰력에 의해 타측으로 당기면서 상기 관의 내면에 밀착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일측고정단계와 상기 튜브밀착단계 사이에 상기 튜브를 타측에서 인장하는 튜브인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식튜브밀착장치는 상기 관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바퀴살과, 상기 바퀴살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어 마찰력에 의해 상기 튜브를 상기 관의 타측으로 인장하면서 내측면에 밀착되게 하는 마찰패드와, 상기 바퀴살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를 상기 관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식튜브밀착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식튜브밀착장치는 상기 관의 축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이동식튜브밀착장치는 상기 중심축과 중심축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관의 내측에 연속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식튜브밀착장치는 상기 바퀴살 각각에 구비되는 신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바퀴살을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관의 크기나 형상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관의 둘레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바퀴살과 상기 마찰패드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살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경사살은 상기 마찰패드가 상기 관의 내면에 잘 밀착되게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살은 완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관 내부의 돌출부 등을 상기 마찰패드와 상기 바퀴가 잘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제는 모르타르, 그라우트, 또는 접착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는 외측면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관과 상기 튜브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결합제는 상기 이격공간에 충진되어 상기 관과 상기 튜브가 견고히 결합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그 길이방향으로 중앙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그 단부가 확대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그 외측면에 돌부와 요부가 둘레방향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상수관, 하수관 등의 관의 내측에 튜브삽입단계와, 튜브일측고정단계와, 튜브밀착단계와, 튜브타측고정단계와, 결합제충진단계를 포함하는 관 보수공법으로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지 아니하고 간단한 작업으로 관을 보수할 수 있음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튜브밀착장치를 이용하여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부에 삽입된 튜브를 마찰력에 의해 타측으로 당기면서 관의 내면에 밀착시킴으로써,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측면에 튜브를 팽팽하고, 긴밀하게 밀착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결되는 이동식튜브밀착장치의 개수나 이동식튜브밀착장치들 상호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길이나 보수하고자 하는 구간을 쉽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튜브밀착장치의 바퀴살에 신축이 가능한 신축부를 구비함으로써, 이동식튜브밀착장치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크기나 형상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튜브밀착장치의 바퀴살에 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측면에 돌출부가 있더라도 이동식튜브밀착장치가 잘 통과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튜브의 외측면에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여 보수하고자 하는 관과 튜브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이격공간에 충진되는 결합제에 의해 관과 튜브가 견고히 결합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관 보수공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관 보수공법의 튜브삽입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관 보수공법의 이동식튜브밀착장치가 튜브의 내부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a는, 도 3a 및 도 3b의 이동식튜브밀착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3a 및 도 3b의 이동식튜브밀착장치의 바퀴살에 신축부와 완충부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a 및 도 3b의 이동식튜브밀착장치에 경사살이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a의 이동식튜브밀착장치가 관에 연속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관 보수공법의 튜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튜브에 구비된 돌기의 형상들을 도시하는 확대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관 보수공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관 보수공법은, 튜브삽입단계와, 튜브일측고정단계와, 튜브밀착단계와, 튜브타측고정단계와, 결합제충진단계를 포함하여 상수관, 하수관 등의 관(10)의 내측을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보수(또는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보수하고자 하는 관(10)의 형상이 원형, 사각형, 마제형 등 다양한 형상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튜브일측고정단계와 튜브밀착단계의 사이에는 튜브인장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튜브삽입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수하고자 하는 관(10)의 내측에 유연재질의 튜브(20)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튜브(20)의 삽입은 이미 알려진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튜브(20)를 사람이 직접 끌고 이동하여 삽입하거나, 또는 튜브(20)를 로프로 고정하여 견인함으로써 간단히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유연재질의 튜브(20)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플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 상수관, 하수관 등 보수하고자 하는 관(10)의 용도에 적절하고, 관(10)의 형상에 맞게 변형이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며, 결합제로 보수하고자 하는 관(10)과 잘 결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도 무방하다. 튜브(20)는 보수하고자 하는 관(10)에 삽입된 후 관(10)의 형상 즉, 원형, 사각형, 마제형 등의 형상으로 변형되어 접착된다. 또한 튜브(20)의 외면은 평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외면에 복수의 돌기(21)를 구비함으로써 결합제가 잘 충진되어 관(10)과 튜브(20)가 잘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튜브일측고정단계는 상기 삽입된 튜브(20)의 일측을 보수하고자 하는 관(10)의 일측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튜브(20)의 고정은 튜브(20)를 직접 보수하고자 하는 관(10)의 일측에 고정하거나, 또는 내외 한 쌍의 링 사이에 튜브(20)의 일측을 끼워 고정한 후에, 링을 관(10)의 일측에 훅, 클립 등의 장치로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추후 충진될 결합제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하는 것은 통상의 방법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튜브밀착단계는 튜브(20)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10)의 내측면에 잘 밀착시키는 단계로 인력으로 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동식튜브밀착장치(30)를 이용하여 매우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잘 밀착되게 함으로써, 시공의 신속성, 편리성,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동식튜브밀착장치(30)는, 도 3a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데, 튜브(20)의 내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튜브(20)를 마찰력에 의해 타측으로 당기면서 관(10)의 내면에 밀착시키는 장치이다. 이동식튜브밀착장치(30)는 도 3a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10)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심축(31)과, 중심축(31)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바퀴살(33)과, 바퀴살(33)의 외측 단부에 번갈아 구비되는 마찰패드(35)와 바퀴(37)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찰패드(35)와 바퀴(37)의 배치 방법은 마찰패드(35) 2개 배치 후 바퀴(37) 1개 배치하는 방식, 또는 바퀴(37) 2개 배치 후 마찰패드(35) 1개 배치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이동식튜브밀착장치(30)는 윈치 등에 의해 관(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마찰패드(35)는 튜브(20)와의 마찰력에 의해 튜브(20)를 관(10)의 타측으로 인장하면서 관(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키고, 바퀴(37)는 튜브(20)를 관(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이동식튜브밀착장치(3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이동식튜브밀착장치(30)는 관(10)의 형상이 원형(도 3a 참조), 사각형(도 3b 참조), 마제형, 또는 그 외의 다른 형상인 경우에도 바퀴살(33)의 길이를 달리하거나, 또는 바퀴살(33)의 길이를 조정하고 마찰패드(35)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이동식튜브밀착장치(30)의 바퀴살(33)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 가능하도록 신축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신축부(331)는 바퀴살(33)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신축되게 하여 길이 조정이 가능한 부분인데, 보수하고자 하는 관(10)의 크기나, 관(10)의 형상에 맞게 쉽게 조정되게 함으로써, 하나의 이동식튜브밀착장치(30)로 다양한 크기나 형상의 관(10)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신축부(331)는 슬라이딩으로 길이를 조정한 후 볼트로 체결하여 길이를 조정하게 된다. 길이의 조정은 상기와 같이 수동 방식으로도 가능하나, 전기 모터나 유압 장치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되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슬라이딩되는 외측 바퀴살(33)의 내측에 볼트공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내측 바퀴살(33)에 상기 볼트공에 결합되고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볼트를 설치한 후, 모터로 볼트를 작동시킴으로써 바퀴살(33)의 길이를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유압 장치를 구비하여 바퀴살(33)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음도 당연하다.
또한, 바퀴살(33)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이나 고무 등으로 구성되는 완충부(3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완충부(333)는 보수하고자 하는 관(10)의 내측면이 매끈하지 않은 경우 즉, 예상하지 못한 돌출부가 있는 경우 바퀴살(33)의 길이가 미소하게 신축되게 함으로써, 이동식튜브밀착장치(30)가 관(10)의 내측면을 따라 잘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신축부(331)는 관(10)의 크기나 형상에 맞게 바퀴살(33)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함이고, 완충부(333)는 관(10)의 내측면에 요철부가 있는 경우에도 마찰패드(35)와 바퀴(37)가 잘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동식튜브밀착장치(30)의 중심축(31)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도면과 달리 중심축(31)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고 바퀴살(33)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도 있다. 중심축(31)의 직경을 크게 하는 경우에는 바퀴살(33)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바퀴살(33)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구조적인 이점도 있다.
바퀴살(33)의 길이를 전기 모터나 유압 장치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조정할 경우, 모터나 유압 장치는 바퀴살(33)에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의 중심축(31)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이건 바퀴살(33)의 신장 또는 수축시 바퀴살(33)이 축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 바퀴살(33)의 슬라이딩되는 단면 형상을 사각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길이방향으로 리브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동식튜브밀착장치(30)의 마찰패드(35)는 관(10)의 둘레방향으로 짧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길게 형성하여 튜브(20)의 인장 및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마찰패드(35)를 길게 형성하는 경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살(33)의 단부측에 경사살(39)을 구비하여 바퀴살(33)과 마찰패드(35)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경사살(39)은 마찰패드(35)가 관(10)의 내면에 잘 밀착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고, 또한 관(10)의 직경이 변하거나 관(10)의 단면 형상이 변하는 경우 마찰패드(35)가 전체적으로 관(10)의 내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길이 조정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나사의 방향이 반대인 볼트와 이 볼트의 양측에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를 회전함으로써 쉽게 달성할 수 있다.
이동식튜브밀착장치(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31)끼리 훅으로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관(10)의 축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훅에 의해 중심축(31)을 상호 연결시 보수하고자 하는 관(10)이 곡선인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방법은 도면의 훅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볼트와 너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양 중심축(31)에 볼트를 형성하고 양측의 볼트를 연결하는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와 너트로 연결하는 경우 그 결합이 더 안정적으로 될 수 있다. 복수개의 이동식튜브밀착장치(30)는 관(10)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튜브(20)가 관(10)의 내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식튜브밀착장치(30)를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할 것인지는 관(10)의 직경의 크기, 관(10)의 형상, 관(10)의 굴곡 정도, 튜브(20)의 유연 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데, 연결고리의 길이나 숫자를 조정함으로써 그 간격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튜브(20)의 유연 정도가 큰 경우에는 간격을 좁게 하는 것이 좋고, 유연 정도가 적은 경우에는 넓게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튜브밀착단계를 실시하기 전, 튜브(20)를 타측에서 인장하는 튜브인장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튜브인장단계를 시행하여 튜브(20)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튜브밀착단계를 실시하는 경우, 튜브(20)의 밀착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튜브(20)가 관(10)의 내면에 팽팽하게 잘 밀착될 수 있다.
튜브타측고정단계는 튜브(20)의 타측을 관(10)의 타측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는 튜브일측고정단계와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한다.
결합제충진단계는 팽팽하게 당겨진 튜브(20)의 외측면과 관(10)의 내측면의 사이에 결합제를 충진하는 단계이다. 결합제의 충진은 관(10)의 내부에 주입구와 공기 배출구를 설치하여 실시하거나, 또는 관(10)의 양 단부 중 일측 단부에서는 주입하고, 타측 단부에서는 공기를 배출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충진하는 결합제는 모르타르, 그라우트, 또는 접착제 등 튜브(20)와 관(10)을 결합할 수 있고, 사용중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한편, 튜브(20)의 외측면에는 돌기(21)를 형성(도 6 및 도 7a 참조)하여 결합제가 주입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튜브(20)의 외측면에 돌기(21)를 형성하는 경우, 관(10)과 튜브(20)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결합제가 주입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따라서 결합제가 상기 이격공간에 충진되면서 관(10)과 튜브(2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돌기(21)는 관(10)과 튜브(20)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동시에 튜브(20)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를 위해 그 형상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먼저, 도 7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원통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1)의 단부를 확대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충진된 결합제로부터 튜브(20)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7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1)를 그 길이방향으로 중앙이 볼록한 형상 즉,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형상의 돌기(21)의 단부측의 좁은 단면은 결합제가 가능한 관(10)의 내측면과 넓은 면적에서 결합되게 함으로써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돌기(21)의 내측부의 좁은 단면에서 중앙부의 넓은 단면까지의 측면은 결합제로부터 튜브(20)의 빠짐을 방지함으로써 튜브(20)가 관(10)에 잘 결합되게 한다. 또한 도 7b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1)의 외측면에 둘레방향으로 돌부와 요부를 형성, 즉 돌기(21)의 단면을 둘레방향으로 오목부와 볼록부가 번갈아 형성되는 꽃잎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21)와 결합제의 부착 면적이 증가되어 튜브(20)가 더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관
20 : 튜브
21 : 돌기
30 : 이동식튜브밀착장치
31 : 중심축
33 : 바퀴살
331 : 신축부
333 : 완충부
35 : 마찰패드
37 : 바퀴
39 : 경사살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수관, 하수관 등의 관의 내측을 보수하는 관 보수공법에 있어서,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내측에 유연재질의 튜브를 삽입하는 튜브삽입단계와;
    상기 삽입된 튜브의 일측을 상기 보수하고자 하는 관의 일측에 고정하는 튜브일측고정단계와;
    상기 튜브를 상기 관의 내면에 밀착시키는 튜브밀착단계와;
    상기 튜브의 타측을 상기 관의 타측에 고정하는 튜브타측고정단계와;
    상기 튜브의 외측면과 상기 관의 내측면의 사이에 결합제를 충진하는 결합제충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밀착단계는 이동식튜브밀착장치를 상기 튜브의 내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튜브를 마찰력에 의해 타측으로 당기면서 상기 관의 내면에 밀착시키며,
    상기 이동식튜브밀착장치는 상기 관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바퀴살과, 상기 바퀴살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어 마찰력에 의해 상기 튜브를 상기 관의 타측으로 인장하면서 내측면에 밀착되게 하는 마찰패드와, 상기 바퀴살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를 상기 관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식튜브밀착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튜브밀착장치는 상기 관의 축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이동식튜브밀착장치는 상기 중심축과 중심축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관의 내측에 연속 설치되는 것인 관 보수공법.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튜브밀착장치는 상기 바퀴살 각각에 구비되는 신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바퀴살을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관의 크기나 형상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인 관 보수공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관의 둘레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바퀴살과 상기 마찰패드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살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경사살은 상기 마찰패드가 상기 관의 내면에 잘 밀착되게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인 관 보수공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퀴살은 완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관 내부의 돌출부를 상기 마찰패드와 상기 바퀴가 잘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것인 관 보수공법.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보수공법.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모르타르, 그라우트, 또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보수공법.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외측면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관과 상기 튜브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결합제는 상기 이격공간에 충진되어 상기 관과 상기 튜브가 견고히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보수공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그 길이방향으로 중앙이 볼록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보수공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그 단부가 확대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보수공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그 외측면에 돌부와 요부가 둘레방향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보수공법.
KR1020150151864A 2015-10-30 2015-10-30 관 보수공법 KR101763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864A KR101763032B1 (ko) 2015-10-30 2015-10-30 관 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864A KR101763032B1 (ko) 2015-10-30 2015-10-30 관 보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389A KR20170050389A (ko) 2017-05-11
KR101763032B1 true KR101763032B1 (ko) 2017-08-04

Family

ID=58742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864A KR101763032B1 (ko) 2015-10-30 2015-10-30 관 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0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937B1 (ko) * 2020-06-05 2020-12-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수관용 보조관 현장타설을 위한 미장기기
KR102207822B1 (ko) * 2020-06-16 2021-01-25 정지훈 기포제거 및 보수단면의 형상계수 증대를 이용한 비굴착 부분 보수 장치 및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15448A (zh) * 2020-07-08 2022-01-11 五行科技股份有限公司 修复输送管连接接头的方法以及修复输送管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1707A (ja) * 2001-06-27 2003-01-08 Hakko Co Ltd 管路のライニング工法
JP2007046751A (ja) * 2005-08-12 2007-02-22 Sekisui Chem Co Ltd 支保工装置
KR101060510B1 (ko) * 2008-12-31 2011-08-30 주식회사 동영산업 관로의 보수 방법
KR101463593B1 (ko) * 2014-05-23 2014-11-20 주식회사 그린개발 하수관을 포함하는 지중 관거의 보수를 위한 제관벨트 라이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거 보수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1707A (ja) * 2001-06-27 2003-01-08 Hakko Co Ltd 管路のライニング工法
JP2007046751A (ja) * 2005-08-12 2007-02-22 Sekisui Chem Co Ltd 支保工装置
KR101060510B1 (ko) * 2008-12-31 2011-08-30 주식회사 동영산업 관로의 보수 방법
KR101463593B1 (ko) * 2014-05-23 2014-11-20 주식회사 그린개발 하수관을 포함하는 지중 관거의 보수를 위한 제관벨트 라이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거 보수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937B1 (ko) * 2020-06-05 2020-12-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수관용 보조관 현장타설을 위한 미장기기
KR102207822B1 (ko) * 2020-06-16 2021-01-25 정지훈 기포제거 및 보수단면의 형상계수 증대를 이용한 비굴착 부분 보수 장치 및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389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032B1 (ko) 관 보수공법
US10436374B2 (en) Grooved sealing member for sealing pipes and other underground structures and method of using
CN101865349A (zh) 用于管道和管线的内部修复的装置和方法
KR101868756B1 (ko) 지관 연결장치
US200800755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underground pipes
WO20190793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PIPE LENGTH OR MAIN / SIDE PIPE JUNCTION
KR100810555B1 (ko)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및 펠트
KR101566664B1 (ko) 관 보수구조 및 보수공법
KR20130063067A (ko) 다양한 내경의 하수관로에 사용될 수 있는 보수장치
US9163771B1 (en) Conduit repair system
US100778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iring culverts and pipes
KR100869829B1 (ko) 상수도관의 보수 보강장치
JP4890312B2 (ja) 管路橋更生方法
KR20130052272A (ko) 복합 배관 및 그 조립 방법
US9435480B2 (en) Conduit repair system
US8496408B1 (en) Spring lock culvert pipe liner
JP5703093B2 (ja) プロファイル
KR20210155131A (ko) 파형관로 접속장치
JP4889615B2 (ja) 既設管路の内張り方法
EP1664615B1 (en) Method for modification of a pipe comprising insertion of a replacement pipe into a host pipe
KR20170089498A (ko) 관로 보수보강 구조 및 방법
US20190376634A1 (en) Trenchless mechanical lining system for continuous repair of underground pipes and culverts,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2019018430A (ja) 更生管の製管方法及び摩擦低減装置
KR102216759B1 (ko) 본관부 혹은 가지관부 혹은 본관부와 가지관부의 선택적 부분 보수 장치 및 부분 보수 공법
AU2018232892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