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715B1 - 다중 록킹 구동부를 가지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다중 록킹 구동부를 가지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715B1
KR101762715B1 KR1020157004917A KR20157004917A KR101762715B1 KR 101762715 B1 KR101762715 B1 KR 101762715B1 KR 1020157004917 A KR1020157004917 A KR 1020157004917A KR 20157004917 A KR20157004917 A KR 20157004917A KR 101762715 B1 KR101762715 B1 KR 101762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atch element
main latch
guide device
extens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737A (ko
Inventor
에베하르트 바르톨디
Original Assignee
엘도마트 이노바티브 지허하이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도마트 이노바티브 지허하이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엘도마트 이노바티브 지허하이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33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one sliding bar for fastening when moved in one direction and unfastening when moved in opposite direction;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25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one sliding bar for fastening when moved in one direction and unfastening when moved in opposite direction;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pins engaging slo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8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arrangement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retaining the bolt or latch in the retracted position
    • E05B63/2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arrangement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retaining the bolt or latch in the retracted position released automatically when the wing is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one sliding bar for fastening when moved in one direction and unfastening when moved in opposite direction;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26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one sliding bar for fastening when moved in one direction and unfastening when moved in opposite direction;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comprising key-operated locks, e.g. a lock cylinder to drive auxiliary deadbolts or latch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8Details of fastening means or of fixed retaining means for the ends of bars
    • E05C9/1825Fastening means
    • E05C9/1833Fastening means performing sliding movements
    • E05C9/1841Fastening means performing sliding movements perpendicular to actuating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거 요소, 및 스트라이크 플레이트의 측부 상에서 트리거 요소가 작동될 때 록킹 위치로 자동으로 움직이는 메인 래치 요소를 포함하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에 있어서, 메인 래치 요소가, 메인 래치 요소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보완적인 래치 요소를 구동하는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를 위한 구동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록킹 구동부를 가지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SELF-LOCKING CLOSING DEVICE HAVING A MULTIPLE LOCKING DRIVE}
본 발명은 트리거 요소, 및 스트라이크 플레이트의 측부 상에서 트리거 요소가 작동될 때 록킹 위치로 자동으로 움직이는 메인 래치 요소를 포함하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종래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스트라이크 플레이트의 측부 상의 트리거 요소가 활성화되거나 또는 작동될 때, 예를 들어 도어가 닫힐 때 자동으로 록킹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는 예를 들어 폐쇄 디바이스와 직접 교통하는 메인 래치 요소에 의하여 뿐만 아니라 메인 래치 요소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보완적인 래치 요소에 의해 도어를 록킹하기 위하여 종래에 또한 공지되었다. 이러한 멀티포인트 록킹 디바이스는 실제 메인 록커가 록킹된 후에 별도의 록킹 메커니즘에 의해 규칙적으로 작동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또한 다른 키들을 요구할 수 있는 몇개의 록킹 실린더들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공지된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이러한 공지된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하고 비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록킹 과정으로 멀티포인트 록킹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서두에 기술된 형태의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목적은 메인 래치 요소가, 메인 래치 요소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보완적인 래치 요소를 구동하는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를 위한 구동 요소인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메인 래치 요소의 록킹이 자동으로 기동될 때 이러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보완적인 래치 요소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직 운동으로, 폐쇄 디바이스의 설치된 상태에서 거의 수평인 메인 래치 요소의 움직임을 편향시키는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특히 유익하게, 이러한 것은 메인 래치 요소 자체가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를 위한 구동 요소인 것으로 달성된다.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가 메인 래치 요소에 부착된 연장편(extension piece), 및 가이드 디바이스를 구비한 록킹 바를 포함하고, 연장편이 가이드 디바이스를 결합하고, 제1 방향으로의 메인 래치 요소의 움직임 동안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록킹 바를 움직이는 것으로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제1 방향으로부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임의 편향의 결과로서, 메인 래치 요소로부터 떨어져 위치된 보완적인 래치 요소를 제어하고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록킹 바가 종방향 축을 포함하고, 가이드 디바이스가 종방향 축에 비스듬하게 주 평면에 정렬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추가의 이점이 있다.
가이드 디바이스의 비스듬한 배열의 결과로서, 작동 상태에서 메인 래치 요소가 록킹된 위치와 록킹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메인 래치 요소에 연결된 연장편이 수평 움직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수직 움직임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 디바이스가 구배(gradient)를 가지며, 연장편이 록킹 위치로부터 록킹 해제 위치까지의 메인 래치 요소의 경로 상에서 구배를 극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추가의 이점이 있다.
이 실시예는 다음의 설명에 기술된 실시예에 대응하고, 그 구조의 면에서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가이드 디바이스가 구배를 포함하고 연장편이 록킹 위치로부터 록킹 해제 위치까지의 메인 래치 요소의 경로 상에서 구배를 극복하면 또한 유익할 수 있다. 이 실시예 역시 당업자가 본 출원에 의지하는 실시예들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특정 상황 하에서 그 구조의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연장편이 메인 래치 요소의 하부 가장자리 상에 배열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추가의 이점이 있다. 연장편의 위치와 경사는 록킹 위치와 록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각각의 보완적인 래치 요소의 경로를 결정한다.
다른 조각이 메인 래치 요소의 상부 가장자리 상에 배열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추가의 이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연장편과 가이드 디바이스의 경사는 각각의 보완적인 래치 요소의 록킹 위치와 록킹 해제 위치 사이의 경로를 또한 결정한다.
다른 조각이 종방향 슬롯에서 그 움직임으로부터 평행한 양쪽 종방향 가장자리들 상에서 가이드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추가의 이점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록킹 위치와 록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연장편의 양쪽 방향으로의 확실한 가이드가 보장된다.
마찬가지로, 연장편이 주 평면에 직각인 회전축을 포함하는 롤러인 것이 유익하다. 롤러의 준비의 결과로서, 가이드 디바이스에서의 마찰이 상당히 감소된다.
록킹 바가 제2 액튜에이터 탭에 의해 제2 보완적인 래치 요소에 연결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추가의 이점이 있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도어의 정상, 도어의 중간 및 저부에서 멀티포인트 록킹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끝으로, 폐쇄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를 포함하면 또한 유익하다.
단일의 록킹 과정으로 멀티포인트 록킹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서두에 기술된 형태의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음이 도시된다:
도 1은 예를 들어 도어에서 폐쇄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의 배열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폐쇄 디바이스의 설계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의 개략 확대도; 및
도 4는 도 3의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의 개략 측면도.
도 1은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를 포함하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의 배열의 개략 측면도를 도시한다. 폐쇄 디바이스(1)는 예를 들어 도어에 배열되고, 개구(7)들을 포함하는 전방 단부 트랙(3)에 의해 일측에서 경계가 정해지며, 메인 래치 요소(5)는 개구(7)를 통해 록킹 위치(도 1, 도 2)로 움직이고 록킹 해제 위치로 다시 움직일 수 있다. 도 1에서, 록킹 위치로부터 록킹 해제 위치까지의 메인 래치 요소(5)의 경로가 화살표로 도시된다. 폐쇄 디바이스(1)는 실린더 록커(9)를 포함하고, 실린더 록커(9)에 의해, 폐쇄 디바이스(1)는 예를 들어 록킹 위치로부터 록킹 해제 위치로 또는 역으로 록킹 해제 위치로부터 록킹 위치로 메인 래치 요소(5)를 움직이기 위하여 수동으로 기동될 수 있다. 대안(도시되지 않음)으로서, 폐쇄 디바이스(1)는 실린더 록커(9)를 작동시킬 필요없이 폐쇄 및/또는 개방 절차를 자동으로 기동하는 전자석 도어 오프너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1)는 전방 단부 트랙(3)에 있는 추가의 개구(7)를 통해 도달하는 트리거 요소(10)를 포함한다.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1)를 포함하는 도어가 닫힐 때, 트리거 요소(10)는 스트라이크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 상의 트리거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에 부딪히며, 그러므로 활성화된다. 트리거 요소(10)의 활성화 및 움직임의 결과로서, 압축 스프링(12)에 의해 사전 장전된 메인 래치 요소(5)는 그 개구(7)를 통해 차단되어 있는 록킹 위치로 움직인다. 차단은 단부 스토퍼(16) 상에서 록킹 해제 디바이스(14)에 의해 일어난다.
많은 상황에서, 단일 메인 래치 요소(5)만이 아니고, 대신에 부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보완적인 래치 요소(11.1, 11.2)의 사용과 함께 벽 구멍을 폐쇄하는 도어, 창문 또는 일부 다른 구성요소를 록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어의 정상 및/또는 도어의 저부 가장자리 상에서 보완적인 래치 요소(11.1, 11.2)들을 위한 록킹 메커니즘은 대체로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부분을 형성하지 않는다. 각각의 보완적인 래치 요소(11.1, 11.2)는 액튜에이터 탭(13.1, 13.2)에 의해 록킹 바(15)에 연결된다.
도 3은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의 확대 상세도를 도시한다. 록킹 바(15)는 종방향 축(L)과 도 1의 지면과 일치하는 주 평면(H)을 가진다. 록킹 바(15)는 액튜에이터 탭(13.1)에 의해 결합되는 제1 자유 단부(15.1)를 가진다. 록킹 바(15)는 본 실시예에서 제2 액튜에이터 탭(13.2)에 의해 결합되는 제2 자유 단부(15.2)를 또한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액튜에이터 탭(13.1) 또는 제2 액튜에이터 탭(13.2)이 단지 제1 자유 단부(15.1) 또는 제2 자유 단부(15.2)를 결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각각의 액튜에이터 탭은 단일 이상의 보완적인 래치 요소에 또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록킹 바(15)는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그 설치된 상태에서, 이러한 것은 수직 움직임에 해당한다.
메인 래치 요소(5)는 록킹 요소에 대해 횡으로 주 평면(H) 뒤에서 록킹 바(15)로 연장한다. 그 설치된 상태에서, 메인 래치 요소(5)는 거의 수평으로 연장한다. 보는 사람과 대면하는 측부인 메인 래치 요소(5)의 측부에는 연장편(17)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편(17)은 메인 래치 요소의 하부 가장자리(5.1) 상에 형성되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 연장편(17)은 주 평면(H)에 직각인 회전축을 구비한 롤러이다. 연장편(17)은 록킹 바(15)의 가이드 디바이스(19)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디바이스(19)는 주 평면(H)이 종방향 축(L)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오목부, 특히 종방향 슬롯이다. 본 발명의 상황에서, 종방향 축(L)에 대한 각도는 결정될 필요가 없지만, 각도는 대략 30°내지 50°의 범위에 있다.
종방향 슬롯의 형태를 가진 가이드 디바이스(19)는 2개의 평행한 종방향 가장자리(19.1 및 19.2)들을 가진다. 그러므로, 연장편(17), 특히 롤러는 종방향 슬롯(19)의 종방향 가장자리(19.1)와 종방향 가장자리(19.2)에 의해 가이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 디바이스(19)는 상이한 설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연장편(17)이 롤러가 아니고 가이드 디바이스가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단지 하나의 종방향 가장자리(19.1 또는 19.2)만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 디바이스(19)는 도시된 록킹 위치로부터 록킹 해제 위치까지의 그 경로 상에서(화살표의 방향) 연장편(17)을 위한 구배를 형성하며, 이 구배는 그런 다음 이 경로 상에서 연장편(17)에 의해 극복된다. 록킹 위치로부터 록킹 해제 위치까지의 경로 상에서, 연장편(17)과 가이드 디바이스(19) 사이의 상대 운동이 발생한다. 가이드 디바이스(19)의 구배를 극복하는 것은 메인 래치 요소(5)의 수평 움직임 때문에 일어나며, 이는 수직 방향(화살표의 방향)으로 하향하여 방해되지 않도록 록킹 바(15)를 강제한다.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가이드 디바이스(19)의 결과로서 가능하게 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메인 래치 요소(5)가 록킹 위치로부터 록킹 해제 위치로 움직일 때, 가이드 디바이스가 구배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연장편(17)은 메인 래치 요소(5)의 상부 가장자리(5.2) 상에 배열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록킹 바(15)의 움직임은 수직으로 상향, 즉 반대 방향일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1 폐쇄 디바이스
2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
3 전방 단부 트랙
5 메인 래치 요소
5.1 하부 가장자리
5.2 상부 가장자리
7 개구
9 실린더 록커
10 트리거 요소
11.1 보완적인 래치 요소
11.2 보완적인 래치 요소
12 압축 스프링
13.1 액튜에이터 탭
13.2 액튜에이터 탭
14 록킹 해제 디바이스
15 록킹 바
15.1 제1 자유 단부
15.2 제2 자유 단부
16 단부 스토퍼
17 연장편
17.1 회전축
19 가이드 디바이스
19.1 종방향 가장자리
19.2 종방향 가장자리
H 주 평면
L 종방향 축

Claims (12)

  1. 트리거 요소(10), 및 스트라이크 플레이트의 측부 상에서 상기 트리거 요소(10)가 작동될 때 록킹 위치로 자동으로 움직이는 메인 래치 요소(5)를 포함하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메인 래치 요소(5)는 록킹 바(15)를 갖춘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2)를 위한 연장편(17)이고, 상기 록킹 바는 하나 이상의 보완적인 래치 요소(11.1, 11.2)를 메인 래치 요소(5)에 대해 수직의 간격을 두고 구동시키며, 상기 록킹 바(15)는 종축(L)을 구비하고, 상기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는 가이드 장치(19)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장치 내부에 연장편(17)이 맞물리고,
    상기 록킹 바(15)는 가이드 디바이스(19) 및 주 평면(H)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19)는 주 평면(H)에서 종방향 축(L)에 대해 비스듬하게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래치 요소(5)가 움직이는 동안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상기 록킹 바(15)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19)는 상구배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편(17)은 록킹 위치로부터 록킹 해제 위치까지의 상기 메인 래치 요소(5)의 경로 상에서 상기 상구배를 극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19)는 하구배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편(17)은 록킹 위치로부터 록킹 해제 위치까지의 상기 메인 래치 요소(5)의 경로 상에서 상기 하구배를 극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17)은 상기 메인 래치 요소(5)의 하부 가장자리(5.1)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17)은 상기 메인 래치 요소(5)의 상부 가장자리(5.2)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19)는 2개의 평행한 종방향 가장자리(19.1, 19.2)들을 구비한 종방향 슬롯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17)은 상기 종방향 슬롯에서 그 움직임으로부터 평행한 양쪽 종방향 가장자리(19.1, 19.2)들 상에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17)은 상기 주 평면(H)에 직각인 회전축(17.1)을 포함하는 롤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2)는 제1 액튜에이터 탭(13.1)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완적인 래치 요소(11.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포인트 록킹 구동부(2)는 제2 액튜에이터 탭(13.2)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완적인 래치 요소(11.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12. 삭제
KR1020157004917A 2012-08-01 2013-07-18 다중 록킹 구동부를 가지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KR1017627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2007383U DE202012007383U1 (de) 2012-08-01 2012-08-01 Selbstverriegelnde Schließvorrichtung mit einem Mehrfachverriegelungsantrieb
DE202012007383.4 2012-08-01
PCT/DE2013/000386 WO2014019562A2 (de) 2012-08-01 2013-07-18 Selbstverriegelnde schliessvorrichtung mit einem mehrfachverriegelungsantrie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737A KR20150033737A (ko) 2015-04-01
KR101762715B1 true KR101762715B1 (ko) 2017-07-28

Family

ID=4696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917A KR101762715B1 (ko) 2012-08-01 2013-07-18 다중 록킹 구동부를 가지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956605B1 (ko)
KR (1) KR101762715B1 (ko)
CN (1) CN104903526B (ko)
DE (1) DE202012007383U1 (ko)
ES (1) ES2836489T3 (ko)
WO (1) WO201401956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722A (ko) * 2017-11-08 2020-06-10 엘도마트 이노바티브 지허하이트 게엠베하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가 있는 자체 잠금식 잠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707144D0 (en) 2017-05-04 2017-06-21 Era Home Security Ltd Locking assembly
CN107227901B (zh) * 2017-06-30 2023-03-28 江西技德科技有限公司 一种转轴副锁装置
PL3483367T3 (pl) 2017-11-08 2022-01-31 Eldomat Innovative Sicherheit Gmbh Samoczynnie ryglujące urządzenie zamykające z napędem wielokrotnego ryglowania ii
CN107859440A (zh) * 2017-11-22 2018-03-30 中山市志宇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钥匙和电机双驱动锁芯
CN107882440A (zh) * 2017-11-22 2018-04-06 中山市志宇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多锁芯联动电子锁
CN109573516B (zh) * 2018-11-26 2023-12-08 武汉动力电池再生技术有限公司 用于废旧动力电池包上料的推车结构
GB2584100B (en) * 2019-05-20 2023-06-07 Era Home Security Ltd Lock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0469B (en) * 1993-07-26 1996-11-20 Feneseal Ltd Shoot bolt mechanism
ES2115191T3 (es) * 1994-02-21 1998-06-16 Hellmuller & Zingg Ag Cerradura de puerta.
AU2001235311A1 (en) * 2000-03-13 2001-09-24 Henri Rochmann Adjustable safety lock device, for doors with multiple bolts, with delayed automatic locking
LU90671B1 (fr) * 2000-11-06 2002-05-07 Intellectual Trade Cy Sa Serrure de s-curit- - plusieurs points de verrouillage
CN2556324Y (zh) * 2002-07-10 2003-06-18 沈再定 三向十字锁芯门锁
CN2729242Y (zh) * 2004-10-09 2005-09-28 美商卫士精密机械(昆山)有限公司 门窗防盗锁结构
US7526933B2 (en) * 2006-10-18 2009-05-05 Master Lock Company Llc Multipoint door lock
CN201535104U (zh) * 2009-08-24 2010-07-28 李爱国 一种轻便开锁、简便控锁的自动旋转栓防盗锁
CN201756851U (zh) * 2010-07-12 2011-03-09 王亚运 一种锁出控制机构以及具有该机构的联环门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722A (ko) * 2017-11-08 2020-06-10 엘도마트 이노바티브 지허하이트 게엠베하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가 있는 자체 잠금식 잠금 장치
KR102352291B1 (ko) * 2017-11-08 2022-01-14 엘도마트 이노바티브 지허하이트 게엠베하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가 있는 자체 잠금식 잠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6605A2 (de) 2015-12-23
WO2014019562A2 (de) 2014-02-06
CN104903526A (zh) 2015-09-09
EP2956605B1 (de) 2020-09-02
KR20150033737A (ko) 2015-04-01
CN104903526B (zh) 2018-05-29
WO2014019562A3 (de) 2014-03-27
DE202012007383U1 (de) 2012-09-05
ES2836489T3 (es)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715B1 (ko) 다중 록킹 구동부를 가지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EP1887170B1 (en) Auxiliary safety module for doors provided with anti-panic opening device
RU23348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дания направления при блокировании фиксируемой защелки в дверном замке
GB2461079A (en) Sash window restrictor having a protruding member and retaining mechanism
US9624701B2 (en) Multi-point lock having a shootbolt with a flat driverail mounted in a narrow groove
JP2019510148A (ja) 両開きのスライディングプラグドアシステム
NZ582433A (en) Lock for a sliding wing movable between an opening, closing and deadlock position
KR101986613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도어락장치
GB2595992A (en) Poly-axial closure hinge mechanism
US20170081887A1 (en) Double lever latch device
CN104563670B (zh) 一种自动门锁锁出控制机构
CN203867361U (zh) 一种保险柜前后门互锁机构
US10316577B2 (en) Recessed handle for sliding window and door
KR102352291B1 (ko)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가 있는 자체 잠금식 잠금 장치
KR101890318B1 (ko) 스윙형 래치볼트 조립체
WO2015126163A1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CN103912179A (zh) 一种保险柜前后门互锁机构
AU2021290420B2 (en) A latch assembly
JP6511822B2 (ja) ラッチ装置及び電気錠システム
CN204571580U (zh) 一种扣栓防盗锁副锁点
US20210363799A1 (en) Self-locking lock device with multipoint lock drive
CN203879197U (zh) 一种具有前后门互锁机构的双开门保险柜
IE54456B1 (en) Locks
CN203613894U (zh) 一种自动门锁锁出控制机构
AU2012214107B2 (en) Latch for gates and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