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722A -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가 있는 자체 잠금식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가 있는 자체 잠금식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722A
KR20200066722A KR1020207014373A KR20207014373A KR20200066722A KR 20200066722 A KR20200066722 A KR 20200066722A KR 1020207014373 A KR1020207014373 A KR 1020207014373A KR 20207014373 A KR20207014373 A KR 20207014373A KR 20200066722 A KR20200066722 A KR 20200066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elf
auxiliary latch
driving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2291B1 (ko
Inventor
에버하르트 바르톨디
Original Assignee
엘도마트 이노바티브 지허하이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도마트 이노바티브 지허하이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엘도마트 이노바티브 지허하이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66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8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arrangement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retaining the bolt or latch in the retracted position
    • E05B63/2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arrangement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retaining the bolt or latch in the retracted position released automatically when the wing is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pins engaging slo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7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comprising key-operated locks, e.g. a lock cylinder to drive auxiliary deadbolts or latch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8Details of fastening means or of fixed retaining means for the ends of bars
    • E05C9/1825Fastening means
    • E05C9/1833Fastening means performing sliding movements
    • E05C9/1841Fastening means performing sliding movements perpendicular to actuating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닫힘판(closing plate) 측에서 활성화될 때 자동으로 닫힘(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메인 래치부를 갖는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메인 래치부는 다중 잠금식 드라이브를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래치 장치의 적어도 2개의 보조 래치부는 상기 메인 잠금부와 이격되어 있는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이며,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잠금부를 위한 구동 장치와 상호 작용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구동부는 제1보조 잠금부를 위한 제1구동부와 상호 작용하고, 제2보조 잠금부를 위한 제2구동부와 상호 작용하되,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의 이동은 메인 잠금부의 이동과 동기화된다.

Description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가 있는 자체 잠금식 잠금 장치
본 발명은 트리거부 및 트리거부의 작동이 폐쇄판(closing plate) 측에 있을 때 자동으로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메인 래치부를 갖는 자체 잠금식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인 래치부는 멀티 포인트(multipoint; 다지점) 잠금 드라이브용 구동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는 메인 래치부로부터 공간적 거리에서 하나 이상의 보조 래치부를 갖는 하나 이상의 보조 래치 잠금 장치를 구동하며, 상기 드라이브 요소는 하나 이상의 보조 래치부의 구동 장치와 상호 작용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자체 잠금식 잠금 장치를 위한 보조 래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가 EP 2 956 605 A1에 공지되어 있다. 메인 래치부에는 락킹 바(locking bar)의 가이드 슬릿(guide slit)에 맞물리는 핀(pin)이 있다. 메인 래치부가 폐쇄 위치 또는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 가이드 슬릿은 핀의 이동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된다. 가이드 슬릿이 비스듬히 있어서, 락킹 바는 폐쇄 운동을 하는 동안 한 방향으로, 그리고 개방 운동을 하는 동안 다른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폐쇄 또는 개방 프로세스는 락킹 바의 이동 방향을 반전시킨 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래치부 상에서 개시된다.
이 공지된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의 단점은 폐쇄 프로세스 또는 개방 프로세스 동안 개시되는 한 방향으로의 이동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자동화 된 프로세스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잠금 장치는 부드럽게 작동해야 한다. 또한, 락킹 바는 이들에 대해 폐쇄 프로세스 또는 개방 프로세스에서 각각의 경우에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보조 래치부는 다르게 설계되어야 한다.
다른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는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도어를 닫는 동안, 잠금 장치는 트리거부가 닫힘판 쪽에서 작동되거나 활성화될 때 자동으로 잠그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잠금 장치에 직접 연결된 메인 래치부뿐만 아니라 메인 래치부와 수직 거리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보조 래치부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기 위한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가 종래 기술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들은 실제 메인 잠금이 잠긴 후에, 일상적으로 별도의 잠금 메커니즘을 통해 작동된다. 이러한 이유로 여러 잠금 실린더가 필요하며 다양한 키가 필요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알려진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와 관련하여 다지점 잠금(multipoint lock)을 처리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하고 복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자동 잠금 프로세스에서 멀티 포인트 잠금 동작을 훨씬 더 쉽게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처음에 언급된 종류의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를 추가로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장치(drive device)는 제1구동부(first drive part) 및 제2구동부(second drive part)를 포함하고, 구동부(drive element)는 제1보조 래치부를 위한 제1구동부 및 제2보조래치부를 위한 제2구동부와 상호 작용하고, 제1 및 제2 구동부의 운동은 메인 래치부의 움직임과 동기화된다.
본 발명은 메인 래치부의 잠금이 자동으로 트리거(triggered)될 때 서로 독립적으로 적어도 2개의 다른 보조 래치부를 제어하기 위해서, 잠금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메인 래치부의 대략 수평 이동을 두(2)개의 수직 이동으로 방향 전환시키는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이는 2개의 보조 래치부가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다는 사실에 의해 매우 유리하게 달성된다. 힘은 폐쇄 운동과 개방 운동으로 나뉜다. 또한, 2개의 보조 래치부는 구조적으로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장점은 제1구동부는 제1로킹바를 포함하고, 제2구동부는 제2로킹바를 포함하고, 메인 래치부가 래칭 방향(latching direction)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로킹바는 래칭 방향과 다른 제1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로킹바는 래칭 방향 및 제1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한다.
메인 래치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구조적으로 동일한 보조 래치부는 래칭 방향과 상이한 제1방향 및 래칭 방향 및 제1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의 제1 및 제2전환을 통해 작동 및 이동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로킹바가 종축(longitudinal axis)을 가지며, 가이드 장치가 메인 평면(main plane)에서 종축에 대해 비스듬히 정렬된다는 점이다.
가이드 장치의 경사진 배열은 메인 래치부가 작동 상태에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메인 래치부와 연결된 부착물(attachment)에 의한 수평 이동뿐만 아니라 수직 이동을 유도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가이드 장치가 경사를 가지며, 메인 래치부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빠져 나갈 때, 부착편이 슬로프(slope)를 극복한다는 것이다.
이 실시예는 다음의 설명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대응하며, 구조적으로 실현하기 편리하다.
대안적으로, 가이드 장치는 경사를 가지며, 부착편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메인 래치부의 이동 도중 경사를 극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또한 특정 상황에서 구조적으로 유리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응용에 따라 실시예들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부착편(attachment)이 메인 래치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배치된다는 것이다. 부착편의 위치와 경사(slope)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각각의 보조 래치부의 경로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다른 피스(piece)가 메인 래치부의 상부 가장자리에 배치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 가이드 장치의 연장 및 경사는 또한 각각의 보조 래치부의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경로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다른 피스가 종방향 슬릿에서의 이동으로 인해 이들 모두에 평행하게 안내된다는 점이다. 이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부착편의 양방향으로 확실한 가이드를 보장한다.
마찬가지로, 부착편은 메인평면에 수직인 회전축을 갖는 롤러인 것이 유리하다. 롤러는 가이드 장치의 마찰을 크게 줄인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로킹바가 제2액추에이터 스트랩을 통해 제2보조 래치부와 연결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도어의 상단, 도어의 중간 및 하단에 멀티 포인트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잠금 장치에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포인트 잠금 드라이브가 닫힌 위치에 있는 잠금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a는 도 1의 잠금 장치를 위한 제1구동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b는 도 1의 잠금 장치를 위한 제2구동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개방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포인트 잠금 드라이브를 갖는 잠금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도 2의 잠금 장치를 위한 제1구동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도 2의 잠금 장치를 위한 제2구동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개방된 보조 래치 잠금 장치를 갖는 도 1의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를 갖는 잠금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개방형 보조 래치 잠금 장치를 갖는 도 2의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를 갖는 잠금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는 폐쇄 위치에 있는, 멀티포인트 잠금 드라이브(2)를 갖는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1)로 구성된 어셈블리의 측면 개략도가 도시되어있다. 도 2에는 개방 위치에 있는, 멀티포인트 잠금 드라이브(2)를 갖는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1)로 구성된 어셈블리의 측면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잠금 장치(1)는 도어에 배치되고, 개구부(7)가 형성된 커프 레일(3)에 의해 일측에 접해 있으며, 여기서 메인 래치부(5)는 개구(7)를 통해 래치 방향(RR)으로의 폐쇄 위치로(도 1) 그리고 다시 개방 위치(도 2)로 이동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메인 래치부(5)의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경로(래치 방향 RR)를 나타내고, 그 역도 각각의 화살표로 도시한다.
잠금 장치(1)는 잠금 실린더(9)를 가지며, 이는 잠금 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trigger)데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메인 래치부(5)를 닫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alternative)에서, 잠금 장치(1)는 또한 잠금 실린더(9)가 활성화될 필요없이 자동으로 폐쇄 프로세스 및/또는 개방 프로세스를 트리거하는 전자기 도어 오프너가 제공될 수 있다.
작동에 의해, 제1압축 스프링(12)에 의해 편향된 메인 래치부(5)는 개구(7)를 통해 폐쇄 위치로 이동하여 차단된다.
많은 상황에서, 하나의 메인 래치부(5)로 벽 개구부를 잠그는 문, 창문 또는 기타 부품(component)을 잠그지 말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래치부(additional latch element; 11.1, 11.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보조 잠금 장치(11)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보조 래치부(11.1 및 11.2)를 위한 록킹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s)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리하고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3 및 4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보조 래치부(11.1, 11.2)는 액추에이터 스트랩(actuator strap; 13.1, 13.2)을 통해 제1로킹바(15.1) 또는 제2로킹바(15.2)에 연결된다.
제1로킹바(15.1)는 제1종축(L1) 및 도 1의 리프 레벨(leaf level)과 일치하는 메인평면(H)을 갖는다. 제2로킹바(15.1)는 제2종축(L1) 및 도 1의 리프 레벨(leaf level)과 일치하는 메인평면(H)을 갖는다. 제1로킹바(15.1)는 제1보조 래치 잠금부(11)의 액추에이터 스트랩(13.1)이 결합되는 제1자유단(15.3)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로킹바(15.2)는 제2보조 래치 잠금부(11)의 제2액추에이터 스트랩(13.2)이 결합되는 제2자유단(15.4)을 갖는다. 로킹바와 액츄에이터 스트랩은 서로 직접 맞물리지 않고, 커넥팅로드부에 의해 결합된다(최대 40cm 길이 가능).
또한 각각의 액츄에이터 스트랩은 하나 이상의 보조래치부(11.1, 11.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로킹바(15.1) 및 제2로킹바(15.2)는 도 1 및 도 2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로킹바(15.1)는 제1방향(ER)으로 이동하고, 제2 로킹바(15.2)는 제2방향(ZR)으로 이동하며, 두 방향(ER 및 ZR)은 서로 반대이다. 설치된 상태에서, 이러한 움직임은 대략 수직 방향(위 또는 아래)으로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것은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로킹바(15.1)는 폐쇄 프로세스 동안 위쪽으로(ER) 향하고, 개방 프로세스 동안 아래쪽으로(ZR) 향해 이동하는 반면, 제2로킹바(15.2) 는 폐쇄 프로세스 동안 아래쪽으로(ZR) 동시에 움직이고 개방 프로세스 동안 위쪽으로(ER) 동시에 움직인다.
메인 래치부(5)는 메인 평면 뒤에서 제1 및 제2로킹바(15.1 및 15.2)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한다. 설치된 상태에서, 메인 래치부(5)는 래칭 방향(RR)으로 대략 수평 래칭 운동을 수행하는데, 도면에서 폐쇄 프로세스 동안 좌측으로 이동 및 개방 프로세스 동안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메인 래치부(5)의 관찰자를 향한 측면에는, 구동부(17)가 부착물(attachment) 또는 핀 형태로 설계된다.
잠금 장치(1)는 각각의 보조 래치 잠금 장치(11)를 위한 구동 장치(drive device)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장치는 제1로킹바(15.1)를 갖는 제1구동부(17.1) 및 제2로킹바(17.2)를 갖는 제2구동부(17.2)를 포함한다.
도 1의 잠금 장치(1)에 통합된 제1구동부(17.1)는 도 1a에 개별적으로, 즉 폐쇄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잠금 장치(1)에 통합된 제2구동부(17.2)는 도 1b에 개별적으로, 즉 폐쇄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잠금 장치(1)에 통합된 제1구동부(17.1)는 도 2a에 개별적으로, 즉 개방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잠금 장치(1)에 통합된 제2구동부(17.2)는 도 2b에 개별적으로, 즉 개방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구동부(17.1)는 메인 평면(H)을 갖는 제1로킹바(15.1)를 포함하고, 제2구동부(17.2)는 메인 평면(H)을 갖는 제2로킹바(15.2)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의 2 개의 구동부(drive parts)는 차례로 리프 레벨(leaf level) 또는 메인 평면(H)에 수직으로 뒤에 배열되고, 작동 중에 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2 개의 구동부(17.1 및 17.2)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며, 수평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동되어, 2개의 로킹바(15.1 및 15.2)는 설치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
래치(5)와 연결된 구동부(17)는 또한 메인평면(H)에 수직인 회전축을 갖는 롤러로서 설계 될 수 있다. 구동부(17)는 제1로킹바(15.1)의 제1가이드 장치(19.1) 및 제2로킹 바(15.2)의 제2가이드 장치(19.2)와 맞물린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가이드 장치(19.1 및 19.2)는 각각 오목부이고, 각각의 경우에 메인 평면(H)에서 제1 및 제2종축(L1, L2)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종 방향 슬롯이다. 제1가이드 장치(19.1)와 제1종축(L1) 그리고 제2가이드 장치(19.2)와 제2종축(L2) 사이의 각도는 본 발명에서 규정될 필요는 없지만, 대략 30°에서 50°범위 내에 있다. 또한, 제1종축(L1)에 대한 제1가이드 장치(19.1)의 각도는 제2종축(L2)에 대한 제2가이드 장치(19.2)의 각도와 상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도는 동일하다.
그러나, 종축(L1 및 L2)에 대한 제1가이드 장치(19.1) 및 제2가이드 장치(19.2)의 정렬은 반대로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부(17)에 대한 제1가이드 장치(19.1)의 기울기는 폐쇄 운동 동안(메인 래치부(5)는 왼쪽으로) 양(positive)이고, 개방 운동 동안(메인 래치부(5)는 오른쪽으로) 음(negative)이다. 반대로, 구동부(17)에 대한 제2가이드 장치(19.2)의 기울기는 폐쇄 운동 동안(메인 래치부(5) 왼쪽으로) 음(negative)이고, 개방 운동 동안(메인 래치부(5) 오른쪽으로) 양(positive) 이다.
종방향 슬릿으로 설계된 제1가이드 장치(19.1)는 2개의 평행한 제1길이 방향 엣지를 가지며, 종방향 슬릿으로서 설계된 제2가이드 장치(19.2)는 2개의 평행한 제1길이 방향 엣지를 갖는다. 구동부(17)는 종방향 슬릿(19.1 및 19.2)의 제1길이 방향 엣지 및 제2길이 방향 엣지에서 각각 안내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가이드 장치(19.1) 및 제2가이드 장치(19.2)는 또한 다르게, 또는 심지어 완전히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가이드 장치(19.1 및 19.2)가 동일하지 않게 설계되고, 이들의 종축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부(17)에 대한 제1가이드 장치(19.1)는 도시된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 (화살표 방향) (구동부가 물러나고 아래쪽으로 이동)로의 경로에서 양의 기울기를 생성하며, 구동부(17)는 이 경로를 극복하고, 구동부(17)에 대한 제2구동 장치(19.2)는 도시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 (화살표 방향) (구동부가 물러나고 위로 이동됨)로의 경로에서 음의 기울기를 생성하며, 구동부(17)는 이 경로를 극복한다.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경로에서, 소정의 가이드 경로로 인해 구동부(17)와 각각의 제1가이드장치(19.1) 및 제2가이드장치(19.2) 사이에서 상대 이동이 발생한다. 제1 및 제2가이드 장치(19.1, 19.2)의 음 및 양 기울기는 메인 래치부(5)의 수평 이동(래치 방향 RR)에 기초하여 극복되고, 각각의 경우에 제1로킹바(15.1)를 수직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제2로킹바(15.2)를 수직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이드 장치(19.1 또는 19.2)에 의해 회피가 가능하다.
도 1a는 종축(L1)을 갖는 제1구동부(17.1)의 상세도를 제공한다. 도 1b에서, 종축(L2)을 갖는 제2구동부(17.2)는 제1구동부(17.1)에 대하여 좌측으로 측방향으로 이동하지만, 도 1에 도시된 2개의 구동부가 서로 겹쳐져, 서로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제1로킹바(15.1)는 제1보조 래치 잠금 장치(11)와 기계적 연결이 되도록 설계된 제1자유단(15.3)을 갖는다. 제1자유단(15.3)은 제1로킹바(15.1)보다 훨씬 좁은 메인 평면(H)에 형성된다. 제1로킹바(15.1)는 약 두 배 넓어진다. 이 영역에서, 제 1 가이드 장치(19.1)는 제1로킹바(15.1)에서 이미 설명된 방식으로 길이방향 슬릿으로 설계된다. 가이드 장치(19.1)는 제1종축(L1)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열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 하단에서 우측 상단으로 연장된다. 제2로킹바(15.2)는 제2보조 래치 잠금 장치(11)와의 기계적 연결이 되도록 설계된 제2자유단(15.4)을 갖는다. 제2자유단(15.4)은 마찬가지로 제2로킹바(15.2)보다 메인 평면(H)에서 설계상 훨씬 좁다. 제2로킹바(15.2)는 약 두 배로 넓어진다. 이 영역에서, 제2가이드 장치(19.2)는 제2로킹바(15.2)에서 이미 설명된 방식으로 길이방향 슬릿으로 설계된다. 제2가이드 장치(19.2)는 제2종축(L2)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열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연장된다.
도 2a 및 도 2b의 제1구동부(17.1) 및 제2구동부(17.2)는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서로 관련되어 있지만, 개방 위치, 즉,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양쪽 구동부가 더 큰 조각으로 겹친다.
도 3은 2 개의 보조 래치 잠금 장치(11)가 열린 상태로 도시되었다. 두 개의 보조 래치 잠금 장치(11)는 구조적으로 동일하고, 미러 반전(mirror inverted) 방식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도 3의 상부 보조 래치 잠금 장치(11)만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부 보조 래치 잠금 장치(11)는 제1보조 래치 잠금부(11.1)를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래치부(5)는 닫힌 위치에 있다. 제1보조 래치 잠금부(11.1)는 보조 래치 잠금부(11.1)와 연결된 보조 래치 구동부(14) 및 제1보조 래치 가이드 장치(16.1)를 통해 보조 래치 구동부(25)와 연결된다. 액츄에이터 스트랩(13.1 및 15.3)은 서로 직접 맞물리지 않지만, 커넥팅 로드 요소(최대 40cm 길이)에 의해 결합된다.
보조 래치 구동부(25)는 구동부(15.1)의 제1자유단(15.3)과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스트랩(13.1)을 일 자유단부에 갖는다. 또한 제1보조 래치 가이드 장치(16.1)는 제1가이드 장치(19.1)에 따라 정렬되는 길이방향 슬릿(longitudinal slit)이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에 대한 각도는 제1가이드 장치(19.1)의 대응되는 각도와 또한 동일하다. 그러나, 이것은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그러할 필요는 없다. 보조 래치 잠금 요소(11.1)의 거리에 따라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전체가 작동되도록, 보조 래치 구동부(14)는 상단에서 제1보조 래치 가이드 장치(16.1)와, 하단에서 하우징 바닥에 형성된 수평 제2보조 래치 가이드 장치(16.2)와 맞물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조 래치 부분(25)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15.3에 연결되고, 구동부(15.1)를 갖는 연결부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 구동된다.
수평적 개방 운동 동안, 보조 래치 구동부(25)는 도 4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 아래로 이동하고, 도 4의 개방 위치가 될 때까지 제1구동부(15.1)와 함께 하향 이동해야한다. 이어서, 도 4의 보조 래치 구동부(14)는 제1보조 래치 가이드 장치 (16.1)의 다른 상단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도 4의 개방 위치로부터 도 3의 폐쇄 위치로 수평 폐쇄 운동에 의해 프로세스는 역전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폐쇄 운동 또는 개방 운동은 반드시 수평으로 일어날 필요는 없다. 각각의 잠금 요소는 다른 방향 (예를 들어, 수직에 대해 90 °보다 크거나 작음), 심지어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원칙은 항상 동일하다.
1 잠금 장치
2 멀티포인트 잠금 드라이브
3 커프 레일
5 메인 래치부
7 개구
9 잠금 실린더
11 보조 래치 잠금 장치
11.1 제1보조 잠금부
11.2 제2보조 잠금부
12 압축 스프링
13.1 액츄에이터 스트랩
13.2 액츄에이터 스트랩
14 보조 래치 구동부
15.1 제1로킹바
15.2 제2로킹바
15.3 제1자유단
15.4 제2자유단
16.1 제1보조래치 가이드장치
16.2 제2보조래치가이드장치
17 구동부/부착물
17.1 제1구동부
17.2 제2구동부
17.3 회전축, 롤러
19.1 제1가이드장치
19.2 제2가이드장치
25 보조 래치 구동부
L1 제1종축
L2 제2종축
H 메인평면
RR 래치 방향
ER 제1방향
ZR 제2방향

Claims (14)

  1. 닫힘판(closing plate)쪽에서 활성화될 때 자동적으로 닫힘 위치로 이동하는 메인 래치부(5)를 갖는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래치부(5)는 상기 메인 래치부(5)로부터 공간적 거리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래치 장치(11)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 래치부(11.1; 11,2)를 구동하는 멀티포인트 잠금 드라이브(2)를 위한 구동부(17)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17)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보조 래치부(11.1; 11.2)를 위한 구동장치(17.1, 17.2)와 상호 작용하되,
    상기 구동 장치는 제1구동장치(17.1) 및 제2구동장치(17.2)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17)는 제1보조잠금부(11.1)를 위한 제1구동장치(17.1) 및 제2보조잠금부(11.2)를 위한 제2구동장치(17.2)와 상호 작용하며, 제1구동장치(17.1)와 제2구동장치(17.2)의 움직임은 메인래치부(5)의 움직임과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
  2. 제 1 항에 따른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1)에 있어서,
    제1구동장치(17.1)는 제1로킹바(15.1)를 포함하고, 제2구동부(17.2)는 제2 로킹바(15.2)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래치부(5)가 래칭 방향(RR)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로킹바(15.1)는 래칭 방향(RR)과 다른 제1방향(ER)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로킹바(15.2)는 래칭 방향(RR)과 다른 방향(ZR)으로 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1로킹바(15.1)는 제1가이드장치(19.1)를 포함하고, 제2로킹바(15.2)는 제2가이드장치(19.2)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17)는 제1가이드 장치(19.1) 및 제2 가이드 장치(19.2)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
  4. 제3항에 따른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1로킹바(15.1)는 제1종축(L1)을 가지며, 상기 제1가이드장치(19.1)는 상기 제1종축(L1)에 대해 경사지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른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2로킹바(15.2)는 제2종축(L2)을 가지며, 상기 제2가이드장치(19.2)는 상기 제2종축(L2)에 대해 경사지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장치(19.1)는 제1경사를 가지며, 상기 제2가이드장치(19.2)는 제2경사를 가지되, 상기 제1경사는 상기 제2경사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장치(19.1) 및 제2가이드장치(19.2)는 각각 2 개의 평행한 길이방향 엣지(19.3, 19.4)를 갖는 종방향 슬릿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7)는 종방향 슬릿 내에서 이동할 때, 평행한 상기 길이방향 엣지(19.3, 19.4)에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7)는 메인 평면(H)에 수직인 회전축(17.3)을 갖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
  10. 제1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멀티포인트 잠금 드라이브(2)는 제 1 액추에이터 스트랩(13.1)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보조 래치부(11.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2)는 제2액추에이터 스트랩(13.2)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보조 래치부(11.2)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 잠금식 잠금 장치(1)를 위한 보조 래치장치(1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보조 래치부(11.1; 11.2)는 보조 래치 구동부(25)의 보조 래치 가이드 장치(16.1)와 상호 작용하는 보조 래치 구동부(14)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래치 구동부(25)의 움직임을 상기 보조 래치 구동부(14)의 음직임과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래치장치.
  13. 제12항에 따른 보조 래치 장치(11)에 있어서,
    상기 보조 래치 가이드 장치(16.1; 16.2)는 상기 보조 래치 구동부(25)가 이동할 때, 상기 보조 래치 구동부(14)에 대한 기울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래치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따른 보조 래치장치(11)에 있어서,
    상기 보조 래치 가이드 장치(16.1; 16.2)는 2개의 평행한 종 방향 엣지를 갖는 길이 방향 슬릿으로 설계되고, 보조 래치 구동부(21)는 평행한 두 개의 엣지에서 종방향 슬릿으로 이동을 안내하는 보조 래치장치.
KR1020207014373A 2017-11-08 2018-10-26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가 있는 자체 잠금식 잠금 장치 KR102352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7001831.1 2017-11-08
DE102017001831 2017-11-08
PCT/EP2018/000491 WO2019091594A1 (de) 2017-11-08 2018-10-26 Selbstverriegelnde schliessvorrichtung mit mehrfachverriegelungsantrie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722A true KR20200066722A (ko) 2020-06-10
KR102352291B1 KR102352291B1 (ko) 2022-01-14

Family

ID=6643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373A KR102352291B1 (ko) 2017-11-08 2018-10-26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가 있는 자체 잠금식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52291B1 (ko)
CN (1) CN111566298A (ko)
WO (1) WO201909159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47655Y (zh) * 2008-10-23 2009-11-18 李爱国 一种自动上栓并方便开锁、控锁的防盗锁
KR101473632B1 (ko) * 2013-09-24 2014-12-17 주식회사 선일 금고 도어의 비상제어방법 및 금고 도어의 비상 개방장치
KR101762715B1 (ko) * 2012-08-01 2017-07-28 엘도마트 이노바티브 지허하이트 게엠베하 다중 록킹 구동부를 가지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85301Y (zh) * 1994-03-10 1994-12-14 白剑文 五联防盗锁
CN2375726Y (zh) * 1999-01-22 2000-04-26 深圳市西木实业有限公司 可更换锁芯的多点锁闭装置
CN2377311Y (zh) * 1999-05-22 2000-05-10 惠州市华日门业有限公司 滑槽式同步三向防盗锁
AU2002227137A1 (en) * 2000-10-19 2002-04-29 Truth Hardware Corporation Multipoint lock system
LU90671B1 (fr) * 2000-11-06 2002-05-07 Intellectual Trade Cy Sa Serrure de s-curit- - plusieurs points de verrouillage
US7526933B2 (en) * 2006-10-18 2009-05-05 Master Lock Company Llc Multipoint door lock
CN201110047Y (zh) * 2007-11-12 2008-09-03 陈家辉 电动门锁
DE202011102905U1 (de) * 2011-07-06 2012-10-11 Maco Technologie Gmbh Schlo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47655Y (zh) * 2008-10-23 2009-11-18 李爱国 一种自动上栓并方便开锁、控锁的防盗锁
KR101762715B1 (ko) * 2012-08-01 2017-07-28 엘도마트 이노바티브 지허하이트 게엠베하 다중 록킹 구동부를 가지는 셀프 록킹 폐쇄 디바이스
KR101473632B1 (ko) * 2013-09-24 2014-12-17 주식회사 선일 금고 도어의 비상제어방법 및 금고 도어의 비상 개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1594A1 (de) 2019-05-16
CN111566298A (zh) 2020-08-21
KR102352291B1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0699A (en) Electric strike for fail safe or fail secure operation
CN104903526B (zh) 包括多点锁定驱动器的自锁闭合装置
US20050246979A1 (en) Corner transmission assembly for safety against improper operations for metallic window and door frames with swivel wing
CN108118986B (zh) 门窗
KR20180125146A (ko)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US20170314299A1 (en) Universal door lock-driving assembly
US20190203509A1 (en) Lock device
EP1739256B1 (en) Retractable strike for panic locks
KR101070954B1 (ko)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용 창문개폐모듈
EP1764469A1 (en) Motor-driven window unit with hinged opening
CN110353424B (zh) 滑轨总成
KR102147697B1 (ko) 적어도 리프팅 되며,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
KR20200066722A (ko)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가 있는 자체 잠금식 잠금 장치
US5752727A (en) Drive-rod type drive mechanism
US20070075551A1 (en) Anti-panic control device for doors
KR101674167B1 (ko) 무전원 방식 양방향 구동 모티스
US20210363799A1 (en) Self-locking lock device with multipoint lock drive
EP3130730B1 (en) Safety catch release mechanism
US4856830A (en) Door blocking device
KR101242448B1 (ko) 슬라이드식 창문용 개폐기
US3305971A (en) Lock for awning-type windows
CN109854620B (zh) 滑轨总成及其滑轨套件
CN112443200B (zh) 门锁的推拉模块
KR102242072B1 (ko) 핸들 일체형 창호 잠금장치
AU2015249038B2 (en) Locking device having a lock bolt adjust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