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605B1 - 비수술적으로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비수술적으로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605B1
KR101762605B1 KR1020170061000A KR20170061000A KR101762605B1 KR 101762605 B1 KR101762605 B1 KR 101762605B1 KR 1020170061000 A KR1020170061000 A KR 1020170061000A KR 20170061000 A KR20170061000 A KR 20170061000A KR 101762605 B1 KR101762605 B1 KR 101762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iniscrew
bonding pad
molar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이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희 filed Critical 이태희
Priority to KR1020170061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는 구강의 내부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어금니 측으로 교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좌우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어금니의 측면에 부착되며 판면이 굴곡진 판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본딩패드와, 상기 복수의 본딩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딩패드를 연결하며 소정 각도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중앙 영역에 상기 와이어와 일체로 굴곡지게 형성된 루프와, 상기 와이어 상에 상기 와이어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복수의 후크와,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가 상기 본딩패드와 상호 결찰되도록 상기 와이어와 상기 본딩패드를 연결하는 결찰부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구강의 내부에 식립되는 단일개의 미니스크류; 상기 후크와 상기 미니스크류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어금니 측으로 교정력을 가하는 파워체인을; 포함함으로써,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어금니와 어금니 사이에 설치되어 어금니 측으로 교정력을 가하여 개방교합 상태의 치아를 교정시에 단일개의 미니스크류를 사용하여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술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니스크류에 단일개나 혹은 복수개의 파워체인이 체결된 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교정력을 어금니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아가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교정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수술적으로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교정장치{An orthodontic appliance for treating malocclusion unsurgically}
본 발명은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양측 어금니에 상하 교정력을 인가하기 위한 기구를 연결하여 개방 교합 상태의 치아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방교합이란 치아가 맞물리는 중심교합 상태에서, 상하악 치아 간에 접촉이 결여되어 치아 사이 공간이 발생하는 부정교합을 말한다.
이러한 개방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치료 방법들이 수년에 걸쳐 제안되어져 왔고, 기능적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서부터 치열교정용 치료를 사용하는 것까지의 범위를 이루고 있다. 현재 치료 방법들과 관련된 결점은 다음과 같다.
수술의 경우에 신속한 교정을 가져오지만 매우 침습적(invasive)이고, 많은 환자에게 바람직한 선택이 아니며, 고정된 장치를 사용하여 전치를 밀어내는 방법은 심미적이지 않고 불안정한 결과를 가져온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능적 장치를 사용하여 전치가 지속적으로 튀어나오는(eruption) 동안 후치의 수직 위치를 유지하는 후치 교합 블록(block) 또는 헤드기어(headgear)의 경우에는 환자의 동의 및 환자의 성장에 따라 결과가 달려있고, 성인 환자에게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의 장치 및 기술 보다 덜 침습적이고 보다 안정한 방식으로 전치 개방-교합을 교정하는 교정장치가 요구된다.
도 1은 종래의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가 구강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사용되는 미니스크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미니스크류에 복수의 파워체인이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는, 구강의 내부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어금니 측으로 교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어금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밴드(11)와, 상기 밴드(1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밴드(11)를 연결하는 와이어(12)와, 상기 와이어(12)에 탄성을 부여하도록 상기 와이어(12)의 중앙 영역에 상기 와이어(12)와 일체로 굴곡지게 형성된 루프(13)와, 상기 와이어(12) 상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후크(14)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상기 구강의 내부에 식립되는 복수의 미니스크류(20)와, 상기 후크(14)와 상기 미니스크류(20)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어금니 측으로 교정력을 가하는 파워체인(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개방교합 교정장치를 구성하는 본체(10)는 크게 밴드(11), 와이어(12), 루프(13) 및 후크(14)로 구성되어 개방교합 상태의 치아가 교정될 수 있도록 한다.
밴드(11)는 교정력을 가하여 교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어금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부재로서, 구강 양측의 어금니를 각각 감쌀 수 있도록 상호 대향되게 복수로 구비되어 있다.
와이어(12)는 밴드(11)와 밴드(11)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밴드(11)와 밴드(11)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와이어(12)의 중앙 영역에는 와이어(12)와 일체로 형성되는 루프(13)가 구비되어 있다.
루프(13)는 치아의 교정이 진행되면서 와이어(12)가 미니스크류(20)와 접촉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굴곡지게 형성되는 부재이다.
후크(14)는 와이어(12) 상에 일정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미니스크류(20)와 후크(14) 사이에 파워체인(3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미니스크류(20)는 구강의 내측에 식립되어 후크(14)와 미니스크류(20) 사이에 파워체인(30)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어금니 측으로 교정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미니스크류(20)는 외면에 스크류가 형성되며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구강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스크류부(21)와, 스크류부(21)의 단부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파워체인(30)이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부재(22)와, 스크류부(21)와 걸림부재(22) 사이에 설치되어 스크류부(21)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육각부재(23)로 이루어진다.
걸림부재(22)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단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걸림부재(22)에 걸림되는 파워체인(3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워체인(30)은 일단이 후크(14)에 걸림되고 타단이 미니스크류(320)에 걸림되어 어금니 측으로 교정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후크(14)와 미니스크류(30) 사이에 체결된 상태에서 장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는 어금니를 밴드(11)로 완전히 감싸야 하기 때문에 시술시 난이도가 높으며, 파워체인(30) 등을 걸어주려 해도 미니스크류(20)에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양측으로 파워체인(30)을 걸어주려면 복수의 미니스크류(20)를 식립해야 하므로 시술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미니스크류(20)에 복수의 파워체인(30)을 걸게 되는 경우에 미니스크류(20)에 구비된 걸림부재(22)가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게 때문에 파워체인(30)이 미니스크류(20)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며. 이로 인하여 지속적인 교정력을 치아 측으로 가하지 못할 경우에 치아의 정확한 교정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85618호, "치열교정용 전치 개방교합 스플린트" 문헌 2. 미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US 04815972, "Dental intrusion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어금니와 어금니 사이에 설치되어 어금니 측으로 교정력을 가하여 개방교합 상태의 치아를 교정시에 단일개의 미니스크류를 사용하여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술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니스크류에 단일개나 혹은 복수개의 파워체인이 체결된 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교정력을 어금니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아가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교정되도록 할 수 있는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는 구강의 내부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어금니 측으로 교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좌우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어금니의 측면에 부착되며 판면이 굴곡진 판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본딩패드와, 상기 복수의 본딩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딩패드를 연결하며 소정 각도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중앙 영역에 상기 와이어와 일체로 굴곡지게 형성된 루프와, 상기 와이어 상에 상기 와이어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복수의 후크와,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가 상기 본딩패드와 상호 결찰되도록 상기 와이어와 상기 본딩패드를 연결하는 결찰부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구강의 내부에 식립되는 단일개의 미니스크류; 상기 후크와 상기 미니스크류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어금니 측으로 교정력을 가하는 파워체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니스크류는 상기 구강의 내측으로 식립되며 외면에 스크류가 형성된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의 단부에 양측 단부가 하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T'자 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파워체인이 체결되는 걸쇠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하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상기 걸쇠부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걸쇠부의 중앙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워체인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쇠부 상면의 모서리는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스크류부의 단부와 상기 걸쇠부 사이에는 상기 미니스크류를 상기 구강의 내부에 식립시에 육각 렌치로 조일 수 있도록 하는 육각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육각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쇠부의 폭은 상기 육각부재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결찰부는 일측이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접합되고, 타측 양단에 걸림뭉치가 형성되어 상기 본딩패드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딩패드와 상호 결찰되도록 하는 결찰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딩패드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걸림뭉치가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본딩패드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걸림뭉치가 삽입된 상기 삽입홈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별도의 차폐커버가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결찰부재가 상기 와이어 및 상기 본딩패드와 상호 연결되는 영역은 커팅이 용이하도록 다른 영역보다 굵기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어금니와 어금니 사이에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를 설치하여 개방교합 상태의 치아를 교정시에 단일개의 미니스크류를 사용하여 교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술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강의 내부에 식립된 단일개의 미니스크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워체인이 체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교정력이 치아 측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인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 구강의 내부에 시술시에 본딩패드가 치아의 설측 측면에 본딩방식에 의하여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치열의 교정을 위한 브라켓이 치아 표면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도 개방교합 교정을 추가하고 싶다면 어금니의 내측면에 본딩패드를 추가로 본딩하여 시술이 가능하기 때문에 치열의 교정과 개방교합 교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치아에 본딩하는 와이어 파트와 미니스크류와의 전후 관계를 조절하여, 상악 구치부에 후방 혹은 전방으로의 교정력을 가함으로써 상하치열 전후관계를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가 구강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사용되는 미니스크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미니스크류에 복수의 파워체인이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가 구강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사용되는 미니스크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미니스크류를 상측에서 내려다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미니스크류에 파워체인이 설치된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도 4의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의 결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에 의하여 치아가 교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가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가 구강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사용되는 미니스크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미니스크류를 상측에서 내려다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미니스크류에 파워체인이 설치된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도 4의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의 결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에 의하여 치아가 교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는, 구강의 내부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어금니 측으로 교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좌우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어금니의 측면에 부착되며 판면이 굴곡진 판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본딩패드(110)와, 상기 복수의 본딩패드(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딩패드(110)를 연결하며 소정 각도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와이어(120)와, 상기 와이어(120)의 중앙 영역에 상기 와이어(120)와 일체로 굴곡지게 형성된 루프(130)와, 상기 와이어(120) 상에 상기 와이어(120)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복수의 후크(140)와, 상기 와이어(120)의 양단부가 상기 본딩패드(110)와 상호 결찰되도록 상기 와이어(120)와 상기 본딩패드(110)를 연결하는 결찰부(150)로 이루어지는 본체(100)와, 상기 구강의 내부에 식립되는 단일개의 미니스크류(200)와, 상기 후크(140)와 상기 미니스크류(200)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어금니 측으로 교정력을 가하는 파워체인(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크게 본딩패드(110), 와이어(120), 루프(130), 후크(140) 및 결찰부(150)로 구성되어 개방교합 상태의 치아가 교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딩패드(110)는 교정력을 가하여 교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어금니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호 대향되게 복수로 구비되어 있으며, 어금니의 측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어금니에 본딩될 수 있도록 판면이 굴곡지게 형성된 판상의 부재이다.
종래의 밴드(11)가 교정 대상이 되는 치아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반면에 이러한 본 발명의 본딩패드(110)는 교정 대상이 되는 치아의 내측에 부착되는 형태이므로 치열의 교정을 위한 브라켓이 치아 표면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도 개방교합 교정을 추가하고 싶다면 어금니의 내측면에 본딩패드(110)를 붙이면 되기 때문에 치열의 교정과 개방교합 교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결찰부(150)와 연결되는 본딩패드(110)의 일측에는 결찰부(150)를 이루는 결찰부재(151)에 형성된 걸림뭉치(151a)가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삽입홈(111)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딩패드(110)의 일측에는 걸림뭉치(151a)가 삽입된 삽입홈(111)을 외부와 차폐시킴으로서 걸림뭉치(151a)가 삽입홈(111)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폐커버(112)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와이어(120)는 본딩패드(110)와 본딩패드(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본딩패드(110)와 본딩패드(110) 사이의 이격거리가 유지된 상태로 연결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와이어(120)의 중앙 영역에는 와이어(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루프(13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120)는 탄성이 없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구강 내부 양측에 배치된 교정 대상이 되는 어금니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수평벡터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1.0 mm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130)는 치아의 교정이 진행되면서 와이어(12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미니스크류(200)와 접촉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방 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굴곡지게 형성되는 부재이다.
따라서, 루프(130)가 굴곡진 방향은 미니스크류(200)가 배치된 위치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후크(140)는 와이어(120) 상에 일정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미니스크류(200)와 후크(140) 사이에 파워체인(30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로서, 치아에 가해야 하는 교정력의 방향에 따라 후크(140)가 와이어(120) 상에 배치되는 위치나 혹은 후크(140)가 와이어(120)가 이루는 각도가 결정되도록 한다.
후크(140)의 단부는 굴곡지게 형성되며 다른 영역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후크(140)에 설치되는 파워체인(300)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찰부(150)는 일측이 와이어(120)의 단부에 접합되고, 타측 양단에 걸림뭉치(151a)가 형성되어 본딩패드(110)에 형성된 삽입홈(111)에 삽입됨으로써 본딩패드(110)와 상호 결찰되도록 하는 결찰부재(151)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찰부재(151)가 와이어(120) 및 본딩패드(110)와 상호 연결되는 영역은 커팅이 용이하도록 다른 영역보다 굵기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를 갖는 결찰부재(151)가 구비됨으로 인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와이어(120)와 본딩패드(110)를 결찰부재(151)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본체(100)의 형상을 변경하여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의 형태에 맞도록 본체(100)를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미니스크류(200)는 구강의 내측에 식립되어 후크(140)와 미니스크류(200) 사이에 파워체인(300)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어금니 측으로 교정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미니스크류(200)는 외면에 스크류(211)가 형성되며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구강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스크류부(210)와, 스크류부(210)의 단부에 양측 단부가 하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T'자 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파워체인(300)이 체결되는 걸쇠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크류부(210)는 구강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미니스크류(2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부재로서, 그 외면에는 미니스크류(200)의 회전에 의하여 구상의 내측으로 스크류부(210)가 삽입되도록 하는 스크류(21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류부(210)의 단부는 구강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미니스크류(200)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걸쇠부(220)는 상면이 직사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장방변이 일측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방향성을 부가하여 후크(140)와 걸쇠부(220) 사이에 파워체인(300)이 정확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쇠부(220)에 단일개의 파워체인(300)이 걸리도록 하는 경우에는 걸쇠부(220)의 중앙 영역에 파워체인(300)이 체결되도록 하고, 복수의 파워체인(300)이 걸리도록 하는 경우에는 걸쇠부(220)의 중앙 영역에 복수의 파워체인(300)이 교차되는 형태로 체결되도록 하여 파워체인(3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하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걸쇠부(220)의 양측 단부에는 걸쇠부(220)의 중앙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파워체인(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재(2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쇠부(220)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 단부가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걸쇠부(220)의 양단부는 중앙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스크류부(210)의 상면에 더욱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파워체인(300)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리고, 걸쇠부(220) 상면의 모서리는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미니스크류(200)가 식립된 후 교정환자가 이물감을 적게 느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부(210)의 단부와 걸쇠부(220) 사이에는 미니스크류(200)를 상기 구강의 내부에 식립시에 육각 렌치로 조일 수 있도록 하는 육각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육각부재(230)가 형성되어 있다.
삭제
육각부재(230)의 상면 모서리도 걸쇠부(220)와 마찬가지로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교정자가 이물감을 적게 느끼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걸쇠부(220)의 폭은 육각부재(23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육각 렌치를 육각부재(230)의 외면에 삽입시에 걸쇠부(220)와 육각 렌치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파워체인(300)은 일단이 후크(140)에 걸림되고 타단이 미니스크류(300)에 걸림되어 어금니 측으로 교정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후크(140)와 미니스크류(300) 사이에 체결된 상태에서 장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은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를 이용하여 개방교합 치아를 교정하는 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개방교합 치아의 교정을 위하여 상방으로 이동이 요구되는 어금니를 선택한 후에 각각의 어금니의 설측 측면에 본딩패드(110)를 본딩시키는 작업을 진행한다.
본딩패드(110)의 본딩 작업이 완료되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어금니와 어금니 사이에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를 구성하는 본체(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구강의 내부 일측에 미니스크류(200)가 식립되도록 한다.
그리고, 미니스크류(200)의 식립이 완료되면 와이어(120)에 돌출 구비된 후크(140)와 미니스크류(200) 사이에 파워체인(300)을 걸어서 교정력이 지속적으로 어금니 측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여기서, 후크(140)와 미니스크류(200) 사이에 체결된 파워체인(300)에 의하여 발생되는 복합적인 상기 교정력을 벡터로 구분해 보면, 상방(두개골측)으로 향하는 수직벡터와, 구강의 중앙으로 향하는 수평벡터와, 목구멍을 향하는 후방벡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수직벡터에 의하여 본딩패드(110)가 본딩된 어금니 4개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하악의 어금니와 맞물리는 위치가 위쪽으로 옮겨지게 되므로 아래턱이 전상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하악의 앞니가 더 위쪽으로 올라가게 되므로 개방 교합이 해소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벡터는 양측 어금니를 중앙으로 끌어당기는 벡터인데, 이 힘은 와이어(120)로 인한 본딩패드(110) 사이의 이격거리가 유지되도록 지탱하는 힘에 의하여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상악과 하악에 배치된 어금니의 교합이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후방벡터의 경우에는 어금니를 목구멍 쪽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면 부여하고, 필요가 없다면 후크(140)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부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개방 교합 치아의 교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치아교정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00 : 본체 110 : 본딩패드
111 : 삽입홈 112 : 차폐커버
120 : 와이어 130 : 루프
140 : 후크 150 : 결찰부
151 : 결찰부재 151a : 걸림뭉치
200 : 미니스크류 210 : 스크류부
220 : 걸쇠부 221 : 돌출부재
230 : 육각부재 300 : 파워체인

Claims (9)

  1. 구강의 내부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어금니 측으로 교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좌우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어금니의 측면에 부착되며 판면이 굴곡진 판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본딩패드(110)와, 상기 복수의 본딩패드(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딩패드(110)를 연결하며 소정 각도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와이어(120)와, 상기 와이어(120)의 중앙 영역에 상기 와이어(120)와 일체로 굴곡지게 형성된 루프(130)와, 상기 와이어(120) 상에 상기 와이어(120)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복수의 후크(140)와, 상기 와이어(120)의 양단부가 상기 본딩패드(110)와 상호 결찰되도록 상기 와이어(120)와 상기 본딩패드(110)를 연결하는 결찰부(150)로 이루어지는 본체(100);
    상기 구강의 내부에 식립되는 단일개의 미니스크류(200);
    상기 후크(140)와 상기 미니스크류(200)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어금니 측으로 교정력을 가하는 파워체인(300);
    을 포함하며,
    상기 결찰부(150)는 일측이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접합되고, 타측 양단에 걸림뭉치(151a)가 형성되어 상기 본딩패드(110)에 형성된 삽입홈(1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딩패드(110)와 상호 결찰되도록 하는 결찰부재(151)로 구성된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스크류(200)는 상기 구강의 내측으로 식립되며 외면에 스크류가 형성된 스크류부(210)와, 상기 스크류부(210)의 단부에 양측 단부가 하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T'자 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파워체인(300)이 체결되는 걸쇠부(220)를 포함한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하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상기 걸쇠부(22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걸쇠부(220)의 중앙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워체인(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재(221)가 형성된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220) 상면의 모서리는 굴곡지게 형성된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210)의 단부와 상기 걸쇠부(220) 사이에는 상기 미니스크류(200)를 상기 구강의 내부에 식립시에 육각 렌치로 조일 수 있도록 하는 육각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육각부재(230)가 형성된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220)의 폭은 상기 육각부재(23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패드(110)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홈(111)에 삽입된 상기 걸림뭉치(151a)가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본딩패드(11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걸림뭉치(151a)가 삽입된 상기 삽입홈(111)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별도의 차폐커버(112)가 구비된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찰부재(151)가 상기 와이어(120) 및 상기 본딩패드(110)와 상호 연결되는 영역은 커팅이 용이하도록 다른 영역보다 굵기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개방교합 치아 교정장치.
KR1020170061000A 2017-05-17 2017-05-17 비수술적으로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교정장치 KR101762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000A KR101762605B1 (ko) 2017-05-17 2017-05-17 비수술적으로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000A KR101762605B1 (ko) 2017-05-17 2017-05-17 비수술적으로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605B1 true KR101762605B1 (ko) 2017-07-28

Family

ID=5942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000A KR101762605B1 (ko) 2017-05-17 2017-05-17 비수술적으로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924A (ko) * 2020-02-07 2021-08-18 주식회사 뷰티스 치열 교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540B1 (ko) * 2006-02-28 2007-01-25 김종완 치열교정용 스크류
KR101268646B1 (ko) * 2012-11-15 2013-05-29 이철규 구개장치
WO2017070799A1 (en) 2015-10-29 2017-05-04 Orthoarm Inc. Orthodontic bracket with sliding molar distaliz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540B1 (ko) * 2006-02-28 2007-01-25 김종완 치열교정용 스크류
KR101268646B1 (ko) * 2012-11-15 2013-05-29 이철규 구개장치
WO2017070799A1 (en) 2015-10-29 2017-05-04 Orthoarm Inc. Orthodontic bracket with sliding molar distaliz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924A (ko) * 2020-02-07 2021-08-18 주식회사 뷰티스 치열 교정 장치
KR102370004B1 (ko) 2020-02-07 2022-03-03 주식회사 뷰티스 치열 교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966B1 (ko) 치열교정장치
US8662889B2 (en) Arch bars for use in maxillofacial surgery and orthodontics
KR101723674B1 (ko) 설측 교정 시스템
US4639219A (en) Surgical ball hooks
JP4555375B2 (ja) 舌側ブラケット
RU246772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ортодонт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KR20090085618A (ko) 치열교정용 전치 개방-교합 스플린트
JPH0371896B2 (ko)
KR101268646B1 (ko) 구개장치
JP6916908B2 (ja) 上下顎固定装置
US11654000B2 (en) Anteroposterior correction devices
KR101137926B1 (ko) 치열교정용 협측고정구
KR102209805B1 (ko)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US2705367A (en) Orthodontic appliance
KR100676130B1 (ko)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
US20100143855A1 (en) Orthodontic anterior open-bite splint
US6135767A (en) Spring loop re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762605B1 (ko) 비수술적으로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교정장치
CA2477352C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US20050130094A1 (en) Orthodontic accessory arch bar
KR101851106B1 (ko) 설측용 치열 교정장치
US4337036A (en) Orthopedic pressure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elopment of the maxillary bone
KR101894039B1 (ko)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KR101888990B1 (ko)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KR101156864B1 (ko) 교합평면의 기울어짐을 교정하는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과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