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432B1 - 액체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432B1
KR101762432B1 KR1020160012377A KR20160012377A KR101762432B1 KR 101762432 B1 KR101762432 B1 KR 101762432B1 KR 1020160012377 A KR1020160012377 A KR 1020160012377A KR 20160012377 A KR20160012377 A KR 20160012377A KR 101762432 B1 KR101762432 B1 KR 101762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se
groove
coupled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범
Original Assignee
이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범 filed Critical 이종범
Priority to KR1020160012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65D35/30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27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piston co-operating with a screw-thread i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액체형 화장품 용기는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케이스(7)와; 케이스(7)의 내측에 장착되어 회전가능한 회전통(9)과; 케이스(7)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측에 화장액이 저장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수축시 화장액을 배출하는 튜브(11)와; 튜브(11)의 하부와 회전통(9)의 내측 바닥 사이에 장착되며 회전통(9)의 회전시 케이스(7) 내주면의 나선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튜브(11)를 가압하는 가압부(17,19)와; 케이스(7)의 상측 입구 내측에 결합되어 화장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21)와; 그리고 하부는 실링부재(21)에 연통되고 상부는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튜브(11)로부터 배출된 화장액을 입술 등에 도포하는 노즐부(13,1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체형 화장품 용기{liquid cosmetics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형 화장품을 주름방식의 튜브에 저장하고 이 튜브를 가압하는 구조를 개선하고, 가압시 발생할 수 있는 액체형 화장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형 화장품을 쉽게 배출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입술에 대한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하여 립스틱이 주로 사용된다. 근래에는 남성들도 겨울에 입술이 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립스틱 방식의 휴대형 화장품인 립글로스(Lip gloss) 등을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립스틱 방식의 휴대형 화장품은 통상적으로 원통형상의 고형체를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하고, 케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고형체를 외부로 돌출시켜서 입술 등에 접촉하여 도포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립스틱 구조는 액체형 화장품을 수용하기에는 액체의 누수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액체형 화장품을 저장하여 휴대하여 사용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안되는 바, 그 일예가 실용신안등록 제20-372850호(명칭:튜브형 립스틱 구조)에 제시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튜브의 내측에 액상 화장료를 저장하고, 튜브의 일측에 노즐팁을 장착하여 액상 화장료를 배출하며, 노즐팁의 외부를 감싸는 스펀지팁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화장품 케이스는 튜브가 외부에 직접 노출됨으로써 튜브가 외부충격이나 날카로운 물체에 의하여 파손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저장된 화장액이 누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튜브를 직접 가압하여 내부에 저장된 화장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이므로 손가락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피로가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372850호(명칭:튜브형 립스틱 구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튜브를 화장품의 케이스 내부에 배치하고 나선을 따라 회전시켜서 튜브를 가압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튜브에 저장된 화장액을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케이스(7)와;
케이스(7)의 내측에 장착되어 회전가능한 회전통(9)과;
케이스(7)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측에 화장액이 저장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수축시 화장액을 배출하는 튜브(11)와;
튜브(11)의 하부와 회전통(9)의 내측 바닥 사이에 장착되며 회전통(9)의 회전시 케이스(7) 내주면의 나선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튜브(11)를 가압하는 가압부(17,19)와;
케이스(7)의 상측 입구 내측에 결합되어 화장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21)와; 그리고
하부는 실링부재(21)에 연통되고 상부는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튜브(11)로부터 배출된 화장액을 입술 등에 도포하는 노즐부(13,15)를 포함하는 액체형 화장품 용기(1)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형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화장액이 저장된 튜브를 화장품의 케이스 내부에 배치하고 나선을 따라 회전시켜서 튜브를 가압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튜브에 저장된 화장액을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튜브의 상측에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집적관을 배치함으로써 튜브를 약간만 눌러도 다량의 화장액이 배출될 수 있어서 적은 힘으로도 화장액을 도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실링부재를 장착하여 케이스와, 튜브와, 집적관 사이의 틈새를 밀봉함으로써 액상의 화장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형 화장품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의 각 구성요소를 결합순서에 의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형 화장품 용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액체형 화장품 용기(1)는 사용자가 케이스(Case;7)를 회전시킴으로써 내측에 배치된 튜브(11)를 가압하여 튜브(11) 내부에 저장된 액체형 화장품(이하, 화장액)을 노즐부(13,15)를 통하여 배출시켜서 입술 등의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러한 액체형 화장품 용기(1)는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케이스(7)와; 케이스(7)의 내측에 장착되어 회전가능한 회전통(9)과; 케이스(7)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측에 화장액이 저장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수축시 화장액을 배출하는 튜브(Tube;11)와; 튜브(11)의 하부와 회전통(9)의 내측 바닥 사이에 장착되며 회전통(9)의 회전시 케이스(7) 내주면의 나선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튜브(11)를 가압하는 가압부(17,19)와; 케이스(7)의 상측 입구 내측에 결합되어 화장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Sealing member;21)와; 하부는 실링부재(21)에 연통되고 상부는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튜브(11)로부터 배출된 화장액을 입술 등에 도포하는 노즐부(13,15)와; 케이스(7)의 상부에 결합되어 노즐을 밀폐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뚜껑(5)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액체형 화장품 용기(1)에 있어서, 케이스(7)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갖음으로써 내측에는 회전통(9)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7)의 상부에 돌출된 넥크(Neck;18)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나사산에는 뚜껑(5)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7)의 내주면 하단에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기준홈(22)이 형성되며, 이 기준홈(22)의 상부 내주면에는 나선홈(24)이 상측으로 나선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기준홈(22) 및 나선홈(24)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준홈(22)에는 회전통(9)의 회전턱(25)이 결합됨으로써 회전통(9)이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다. 즉, 회전통(9)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에는 바닥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 회전통(9)의 외주면에는 회전턱(25)이 돌출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 회전턱(25)은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7)의 기준홈(22)에 결합된다. 이때, 회전턱(25)이 기준홈(22)에 결합되었을 때, 회전턱(25)이 기준홈(22)을 따라 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공차로 결합된다.
또한, 회전통(9)의 바닥면 하부에는 손잡이(28)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이 손잡이(28)를 잡고 회전통(9)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회전통(9)이 케이스(7)의 내측에 결합되면 회전턱(25)이 케이스(7)의 기준홈(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튜브(11)를 가압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자는 회전통(9)의 손잡이(28)를 잡고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회전통(9)은 기준홈(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통(9)의 상부는 절개됨으로써 2부분으로 구획된 한 쌍의 절개편(27,29)이 돌출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절개편(27,29)의 사이에는 절개홈(t)이 형성되며, 이 절개홈(t)은 일정 길이의 폭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가압부(17,19)의 회전판(17)에 돌출된 회전돌기(31)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갖는다.
따라서, 회전판(17)의 회전돌기(31)가 회전통(9)의 절개홈(t)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통(9)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면, 회전판(17)이 같이 회전함으로써 나선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튜브(11)의 바닥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전통(9)이 제자리에서 회전할 때 가압부(17,19)를 상측으로 밀어올림으로써 튜브(11)를 가압하게 되는 바, 이러한 가압부(17,19)는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돌기(31)가 회전통(9)의 절개홈(t)을 통과하여 케이스(7) 내주면의 나선홈(24)에 삽입되는 회전판(17)과; 회전판(17)의 상측에 결합되어 튜브(11)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서 가압하는 토크판(19)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17)은 상술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한 쌍의 회전돌기(31)가 돌출되며, 중간에는 제 1결합홀(h)이 관통 형성된다.
한 쌍의 회전돌기(31)는 회전통(9)의 절개홈(t)을 관통한 후 그 선단이 케이스(7)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홈(24)에 결합된다. 즉, 회전돌기(31)가 회전통(9)의 절개홈(t)의 사이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통(9)을 회전시키면, 회전통(9)은 기준홈(22)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제자리에서 회전하나, 회전돌기(31)는 절개홈(t)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통(9)과 같이 회전함으로써 나선형상의 나선홈(24)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크판(19)은 이러한 회전판(17)의 상측에 결합됨으로써 튜브(11)의 하부를 고정하여 비틀어서 회전시키게 된다.
즉, 토크판(19)은 하부로 삽입핀(33)이 돌출되어 회전판(17)의 제 1결합홀(h)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17)이 회전할 때 토크판(19)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토크판(19)에는 한 쌍의 제 2결합홀(h1)이 형성되며 제 2결합홀(h1)은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 2결합홀(h1)에는 튜브(11)의 하부에 돌출된 한 쌍의 고정핀(37)이 삽입된다. 이때 한 쌍의 고정핀(37)도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한 쌍의 제 2결합홀(h1)에 각각 대응된다.
따라서, 튜브(11)의 고정핀(37)이 토크판(19)의 제 2결합홀(h1)에 각각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토크판(19)이 회전하면 튜브(11)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회전판(17)이 상하측으로 나선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이에 결합된 토크판(19)도 같이 상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튜브(11)의 바닥도 상측으로 가압되어 수축되거나 하측으로 당겨져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튜브(11)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서 주름이 다수겹으로 형성된 구조로서, 일명 자바라 방식이다. 따라서, 튜브(11)가 가압될 때에는 이 주름들이 접혀짐으로써 튜브(11)가 수축되고, 반대로 당겨질 때에는 주름들이 펼쳐짐으로써 튜브(11)가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튜브(11)의 내측에는 화장액이 저장되는 바, 튜브(11)의 바닥이 가압부(17,19)의 상승에 의하여 수축될 때에는 화장액이 배출구(h2)를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반대로 튜브(11)의 바닥이 가압부(17,19)에 의하여 당겨질 때는 팽창된다.
이러한 가압부(17,19)는 상기한 토크판(19) 및 고정핀(37)으로 구성된다.
즉, 튜브(11)의 바닥에 하부로 돌출된 한 쌍의 고정핀(37)의 하부에는 쐐기형상의 걸림턱(37)(38)이 형성되는바, 이 쐐기형의 걸림턱(37)(38)이 토크판(19)에 형성된 제 2결합홀(h1)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경우 걸림턱(37)(38)이 토크판(19)의 저면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토크판(19)이 하강할 때 고정핀(37)을 같이 하부로 당기게 됨으로써 튜브(11)의 바닥도 같이 하부로 당겨져서 팽창될 수 있다.
반대로 토크판(19)이 상승할 때 토크판(19)의 상면이 튜브(11)의 바닥 저면을 가압하여 밀어 올림으로써 튜브(11)를 압축시킬 수 있다.
한편, 튜브(11)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액은 수축시 배출구(h2)를 통하여 노즐부(13,15)로 토출됨으로써 사용자의 입술 등에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노즐부(13,15)는 경사진 형상으로 인하여 튜브(11)로부터 배출된 화장액을 밀도있게 집적하는 집적관(13)과; 집적관(13)의 상단 개구에 결합되어 집적된 화장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틱(Stick;15)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집적관(13)은 경사진 형상을 갖음으로써 하부의 내면적은 넓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이다. 또한, 집적관(13)의 하부는 개방된 형상이며, 상부에는 돌출된 개구(h4)가 형성된다.
그리고, 집적관(13)의 하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턱(37)이 돌출 형성되며, 이 걸림턱(37)은 실링부재(2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1걸림홈(50)에 결합된다.
따라서, 집적관(13)은 실링부재(21)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케이스(7)의 상단에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7)의 상단에 결합된 집적관(13)은 튜브(11)의 상부 개구(h2)와 연통됨으로써 튜브(11)로부터 토출된 화장액이 집적관(13)으로 공급된다. 이때, 집적관(13)은 경사진 형상이므로 화장액이 상단으로 갈수록 밀도있게 집적되는 바, 튜브(11)가 약간만 수축되어도 집적관(13)에는 상당한 양의 화장액이 집적될 수 있다.
결국, 집적관(13)을 경사진 원뿔형상으로 함으로써 화장액의 토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집적관(13)의 상부 개구(h4)에는 스틱(15)이 결합됨으로써 화장액을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틱(15)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도포홀(h5)이 형성된 구체(42)와; 구체(42)의 하부에 돌출되며 집적관(13)의 상부 개구(h4)에 결합되는 고정턱(41)을 포함한다.
상기 구체(42)는 입술과 같이 피부에 접촉하므로 피부에 무해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플렉시블한 재질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 구체(42)에는 집적관(13)을 통하여 공급된 화장액이 저장되며, 도포홀(h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입술 등에 화장액을 도포할 수 있다.
또한 고정턱(41)은 집적관(13)의 상부 개구(h4)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스틱(15)이 집적관(13)의 선단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한편, 상기 실링부재(21)는 튜브(11)에서 토출된 화장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실링부재(21)는 적절한 탄성력을 갖는 재질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실리콘(Si)와 같은 재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링부재(21)는 중간에 개구(h3)가 형성된 링형상으로서 내주면 상측에는 제 1걸림홈(50)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제 1걸림홈(5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집적관(13)의 걸림턱(37)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실링부재(21)의 내주면 중간에는 중심방향으로 지지턱(55)이 돌출되며 일정 폭으로 원주방향으로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이 고리형상의 지지턱(55)의 상부에는 집적관(13)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21)의 내측 하부면에는 제 2걸림홈(54)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제 2걸림홈(54)에는 튜브(11)의 상측 개구(h2) 외주면에 돌출된 돌기(52)가 결합된다.
또한, 실링부재(21)의 하측 테두리 외주면에는 결합돌기(56)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결합돌기(56)는 케이스(7)의 내측 상부면에 형성된 수납홈(58)에 결합된다.
또한, 실링부재(21)의 외주면에도 실링(S)이 고리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가스켓(44)의 하부 공간을 밀폐시킨다. 이때 실링(S)은 원형단면, 타원형 단면, 혹은 U자형 단면 등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실링부재(21)는 제 1걸림홈(50)에 의하여 집적관(13)과 결합되고, 제 2걸림홈(54)에 의하여 튜브(11)와 결합되며, 결합돌기(56)에 의하여 케이스(7)와 결합됨으로써, 튜브(11)와, 케이스(7)와, 집적관(13)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켜서 튜브(11)로부터 토출되는 화장액이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조를 갖는 케이스(7)의 상측에는 뚜껑(5)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필요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5)의 하부 내주면에는 나사산(43)이 형성됨으로써 케이스(7)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뚜껑(5)의 내측에는 가스켓(Gasket;44)이 장착됨으로써, 뚜껑(5)을 케이스(7)에 결합하였을 경우, 케이스(7)와 뚜껑(5)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액체형 화장품 용기(1)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1)를 사용하여 입술 등에 화장액을 도포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케이스(7)로부터 뚜껑(5)을 분리한다.
즉 뚜껑(5)을 반나사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케이스(7)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된 스틱(15)을 입술 등의 피부에 접촉시키며, 가능하면 도포홀이 입술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화장액을 입술에 도포하기 위하여 튜브(11)에 저장된 화장액을 토출시켜야 하는 바, 사용자는 케이스(7) 내측의 회전통(9)을 회전시킴으로써 화장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즉, 회전통(9)의 손잡이(28)를 잡고 회전시키면, 회전통(9)의 회전턱(25)이 케이스(7)의 기준홈(22)을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고, 이때 회전판(17)의 회전돌기(31)는 회전통(9)의 한 쌍의 절개홈(t)을 관통하여 케이스(7)의 나선홈(24)에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회전통(9)을 회전시키면, 회전돌기(31)는 절개홈(t)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통(9)과 같이 회전함으로써 나선형상의 나선홈(24)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판(17)이 상승함에 따라 토크판(19)도 같이 상승함으로써 튜브(11)의 하부를 밀어올려서 가압하게 된다.
튜브(11)가 수축되면 내부에 저장된 화장액이 토출됨으로써 집적관(13)으로 공급되어 밀도있게 집적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스틱(15)의 도포홀(h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입술 등에 도포될 수 있다.

Claims (7)

  1.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케이스(7)와;
    케이스(7)의 내측에 장착되어 회전가능한 회전통(9)과;
    케이스(7)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측에 화장액이 저장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수축시 화장액을 배출하는 튜브(11)와;
    튜브(11)의 하부와 회전통(9)의 내측 바닥 사이에 장착되며 회전통(9)의 회전시 케이스(7) 내주면의 나선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튜브(11)를 가압하는 가압부(17,19)와;
    케이스(7)의 상측 입구 내측에 결합되어 화장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21)와; 그리고
    하부는 실링부재(21)에 연통되고 상부는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튜브(11)로부터 배출된 화장액을 입술 등에 도포하는 노즐부(13,15)를 포함하는 액체형 화장품 용기(1).
  2.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스(7)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갖음으로써 내측에는 회전통(9)이 결합되며,
    케이스(7)의 상부에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뚜껑(5)과 나사결합하는 넥크(18)와;
    케이스(7)의 내주면 하단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기준홈(22)과;
    기준홈(22)의 상부 내주면에는 형성되어 상측으로 나선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나선홈(24)을 포함하는 액체형 화장품 용기(1).
  3. 제 2항에 있어서,
    회전통(9)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에는 바닥이 형성된 구조로서,
    회전통(9)의 외주면 하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케이스(7)의 기준홈(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턱(25)과;
    회전통(9)의 상부에 2개로 절개되어 돌출됨으로써 그 사이에 절개홈(t)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편(27,29)과; 그리고
    회전통(9)의 바닥면 하부에 돌출되는 손잡이(28)를 포함하는 액체형 화장품 용기(1).
  4. 제 3항에 있어서,
    가압부(17,19)는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돌기(31)가 회전통(9)의 절개홈(t)을 통과하여 케이스(7) 내주면의 나선홈(24)에 삽입되며, 중간에 제 1결합홀(h)이 형성되는 회전판(17)과;
    회전판(17)의 상측에 결합되어 튜브(11)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서 가압하며, 중간에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결합홀(h1)이 형성되는 토크판(19)을 포함하며,
    토크판(19)은 하부에 고정핀(37)이 돌출되어 회전판(17)의 제 1결합홀(h)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액체형 화장품 용기(1).
  5. 제 4항에 있어서,
    튜브(11)는 주름이 다수겹으로 형성되어 수축 및 팽창하며, 내측에 화장액이 저장되고,
    튜브(11)의 바닥에는 한 쌍의 고정핀(37)이 하부로 돌출되어 토크판(19)의 한 쌍의 제 2결합홀(h1)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토크판(19)이 회전상승함에 따라 튜브(11)의 바닥도 같이 상승 혹은 하강함으로써 수축 및 팽창을 하는 액체형 화장품 용기(1).
  6. 제 5항에 있어서,
    실링부재(21)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서 고리형상을 갖으며, 내주면 상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걸림홈(50)과;
    내주면 중간에 중심방향으로 지지턱(55)이 돌출되며 일정 폭으로 원주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는 지지턱(55)과;
    내측 하부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튜브(11)의 상측 개구 외주면에 돌출된 돌기가 결합되는 제 2걸림홈(54)과; 그리고
    하측 테두리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케이스(7)의 내측 상부면에 형성된 수납홈(58)에 결합되는 결합돌기(56)를 포함하는 액체형 화장품 용기(1).
  7. 제 6항에 있어서,
    노즐부(13,15)는 경사진 형상으로 인하여 튜브(11)로부터 배출된 화장액을 밀도있게 집적하는 집적관(13)과; 집적관(13)의 상단 개구(h4)에 결합되어 집적된 화장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틱(Stick;15)을 포함하며,
    집적관(13)은 실링부재(21)의 지지턱(55)에 안착되며, 하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걸림턱(37)이 실링부재(21)의 제 1걸림홈(50)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으며,
    스틱(15)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도포홀(h5)이 형성된 구체(42)와; 구체(42)의 하부에 돌출되며 집적관(13)의 상부 개구(h4)에 결합되는 고정턱(41)을 포함하는 액체형 화장품 용기(1).


KR1020160012377A 2016-02-01 2016-02-01 액체형 화장품 용기 KR101762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377A KR101762432B1 (ko) 2016-02-01 2016-02-01 액체형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377A KR101762432B1 (ko) 2016-02-01 2016-02-01 액체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432B1 true KR101762432B1 (ko) 2017-07-27

Family

ID=5942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377A KR101762432B1 (ko) 2016-02-01 2016-02-01 액체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4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948B1 (ko) * 2018-02-07 2018-08-16 이종범 롤러타입의 화장액 용기
CN108505290A (zh) * 2018-05-04 2018-09-07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洗衣液自动投放装置
CN108528977A (zh) * 2018-05-31 2018-09-14 天津珈然仁泰健康咨询服务有限公司 便于近视眼药膏涂抹按摩的包装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341B1 (ko) 2011-09-09 2012-05-23 제이케이엔지니어링주식회사 화장품 용기용 펌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341B1 (ko) 2011-09-09 2012-05-23 제이케이엔지니어링주식회사 화장품 용기용 펌핑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948B1 (ko) * 2018-02-07 2018-08-16 이종범 롤러타입의 화장액 용기
CN108505290A (zh) * 2018-05-04 2018-09-07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洗衣液自动投放装置
CN108505290B (zh) * 2018-05-04 2023-12-26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洗衣液自动投放装置
CN108528977A (zh) * 2018-05-31 2018-09-14 天津珈然仁泰健康咨询服务有限公司 便于近视眼药膏涂抹按摩的包装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3638A (en)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or pasty product, comprising a wringer part
KR101762432B1 (ko) 액체형 화장품 용기
US6270273B1 (en) Liquid cosmetic container
JP2018509257A (ja) コンパクトタイプの化粧品容器
KR101201718B1 (ko) 브러쉬의 변형이 가능한 마스카라 용기
JP5212780B2 (ja) 化粧料容器
KR101530580B1 (ko) 회전 개폐형 튜브용기
KR102037580B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JP2011516234A (ja) 容器本体に回転可能に設けられたパフを備える化粧品容器
EP3047753A1 (en) Liquid content container comprising tension member
KR100540676B1 (ko) 화장품 용기
CN109515970B (zh) 一种按压使用的唇彩包装瓶
JP5518451B2 (ja) 化粧料用容器の中蓋
KR200370137Y1 (ko) 액체 어플리케이터
JPH10117840A (ja) 液状化粧料容器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1770581B1 (ko) 도포팁에 내용물 저장이 가능한 립 메이크업 용기
US11937681B2 (en) Cosmetics container simultaneously preventing leftover cosmetics therein and having airtight function
JP2018075363A (ja) 化粧品の密封容器
JP7330841B2 (ja) 塗布具付容器用内部パーツ及び塗布具付容器
JP7421940B2 (ja) 塗布容器
JP6053290B2 (ja) 二重瞼形成溶液用アプリケータ及び容器
KR200484834Y1 (ko) 원터치 스포이트 용기
KR200365012Y1 (ko) 화장품 용기
JP2021106672A (ja) 塗布具付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