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289B1 -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289B1
KR101762289B1 KR1020160023359A KR20160023359A KR101762289B1 KR 101762289 B1 KR101762289 B1 KR 101762289B1 KR 1020160023359 A KR1020160023359 A KR 1020160023359A KR 20160023359 A KR20160023359 A KR 20160023359A KR 101762289 B1 KR101762289 B1 KR 101762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m
elastic body
driving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권병
채정훈
Original Assignee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3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289B1/ko
Priority to PCT/KR2017/001934 priority patent/WO201714645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63B21/0783Safety features for bar-bells, e.g. drop limi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A63B2021/078
    • A63B2023/03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신체조건, 근력 등에 따라 운동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는 부동 위치를 가지는 부동 프레임, 상기 부동 프레임에 대한 위치가 가변되는 구동 프레임 및 상기 부동 프레임과 상기 구동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프레임의 구동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저항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 기구{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벤치 프레스와 같은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 운동을 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운동 기구는 바벨과 벤치 프레스이다. 바벨은 가로의 봉 양단에 여러 개의 원판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 맞추어 무게를 가감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벤치 프레스는 사용자가 바벨을 이용해 벤치에 누운 상태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벤치의 양측에 바벨 거치대가 구비된 운동 기구이다.
이러한 벤치 프레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 근력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중량의 바벨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벤치 프레스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나, 어린이, 노약자 등은 자신의 신체조건에 적당한 바벨 중량을 세팅하는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심하게는 바벨을 거치대에 제대로 거치하지 못해 바벨의 낙하로 인한 중경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40866호 (2008. 07. 0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조건, 근력 등에 따라 운동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한 벤치 프레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는 부동 위치를 가지는 부동 프레임, 상기 부동 프레임에 대한 위치가 가변되는 구동 프레임 및 상기 부동 프레임과 상기 구동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프레임의 구동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저항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프레임은 회전축에 구속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며, 상기 저항 발생부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항 발생부는 상기 부동 프레임에 지지되는 제 1디스크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제 1디스크와의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는 제 2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항 발생부는 상기 구동 프레임의 주변에 배치되는 탄성체 및 편심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체를 가압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발력에 따라 상기 회전축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기구는 상기 캠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고 상기 탄성체의 탄발력을 조절하는 탄발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항 발생부는 상기 구동 프레임의 주변에 배치되는 탄성체, 편심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를 가압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발력에 따라 상기 회전축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제 1캠, 편심을 가지고 상기 제 1캠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2캠 및 상기 제 1캠과 상기 제 2캠을 연결하고 상기 제 1캠으로 전달되는 회전 동력을 상기 제 2캠으로 전달하여 상기 제 2캠이 상기 제 1캠이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를 가압할 때 상기 탄성체의 타단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에 구속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제 1구동 프레임과, 상기 제 1구동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제 2구동 프레임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 1구동 프레임과 상기 제 2구동 프레임은 탄성체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프레임에는 길이 방향의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프레임과 상기 손잡이는 탄성체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동 프레임에는 랙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 프레임은 상기 랙에 치합되는 피니온에 연결되어 상기 랙을 따라 승강 구동되며, 상기 저항 발생부는 상기 피니온과 상기 구동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항 발생부는 상기 구동 프레임에 지지되는 제 1디스크 및 상기 피니온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피니온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제 1디스크와의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는 제 2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는 사용자의 신체조건, 근력 등에 따라 운동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저항 발생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부동 프레임에 결합된 저항 발생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구동 프레임의 슬라이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손잡이의 슬라이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3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제 3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저항 발생부의 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1은 제 4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제 5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벤치 프레스의 저항 발생부의 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벤치 프레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벤치(110), 부동 프레임(130) 및 구동 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벤치(110)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운 자세로 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부동 프레임(130)은 벤치(110)와 함께 부동 위치를 갖는다. 구동 프레임(150)은 벤치(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부동 프레임(130)을 향하는 구동 프레임(150)의 일단부에는 회전축(170)(도 3 참조)이 설치될 수 있다. 구동 프레임(150)과 부동 프레임(130)은 회전축(17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프레임(150)의 타측에는 손잡이(19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벤치(110)에 앉거나 누운 사용자는 손잡이(190)를 잡고 구동 프레임(150)을 올리거나 내리면서 구동 프레임(150)을 회전축(170)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회전축(170)에 연결되는 저항 발생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저항 발생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부동 프레임에 결합된 저항 발생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저항 발생부(200)는 제 1지지판(210), 제 2지지판(220), 제 1디스크(211) 및 제 2디스크(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지지판(210)은 체결나사(230)에 의해 부동 프레임(130)에 체결된다. 제 2지지판(220)은 간격조절나사(240)에 의해 제 1지지판(210)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간격조절나사(24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 1지지판(210)과 제 2지지판(220)은 서로 이격된다. 간격조절나사(240)는 제 1지지판(210)과 제 2지지판(220)의 이격거리를 조절가능하도록 하며, 제 1지지판(210)과 제 2지지판(220)의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는 제 1지지판(210)과 제 2지지판(2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는 서로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는 연질의 금속판을 볼록하게 가공하거나, 경질의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재료를 볼록하게 성형하여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간격조절나사(240)에 의해 서로 체결된 제 1지지판(210)과 제 2지지판(220)은 체결나사(230)를 이용하여 부동 프레임(130)으로부터 간편하게 탈착될 수 있다.
한편, 제 2지지판(220)에는 회전축(170)이 관통되는 관통홀(22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디스크(221)에는 회전축(170)이 삽입되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된다. 회전축(170)은 관통홀(220a)을 통해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제 2디스크(221)에 연결된다. 회전축(170)과 제 2디스크(221)에는 키홈(171)이 각각 형성된다. 키홈(171)에는 키(173)가 삽입된다. 키(173)는 제 2디스크(221)가 회전축(17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하며, 회전축(170)의 회전력이 제 2디스크(221)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제 1지지판(210)을 향하는 제 2지지판(220)의 일면에는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223)이 설치된다. 제 2디스크(221)는 레이디얼 베어링(223)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제 2지지판(220)에 지지될 수 있다. 제 1디스크(211)는 회전되지 않도록 제 1지지판(210)에 지지된다.
저항 발생부(200)는 사용자가 구동 프레임(150)을 올리거나 내릴 때 회전축(170)과 함께 제 2디스크(221)가 회전되며,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가 서로 접촉하여 마찰 저항을 발생시켜 회전축(170)에 저항을 발생시킨다. 이때, 저항 발생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의 크기는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가 서로 접촉하는 면적에 따라 비례할 수 있다.
즉,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의 이격거리가 작을수록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가 접촉하는 면적이 점차 커져 회전축(170)에 작용하는 저항의 크기는 커진다. 반대로,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의 이격거리가 클수록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가 접촉하는 면적이 점차 작아져 회전축(170)에 작용하는 저항의 크기는 작아진다.
결국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의 거리를 조절하면, 회전축(170)에 작용하는 저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간격조절나사(240)는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의 전면적에 대하여 균일한 압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의 간격을 조절하여 저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지만,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의 간격에 따라 조절되는 저항의 크기는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의 전체 면적에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디스크로 구성되는 저항 발생부(200)를 다수개로 마련하고, 사용자의 연령, 신체조건, 근력 등을 고려하여 저항 발생부(200)를 선택하여 선택된 저항 발생부(200)를 부동 프레임(130)과 회전축(170)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회전축(170)을 중심으로 구동 프레임(150)이 회전되는데, 벤치 프레스를 사용하는 사람의 팔 운동을 고려하여 손잡이(190)는 직선으로 승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동 프레임(150)의 회전 운동을 손잡이(190)의 직선 승강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일 실시예로 구동 프레임(150)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구동 프레임의 슬라이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 프레임(150)은 제 1구동 프레임(151)과, 제 2구동 프레임(152)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 1구동 프레임(151)은 회전축(170)에 구속되어 회전축(170)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된다. 제 2구동 프레임(152)은 제 1구동 프레임(151)에 대하여 슬라이드되어 손잡이(190)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구동 프레임(151)과 제 2구동 프레임(152)의 사이에는 탄성체(153)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체(153)로는 인장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탄성체(153)는 제 1구동 프레임(151)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제 2구동 프레임(152)이 제 1구동 프레임(1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 1구동 프레임(151)으로부터 회전축(170)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제 2구동 프레임(152)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제 1구동 프레임(151)은 회전 축에 구속되어 회전 구동되고, 제 2구동 프레임(152)이 슬라이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손잡이(190)가 직선 승강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구동 프레임(150)의 회전 운동을 손잡이(190)의 직선 승강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다른 실시예로 구동 프레임(150)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손잡이의 슬라이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 프레임(150)에는 구동 프레임(15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슬릿(154)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90)는 가이드 슬릿(154)을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154)에는 손잡이(19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191)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체(191)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회전축(170)을 향해 배치되는 탄성체(191)의 일단부는 구동 프레임(150)에 고정되고, 탄성체(191)의 타단부는 손잡이(190)에 고정된다. 탄성체(191)는 회전축(170)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손잡이(19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손잡이(190)가 구동 프레임(15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손잡이(190)가 직선 승강 구동될 수 있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 근력 등을 고려하여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의 전체면적을 선택하고, 해당 저항 발생부(200)를 부동 프레임(130)에 설치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간격조절나사(240)를 이용하여 제 1지지판(210)과 제 2지지판(220)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의 거리가 조절되면, 사용자는 벤치(110)에 앉거나 누워서 구동 프레임(150)의 타측을 잡는다. 사용자는 구동 프레임(150)을 올리거나 내려서 팔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구동 프레임(150)이 구동 프레임(150)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손잡이(190)의 위치가 구동 프레임(150)의 길이 방향으로 가변되어 손잡이(190)는 직선으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접촉된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는 회전축(170)에 저항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동 프레임(150)의 자중에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가 접촉됨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 저항이 부가된 하중을 들어올리는 효과의 팔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자신의 신체조건, 근력 등을 고려하여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의 전체면적을 선택하여 저항 발생부(20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의 접촉면적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벤치 프레스를 이용한 운동량을 간편하게 조절하고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술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술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해야 할 것이다.
제 2실시예
도 6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2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벤치(110), 부동 프레임(130) 및 구동 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
부동 프레임(130)에는 랙(410)이 설치될 수 있다. 구동 프레임(300)에는 랙(410)에 치합되는 피니온(430)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벤치(110)에 누워 구동 프레임(300)을 승강시키면서 팔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상술된 바와 같은 저항 발생부(200)는 구동 프레임(300)과 피니온(4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저항 발생부(200)의 구성은 상술된 바와 같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에 포함되는 저항 발생부(200)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제 1디스크(211)는 구동 프레임(300)에 지지되며, 제 2디스크(221)는 피니온(43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피니온(43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구동 프레임(300)을 승강 시킬 때, 제 1디스크(211)와 제 2디스크(221)가 접촉됨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 저항이 부가된 하중을 들어올리는 효과의 팔운동을 할 수 있다.
제 3실시예
도 8은 제 3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제 3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저항 발생부의 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 2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부동 프레임(130), 구동 프레임(150), 회전축(170) 및 저항 발생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 발생부(500)는 탄성체(510)와 캠(53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510)는 하우징(511)의 내부에 수용되고, 하우징(511)은 부동 프레임(130)에 지지되거나, 벤치 프레스가 설치된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체(510)로는 회전축(170)을 향해 탄발력을 발휘하는 압축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캠(530)은 편심을 가지고 회전축(170)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캠(530)은 회전축(17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면까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단축과, 회전축(17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면까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장축을 가지고 회전축(17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캠(530)은 회전축(170)과 함께 회전되며 탄성체(510)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510)에 의한 탄발력과, 탄성체(510)를 가압하는 캠(530)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축(170)에 저항을 발생시킨다. 이때, 저항 발생부(500)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의 크기는 회전축(170)의 중심으로부터 탄성체(510)에 접촉되는 캠(530)의 외측면까지의 거리에 비례한다.
즉, 캠(530)의 장축에 대응되는 외측면이 탄성체(510)를 가압할 때에는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필요하므로, 회전축(170)에 작용하는 저항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커진다. 반대로, 캠(530)의 단축에 대응되는 외측면이 탄성체(510)를 가압할 때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이 필요하므로, 회전축(170)에 작용하는 저항의 크기는 작아진다.
결국 캠(530)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에 따라 회전축(170)에 작용하는 저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다양한 크기의 캠(530)을 다수개로 마련하고, 사용자의 신체조건, 근력 등을 고려하여 캠(53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와 마찬가지로 회전축(170)을 중심으로 구동 프레임(150)이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손잡이(190)의 직선 승강 구동을 위하여 구동 프레임(150)이 슬라이드되거나, 손잡이(190)가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제 2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 근력 등을 고려하여 캠(530)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작은 운동량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작은 크기의 캠(530)을 회전축(170)에 체결하고,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큰 운동량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큰 크기의 캠(530)을 회전축에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선택한 캠(530)을 회전축(170)에 체결하고 벤치(110)에 앉거나 누워서 구동 프레임(150)의 타측을 잡는다. 사용자는 구동 프레임(150)을 올리거나 내려서 팔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구동 프레임(150)을 올리면 캠(530)의 장축에 대응되는 외측면이 탄성체(510)를 가압하여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큰 힘을 사용하여 팔 운동을 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구동 프레임(150)을 내리면 캠(530)의 단축에 대응되는 외측면이 탄성체(510)를 가압하여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사용하여 팔 운동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구동 프레임(150)을 내릴때에 비해 올릴 때 상대적으로 큰 힘을 필요로 하는 팔 운동을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위의 실시예의 변경된 실시예로, 구동 프레임(150)을 내릴때 캠(530)의 장축이 탄성체(510)를 가압하도록 캠(530)을 회전축(170)에 체결한다면, 구동 프레임(150)을 올릴때에 비해 내릴때 상대적으로 큰 힘을 필요로 하는 팔 운동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사용자의 신체조건, 근력 등에 따른 크기의 캠(530)을 선택하여 벤치 프레스를 이용한 운동량을 간편하게 조절하고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 3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캠(530)에 의해 가압되는 탄성체(51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제 4실시예
도 11은 제 4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4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제 3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변형된 실시예로, 탄성체(510)의 하단을 지지하고 탄성체(51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발력 조절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발력 조절부(550)로는 탄성체(510)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탄성체(510)의 하단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래크 잭(racl jack), 유압 잭(oil pressure jack)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발력 조절부(550)를 포함하는 벤치 프레스는 탄성체(5110)의 탄성력을 사용자가 정밀하게 조절하여 운동량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 3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탄성체(51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함께 가압할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제 5실시예
도 12 및 도 13은 제 5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벤치 프레스의 저항 발생부의 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 5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변형된 실시예로, 탄성체(5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캠(531)과, 탄성체(5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캠(532)과, 제 1캠(531)에 전달되는 동력을 제 2캠(532)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570)는 두 캠(531, 532)의 사이에 배치되는 동력 전달 피니온(571)과, 동력 전달 피니온(571)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제 1랙(573)과 제 2랙(5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회전축(170)에는 제 1랙(573)에 치합되는 주동 피니온(531a)이 설치되고, 제 2캠(532)의 회전축에는 제 2랙(575)에 치합되는 종동 피니온(532a)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캠(531)의 장축이 탄성체(510)의 상단부를 가압할 때, 동력 전달부(570)에 의해 제 1캠(531)에 작용하는 동력이 제 2캠(532)에 전달되고, 제 2캠(532)은 제 1캠(531)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 2캠(532)의 장축이 탄성체(510)의 하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5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탄성체(51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함께 가압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설명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 중 벤치 프레스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되며, 부동위치를 가지는 부동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구동되거나, 승강 구동되는 구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운동 기구(예를 들어 자전거 크랭크의 회전축, 스텝퍼의 회전축 등)에 저항 발생부(200)를 적용한다 하더라도 운동량을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10 : 벤치 130 : 부동 프레임
150, 300 : 구동 프레임 170 : 회전축
190 : 손잡이 200, 500 : 저항 발생부
210 : 제 1지지판 211 : 제 1디스크
220 : 제 2지지판 221 : 제 2디스크
230 : 체결나사 240 : 간격조절나사
410 : 랙 430 : 피니온
510 : 탄성체 530 : 캠
531 : 제 1캠 532 : 제 2캠
550 : 탄발력 조절부 570 : 동력 전달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부동 위치를 가지는 부동 프레임;
    상기 부동 프레임에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부동 프레임에 대한 위치가 가변되는 구동 프레임;및
    상기 회전축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프레임의 구동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저항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항 발생부는
    상기 구동 프레임의 주변에 배치되는 탄성체;및
    편심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체를 가압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발력에 따라 상기 회전축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캠;을 포함하며,
    상기 캠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고 상기 탄성체의 탄발력을 조절하는 탄발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5. 삭제
  6. 부동 위치를 가지는 부동 프레임;
    상기 부동 프레임에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부동 프레임에 대한 위치가 가변되는 구동 프레임;및
    상기 회전축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프레임의 구동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저항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항 발생부는
    상기 구동 프레임의 주변에 배치되는 탄성체;
    편심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를 가압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발력에 따라 상기 회전축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제 1캠;
    편심을 가지고 상기 제 1캠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2캠;및
    상기 제 1캠과 상기 제 2캠을 연결하고 상기 제 1캠으로 전달되는 회전 동력을 상기 제 2캠으로 전달하여 상기 제 2캠이 상기 제 1캠이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를 가압할 때 상기 탄성체의 타단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7. 부동 위치를 가지는 부동 프레임;
    상기 부동 프레임에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부동 프레임에 대한 위치가 가변되는 구동 프레임;및
    상기 회전축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프레임의 구동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저항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에 구속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제 1구동 프레임과, 상기 제 1구동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제 2구동 프레임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 1구동 프레임과 상기 제 2구동 프레임은 탄성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8. 부동 위치를 가지는 부동 프레임;
    상기 부동 프레임에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부동 프레임에 대한 위치가 가변되는 구동 프레임;및
    상기 회전축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프레임의 구동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저항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프레임에는 길이 방향의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프레임과 상기 손잡이는 탄성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23359A 2016-02-26 2016-02-26 운동 기구 KR101762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359A KR101762289B1 (ko) 2016-02-26 2016-02-26 운동 기구
PCT/KR2017/001934 WO2017146455A1 (ko) 2016-02-26 2017-02-22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359A KR101762289B1 (ko) 2016-02-26 2016-02-26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289B1 true KR101762289B1 (ko) 2017-07-31

Family

ID=5941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359A KR101762289B1 (ko) 2016-02-26 2016-02-26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2289B1 (ko)
WO (1) WO201714645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812B1 (ko) * 2011-07-15 2013-01-15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공압을 이용한 운동기구
CN203647953U (zh) * 2013-06-04 2014-06-18 杜量 一种电磁力多功能卧推器
US20150190667A1 (en) * 2013-01-28 2015-07-09 Balandis Taft Patents, Llc Multi Function Exercise Apparatus With Resistanc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6756C2 (sv) * 1994-08-30 1998-02-09 Bertil Nilsson Träningsanordning med inställbart friktionsmotstånd
KR20070084742A (ko) * 2006-02-21 2007-08-27 김현 마찰토크를 이용한 헬스 운동기구
CN104284866B (zh) * 2012-03-28 2017-05-24 多贝尔化学公司 水处理组合物及其用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812B1 (ko) * 2011-07-15 2013-01-15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공압을 이용한 운동기구
US20150190667A1 (en) * 2013-01-28 2015-07-09 Balandis Taft Patents, Llc Multi Function Exercise Apparatus With Resistance Mechanism
CN203647953U (zh) * 2013-06-04 2014-06-18 杜量 一种电磁力多功能卧推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6455A1 (ko)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2014B2 (en) Dual circling exercise method and device
US3831942A (en) Portable exercise machine
US7294095B2 (en) Vibrating device for exercise equipment
TWI299998B (ko)
US7011610B2 (en) Roll-able dumbbells
US9320937B2 (en) Fitness equipment unit
US6676574B1 (en) Shift position selector for a pad on an exercise machine
KR101762289B1 (ko) 운동 기구
KR20190020585A (ko) 헬스기구겸용 데스크체어
CN110478857A (zh) 一种带有旋转和拉伸机构的体育运动综合型训练装置
AU747122B2 (en) Inclimetric resistance sliding sleeve exercise device
US1010796A (en) Exercising apparatus.
KR20080004336A (ko) 허리 운동 기구
KR20180050032A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KR102305928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20070006256A (ko) 완력기
KR101668041B1 (ko) 괄약근 운동기구
CN201643537U (zh) 迷你健身车
JP3206326U (ja) 腕力強化用トレーニング装置
KR200358710Y1 (ko) 다기능 마사지 운동구
JP6448000B2 (ja) マッサージ器具
KR102152599B1 (ko) 복부 마사지기
KR940009796B1 (ko) 체력단련용 의자
KR200407771Y1 (ko)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한 운동기구
CN217220044U (zh) 适用于运动可自由调节阻尼的运动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