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122B1 -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122B1
KR101762122B1 KR1020150190862A KR20150190862A KR101762122B1 KR 101762122 B1 KR101762122 B1 KR 101762122B1 KR 1020150190862 A KR1020150190862 A KR 1020150190862A KR 20150190862 A KR20150190862 A KR 20150190862A KR 101762122 B1 KR101762122 B1 KR 101762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rinal
water supply
solenoid valve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930A (ko
Inventor
신우승
이홍석
박준혁
오민섭
안태호
Original Assignee
이수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인 (주) filed Critical 이수인 (주)
Priority to KR1020150190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1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소변기의 일정 공간에 내장되고,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세척동작을 하는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는 소변기의 상부공간에서 아래로 타공된 구멍에 체결되며, 상하로 통공되어 적외선 센서케이스를 수용하는 센서수용홈이 사용자측 방향으로서 전면에 설치된 몸통, 상기 센서수용홈의 배면으로는 보울면측으로 상하로 연장 형성된 급수연결관, 및 상기 급수연결관의 하부로 연결되어 소변기의 벽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구비하는 스프레다; 및 상기 스프레다의 센서수용홈에 수용되며 내부에 적외선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센서케이스, 및 상기 센서케이스의 상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되는 제어회로케이스를 구비하는 센서내장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레다를 소변기에 너트로 조여 설치하면 나머지 구성부품들은 스프레다에 원터치로 장착시켜 설치를 완료할 수 있어서,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해져 일반적인 건설현장의 작업자도 자동세정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위생도기 공장에서 조립비용이 발생하지 않아서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변기의 전면부에 센서창이 없어 외관이 미려해지고 위생도기 생산공정에서 개구부 형성을 위한 절개작업이 없어져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An Automatic Flushing Apparatus Of Urinal}
본 발명은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기의 일정 공간에 내장되고,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세척동작을 하는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는 센서 종류에 따라 적외선, 초음파,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방식 등으로 구분되는데, 적외선 센서 방식이 전력 소모가 적고 가격이 싸고 취급이 용이하여 가장 보급이 많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센서 방식은 검출대상인 인체에 적외선을 쏘고 반사된 적외선을 검출하는 구조이다.
적외선 발광소자와 적외선 수광소자가 단일 인쇄회로기판(PCB)에 일정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인체 접근방향으로 위치한다.
자동센서장치를 갖는 소변기는 최상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센서 PCB가 있는 센서창이 전면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소변기 최상부 공간부에는 센서내장회로, 솔레노이드밸브, 제어회로, 건전지케이스, 지수전 등이 설치되고, 하부로 연통된 구멍에 스프레더가 설치된다.
급수는 벽면에서 급수호스와 지수전을 거쳐 솔레노이드 밸브로 공급되고, 센서의 인체 감지 유무에 따라 제어회로의 신호에 의해 개폐된다. 솔레노이드 밸브와 접속된 스프레더는 소변기 벽면에 고르게 물을 분사시킨다.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의 스프레더에 급수하는 방식은 소변기 상부의 공간부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지는 방식과 소변기의 전면 보울면에 설치되고 후방에서 급수를 받아 보울면(벽면)에 설치되어 분사하는 방식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소변기 내장형 자동센서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의 소변기 내장형 자동센서장치는 센서내장제어회로의 설치가 어렵다. 소변기 내장형 자동센서장치 중 적외선 센서방식에서는 센서창이 반드시 사용자 방향 외부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은 소변기 상부 공간부의 전면을 절개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센서내장제어부를 고정프레임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를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절개작업과 그에 따른 크랙, 및 유약몰림 등을 유발하여 위생도기의 생산성 저하를 야기시키며, 생산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 평면불량에 따른 들뜸 등 이질감에 의한 외관품질저하를 초래하고, 조립 작업도 어렵다. 이에 더하여, 키가 작은 어린아이의 감지가 잘 안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소변기 내장형 자동센서장치는 부품설치작업이 어렵다. 종래의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척장치는 센서내장제어부 및 고정프레임, 밧데리케이스, 솔레노이드 밸브, 지수전, 급수호스, 스프레다 등 부품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다수의 부품들을 소변기의 상부 공간부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부품고정용 브라켓을 소변기에 장착하고 이곳에 부품들을 장착하는 방식을 주로 채용하고 있다. 브라켓은 소변기에 형성시킨 구멍에 칼브럭 등의 부품을 끼워 스크류로 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프레다와 솔레노이드 밸브 사이의 결합은 급수시의 압력에 의해 분리력이 발생하고 누수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파이프 접속의 유니온 너트 방식을 사용하거나, 솔레노이드 밸브를 브라켓을 통해 지지하여 브라켓의 지지력으로 스프레다와의 결합력을 갖게하는 방식 등이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다수의 부품들을 고정하고 체결하는 작업은 매우 어렵고 많은 경험이 있어야만 오류없이 설치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국내에서는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는 위생도기 제조사에서 별도로 마련된 조립라인에서 전담작업자들에 의해 조립되어 일체화된 상태로만 판매되고 있다. 건설현장에서는 소변기 시공자는 급수와 배수를 연결하고 소변기를 고정하는 정도의 작업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 제2001-40742호인 "자동세정장치를 갖는 소변기"에서는 소변기 본체의 상측 케이스 내부에 자동세정장치를 수납하는데 있어서, 밸브유니트가 점유하는 내부 공간을 감소시키고 케이스 내부의 급수관의 배관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만, 적외선 센서, 밸브유니트, 솔레노이드밸브 등의 부품들을 배치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연결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6398호인 "센서 내장형 소변기의 센서케이스 고정 구조"에서는 소변기의 두께가 제품마다 다르더라도 이동판을 움직여 고정하므로 조절폭이 크도록 한 센서케이스 고정구조가 개시되어 있지만, 그 부품설치작업이 용이하다고 할 수 없다.
일본공개특허 제2007-321543호인 "소변기 자동세정장치"에서는 소변기의 전면 보울면에 설치되고 후방에서 급수를 받아 보울면(벽면)에 설치되어 분사하는 스프레다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상술한 센서케이스 설치에 관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유용한 면이 있다. 그러나, 보울면과 건축벽면 사이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제어부 설치공간이 부족하여 센서부와 제어부가 분리되고, 거리가 멀어서 배선의 길이가 길어져 저전압 신호를 증폭하여 처리해야하므로 센서회로의 신뢰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배선은 커넥터로 제어회로와 접속되어야 하는데 고가의 방수 커넥터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일본공개특허 제2010-37869호인 "소변기 세정장치"에서는 마이크로파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도플러 센서를 적용하여 인체가 아닌 소변의 흐름을 검출하여 자동세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 매우 고가이고 소모전력이 커서 건전지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1-4074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6398호 일본공개특허 제2007-321543호 일본공개특허 제2010-3786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소변기의 상부 공간에 자동세정장치를 내장하되, 스프레다가 상부체결형으로서 자동세정장치 설치 공간부에서 아래로 타공된 구멍으로 설치되고 상부에서 급수를 받아 소변기 보울면에 분사하여 벽면을 세척하는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소변기 상부의 자동세정장치 설치공간에 스프레다만 소변기와 직접 체결되고 다른 구성부품의 대부분은 스프레다와 원터치 형으로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는 소변기의 상부공간에서 아래로 타공된 구멍에 체결되며, 상하로 통공되어 적외선 센서케이스를 수용하는 센서수용홈이 사용자측 방향으로서 전면에 설치된 몸통, 상기 센서수용홈의 배면으로는 보울면측으로 상하로 연장 형성된 급수연결관, 및 상기 급수연결관의 하부로 연결되어 소변기의 벽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구비하는 스프레다; 및 상기 스프레다의 센서수용홈에 수용되며 내부에 적외선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센서케이스, 및 상기 센서케이스의 상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되는 제어회로케이스를 구비하는 센서내장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다의 급수연결관과 연결되는 토수구, 상기 토수구와 연결되는 급수통로가 구비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급수를 공급하는 급수구, 상기 바디부의 급수통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밸브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급수연결관에는 오목홈을 구비되고, 상기 토수구에는 고정핀을 갖는 고정소켓이 구비되어서, 상기 오목홈에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고정핀의 고정턱이 끼워져 결합력을 갖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소켓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부의 토수구에 오링을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토수구와 연통하는 배수구를 갖도록 결합되며, 좌우로 횡단하는 슬라이드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공간 내에는 개구부를 갖는 고정핀이 수평으로 끼워지며, 상기 고정핀은 스프링으로 구속되어서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고정핀의 고정턱이 배수구의 안지름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부와 상기 고정소켓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내장제어부의 뒷면에는 후크와 복수개의 안내홀이 구비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부의 측면에는 후크걸림턱과 상기 안내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안내핀 구비되어서, 상기 센서내장제어부와 솔레노이브밸브부를 후크와 후크걸림턱 및 안내홀과 안내핀이 끼워지도록 하여 두 구성품이 하나의 구성품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내장제어부의 외측으로 T형 날개를 구비하여, 외벽의 긴 ㄷ홈 날개를 구비하는 건전지케이스와 착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부에는 상기 토수구과 연통하는 세정액 연결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레다를 소변기에 너트로 조여 설치하면 나머지 구성부품들은 스프레다에 원터치로 장착시켜 설치를 완료할 수 있어서,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해져 일반적인 건설현장의 작업자도 자동세정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위생도기 공장에서 조립비용이 발생하지 않아서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변기의 전면부에 센서창이 없어 외관이 미려해지고 위생도기 생산공정에서 개구부 형성을 위한 절개작업이 없어져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기에 설치된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의 스프레다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다와 센서내장제어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다에 솔레노이드 밸브부를 결합하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다에 솔레노이드밸브부를 결합한 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부와 센서내장제어부의 결합 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부와 센서내장제어부의 결합 후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기에 설치된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의 스프레다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변기(1)의 상부 공간(10)에 자동세정장치를 내장하되, 스프레다(100)가 상부체결형으로서 소변기의 상부공간(10)에서 아래로 타공된 구멍을 관통하여 스프레다(100)를 위치시킨 후에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구조이다.
상기 스프레다(100)는 상부에서 급수를 받아 소변기 보울면의 벽면에 분사하여 세척하는 구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는 스프레다(100), 센서내장제어부(200), 솔레노이드밸브부(300), 및 건전지를 구비한 건전지케이스(4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레다(100)는 상하로 통공되어 적외선 센서케이스(207)를 수용하는 센서수용홈(109)이 형성된 몸통(10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센서수용홈(109)은 사용자측 방향으로서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센서수용홈(109)의 배면으로는 보울면측으로 급수연결관(105)이 상하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급수연결관(105)의 하부로는 소변기의 벽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노즐부(103)의 노즐의 반대 방향으로는 걸림홈(115)이 형성되어 적외선 센서케이스(207)의 돌기(245, 도 3 참조)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급수연결관(105)의 상단에는 오목홈(113)이 형성되어 이를 이용하여 스프레다(100)와 솔레노이드밸브부(300)를 원터치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몸통(101)의 센서수용홈(109)의 상부 외주면으로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위에는 고정대(111)가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대(111)와 나사홈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07)를 이용하여 스프레다 몸통(101)이 소변기 상부 공간의 타공된 구멍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내장제어부(200)는 전면에 인쇄회로기판(201, PCB)이 수용되는 제어회로케이스(203)와, 상기 제어회로케이스(203)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적외선 센서(205)가 내부에 설치되며 적외선이 투과 가능한 센서케이스(207)를 구비한다. 센서케이스(207)는 상기 스프레다(100)의 센서수용홈(109)을 관통할 수 있는 너비를 갖는다. 상기 제어회로케이스(203)의 측면으로는 T형 날개(209)가 형성되어 이 T형 날개(209)에 건전지케이스(400)의 ㄷ형 날개(40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부(300)는 급수통로가 구비된 바디부(301), 급수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303), 급수구(305), 및 토수구(307)를 구비한다. 상기 토수구(307)는 오링(309)을 개재한 상태에서 고정소켓(311)이 결합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부(300)에는 상기 토수구(307)와 연통하는 세정액 연결관(325)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소변기에 급수할 때 세척제나 방향제를 첨가할 때 별도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전지 케이스(400)는 좌/우 단면이 ㄷ형 날개(401)가 길이방향으로 벽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의 조립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소변기의 상부 공간에서 아래로 타공된 스프레다 설치 구멍에 패킹을 개재한 상태에서 스프레다를 아래에서 넣고 위에서 고정너트(109)로 조여 고정한다.
다음으로, 스프레다(100)에 센서내장제어부(200)를 결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다와 센서내장제어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내장제어부(200)의 센서케이스(207)를 스프레다(100)의 센서수용홈(109)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 넣는다. 이때, 센서 케이스의 단부의 센서케이스 돌기(245)는 스프레다의 걸림홈(115)에 끼워진다. 미설명 도면부호 '117'은 패킹이다.
다음으로, 스프레다(100)에 솔레노이드밸브부(300)를 결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다에 솔레노이드밸브부를 결합하기 전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다에 솔레노이드밸브부를 결합한 후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솔레노이드밸브부(300)의 토수구(307)에는 오링(309)을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토수구(307)와 연통하는 배수구(317)를 갖는 고정소켓(311)이 결합된다. 실시예와는 달리, 토수구(307)와 고정소켓(31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소켓(311)에는 좌우로 횡단하는 슬라이드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공간 내에는 개구부를 갖는 고정핀(313)이 수평으로 끼워지는데, 고정핀(313)은 스프링(315)으로 구속되어서 정상상태에서는 고정핀(313)의 고정턱(319)이 배수구(317)의 안지름보다 일정간격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하였듯이 스프레다(100)의 급수연결관(105)의 상단에는 오목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조립을 위하여, 솔레노이드밸브부(300)의 토수구(307)를 스프레다(100)의 급수연결관(105)에 끼워 넣는다. 이때, 급수연결관(105)이 토수구(307)에 들어가면서 고정핀(313)의 고정턱(319)의 빗면을 밀어 고정핀(313)의 밀어내면서 들어간다. 급수연결관(105)은 계속 들어가다 오링(309)을 만나면 오링의 내측을 벌리면서 계속 들어가 토수구(307) 안쪽 면에 닿아서 멈춘다. 이때, 급수연결관(105)에 의해 밀려나있던 고정핀(313)의 고정턱(319)이 스프링(315)의 탄성력에 의하여 급수연결관(105)의 오목홈(113)으로 들어오게 된다. 즉, 스프레다 급수연결관(105)의 오목홈(113)에 스프링(315)에 의해 가압된 고정핀(313)의 고정턱(319)이 끼워져 수압과 외력에 대항하는 결합력을 갖게 된다. 급수되는 압력에 의한 누수는 오링(309)에 의해 밀결된다.
한편, 솔레노이드밸브부(300)에 스프레다(100)와 결합된 센서내장제어부(200)를 결합하여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부와 센서내장제어부의 결합 전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부와 센서내장제어부의 결합 후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센서내장제어부(200)의 뒷면에는 후크(211)와 복수개의 안내홀(213)이 구비되고, 솔레노이드밸브부(300)의 측면에는 후크걸림턱(321)과 상기 안내홀(2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안내핀(323)이 구비되어서, 센서내장제어부(200)와 솔레노이브밸브부(300)를 후크(211)와 후크걸림턱(321) 및 안내홀(213)과 안내핀(323)이 끼워지도록 하여 두 구성품이 하나의 구성품으로 사전에 공장출하시에 만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스프레다(100)에 센서내장제어부(200) 및 솔레노이드밸브부(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한번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건전지케이스(400)는 외벽의 긴 ㄷ홈 날개(401)를 센서내장제어부(200)의 외측 좌 또는 우의 T형 날개(209)에 끼워 넣어서 고정할 수 있다.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척장치는 특성상 건전지의 교체가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건전지 케이스를 쉽게 착탈될 필요가 있으며 특별히 강한 체결력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급수의 접속은 벽면의 급수구에서 엘보와 지수전이 일체된 급수호스의 일측을 체결하고 다른측을 솔레노이드밸브부의 급수구(305)에 체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1: 소변기 10: 상부 공간
100: 스프레다 101: 몸통
103: 분사노즐부 105: 급수연결관
107: 고정너트 109: 센서 수용홈
111: 고정대 113: 오목홈
115: 걸림홈 117: 패킹
200: 센서내장제어부 201: 인쇄회로기판
203: 제어회로케이스 205: 적외선 센서
207: 센서케이스 209: T형 날개
211: 후크 213: 안내홀
300: 솔레노이드밸브부 301: 바디부
303: 솔레노이드 305: 급수구
307: 토수구 309: 오링
311: 고정소켓 313: 고정핀
315: 스프링 317: 배수구
319: 고정턱 321: 후크걸림턱
323: 안내핀 325: 세정액 연결관
400: 건전지 케이스 401: ㄷ형 날개

Claims (7)

  1. 소변기의 상부공간에서 아래로 타공된 구멍에 체결되며, 상하로 통공되어 적외선 센서케이스를 수용하는 센서수용홈이 사용자측 방향으로서 전면에 설치된 몸통, 상기 센서수용홈의 배면으로는 보울면측으로 상하로 연장 형성된 급수연결관, 및 상기 급수연결관의 하부로 연결되어 소변기의 벽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구비하는 스프레다; 및
    상기 스프레다의 센서수용홈에 수용되며 내부에 적외선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센서케이스, 및 상기 센서케이스의 상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되는 제어회로케이스를 구비하는 센서내장제어부; 및
    상기 스프레다의 급수연결관과 연결되는 토수구, 상기 토수구와 연결되는 급수통로가 구비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급수를 공급하는 급수구, 상기 바디부의 급수통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밸브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급수연결관에는 오목홈을 구비되고, 상기 토수구에는 고정핀을 갖는 고정소켓이 구비되어서, 상기 오목홈에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고정핀의 고정턱이 끼워져 결합력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소켓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부의 토수구에 오링을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토수구와 연통하는 배수구를 갖도록 결합되며, 좌우로 횡단하는 슬라이드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공간 내에는 개구부를 갖는 고정핀이 수평으로 끼워지며, 상기 고정핀은 스프링으로 구속되어서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고정핀의 고정턱이 배수구의 안지름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부와 상기 고정소켓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내장제어부의 뒷면에는 후크와 복수개의 안내홀이 구비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부의 측면에는 후크걸림턱과 상기 안내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안내핀 구비되어서,
    상기 센서내장제어부와 솔레노이브밸브부를 후크와 후크걸림턱 및 안내홀과 안내핀이 끼워지도록 하여 두 구성품이 하나의 구성품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내장제어부의 외측으로 T형 날개를 구비하여,
    외벽의 긴 ㄷ홈 날개를 구비하는 건전지케이스와 착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부에는 상기 토수구과 연통하는 세정액 연결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
KR1020150190862A 2015-12-31 2015-12-31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 KR10176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862A KR101762122B1 (ko) 2015-12-31 2015-12-31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862A KR101762122B1 (ko) 2015-12-31 2015-12-31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930A KR20170080930A (ko) 2017-07-11
KR101762122B1 true KR101762122B1 (ko) 2017-08-07

Family

ID=5935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862A KR101762122B1 (ko) 2015-12-31 2015-12-31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1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5589A (ja) * 2004-05-14 2005-11-24 Toto Ltd 小便器装置
JP2014218800A (ja) * 2013-05-02 2014-11-20 Toto株式会社 小便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5589A (ja) * 2004-05-14 2005-11-24 Toto Ltd 小便器装置
JP2014218800A (ja) * 2013-05-02 2014-11-20 Toto株式会社 小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930A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8907B2 (en) Induction flush device
US20150107008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flush toilet
US7331068B1 (en) Water conserving urinal
KR101762122B1 (ko) 소변기 내장형 자동세정장치
JP2007321543A (ja) 小便器の自動洗浄装置
KR20110137526A (ko) 공압을 이용한 절수형 양변기
KR101876906B1 (ko) 소변기 자동세정장치의 인체감지 센서기
CN113502887B (zh) 一种带自清洁功能的喷射检测喷头及马桶
JP2002018188A (ja) 洗濯機パン用継手
KR101000416B1 (ko) 손 세척장치
KR101518861B1 (ko) 착탈식 조작부를 구비하는 좌변기용 변좌
CN208501832U (zh) 小便器喷嘴及小便器
KR100794582B1 (ko) 싱크대의 자동 급수 장치
JP2022508181A (ja) シャワー付き便器のスプレーノズルの自動的な消毒
JP2004232374A (ja) 水洗式大便器
JP7122571B2 (ja) 水栓装置
JP6865382B2 (ja) 水栓装置
KR101632384B1 (ko) 세가지 모드로 물 배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수도꼭지장치
JP4518072B2 (ja) 泡洗剤吐出装置
CN210086413U (zh) 一体式蹲便器
CN217267876U (zh) 带有内置水箱的壁挂式马桶
JP4737068B2 (ja) 洗浄装置
JP4605151B2 (ja) 泡洗剤吐出装置
WO2019101175A1 (zh) 洗碗机的集成水杯和具有其水槽组件、洗碗机
KR200169275Y1 (ko) 소변기의 자동 수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