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774B1 - 블록성형용 금형 - Google Patents

블록성형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774B1
KR101761774B1 KR1020150115466A KR20150115466A KR101761774B1 KR 101761774 B1 KR101761774 B1 KR 101761774B1 KR 1020150115466 A KR1020150115466 A KR 1020150115466A KR 20150115466 A KR20150115466 A KR 20150115466A KR 101761774 B1 KR101761774 B1 KR 101761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block
mold
mold body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087A (ko
Inventor
신동수
Original Assignee
신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수 filed Critical 신동수
Priority to KR102015011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774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moulding surfaces simulating natural effets, e.g. wood or s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09Changing the forming elements, e.g. exchanging moulds,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62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for building blocks or similar block-shap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블록과 자연질감의 거친표면을 가지는 블록을 자유롭게 성형할 수 있어 생산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장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하면서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사각형상으로 금형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금형바디의 내부에는 성형하고자 하는 블록의 형상과 모양에 맞게 다수개의 성형홀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블록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성형홀은 성형홀의 수에 맞게 금형바디 내부에 구획림에 의하여 독립되게 형성하고, 성형된 블록을 시공할 때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위치의 성형홀 상면 금형바디와 구획림에는 매끄러운 표면을 성형하거나 또는 자연질감을 표현하기 위한 거핀 표면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블록성형용 금형{MOLDER FOR BLOCK MOLDING}
본 발명은 블록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용, 호안용, 법면용 블록과 같이 콘크리트 2차제품의 성형을 매끈한 표면상태 또는 자연석과 같은 상태로의 성형을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자유롭게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블록성형용 금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2차제품으로 불리워지는 블록은 옹벽을 구축하는 옹벽용 블록, 호안에 침칙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호안용 블록, 도로 또는 기타 법면(경사면)에 시공하는 법면용 블록 등 다양한 종류가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가지도록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중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블록성형용 금형의 구성을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블록성형용 금형(1)은, 사각형상으로 금형바디(2)를 구비하고, 상기 금형바디(2)의 내부에는 성형하고자 하는 블록의 형상과 모양에 맞게 성형홀(3)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성형홀(3)은 성형 완료된 블록을 시공하였을 때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면의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나의 블록이 하나의 성형홀(3)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면의 표면을 거친 형상(자연석과 같은 질감)을 얻고자 할 경우에는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면이 서로 연접되도록 2개 1조가 되도록 성형홀(3)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금형(1)은 주지된 바와 같이 성형기의 하부금형에 내장시키고, 몰탈(콘크리트)를 공급받은 상태에서 성형홀(3)과 같은 형상의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몰탈을 가압하도록 한 상태에서 다시 하부금형이 상승하여 성형된 블록이 노출되면 상부금형도 상승하게 되고, 파레트에 남아있는 블록을 배출하는 과정으로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성형된 블록은 별도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연접된 2개의 블록을 절단하여 연접면이 매끄럽지 않고 거친 표면을 가지도록 하여 자연석과 같은 질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실용신안등록 제 20 - 0303055 - 0000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15896 - 0000 호 특허출원 제 10 - 2000 - 0042782 호 특허 제 10 - 1285293 - 0000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블록과 거칠면서 자연스러운 질감의 표면을 가지는 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금형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결국에는 블록성형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된다.
특히 거친 표면을 가지는 블록의 경우에는 2개 1조가 되도록 성형한 블록을 양생하여 완전히 굳은 후에는 별도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양분시켜 양분된 표면이 자연질감을 가지도록 하기 때문에 고가의 절단기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블록성형의 원가상승을 부추기는 것은 물론, 이로 인하여 대외적인 가격경쟁력이 취약하게 된다.
하나의 성형기를 이용하여 2개의 금형을 교환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블록의 종류에 따라 성형기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무거운 금형을 교환하는 데 많은 시간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생산효율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2개 1조로 성형된 블록을 절단기를 이용하여 양분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블록은 정확하게 양분되어 사용가능하게 되나, 일부 블록의 경우에는 2개의 블록이 연접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양분하지 못하고 어느 한 쪽으로 과도하게 편중된 상태로 절단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전용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작업을 수행하더라도 블록 전체가 완전하게 파손되어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성형 후 절단 과정에서 많은 불량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 또한 경쟁력을 취약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금형은 불필요하게 많은 수의 금형과 더불어 전용의 장비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블록을 성형한 후 후공정으로 절단과정을 거쳐야 하는 블편이 있고, 절단과정에서 블록이 파손되면서 비산될 경우에는 주변의물품을 손상시키거나 작업자의 신체를 손상시키는 등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사각형상으로 금형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금형바디의 내부에는 성형하고자 하는 블록의 형상과 모양에 맞게 다수개의 성형홀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블록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성형홀은 성형홀의 수에 맞게 금형바디 내부에 구획림에 의하여 독립되게 형성하고, 성형된 블록을 시공할 때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위치의 성형홀 상면 금형바디와 구획림에는 매끄러운 표면을 성형하거나 또는 자연질감을 표현하기 위한 거핀 표면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수단을 더 구비하여;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블록과 자연질감의 거친표면을 가지는 블록을 자유롭게 성형할 수 있어 생산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장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하면서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표면이 매끄러운 제품과 표면이 거칠면서 자연스러운 질감을 가지는 제품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블록 성형에 소요되는 제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성형된 블록의 품질을 균일하면서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어 대외적인 경쟁력의 우위에 있을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블록성형용 금형을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블록성형용 금형을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블록성형용 금형을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블록성형용 금형의 C부위를 발췌한 정상제품 성형상태 파절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블록성형용 금형의 C부위를 발췌한 자연석처리제품 성형상태 파절사시도.
도 6 (a,b)는 본 발명의 금형에 의하여 제조된 블록을 도시한 정상제품 및 자연석처리제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블록성형용 금형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블록성형용 금형을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블록성형용 금형을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블록성형용 금형을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블록성형용 금형의 C부위를 발췌한 정상제품 성형상태 파절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블록성형용 금형의 C부위를 발췌한 자연석처리제품 성형상태 파절사시도, 도 6 (a,b)는 본 발명의 금형에 의하여 제조된 블록을 도시한 정상제품 및 자연석처리제품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블록성형용 금형(100)은, 사각형상으로 금형바디(101)를 구비하고, 상기 금형바디(101)의 내부에는 성형하고자 하는 블록의 형상과 모양에 맞게 다수개의 성형홀(102,103)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성형홀(102,103)은 성형홀(102,103)의 수에 맞게 금형바디(101) 내부에 정방향이나 역방향 또는 정방향과 역방향을 교대로 배치하되 각각의 성형홀(102,103)은 구획림(104)에 의하여 독립되게 형성된다.
성형된 블록(105)을 시공할 때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위치의 성형홀(102,103) 상면 금형바디(101)와 구획림(104)에는 매끄러운 표면을 성형하거나 또는 자연질감을 표현하기 위한 거친 표면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수단(110)을 더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성형수단(110)은, 시공시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위치의 금형바디(101)와 구획림(104)의 상면에 체결공(111)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111)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112)으로 단속되어 고정되는 성형편(115)으로 구성한다.
상기 성형편(115)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는 매끄러운 표면을 성형할 수 있도록 직선면(116)을 형성하고, 직석면(116)의 반대측인 다른 한 측면에는 자연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거친면(117)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성형형태에 따라 성형편(115)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서는 양측에 직선면(116)을 형성한 성형편(115)과 양측에 거친면(117)을 형성한 성형편(115)을 교환 장착하여 블록(105)을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성형편(115)에 형성되는 거친면(117)의 형상은 파형, 라운드형, 상감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자유로운 형상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므로 어느 하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블록성형용 금형(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블록성형용 금형(100)을 이용하여 블록(105)을 성형하는 과정은 주지된 바와 같이, 블록성형기의 하부금형에 금형(100)을 내장시키고, 몰탈 또는 콘리트와 같은 성형재료를 공급받은 상태에서 성형홀(102,103)과 동일한 형상의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몰탈을 가압하면, 다시 하부금형이 상승하여 성형된 블록(105)이 노출되면 상부금형도 상승하게 되고, 파레트에 남아있는 블록(105)을 배출하는 과정을 연속 반복하면서 블록(105)의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블록(105)을 성형하는 과정, 즉 하부금형이 상승할 때 본 발명의 금형(100)도 하부금형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함께 상승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성형편(115)에 의하여 블록(105)이 시공될 때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면의 표면을 매끄럽게 또는 자연질감을 가지는 거친면이 표면되도록 할 것인지 선택되어지게 된다.
표면을 매끄럽게 성형하고자 할 경우에는 성형편(115)의 직선면(116)이 성형홀(102,103)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하고, 자연질감을 느끼도록 하기 위하여 거친 표면을 가지도록 성형하고자 할 경우에는 성형편(115)의 거친면(117)을 성형홀(102,103)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성형하면 된다.
그러면, 성형 후 하부금형이 상승하면서 블록(105)을 파레트에 남겨두는 과정에서 블록(105)이 성형홀(102,103)을 벗어나는 과정에서 성형편(115)에 의하여 표면이 긁히게 되고, 성형편(115)의 직선면(116)과 연접시에는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의 성형이 이루어지고, 성형편(115)의 거친면(117)과 연접시에는 표면이 거친 자연질감 상태의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블록과 자연질감의 거친표면을 가지는 블록을 자유롭게 성형할 수 있어 생산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장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하면서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블록성형용 금형
101; 금형바디
102,103; 성형홀
104; 구획림
105; 블록
110; 성형수단
115; 성형편
116; 직선면
117; 거친면

Claims (2)

  1. 사각형상으로 금형바디(101)를 구비하고, 상기 금형바디(101)의 내부에는 성형하고자 하는 블록의 형상과 모양에 맞게 다수개의 성형홀(102,103)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홀(102,103)은 성형홀(102,103)의 수에 맞게 금형바디(101) 내부에 구획림(104)에 의하여 독립되게 형성하고;
    성형된 블록(105)을 시공할 때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위치의 성형홀(102,103) 상면 금형바디(101)와 구획림(104)에는 매끄러운 표면을 성형하거나 또는 자연질감을 표현하기 위한 거핀 표면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수단(11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성형수단(110)은, 시공시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위치의 금형바디(101)와 구획림(104)의 상면에 형성하는 체결공(111)과;
    상기 체결공(111)에 체결수단(112)으로 단속되어 고정되는 성형편(115)으로 구성하고;
    상기 성형편(115)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는 매끄러운 표면을 성형할 수 있도록 직선면(116)을 형성하고, 다른 한 측면에는 자연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거친면(117)을 가지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양측에 직선면(116) 또는 거친면(117)을 형성하여 교환 장착하여 블록(105)을 성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성형용 금형.
  2. 삭제
KR1020150115466A 2015-08-17 2015-08-17 블록성형용 금형 KR101761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466A KR101761774B1 (ko) 2015-08-17 2015-08-17 블록성형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466A KR101761774B1 (ko) 2015-08-17 2015-08-17 블록성형용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087A KR20170021087A (ko) 2017-02-27
KR101761774B1 true KR101761774B1 (ko) 2017-07-26

Family

ID=5831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466A KR101761774B1 (ko) 2015-08-17 2015-08-17 블록성형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796B1 (ko) 2018-12-21 2019-04-30 주식회사 대영테크 블록 성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0721A (ja) * 2001-01-24 2002-07-30 Sekisui House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成型用の型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871B1 (ko) 1998-12-26 2006-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전 휴대폰의 수신 메세지 표시 방법
KR200303055Y1 (ko) 2002-10-18 2003-02-07 주식회사 세일산업 식생블록 금형장치
KR200415896Y1 (ko) 2006-02-24 2006-05-10 임명숙 유도블록 성형금형
KR101285293B1 (ko) 2011-02-09 2013-07-11 이종찬 식생옹벽블록 금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0721A (ja) * 2001-01-24 2002-07-30 Sekisui House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成型用の型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796B1 (ko) 2018-12-21 2019-04-30 주식회사 대영테크 블록 성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087A (ko) 201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2814B1 (en) Method for dry casting concrete blocks
US20210299918A1 (en) Manufactured retaining wall block with improved false joint
CN105599216B (zh) 一种塑胶开关盒一体化注塑冲孔机
KR101761774B1 (ko) 블록성형용 금형
CN101890641A (zh) 多孔滤波器盖板的批量加工方法
CN104162631B (zh) 一种涡流器的可溶性型芯制作用固芯环及所述可溶性型芯的制作方法
CN210336363U (zh) 建筑构件槽型空间成型模具易拆结构
US11780114B2 (en) Device for pressing a non-hardened concrete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concrete articles
CN204194536U (zh) 一种切边模废料切除装置
CN208280733U (zh) 可重复使用的围挡基础
CN206678147U (zh) 一种制作垫块的模具
CN205439126U (zh) 一种去废刀具
KR101068871B1 (ko)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및 그 제조방법
CN205889491U (zh) 一种板式混凝土钢筋定位块的浇筑模具
CN205651607U (zh) 一种新型橡胶鞋底模具
CN205870978U (zh) 用于制作热固型树脂固化块的组合型模具
CN206048687U (zh) 一种自动出模工装
CN104002368B (zh) 便于混凝土预制件生产时模具拆装方便的方法
CN209832351U (zh) 一种滑动拼合的模具
CN211806807U (zh) 一种复合发泡水泥板生产模具
CN203495141U (zh) 钳口铸件用熔模铸造模具
CN207563519U (zh) 一种高强度折叠式连接卸扣切边模具
US1610974A (en) Tile mold
CN203496099U (zh) 制砖模具
CN103008434A (zh) 一种汽车外覆盖件模具废料切断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