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871B1 -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871B1
KR101068871B1 KR1020110059755A KR20110059755A KR101068871B1 KR 101068871 B1 KR101068871 B1 KR 101068871B1 KR 1020110059755 A KR1020110059755 A KR 1020110059755A KR 20110059755 A KR20110059755 A KR 20110059755A KR 101068871 B1 KR101068871 B1 KR 101068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cutting groove
mosaic
manufactu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원
Original Assignee
서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원 filed Critical 서인원
Priority to KR1020110059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판 형태의 타일몸체(100)를 가지되, 다양한 형태로 상기 타일몸체(100)를 구획하는 절단홈(110)이 형성되어 상기 절단홈(110)을 따라 분쇄됨으로써 조각타일(120)을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및 그 모자이크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여,
예측이 가능한 크기와 형태로 타일을 쉽게 분해하여 조각타일을 형성할 수 있게 되고, 분쇄하더라도 분쇄면이 비교적 무디게 형성되어 안전하면서도 빠르고 편리하게 시공하여 건축물의 벽면이나 바닥을 장식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도 날카로운 면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안전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및 그 제조방법{crack art t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공이 간편하고 활용성이 극대화되며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자이크란 그림을 표현하는 하나의 기법으로서 작은 조각들을 이어서 그림을 형성하는 방법을 말한다. 근래 들어 이러한 모자이크 기법을 이용해 건물의 외벽, 바닥 등을 장식하는 시도가 있었다.
모자이크 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재료로는 작은 크기로 제작된 타일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제작된 타일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등과 같이 일률적인 모양을 갖도록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기계적이고 규격화된 느낌을 주는바, 다양한 그림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해소하고자 자기 재질의 타일을 깨서 크기와 형태가 다양한 조각을 형성한 다음 이를 이용해 모자이크 기법을 시도하여 그림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타일을 깨서 조각을 내게 되면 깨진 불규칙한 형태로 깨지게 되는데, 이때 그 형태가 너무 불규칙할 뿐만 아니라 조각의 크기 또한 너무나도 불규칙하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나 깨어진 면이 날카롭게 형성되게 됨에 따라 이를 시공할 때에 상처를 입는 경우가 빈번하였는바, 시공이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 조각 사이에 모르타르(mortar)를 충분히 채우지 않게 되면 날카로운 면이 드러나므로 위험한 상태가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서는 쉽게 분쇄가 가능하고, 분쇄에 따라 형성되는 조각의 형태와 크기가 일정 정도 예측이 가능하며, 분쇄 면이 비교적 안전한 형태로 형성되게 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도 날카로운 면이 드러나지 않아 안전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과 그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 타일을 쉽게 분쇄할 수 있게 형성하되, 분쇄 후 형성되는 조각의 형태와 크기를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게 형성하며, 절단면이 비교적 무디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시공후에도 날카로운 면이 드러나지 않아 안전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측이 가능한 크기와 형태로 타일을 쉽게 분해하여 조각타일을 형성할 수 있게 되고, 분쇄하더라도 분쇄면이 비교적 무디게 형성되어 안전하면서도 빠르고 편리하게 시공하여 건축물의 벽면이나 바닥을 장식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도 날카로운 면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안전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타일 조각을 이용해 모자이크 기법으로 벽면을 장식한 상태를 예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에 형성되는 절단홈의 깊이를 다양하게 형성한 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이 절단홈을 따라 분쇄된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각타일이 시공된 상태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을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부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은 쉽게 분쇄가 가능하고, 분쇄에 따라 형성되는 조각의 형태와 크기가 일정 정도 예측이 가능하며, 분쇄 면이 비교적 안전한 형태로 형성되게 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판 형태의 타일몸체를 가지되, 다양한 형태로 상기 타일몸체를 구획하는 절단홈이 형성되어 상기 절단홈을 따라 분쇄됨으로써 조각타일을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에 형성되는 절단홈의 깊이를 다양하게 형성한 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이 절단홈을 따라 분쇄된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각타일이 시공된 상태 부분 확대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은 판 형태의 타일몸체(100)를 가지되, 다양한 형태로 상기 타일몸체(100)를 구획하는 절단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절단홈(110)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절단홈(110)을 따라 타일몸체(100)가 분쇄됨으로써 조각타일(120)을 형성하게 된다.
절단홈(110)이 상기와 같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됨으로써 타일몸체(100)가 분쇄되어 형성되는 조각타일(120)은 가장자리 측면이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무딘 상태로 형성되게 된다. 즉, 절단홈(110)이 형성되어 있던 면은 이미 무디게 형성된 상태이므로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서 무디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날카로운 부분이 최소화됨에 따라 안전하게 시공하여 줄 수 있다. 특히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 과정에서 조각타일(120)과 조각타일(120) 사이에 모르타르(mortar)가 충분히 채워지지 않아 조각타일(120)의 가장자리 측면이 드러나더라도 날카로운 부분이 없으므로 안전한 상태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단홈(110)의 깊이눈 타일몸체(100) 전체 두께의 1/4~3/4 깊이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절단홈(110)의 깊이를 상기 범위에서 형성하는 것은 타일몸체(100)을 쉽게 분쇄토록 함과 아울러 조각타일(120)로 형성될 경우 가장자리 측면에 무디게 형성되는 부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각타일(120)은 절단홈(110)을 형성하는 패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바, 사각형, 마름모, 삼각형, 원형, 타원형 등 그 형상에 제한이 없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면적)를 가지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절단홈(110)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타일몸체(100)는 망치로 뒷면을 타격하여 절단홈(110)을 따라 분쇄되게 함으로써 조각타일(120)로 형성하여 줄 수 있다. 또한 타일몸체(100)를 손으로 잡고 바닥에 던지거나 일정 높이에서 낙하시키게 되면 충격이 가해지면서 분쇄되어 조각타일(120)이 형성되게 되는바, 분쇄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단홈(110)이 타일몸체(100)에 형성됨으로써 분쇄되어 형성되는 조각타일(120)의 크기와 형태 등의 예측이 가능하여 시공하는 지점의 면적에 따라 타일몸체(100)의 양을 대략적으로 예측하여 줄 수 있어서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쇄시 시공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 작은 조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줄 수 있는바, 이를 통해서도 낭비를 줄여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을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부여주는 예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은 금형(200)으로 펼쳐진 원료를 찍어서 형성하게 된다. 원료는 자기 재질의 타일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로서 공지된 것과 다름이 없다.
상기 금형(200)은 타일몸체(100)에 절단홈(110)을 형성하는 돌기(210)가 저면을 구획하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210)는 끝단에서부터 시작지점까지 폭이 점차 증가하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210) 양측면이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금형(200)이 마련되면 금형(200)으로 판상으로 펼쳐진 원료를 위에서 찍어 눌러서 절단홈(110)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타일몸체(100) 전체 두께의 1/4~3/4 깊이로 절단홈(110)이 형성되는 것이다.
절단홈(110)의 형성이 완료되면 후처리 과정을 거쳐 타일몸체(100)를 완성하게 된다. 즉, 표면에 유약을 바르고 고온에서 구워 경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완성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유약의 색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타일몸체(10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후처리 과정은 타일을 제조하는 공지된 방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이 과정을 거쳐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을 자동화 공정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형태로 연속 제작하여 줄 수 있다. 따라서, 규격화된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을 편리하게 생산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100 : 타일몸체, 110 : 조각타일,
120 : 절단홈, 200 : 금형,
210 : 돌기.

Claims (5)

  1. 타일몸체(100)에 절단홈(110)을 형성하는 돌기(210)가 저면을 구획하며 형성되되, 끝단에서부터 시작지점까지 폭이 점차 증가하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210) 양측면이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게 형성된 금형(200)을 마련하고,
    상기 금형(200)으로 판상으로 펼쳐진 원료를 위에서 찍어 눌러서 절단홈(110)을 형성한 다음 경화하여 완성하는 후처리를 거쳐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10)는 절단홈(110)이 타일몸체(100) 전체 두께의 1/4~3/4 깊이로 형성되는 높이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제조방법.
  3. 타일몸체(100)에 절단홈(110)을 형성하는 돌기(210)가 저면을 구획하며 형성되되, 끝단에서부터 시작지점까지 폭이 점차 증가하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210) 양측면이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게 형성된 금형(200)을 마련하고,
    상기 금형(200)으로 판상으로 펼쳐진 원료를 위에서 찍어 눌러서 절단홈(110)을 형성한 다음 경화하여 완성하는 후처리를 거쳐서 판 형태의 타일몸체(100)로 형성되되,
    상기 타일몸체(100)를 구획하는 절단홈(110)이 상기 타일몸체(100) 전체 두께의 1/4~3/4 깊이로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절단홈(110)을 따라 분쇄됨으로써 조각타일(120)이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4. 삭제
  5. 삭제
KR1020110059755A 2011-06-20 2011-06-20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068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755A KR101068871B1 (ko) 2011-06-20 2011-06-20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755A KR101068871B1 (ko) 2011-06-20 2011-06-20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871B1 true KR101068871B1 (ko) 2011-09-29

Family

ID=44958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755A KR101068871B1 (ko) 2011-06-20 2011-06-20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8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486B1 (ko) 2018-09-28 2019-02-14 서인원 유약 장식용 모자이크 타일의 제조방법
KR101991636B1 (ko) 2018-11-15 2019-06-20 주식회사 도화세라믹 벽화용 이형타일의 제작방법 및 이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벽화용 이형타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084A (ja) * 1990-06-13 1992-02-18 Shikoku Chem Corp タイル調金属パネルの製法
JPH07127220A (ja) * 1993-11-01 1995-05-16 Inax Corp 分割用モザイクタイルユニット
KR200358611Y1 (ko) 2004-05-24 2004-08-09 아진산업 주식회사 인테리어용 모형타일
KR20080014180A (ko) * 2006-08-10 2008-02-14 안성귀 홈이 형성된 타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084A (ja) * 1990-06-13 1992-02-18 Shikoku Chem Corp タイル調金属パネルの製法
JPH07127220A (ja) * 1993-11-01 1995-05-16 Inax Corp 分割用モザイクタイルユニット
KR200358611Y1 (ko) 2004-05-24 2004-08-09 아진산업 주식회사 인테리어용 모형타일
KR20080014180A (ko) * 2006-08-10 2008-02-14 안성귀 홈이 형성된 타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486B1 (ko) 2018-09-28 2019-02-14 서인원 유약 장식용 모자이크 타일의 제조방법
KR101991636B1 (ko) 2018-11-15 2019-06-20 주식회사 도화세라믹 벽화용 이형타일의 제작방법 및 이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벽화용 이형타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3553B1 (en) Artificial stone
CA2544152C (en) Improvement in a molding apparatus for producing dry cast products having textured side surfaces
US9027302B2 (en) Wall panel
US9259853B2 (en) Molds for producing concrete blocks with roughened surfaces; blocks made therefrom; and methods of use
US20070166102A1 (en) Dividable paving slabs
CA2850230A1 (en) Slab production and processing
US20170120475A1 (en) Mould for a Skimmer Box Lid
KR101068871B1 (ko) 분리형 모자이크 타일 및 그 제조방법
CA2854650C (en) Masonry block with taper
US9126351B2 (en) Slab production and processing
EP0894593A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osaic tesserae with an antique appearance, and tesserae manufactured thereby
KR101761774B1 (ko) 블록성형용 금형
US9796110B2 (en) Method for making dry cast block with burnished surface
EP3397437B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a stone provided with lighting for floors or carriageways
KR200176299Y1 (ko) 자연석을 이용한 건축용 내,외장타일
KR101052085B1 (ko) 폐자재를 이용한 보도판석 및 그 제작방법
JP4531182B2 (ja) タイルの乾式製造方法
JP2006299768A (ja) 組積用湾曲自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成型型枠
CN107201793A (zh) 一种房屋内隔墙
KR200245828Y1 (ko) 자연물의 무늬를 갖는 장식부재
AU2010273169B2 (en) Slab production and processing
WO2020117082A1 (en) Process for avoiding burrs when demoulding the reconstructed stone and decorative panels and finished product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TW201139330A (en) Glass ceramic board with unlimited extending patter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glass ceramic board product
JP2007056480A (ja) タイル及びタイルの製造方法
EP260703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uilding element, and precursor for such build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