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639B1 -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 - Google Patents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639B1
KR101761639B1 KR1020130105976A KR20130105976A KR101761639B1 KR 101761639 B1 KR101761639 B1 KR 101761639B1 KR 1020130105976 A KR1020130105976 A KR 1020130105976A KR 20130105976 A KR20130105976 A KR 20130105976A KR 101761639 B1 KR101761639 B1 KR 101761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engine casing
ship
boom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519A (ko
Inventor
임홍일
이도형
김화수
이병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5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639B1/ko
Publication of KR20150027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05Equipment to decrease ship's vibrations produced externally to the ship, e.g. wave-induced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선박에 구비되는 크레인을 통해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은 선박의 거주구 또는 엔진케이싱에 구비된 크레인; 및 선박의 엔진케이싱 또는 거주구에 구비되며, 상기 크레인의 붐이 거치될 수 있고, 상기 크레인의 붐이 거치된 경우에 상기 크레인의 붐에 인장하중을 가하여, 상기 크레인을 통해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이 선박진동에 대해 일체로 저항하도록 상기 크레인을 거주구와 엔진케이싱 간에 연결시키는 거치대;를 포함한다.
이러한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에 의하면, 진동 억제를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고, 크레인 몸체를 통해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억제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 {SHIP WITH REDUCED VIBRATION OF DECK HOUSE AND ENGINE CASING}
본 발명은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에 구비되는 크레인을 통해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박의 거주구(10)와 엔진케이싱(20) 그리고, 크레인(30)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을 보면, 선박 거주구(10) 또는 엔진케이싱(20)에는 물품의 선적 또는 하역작업과 선박에서 중량물을 옮기는 등의 작업을 위한 크레인(30)이 설치된다.
이러한 크레인(30)은 거주구(10) 또는 엔진케이싱(20)에 설치되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엔진케이싱(20) 또는 거주구(10) 측으로 크레인(30)의 붐(32)이 배치되고, 선박의 운항 중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된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의한 선박은 거주구(10)와 펀넬 및 엔진케이싱(20)의 복합 구조에 허용치를 넘는 진동이 발생하거나 발생이 예측될 경우에, 진동제어를 위해 거주구(10)와 엔진케이싱(20)에 별도의 보강재를 설치하여 구조보강을 하거나, 별도의 진동제어기기를 설치하였다.
여기서, 구조보강 방법 중에는 거주구(10)와 엔진케이싱(20) 간에 보강재를 연결하여 진동을 제어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관련된 선박 구조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5473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선박은 거주구(10) 및/또는 엔진케이싱(20)에 별도의 구조물이 설치되므로, 별도의 구조물이 크레인(30)의 운용 구간에 시야 확보를 어렵게 하고 크레인(30)의 운용 영역을 제약하는 문제가 있으며, 별도의 구조물 설치로 인한 선박의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진동을 억제하는 별도의 장치없이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을 억제될 수 있는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선박의 거주구 또는 엔진케이싱에 구비된 크레인; 및 선박의 엔진케이싱 또는 거주구에 구비되며, 상기 크레인의 붐이 거치될 수 있고, 상기 크레인의 붐이 거치된 경우에 상기 크레인의 붐에 인장하중을 가하여, 상기 크레인을 통해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이 선박진동에 대해 일체로 저항하도록 상기 크레인을 거주구와 엔진케이싱 간에 연결시키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크레인의 붐에 인장하중을 가하는 하중제공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중제공수단은 상기 크레인의 붐에 대해 상기 크레인의 붐의 끝단 방향으로 미는힘을 가하도록 구동되는 하중전달부와, 상기 하중전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감속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전달부는 상기 감속기어의 회전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감속기어의 회전에 따라 직선이동하며 상기 크레인의 붐에 미는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크레인에는 상기 하중전달부의 미는힘을 전달받는 걸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진동 억제를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고, 크레인 몸체를 통해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억제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을 연결하는 별도의 보강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크레인의 운용 구간에 시야확보가 용이하며, 크레인 운용 영역에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을 억제하는 별도의 진동저감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선박의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선박의 거주구, 엔진케이싱 및 크레인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거주구, 엔진케이싱, 크레인 및 거치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박의 거치대에 구비된 하중제공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중제공수단의 작동상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거주구, 엔진케이싱, 크레인 및 거치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선박의 거치대에 구비된 하중제공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하중제공수단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크레인(130) 및 거치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130)은 선박(100)의 거주구(110) 또는 엔진케이싱(120)에 구비될 수 있다. 크레인(130)은 거주구(110)에서 엔진케이싱(120)까지 연장될 수 있는 길이의 붐(132)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크레인(13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크레인(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140)는 크레인(130)의 붐(132)이 거치될 수 있는 장치로서, 엔진케이싱(120) 또는 거주구(11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크레인(130)이 거주구(110)에 구비되는 경우 거치대(140)는 엔진케이싱(120)에 구비될 수 있고, 크레인(130)이 엔진케이싱(120)에 구비되는 경우 크레인(130)은 거주구(1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대(140)는 크레인(130)의 붐(132)이 거치된 경우에 크레인(130)의 붐(132)에 인장하중을 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크레인(130)의 붐(132)이 거치대(140)에 거치된 경우에, 거치대(140)는 거치된 크레인(130)의 붐(132)을 일방으로 당김으로써, 크레인(130) 몸체가 긴장력을 가지고 거주구(110)와 엔진케이싱(120) 간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130)이 거주구(110)에 구비되고 거치대(140)는 엔진케이싱(120)에 구비된 구조에서, 크레인(130)의 붐(132)이 거치대(140)에 거치된 경우에, 거치대(140)는 크레인(130)의 붐(132)을 엔진케이싱(120)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크레인(130)이 거주구(110)와 엔진케이스에 높은 강도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크레인(130)은 거주구(110)와 엔진케이싱(120) 간에 연결되는 구조 보강재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거치대(140)가 강한 힘으로 크레인(130)에 긴장력을 제공함으로써, 거주구(110) 및 엔진케이싱(120)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선박(100)진동이 거주구(110)와 엔진케이싱(120) 간에 서로 분산되므로 거주구(110)와 엔진케이싱(120)이 선박(100)진동에 대해 일체로 저항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거주구(110) 및 엔진케이싱(120)의 진동이 저감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거치대(140)는 크레인(130)의 붐(132)에 인장하중을 가하는 하중제공수단(150)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중제공수단(150)은 하중전달부(152)와, 구동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전달부(152)는 크레인(130)의 붐(132)에 대해 크레인(130)의 붐(132)의 끝단 방향으로 미는힘을 가하도록 구동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하중전달부(152)는 강한 압축력을 받는 경우에도 변형되지 않는 강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중전달부(152)는 크레인(130)과의 접촉부위를 통한 진동전달이 용이하도록, 크레인(130)과 면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크레인(130)의 붐(132)에는 하중전달부(152)의 미는힘을 전달받는 걸림부(134)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부(134)는 하중전달부(152)에 접촉될 수 있도록 크레인(130)의 붐(132)의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155)는 하중전달부(152)를 구동시킬 수 있는 기계장치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155)는 구동모터(156)와, 상기 구동모터(156)에 연결된 감속기어(157)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중전달부(15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기어(157)의 회전축에 나사결합되어 감속기어(157)의 회전에 따라 직선이동하며 크레인(130)의 걸림부(134)에 미는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감속기어(157)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기어를 통해 구동모터(156)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하중전달부(152)에 나사결합된 회전축의 토크를 증가시킴으로써, 하중전달부(152)가 걸림부(134)에 높은 수준의 압축력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고, 크레인(130)을 거치시키는 거치대(140)와 크레인(130) 몸체를 통해 거주구(110)와 엔진케이싱(120)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거주구(110)와 엔진케이싱(120)을 연결하는 보강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크레인(130)의 운용 구간에 시야확보가 가능하며, 크레인(130) 운용 영역에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거주구(110)와 엔진케이싱(120)의 진동을 억제하는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선박(100)의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선박 110 : 거주구
120 : 엔진케이싱 130 : 크레인
132 : 붐 134 : 걸림부
140 : 거치대 150 : 하중제공수단
152 : 하중전달부 155 : 구동부
156 : 구동모터 157 : 감속기어

Claims (5)

  1. 선박의 거주구(110) 또는 엔진케이싱(120)에 구비된 크레인(130); 및
    선박의 엔진케이싱(120) 또는 거주구(110)에 구비되며, 상기 크레인(130)의 붐(132)이 거치될 수 있고, 상기 크레인(130)의 붐(132)이 거치된 경우에 상기 크레인(130)의 붐(132)에 인장하중을 가하여, 상기 크레인(130)을 통해 거주구(110)와 엔진케이싱(120)이 선박진동에 대해 일체로 저항하도록 상기 크레인을 거주구(110)와 엔진케이싱(120) 간에 연결시키는 거치대(140);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140)는 상기 크레인(130)의 붐(132)에 인장하중을 가하는 하중제공수단(150)을 구비하는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제공수단(150)은 상기 크레인(130)의 붐(132)에 대해 상기 크레인(130)의 붐(132)의 끝단 방향으로 미는힘을 가하도록 구동되는 하중전달부(152)와, 상기 하중전달부(152)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55)를 포함하는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55)는 구동모터(156)와, 상기 구동모터(156)에 연결된 감속기어(157)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전달부(152)는 상기 감속기어(157)의 회전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감속기어(157)의 회전에 따라 직선이동하며 상기 크레인(130)의 붐(132)에 미는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130)에는 상기 하중전달부(152)의 미는힘을 전달받는 걸림부(134)가 구비된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된 선박.
KR1020130105976A 2013-09-04 2013-09-04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 KR101761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976A KR101761639B1 (ko) 2013-09-04 2013-09-04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976A KR101761639B1 (ko) 2013-09-04 2013-09-04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519A KR20150027519A (ko) 2015-03-12
KR101761639B1 true KR101761639B1 (ko) 2017-07-27

Family

ID=5302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976A KR101761639B1 (ko) 2013-09-04 2013-09-04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880A (ko) 2022-03-17 2023-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진동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선박 및 그것의 진동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873B1 (ko) 2015-02-26 2021-05-28 주식회사 만도 통합형 브레이크 장치의 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880A (ko) 2022-03-17 2023-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진동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선박 및 그것의 진동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519A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2810B2 (en) Rolling motion reducing apparatus for a ship
KR101761639B1 (ko) 거주구와 엔진케이싱의 진동이 저감되는 선박
JP5538957B2 (ja) 防振構造体
US20140241842A1 (en) Electrical swivel working machine
JP2010188930A (ja) 操舵入力装置および操舵制御装置
US10457372B2 (en) Propulsion device for ship
KR102341484B1 (ko)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마운팅 로워 구조
US8038489B2 (en) Boat propulsion system, and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07126045A (ja) 船外機の正、逆転切換装置
RU2715014C1 (ru) Устройство виброизоляции валопровода с подшипниками и гребным винтом от корпуса судна
US20030136752A1 (en) Mechanical anti-snag device for container crane
KR101302017B1 (ko) 해상구조물 브릿지의 콘솔 이동장치
KR101668458B1 (ko) 화물 적재 선박
JP2015101958A (ja) 水陸両用車の動力制御装置
JP2005335605A (ja) 船外機の装着構造
EP1300272B1 (en) Engine motion restrictor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such an engine motion restrictor
US8689715B2 (en) Actuator
CN219821733U (zh) 起翘夹具、推进器及水域可移动设备
CN204878371U (zh) 一种轴承座
KR101046842B1 (ko) 잠수운항체의 유압유 배관 설치구조
RU25786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тяжения каната в судовых средствах передачи грузов в море (варианты)
JP2003113905A (ja) ギャードモータ
EP3898493B1 (en) Trolley of rope crane
JP4569751B2 (ja) 船外機の装着構造
JP5193515B2 (ja) パラレルハイブリッドパワート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