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474B1 -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474B1
KR101761474B1 KR1020150087546A KR20150087546A KR101761474B1 KR 101761474 B1 KR101761474 B1 KR 101761474B1 KR 1020150087546 A KR1020150087546 A KR 1020150087546A KR 20150087546 A KR20150087546 A KR 20150087546A KR 101761474 B1 KR101761474 B1 KR 101761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display panel
wall
side co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9829A (ko
Inventor
오종철
양승남
Original Assignee
(주)파버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버나인 filed Critical (주)파버나인
Priority to KR1020150087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47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얇은 소재를 벤딩가공하여 상호 밀착된 상태로 프레임을 형성함에 따라 강성을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소재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벤딩가공하여 자체의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패널(P)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측면커버부(31)와; 상기 측면커버부(31)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P)의 전면 둘레를 커버하도록 외벽부(34)와, 상기 외벽부(34)의 선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완충공간(36)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벽부(34)에 이격되는 내벽부(35)로 이루어진 베젤부(32)와; 상기 측면커버부(31)의 타측에서 상기 베젤부(32)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P)의 배면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후방지지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Bezel frame of 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프레임의 강성을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자체의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나 컴퓨터의 모니터 등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은 패널 자체를 보호하거나 고정하기 위해 패널의 둘레로 얇은 바아형태의 베젤프레임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베젤프레임의 일례를 도시된 도면에 의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프레임(10)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곽을 따라 결합되도록 일정폭과 길이로 연장된 바아부재를 대략 디귿자 형태로 절곡한 것으로, 대개 디스플레이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된 측면커버부(11)와, 이 측면커버부(11)로부터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면 외곽 둘레를 커버하도록 된 베젤부(12)를 포함하여 제작되는데, 상기 베젤부(12)는 각 코너부분에 절개부(13)가 형성되어 바아부재를 디스플레이패널의 규격대로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베젤프레임(10)을 제작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스틸판재를 펀칭 등에 의해 제작함에 따라 재료의 손실이 많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며, 다른 제작방법으로는 알루미늄 재료를 압출하거나 합성수지 재료를 금형에 의해 성형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는데, 이를 도 2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례에 따른 베젤프레임(10)은 알루미늄 재료를 압출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알루미늄 압출재는 성형 특성상 상기 측면커버부(11)와 베젤부(12)의 내측에 일정하게 돌출된 리브(14)가 형성된 것으로,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패널과의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하지 못함에 따라 밀착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베젤부(12)의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형성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주는 데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젤프레임(10)은 상기 베젤부(12)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여 구조적인 취약점을 보완한 것이기는 하나, 이는 상기 베젤부(12)가 두껍게 형성됨에 따른 베젤프레임(10)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소요되는 재료의 소모량이 많아짐에 따른 경제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0460호(2008. 05. 08.)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얇은 소재를 벤딩가공하여 상호 밀착된 상태로 프레임을 형성함에 따라 강성을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소재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벤딩가공하여 자체의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패널(P)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측면커버부(31)와;
상기 측면커버부(31)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P)의 전면 둘레를 커버하도록 외벽부(34)와, 상기 외벽부(34)의 선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완충공간(36)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벽부(34)에 이격되는 내벽부(35)로 이루어진 베젤부(32)와;
상기 측면커버부(31)의 타측에서 상기 베젤부(32)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P)의 배면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후방지지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젤부(32)에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P)의 코너부분에 대응되도록 일부가 절개된 상태의 노치부(3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젤부(32)에는 상기 내벽부(35)의 선단에 상기 완충공간(36) 측으로 함몰된 오목부(38)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판재를 내외로 절곡하여 디스플레이패널(P)의 측면과 전면 둘레를 커버하는 측면커버부(31)와 베젤부(32) 및 후방지지부(33)를 일체로 절곡 형성함으로써, 얇은 판재를 롤포밍에 간단하게 제작하여 제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베젤부(32) 상에 내부가 빈 완충공간(36)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패널(P)을 충격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하면서도 베젤프레임(30)의 전체적인 중량을 저감시켜 경량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젤부(32)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로 노치부(37)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측면커버부(31)를 디스플레이패널(P)의 코너부분에 대응되도록 절곡할 때에 상기 베젤부(32)의 상호 겹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베젤부(32)의 이음부분을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젤부(32)에는 내벽부(35)의 선단에 완충공간(37) 측으로 함몰된 오목부(38)가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P)의 코너부분에서 베젤프레임(30)을 상호 결합할 때에 상기 오목부(38)의 위치에 이음쇠(20)와 같은 이음부재를 안착시킨 상태로 결합함에 따라, 상기 이음쇠(20)가 상기 베젤부(32)의 내벽부(35)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베젤부(32)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P)을 밀착시킬 때에 상기 이음쇠(20)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베젤프레임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베젤프레임에 따른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부분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을 도시한 결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프레임(30)은 바아형태로 연장되는 부재에 의해 대략적으로 디귿자 형태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디스플레이패널(P)의 테두리부분에 결합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패널(P)의 측면에 대응된 측면커버부(31)와, 상기 측면커버부(31)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P)의 전면 둘레를 커버하도록 된 베젤부(32) 및 디스플레이패널(P)의 배면에 결합되는 후방지지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를 도 4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젤프레임(30)은 단일의 스틸판재를 롤포밍 등에 의해 벤딩성형하여 상기 측면커버부(31)와 베젤부(32) 및 후방지지부(33)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측면커버부(31)는 디스플레이패널(P)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젤부(32)는 상기 측면커버부(31)로부터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P)의 전면 둘레를 커버하게 되며, 상기 후방지지부(33)는 상기 베젤부(32)의 대향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패널(P)의 배면측을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베젤부(32)는 내부가 빈 중공의 벽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상기 측면커버부(31)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절곡되는 외벽부(34)와 이 외벽부(34)의 선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내벽부(35)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외벽부(34)는 상기 측면커버부(31)로부터 직선형태나 오목 또는 볼록한 곡선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내벽부(35)는 디스플레이패널(P)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편평한 면을 형성하여 직선적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외벽부(34)와 내벽부(35)는 상호 이격되는 상태로 절곡됨에 따라 내부에 소정의 완충공간(36)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완충공간(36)은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제작과정 중에 도금액 등이 용이하게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외벽부(34)가 디스플레이패널(P)로부터 이격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여 장치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젤프레임(30)에는 상기 베젤부(32)의 대향되는 위치에서 디스플레이패널(P)의 후면을 결합하도록 된 후방지지부(33)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후방지지부(33)의 경우에도 상기 측면커버부(31)와 베젤부(32)에 일체로 절곡 형성됨은 당연한 것이며, 디스플레이패널(P)의 형상이나 결합위치 등에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성을 고려하여 상호 겹친 상태로 절곡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베젤프레임(30)은 단일의 스틸판재를 롤포밍 등으로 벤딩가공하여 상기 측면커버부(31)와 베젤부(32) 및 후방지지부(38)가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바아형태로 제작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패널의 코너부분에서 기역자 형태로 절곡하여 측면에서 이음매가 형성되지 않도록 제작될 수 있는데, 이를 도 5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젤부(32)의 일측에는 그 일부가 절개된 상태로 노치부(37)가 형성되어 상기 측면커버부(31)를 기역자 형태로 절곡할 때에 상기 노치부(37)에 의해 베젤부(32)의 절개부분이 상호 일치되도록 접촉시키는데, 이때에 상기 베젤부(32)의 노치부(37)는 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용접이나 금속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상호 결합하거나 또는 별도의 이음부재를 체결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별도의 이음부재에 의해 상기 노치부(37)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베젤부(32)의 구성을 달리할 수도 있는데, 이를 도 6과 도 7을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젤부(32)의 내벽부(35)에는 선단에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오목부(38)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오목부(38)는 상기 내벽부에 비해 상기 완충공간(36) 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오목부(38) 상에 기역자 형태의 이음쇠(20)를 체결하여 상기 측면커버부(31)의 절곡상태나 상기 베젤부(32)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오목부(38)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노치부(37)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판형태의 이음쇠(20)가 볼트(21) 등에 의해 결합될 때에 상기 이음쇠(20)가 상기 내벽부(35)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상기 베젤부(32)의 내벽부(35) 측이 디스플레이패널(P)의 전면으로부터 들뜬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후방지지부(33)는 전술된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측면커버부(31)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측면커버부(31)에 대해 단차를 형성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디스플레이패널(P)의 형상이나 결합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경 가능함을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단일의 소재를 벤딩가공하여 제작된 베젤프레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패널(P)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측면커버부(31)와;
    상기 측면커버부(31)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P)의 전면 둘레를 커버하도록 외벽부(34)와, 상기 외벽부(34)의 선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완충공간(36)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벽부(34)에 이격되는 내벽부(35)로 이루어진 베젤부(32)와;
    상기 측면커버부(31)의 타측에서 상기 베젤부(32)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P)의 배면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후방지지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32)에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P)의 코너부분에 대응되도록 일부가 절개된 상태의 노치부(3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32)에는 상기 내벽부(35)의 선단에 상기 완충공간(36) 측으로 함몰된 오목부(38)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
KR1020150087546A 2015-06-19 2015-06-19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 KR101761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546A KR101761474B1 (ko) 2015-06-19 2015-06-19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546A KR101761474B1 (ko) 2015-06-19 2015-06-19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829A KR20160149829A (ko) 2016-12-28
KR101761474B1 true KR101761474B1 (ko) 2017-07-25

Family

ID=5772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546A KR101761474B1 (ko) 2015-06-19 2015-06-19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890B1 (ko) * 2018-11-19 2020-04-17 (주)알루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제조 방법
WO2021120089A1 (zh) * 2019-12-19 2021-06-24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器
WO2023058787A1 (ko) * 2021-10-06 2023-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3297A (ja) * 2009-12-10 2011-06-23 Sharp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フレーム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241B1 (ko) 2006-11-03 2008-05-28 주식회사동양강철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보강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3297A (ja) * 2009-12-10 2011-06-23 Sharp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フレーム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829A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7147B2 (ja) アンテナユニット
KR101761474B1 (ko) 디스플레이패널용 베젤프레임
JP4252987B2 (ja) モール付きガラス
JPWO2012066801A1 (ja) パイプジョイント
USD908451S1 (en) Wine rack
JP6401767B2 (ja) 車体構造
JP2014189234A (ja) ルーフレール
JP2015037333A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
JP6536154B2 (ja) ガラスランの固定構造
JP6703843B2 (ja) ブリスター容器
JP5030154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6900012B2 (ja) 容器
TWI586593B (zh) 包裝緩衝結構
JP2011092074A (ja) 釣糸ガイド
JP5554044B2 (ja) 冷蔵庫の庫内棚
JP4979613B2 (ja) 幅木または廻り縁のコーナーキャップ
JP4705055B2 (ja) 柱状体の固定構造及び柱状体固定用台座
JP4491816B2 (ja) 樹脂製容器
KR102326891B1 (ko)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
JP2009245706A (ja) 板材取付部品用のアダプタ
US20060208051A1 (en) Commodity box
JP5885333B2 (ja) 手摺の端部構造
USD909148S1 (en) Die
USD909825S1 (en) Die
JP4053051B2 (ja) 大型観賞魚用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