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450B1 - 단열성 벽체 지지물 및 이를 갖는 건식 벽체 - Google Patents

단열성 벽체 지지물 및 이를 갖는 건식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450B1
KR101761450B1 KR1020130159678A KR20130159678A KR101761450B1 KR 101761450 B1 KR101761450 B1 KR 101761450B1 KR 1020130159678 A KR1020130159678 A KR 1020130159678A KR 20130159678 A KR20130159678 A KR 20130159678A KR 101761450 B1 KR101761450 B1 KR 101761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upport
wall
heat insulating
support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242A (ko
Inventor
채경명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3015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4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1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integrated supporting and obturation fun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04C2/3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with a metal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002/348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frame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벽체의 외측벽과 내측벽을 지지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갖는 단열부를 포함하는 단열성 벽체 지지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열성 벽체 지지물을 갖는 건식 벽체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열성 벽체 지지물 및 이를 갖는 건식 벽체{WALL SUPPORTER AND WAL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열성 벽체 지지물 및 건식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력 향상과 아울러 열교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단열성 벽체 지지물 및 이를 갖는 건식 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에 주택이나 빌딩, 또는 공장 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을 건축함에 있어서는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철근콘크리트조나 철골조, 조적조 등과 같은 일반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그 골조를 경량 스틸 형강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새로운 구조 형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조물의 골조를 형강 제품으로 건축하게 되면 공장에서 제작된 제품들을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 속도가 빠르고 일반 기능공도 쉽게 시공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 없이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어 시공성과 경제성의 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다.
특히, 주택 분야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구조물 건설의 건식화, 공업화 추세와 맞물려 스틸 하우스(Steel Framed House)가 주거용 건물의 한 형태로서 자리매김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스틸 하우스 및 이에 사용되는 구조 부재인 스터드(stud)를 대상으로 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스틸 스터드는 열교 형상의 주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목재 스터드를 사용하고 있으나, 목재 스터드의 경우 습기에 취약하여 뒤틀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59660 호(공개일: 2005년 06월 21일)이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단열성능을 가지는 복합 스터드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측벽과 내측벽 사이에서의 지지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열교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단열성 벽체 지지물 및 이를 갖는 건식 벽체를 제공함에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판재와; 상기 한 쌍의 지지판재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으로 에워싸이는 공간에 채워지는 단열부를 포함하는 단열성 벽체 지지물을 제공한다.
상기 몸체부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 판재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판재의 사이를 지지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지 판재와 상기 지지 프레임은 서로 열전도율이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지 판재는, 목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지지 판재를 지지하는 웹과, 상기 웹의 양단에 벤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 지지 판재의 내측면을 면지지하는 한 쌍의 플랜지와, 상기 한 쌍의 플랜지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벤딩되며, 상기 단열재에 에워싸이는 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철판을 롤포밍 공법을 사용하여 가공된다.
상기 웹의 두께는, 상기 플랜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지지 판재의 양측부를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의 웹은, 상기 한 쌍의 지지 판재의 양단 사이에서 외벽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지 판재에 의해, 중공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내부 공간의 다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단열폼과, 상기 단열폼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을 갖는 벽체부; 및 상기 단열폼의 내부에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벽을 지지하는, 상기 단열성 벽체 지지물을 포함하는 건식 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식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측벽과 내측벽 사이에서의 지지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열교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열성 벽체 지지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 프레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벽체 지지물이 벽체 몸체부에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 프레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벽체 지지물이 벽체 몸체부에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단열성 벽체 지지물과 다른 벽체 지지물들이 각 벽체에 설치되는 것을 비교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열성 벽체 지지물 및 이를 갖는 건식 벽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열성 벽체 지지물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 프레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벽체 지지물이 벽체 몸체부에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열성 벽체 지지물은 크게 몸체부(100)와, 단열부(200, 또는 단열재)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한 쌍의 지지 판재(110)와, 다수의 지지 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 판재(110)의 두께는 5mm로 설정되고, 상기 5mm에서 ㅁ허용오차를 갖는다.
상기 한 쌍의 지지 판재(110)는 목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재는 스틸 재질에 비하여 열교 현상이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한 쌍의 지지 판재(110)는 수평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간격을 이루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판재(110)는 상기 다수의 지지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120)은 철판을 롤포밍 공법을 사용하여 가공된다.
따라서, 목재 대비 열교 현상의 높을 수는 있지만, 상기 목재 대비 강도가 높아 습기에 의한 뒤틀림이 없는 잇점이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20)은 웹(121)과, 한 쌍의 플랜지(122)와, 한 쌍의 립(123)으로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120)의 형상을 C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프레임(120)의 단면계수를 높여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에 대한 저항(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120)을 도 6의 (b)와 같이 단일 지지 프레임만으로 벽체 스터드로 사용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끝단에 지지 프레임(120)을 두고 측면에 지지 판재(110)를 붙이고 중간 부분에 단열폼(20)을 채워 구성된 벽체 스터드를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벽체를 구성함으로써, 하나로 연결된 철재 스터드의 열교를 중간 부분의 단열폼(20)이 차단하여 단열성을 증대하면서 기본적인 구조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목재로 이루는 테두리의 내부에 지지 프레임(120)이 인서트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열교 현상을 줄이면서 강도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플랜지(122)는 단면이 일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플랜지(122)는 웹(121)의 양단에서 직교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벤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립(123)은 상기 각 플랜지(122)의 끝단에서 직각으로 벤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플랜지(122)는 각 지지 판재(11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웹(121)에 의해 한 쌍의 지지 판재(110)는 연결 및 지지된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서 한 쌍의 지지 프레임(120)은 한 쌍의 지지 판재(110)의 양측부에서 이들을 서로 지지 및 연결한다.
좌측을 기준으로, 좌측의 지지 프레임(120)의 웹(121)은 한 쌍의 지지 판재(110)의 좌측면부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이의 위치에서, 한 쌍의 플랜지(122)는 각 지지 판재(110)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우측의 지지 프레임(120)의 경우, 좌측의 지지 프레임(120)과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한 쌍의 지지 프레임(120)은 한 쌍의 지지 판재(110)의 양측부에서 지지 및 연결되는 구성을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였지만, 한 쌍의 지지 판재(110) 내부 공간의 다수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단열부(200)는 단열폼과 같은 단열재(200)로 구성된다.
상기 단열재(200)는 한 쌍의 지지 판재(110)의 내부 공간에 발포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 공간에 발포된 단열재(200)는 한 쌍의 지지 판재(110), 한 쌍의 지지 프레임(120)의 웹(121)에 의해 에워싸인다.
따라서,상술한 각 지지 프레임(120)의 립(123)은 단열재(200)로 에워싸이고, 실질적으로 단열재(200)의 발포 상태를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벽체 지지물은 벽체부(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벽체부(10)는 외측벽(11)과 내측벽(1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벽(11)과 내측벽(12)의 사이에는 단열폼(20)이 발포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벽체 지지물의 양단은 외측벽(11)과 내측벽(12)을 지지한다.
또한, 외측벽(11)과 내측벽(12)은 한 쌍의 지지 프레임(120)의 웹(121) 외면이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지지 판재(110)의 외면은 단열폼(20)에 노출된다.
상기 구성을 참조 하면, 벽체 지지물의 양단에 배치되어 스틸로 형성되는 각 지지 프레임(120)은 발포재(200)에 의해 이격되는 상태를 이룸으로써, 스틸 자체의 열교 현상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외측벽(11)과 내측벽(12)은 목재로 형성되는 지지 판재들(11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습기에 의해 벽의 뒤틀림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단열재(200)는 단열폼(20)과 동일 재질을 이룸으로써, 외측벽(11)과 내측벽(12)의 사이에서의 열전달을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 프레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벽체 지지물이 벽체 몸체부에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몸체부(101)는 단면이 사각을 이루고 중공을 이루어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내부 공간에는 단열재(200)가 발포되고, 한 쌍의 지지 프레임(120)은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의 양측부에 위치된다.
즉, 스틸로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들(120)은 목재로 형성되는 지지 판재(110)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틸로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120)에서의 열교 현상을 낮추고, 목재로 에워싸여 열교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이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5를 참조 하면, 외측벽(11)과 내측벽(12)은 목재로 형성되는 지지 판재들(11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습기에 의해 벽의 뒤틀림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단열재(200)는 단열폼(20)과 동일 재질을 이룸으로써, 외측벽(11)과 내측벽(12)의 사이에서의 열전달을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단열성 벽체 지지물과 다른 벽체 지지물들이 각 벽체에 설치되는 것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벽체 지지물을 사용하여 벽체를 지지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b)는 스틸 스터드를 사용하여 벽체를 지지하는 구조, (c)는 목재 스터드를 사용하여 벽체를 지지하는 구조,
본 발명에서는 (a)의 경우 0.30, (b)의 경우 0.49, (c)의 경우 0.32의 열관류율을 보여준다.(단위: W/m2K)
본 발명에서의 단열 스터드 구조인 단열성 벽체 지지물을 사용하여 벽체를 지지하는 경우, 열관류율이 0.30(W/m2K)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스틸 스터드 및 목재 스터드의 열관류율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벽체 지지물은 외측벽과 내측벽 사이에서의 열교 현상을 낮출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건식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측벽과 내측벽 사이에서의 지지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열교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다.
이상, 본 발명의 단열성 벽체 지지물 및 건식 벽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101 : 몸체부
110 : 지지 판재
120 : 지지 프레임
121 : 웹
122 : 플랜지
123 : 립
200 : 단열재

Claims (10)

  1.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판재;
    상기 한 쌍의 지지판재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으로 에워싸이는 공간에 채워지는 단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부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지지 판재를 지지하는 웹과, 상기 웹의 양단에 벤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 지지 판재의 내측면을 면지지하는 한 쌍의 플랜지와, 상기 한 쌍의 플랜지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벤딩되며, 상기 단열재에 에워싸이는 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벽체 지지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판재와 상기 지지 프레임은 서로 열전도율이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벽체 지지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판재는, 목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스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벽체 지지물.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의 두께는,
    상기 플랜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벽체 지지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지지 판재의 양측부를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벽체 지지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의 웹은,
    상기 한 쌍의 지지 판재의 양단 사이에서 외벽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벽체 지지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판재에 의해, 중공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내부 공간의 다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벽체 지지물.
  10. 단열폼과, 상기 단열폼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을 갖는 벽체부; 및
    상기 단열폼의 내부에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벽을 지지하는, 상기 제 1항, 제 3항, 제4항,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단열성 벽체 지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KR1020130159678A 2013-12-19 2013-12-19 단열성 벽체 지지물 및 이를 갖는 건식 벽체 KR101761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678A KR101761450B1 (ko) 2013-12-19 2013-12-19 단열성 벽체 지지물 및 이를 갖는 건식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678A KR101761450B1 (ko) 2013-12-19 2013-12-19 단열성 벽체 지지물 및 이를 갖는 건식 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242A KR20150072242A (ko) 2015-06-29
KR101761450B1 true KR101761450B1 (ko) 2017-07-25

Family

ID=5351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678A KR101761450B1 (ko) 2013-12-19 2013-12-19 단열성 벽체 지지물 및 이를 갖는 건식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4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6625A (zh) * 2017-02-15 2017-06-13 亚士创能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墙面内保温复合板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242A (ko) 201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74474A1 (en) Insulating wall assembly, and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RU2017107764A (ru) Конструкция наружной изоляции здания
JP2010138662A (ja) 断熱パネル
KR101761450B1 (ko) 단열성 벽체 지지물 및 이를 갖는 건식 벽체
JP6178072B2 (ja) 乾式壁構造
KR20150004055A (ko) 도어
KR102133944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JP2016216897A (ja) 建物の断熱構造
KR101089315B1 (ko) 건식벽체 차음용 스틸스터드 구조
US8640416B2 (en) Sliding and locking energy-efficient wall assembly
JP3141593U (ja) 鉄骨造建築物
KR101030952B1 (ko) 구조겸용 단열벽체의 이음 및 접합 방식
KR20150054364A (ko) 결로방지 및 열차단 샛기둥
KR20130129754A (ko)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KR200471941Y1 (ko)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KR20170058000A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KR101146121B1 (ko) 단열 스터드 및 그 제조 방법
JP6491534B2 (ja) 建物の断熱構造
KR102388844B1 (ko) 커튼월의 세로바의 실외측바와 가로바의 실외측바 사이의 틈을 메우는 마감블록
CN219548145U (zh) 一种厂房建设用的保温建筑墙板
CN218933588U (zh) 一种防火的双层墙板
KR20000012429U (ko) 다단의 스틸스터드를 지지하며 중공층을 형성하는 트래게
KR200469785Y1 (ko)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JP6595890B2 (ja) 建物の断熱構造
KR101394804B1 (ko) 열교차단기능을 갖는 공동 주택용 창호 프레임 고정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