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153B1 - 현가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현가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153B1
KR101761153B1 KR1020170043944A KR20170043944A KR101761153B1 KR 101761153 B1 KR101761153 B1 KR 101761153B1 KR 1020170043944 A KR1020170043944 A KR 1020170043944A KR 20170043944 A KR20170043944 A KR 20170043944A KR 101761153 B1 KR101761153 B1 KR 101761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trailing arm
rod
support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진
노재원
Original Assignee
박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진 filed Critical 박유진
Priority to KR1020170043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가장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 제조방법은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100)를 이용하여 트레일링암(10)의 전단부에 차체와 피봇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트레일링암 부시(20)를 결합하는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단계(S110)와, 상기 트레일링암(10)의 후단부에 차량의 너클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스핀들 브라켓(30)을 결합하는 스핀들 브라켓 결합단계(S120)와, 상기 트레일링암 부시(20) 및 상기 스핀들 브라켓(30)이 결합된 트레일링암(10)을 한 쌍을 구비한 후 상호 마주보도록 토션빔(40)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토션빔 연결단계(S130) 및 상기 토션빔(40)에 의해 연결된 트레일링암(10)의 후단부와 상기 토션빔(40)에 연결되도록 스프링시트(50)를 결합하는 스프링시트 결합단계(S140)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100)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상부 양 측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기둥부재(112)가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의 기둥부재(112a)에는 모터(114)가 구비되고 타측의 기둥부재(112b)에는 상기 모터(114)와 마주보게 회전지지부재(116)가 구비된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마련된 상기 모터(114)와 상기 회전지지부재(116)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모터(1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회전될 수 있는 회전플레이트(12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120) 상에 고정설치되며 고정시키고자하는 트레일링암(10)의 후단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한 제1위치선정부(13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120) 상에 고정설치되며 고정시키고자 하는 트레일링암(10)의 전단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한 제2위치선정부(140)와, 상기 제1위치선정부(130)를 통해 후단 위치가 선정된 트레일링암(10)의 후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제1위치고정부(150)와, 상기 제2위치선정부(140)를 통해 전단 위치가 선정된 트레일링암(10)의 전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제2위치고정부(160)와, 상기 트레일링암의 전단부에 부시를 공급 및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부시공급부(170)와, 상기 부시공급부(170)에 의해 공급되는 부시(20)를 상부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부시고정부(180)와, 상기 제1,제2위치선정부(130,140) 및 상기 제1,제2위치고정부(150,16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트레일링암(10)의 중앙부 상측에 케이블 고정을 위한 브라켓(60)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브라켓부착부(190) 및 상기 제1,제2위치선정부(130,140) 및 제1,제2위치고정부(150,160)에 위치가 고정된 상기 트레일링암(10)의 유무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 센서(S)를 포함하는 현가장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현가장치 제조방법{suspension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현가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가장치를 제조함에 있어 트레일링암과 트레일링암 부시의 결합을 쉽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량률을 줄이고, 결합에 따른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현가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주행시 노면에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중소형 승용 자동차의 후면에는 토션빔액슬(torsion beam axle) 타입의 리어 현가장치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리어 현가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리어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종래의 리어 현가장치는 차체의 좌우측 방향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토션빔(1)과, 상기 토션빔(1)의 양 끝단에 결합되는 트레일링암(2)과, 상기 트레일링암(2)의 일측 끝단에 결합되어 차체와 연결되는 트레일링암 부시(3)와, 상기 트레일링암(2)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며 상측에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코일스프링이 안착될 수 있는 스프링시트(4) 및 상기 스프링시트(4)과 인접하게 상기 트레일링암(2)에 설치되며 차륜의 너클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스핀들 브라켓(5)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토션빔액슬 타입의 리어 현가장치는 주행중 차체에 피칭이 발생할 경우 토션빔(1)의 비틀림 탄성력을 통해 이를 흡수하고, 또한,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는 롤강성을 향상시켜 줌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토션빔액슬 타입의 리어 현가장치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트레일링암(2)의 전단부에 차체와 피봇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트레일링암 부시(3)를 결합하는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단계와, 상기 트레일링암(2)의 후단부에 차량의 너클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스핀들 브라켓(5)을 결합하는 스핀들 브라켓 결합단계와, 상기 스핀들 브라켓(5)이 결합된 트레일링암(2) 일측에 스프링시트(4)를 결합하는 스프링시트 결합단계와, 상기 트레일링암 부시(2) 및 스핀들 브라켓(5) 스프링시트(4)가 결합된 트레일링암(2)을 한 쌍을 구비한 후 상호 마주보도록 토션빔(1)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토션빔 연결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현가장치 제조방법은 제조방법에 있어 트레일링암(2)과 트레일링암 부시(3)를 결합시 결합위치가 틀어지는 등 견고한 고정이 어려웠다. 따라서, 상기 트레일링암(2)을 견고히 지지하여 트레일링암(2)과 트레일링암 부시(3)가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현가장치 조립방법에 사용된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의 경우 그 구성이 복잡하고 까다로워 제조가 어려웠으며, 또한, 단순히 트레일링암(2)에 트레일링암 부시(3) 만을 결합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현가장치 제조방법을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가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 트레일링암과 트레일링암 부시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현가장치 제조에 따른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현가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현가장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 제조방법은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트레일링암의 전단부에 차체와 피봇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트레일링암 부시를 결합하는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단계와, 상기 트레일링암의 후단부에 차량의 너클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스핀들 브라켓을 결합하는 스핀들 브라켓 결합단계와, 상기 트레일링암 부시 및 상기 스핀들 브라켓이 결합된 트레일링암을 한 쌍을 구비한 후 상호 마주보도록 토션빔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토션빔 연결단계 및 상기 토션빔에 의해 연결된 트레일링암의 후단부와 상기 토션빔에 연결되도록 스프링시트를 결합하는 스프링시트 결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상부 양 측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기둥부재가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의 기둥부재에는 모터가 구비되고 타측의 기둥부재에는 상기 모터와 마주보게 회전지지부재가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상기 모터와 상기 회전지지부재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회전될 수 있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 상에 고정설치되며 고정시키고자하는 트레일링암의 후단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한 제1위치선정부와, 상기 회전플레이트 상에 고정설치되며 고정시키고자 하는 트레일링암의 전단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한 제2위치선정부와, 상기 제1위치선정부를 통해 후단 위치가 선정된 트레일링암의 후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제1위치고정부와, 상기 제2위치선정부를 통해 전단 위치가 선정된 트레일링암의 전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제2위치고정부와, 상기 트레일링암의 전단부에 부시를 공급 및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부시공급부와, 상기 부시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부시를 상부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부시고정부와, 상기 제1,제2위치선정부 및 상기 제1,제2위치고정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트레일링암의 중앙부 상측에 케이블 고정을 위한 브라켓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브라켓부착부 및 상기 제1,제2위치선정부 및 제1,제2위치고정부에 위치가 고정된 상기 트레일링암의 유무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 센서를 포함하는 현가장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트레일링암을 견고히 고정시킨 후 트레일링암의 전단에 트레일링암 부시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레일링암과 트레일링암 부시의 결합시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트레일링암에 트레일링암 부시를 결합하는 동시에 차량의 제동에 필요한 다양한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는 브라켓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공정을 줄여 현가장치 제조에 따른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 제조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 제조방법에 사용된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 제조방법에 사용된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의 작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 제조방법의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의 부시공급부 및 부시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 제조방밥의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의 브라켓부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현가장치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제조시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현가장치 제조에 따른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 제조방법의 제조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 제조방법은 트레일링암(10)의 전단부에 차체와 피봇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트레일링암 부시(20)를 결합하는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단계(S110)와, 상기 트레일링암(10)의 후단부에 차량의 너클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스핀들 브라켓(30)을 결합하는 스핀들 브라켓 결합단계(S120)와, 상기 트레일링암 부시(20) 및 상기 스핀들 브라켓(30)이 결합된 트레일링암(10)을 한 쌍을 구비한 후 상호 마주보도록 토션빔(40)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토션빔 연결단계(S130) 및 상기 토션빔(40)에 의해 연결된 트레일링암(10)의 후단부와 상기 토션빔(40)에 연결되도록 스프링시트(50)를 결합하는 스프링시트 결합단계(S140)를 포함한다.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단계(S110)는 트레일링암(10)의 전단부에 차체와의 결합을 위한 트레일링암 부시(20)(이하 '부시'라 칭함.)를 결합하는 단계로서,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100)를 이용하여 트레일링암(1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부시(20)를 트레일링암(10)의 전단부에 용접을 통해 고정하는 단계이다.
도 3은 상기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단계에 사용된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100)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상부 양 측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기둥부재(112)가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의 기둥부재(112a)에는 모터(114)가 구비되고 타측의 기둥부재(112b)에는 상기 모터(114)와 마주보게 회전지지부재(116)가 구비된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마련된 상기 모터(114)와 상기 회전지지부재(116)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모터(1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회전될 수 있는 회전플레이트(12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120) 상에 고정설치되며 고정시키고자하는 트레일링암(10)의 후단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한 제1위치선정부(13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120) 상에 고정설치되며 고정시키고자 하는 트레일링암(10)의 전단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한 제2위치선정부(140)와, 상기 제1위치선정부(130)를 통해 후단 위치가 선정된 트레일링암(10)의 후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제1위치고정부(150)와, 상기 제2위치선정부(140)를 통해 전단 위치가 선정된 트레일링암(10)의 전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제2위치고정부(160)와, 상기 트레일링암의 전단부에 부시를 공급 및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부시공급부(170)와, 상기 부시공급부(170)에 의해 공급되는 부시(20)를 상부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부시고정부(180)와, 상기 제1,제2위치선정부(130,140) 및 상기 제1,제2위치고정부(150,16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트레일링암(10)의 중앙부 상측에 케이블 고정을 위한 브라켓(60)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브라켓부착부(190) 및 상기 제1,제2위치선정부(130,140) 및 제1,제2위치고정부(150,160)에 위치가 고정된 상기 트레일링암(10)의 유무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 센서(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베이스(110)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부의 양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기둥부재(112)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일측의 기둥부재(112a)에는 모터(114)가 마련되고, 타측의 기둥부재(112b)에는 회전지지부재(116)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모터(114)는 상기 기둥부재(112a)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모터(114)의 구동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는 지지플랜지(113)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부재(116)는 상기 모터(114)와 마찬가지로 타측의 기둥부재(112b)에 고정결합되되, 중앙부에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축의 말단에는 지지플랜지(11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회전플레이트(12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상기 모터(114)의 지지플랜(113)지 상측에 안착되게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지지부재(116)의 지지플랜지(113) 상측에 안착되게 고정결합되어 모터(114)의 구동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플레이트(120)가 회전축과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위치선정부(130)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에 고정결합되어 트레일링암(10)의 후단이 고정될 위치를 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위치선정부(130)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플랜지(131)와, 상기 고정플랜지(131)에 고정결합되는 후단실린더(132)와, 상기 후단실린더(132)의 구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로드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의 상승시 상기 트레일링암(10)에 형성되는 통공을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 후단고정핀(133)으로 이루어진다.
즉, 후단실린더(132)를 구동시켜 로드가 상부로 상승되도록 하면, 로드의 말단에 결합된 후단고정핀(133)이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상승된 후단고정핀(133)에 트레일링암(10)의 후단을 끼워 넣도록 함으로써 트레일링암(10)의 후단 위치를 정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제1위치선정부(130)는 상기 후단고정핀(133)에 삽입된 트레일링암(10)의 측면 양측을 지지하여 측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한 쌍의 가이드(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위치선정부(140)는 상기 트레일링암(10)의 전단이 고정될 위치를 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위치선정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플랜지(141)와, 상기 고정플랜지(141)에 고정결합되는 전단실린더(142)와, 상기 전단실린더(142)와 일단이 결합되어 전단실린더(142)의 구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로드(143)와, 상기 로드(143)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전단실린더(142) 및 상기 전단실린더(142)와 로드(143)의 결합부분을 감싸 용접시 발생하는 칩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커버부재(144)와, 상기 커버부재(144)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트레일링암(10)의 전단측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트레일링암(10)의 전단이 고정될 위치를 정할 수 있도록 한 전단고정핀(145)이 구비된 받침부재(14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단실린더(14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의해 상기 로드(143)가 상부로 상승되도록 하면, 로드(143)의 말단에 결합된 커버부재(144) 및 상기 받침부재146)가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부재(146)는 상기 트레일링암(10)의 전단측 하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받침부재(146)에 구비된 전단고정핀(145)이 상기 트레일링암(10)의 삽입공에 삽입되면서 트레일링암(10)의 전단측 고정위치를 정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144)는 트레일링암(10)의 전단부에 부시(20)를 결합하거나, 트레일링암(10)의 상측에 브라켓(60)을 결합하기 위해 용접시 용접봉에서 낙하되는 고온의 칩이 상기 전단실린더(142) 및 전단실린더(142)와 로드(143)가 결합되는 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단실린더(142)의 로드(143)가 원활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트레일링암(10)과 부시(20) 또는 트레일링암(10)과 브라켓(60)의 용접시 발생하는 고온의 칩이 로드(143) 상에 부착되면 전단실린더(142) 내로 로드(143)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없음으로, 커버부재(144)를 설치함으로써, 이를 방지하도록 한다.
제1위치고정부(150)는 상기 제1위치선정부(130)에 의해 후단 위치가 정해진 상기 트레일링암(10)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후단고정핀(133)에 트레일링암(10)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트레일링암(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위치고정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단실린더(132)의 측벽에 일측이 고정결합되는 후단지지부재(151)와, 상기 후단지지부재(151)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는 로드(152)가 마련된 고정실린더(153)와, 일단은 상기 고정실린더(153)의 로드(15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트레일링암(10)의 후단 상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 가압부재(154)가 마련된 것으로, 일부분이 상기 후단지지부재(15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가압링크(155)와, 상기 가압링크(155)와 상기 후단지지부재(15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링크(155)의 회전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댐퍼(15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위치선정부(130)에 트레일링암(10)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고정실린더(153)가 구동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52)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링크(155)의 일부분이 상기 후단지지부재(15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로드(152)의 상승으로 인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그로 인해 가압부재(154)가 마련된 가압링크(155)의 끝단이 트레일링암(10)이 위치된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가압부재(154)가 트레일링암(10)의 상부를 가압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댐퍼(156)는 상기 후단실린더(132)의 작동시 상기 가압링크(155)와 상기 후단지지부재(151)가 접촉되면서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2위치고정부(160)는 상기 트레일링암(10)의 전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에 고정결합되는 전단지지부재(161)와, 상기 전단지지부재(161)에 고정결합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는 로드(162)가 마련된 고정실린더(163)와, 일단은 상기 고정실린더(163)의 로드(16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트레일링암(10)의 전단 일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 가압부재(164)가 마련된 것으로 일부분이 상기 전단지지부재(16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가압링크(165)와, 상기 가압링크(165)와 상기 전단지지부재(16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링크(165)의 회전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댐퍼(16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위치고정부(15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트레일링암(10)의 전단측에 위치한다는 차이만 있을 뿐 작동원리는 동일한 것으로, 상기 고정실린더(163)가 구동되면 로드(162)가 상승하면서 상기 가압링크(165)를 회전시켜 가압부재(164)가 상기 트레일링암(10)의 전단부 상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부시공급부(1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에 고정결합되는 부시지지부재(171)와, 상기 부시지지부재(171)에 고정결합되는 부시공급실린더(172)와, 상기 부시공급실린더(172)와 일단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는 것으로, 상부에 부시(20)가 안착될 수 있게 링 형상의 안착홈(173a)이 형성된 부시공급로드(173)와, 공급되는 부시(20)의 유무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 위치감지센서(17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시공급부(170)에 의해 공급되는 부시(20)를 상부에서 고정시켜 상기 트레일링암(10)과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부시고정부(180)는 상기 부시공급실린더(172)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고정지지부재(181)와, 상기 부시공급실린더(172)와 일측이 결합된 고정지지부재(181)의 타측에 고정결합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는 로드(183)가 마련된 부시고정실린더(182)와, 일단은 상기 로드(183)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부시공급부(170)의 부시공급로드(173)에 의해 상방향으로 상승된 부시(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원판형태의 부시고정부재(184)가 마련된 것으로, 일부분이 상기 고정지지부재(18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부시고정링크(185)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부시공급부(170)의 부시공급실린더(172)가 구동되면 부시공급로드(173)가 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부시(20)는 상기 부시공급로드(173)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로서, 상기 부시공급로드(173)의 상승으로 인해 트레일링암(10)의 전단부에 부시(20)가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부시(20)가 트레일링암(10)의 전단부에 위치되면 위치감지센서174)가 이를 센싱하고 이후 상기 부시고정부(180)의 부시고정실린더(182)가 구동되어 상기 로드(183)를 상방향으로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183)의 상승으로 인해 부시고정링크(185)가 작동되면서 상기 부시고정링크(185)의 일단에 마련된 부시고정부재(184)가 부시(20)의 상부를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 제조방법은 트레일링암(10)의 중앙부 상측에 현가장치의 조정에 필요한 다양한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브라켓(6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브라켓부착부(1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부착부(19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에 고정결합되는 부착지지부재(191)와, 상기 부착지지부재(191)와 고정결합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는 로드(193)가 마련된 제1부착실린더(192)와, 상기 로드(193)의 말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로드(193)의 승하강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상기 부착지지부재(19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링크(194)와, 상기 부착링크(194)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는 제2부착실린더(195)와, 상기 제2부착실린더(195)의 구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로드의 말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부착링크(194)의 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94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더(196)와, 상기 슬라이더(196)와 고정결합되며, 상기 트레일링암(10)에 부착하고자 하는 브라켓(6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 파지부재(197)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브라켓부착부(190)는 작업자가 상기 파지부재(197)에 부착하고자 하는 브라켓(60)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부착실린더(192)를 구동시키면, 로드(193)가 상방향으로 상승하면서 부착링크(194)의 일단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린다. 이에 따라 부착링크(194)는 일부분이 상기 부착지지부재(19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193)와 결합된 타단이 하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후 부착링크(194)가 일정높이 하강한 후에는 제2부착실린더(195)가 구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더(196)가 가이드레일(194a)을 따라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파지부재(197)를 상기 트레일링암(10)이 위치된 곳으로 이동시켜 브라켓(60)이 접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센서(S)는 상기 제1위치선정부(130)의 후단실린더(132) 측면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1위치선정부(130) 및 제2위치선정부(140)에 끼움결합되는 트레일링암(10)의 유무를 센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 제조방법은 트레일링암(10)에 부시(20)의 결합시 케이블 정리를 위한 브라켓(60)을 동시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에 따른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즉,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100)를 이용하여 트레일링암(10)과 부시(20) 및 브라켓(6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용접장치를 이용하여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용접을 행할 수 있으며, 트레일링암(10)에 부시(20)를 경합하는 동시에 브라켓(60)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공정을 줄이고 결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단계(S110) 이후에는 상기 부시(20)가 결합된 트레일링암(10)을 후속공정인 스핀들 브라켓 결합단계(S120)로 이동시켜 트레일링암(10)의 후단부에 스핀들 브라켓(30)을 결합한다.
이후, 스핀들 브라켓(30)을 결합한 트레일링암(10)을 한 쌍을 구비한 후 토션빔(40)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토션빔 연결단계(S130)를 진행한다.
즉, 차량의 측면 양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트레일링암(10)을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후 토셤빔(40)을 연결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후, 토션빔(40)이 연결된 트레일링암(10)의 후단부에 스프링시트(50)를 결합하는 스프링시트 결합단계(S140)를 진행한다.
이때, 종래의 스프링시트 결합단계는 단순히 트레일링암(10)에만 상기 스프링시트(50)가 지지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프링시트(50)의 일 부분이 상기 토션빔(40)에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일측이 상기 트레일링암(10)의 후단에 결합되고, 그와 인접한 일부분이 상기 토션빔(40)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 제조방법은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100)를 이용하여 트레일링암(10)을 견고히 고정시킨 후 트레일링암(10)의 전단에 트레일링암 부시(2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레일링암(10)과 트레일링암 부시(20)의 결합시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트레일링암(10)에 트레일링암 부시(20)를 결합하는 동시에 차량의 제동에 필요한 다양한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는 브라켓(60)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일링암(10)과 토션빔(40)을 결합한 다음 스프링시트(50)를 트레일링암(10)과 토션빔(40)에 지지되도록 결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트레일링암 20 : 트레일링암 부시
30 : 스핀들 브라켓 40 : 토션빔
50 : 스프링시트 60 : 브라켓
100 :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 110 : 베이스
111 : 바퀴 112 : 기둥부재
113 : 지지플랜지 114 : 모터
116 : 회전지지부재 120 : 회전플레이트
130 : 제1위치선정부 131 : 고정플랜지
132 : 후단실린더 133 : 후단고정핀
134 : 가이드 140 : 제2위치선정부
141 : 고정플랜지 142 : 전단실린더
143 : 로드 144 : 커버부재
145 : 전단고정핀 146 : 받침부재
150 : 제1위치고정부 151 : 후단지지부재
152 : 로드 153 : 고정실린더
154 : 가압부재 155 : 가압링크
156 : 댐퍼 160 : 제2위치고정부
161 : 전단지지부재 162 : 로드
163 : 고정실린더 164 : 가압부재
165 : 가압링크 166 : 댐퍼
170 : 부시공급부 171 : 부시지지부재
172 : 부시공급실린더 173 : 부시공급로드
173a : 안착홈 174 : 위치감지센서
180 : 부시고정부 181 : 고정지지부재
182 : 부시고정실린더 183 : 로드
184 : 부시고정부재 185 : 부시고정링크
190 : 브라켓부착부 191 : 부착지지부재
192 : 제1부착실린더 193 : 로드
194 : 부착링크 194a : 가이드레일
195 : 제2부착실린더 196 : 슬라이더
197 : 파지부재 S : 센서
S110 :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단계 S120 : 스핀들 브라켓 결합단계
S130 : 토션빔 연결단계 S140 : 스프링시트 결합단계

Claims (5)

  1.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100)를 이용하여 트레일링암(10)의 전단부에 차체와 피봇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트레일링암 부시(20)를 결합하는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단계(S110)와, 상기 트레일링암(10)의 후단부에 차량의 너클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스핀들 브라켓(30)을 결합하는 스핀들 브라켓 결합단계(S120)와, 상기 트레일링암 부시(20) 및 상기 스핀들 브라켓(30)이 결합된 트레일링암(10)을 한 쌍을 구비한 후 상호 마주보도록 토션빔(40)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토션빔 연결단계(S130) 및 상기 토션빔(40)에 의해 연결된 트레일링암(10)의 후단부와 상기 토션빔(40)에 연결되도록 스프링시트(50)를 결합하는 스프링시트 결합단계(S140)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일링암 부시 결합장치(100)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상부 양 측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기둥부재(112)가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의 기둥부재(112a)에는 모터(114)가 구비되고 타측의 기둥부재(112b)에는 상기 모터(114)와 마주보게 회전지지부재(116)가 구비된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마련된 상기 모터(114)와 상기 회전지지부재(116)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모터(1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회전될 수 있는 회전플레이트(12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120) 상에 고정설치되며 고정시키고자하는 트레일링암(10)의 후단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한 제1위치선정부(13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120) 상에 고정설치되며 고정시키고자 하는 트레일링암(10)의 전단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한 제2위치선정부(140)와,
    상기 제1위치선정부(130)를 통해 후단 위치가 선정된 트레일링암(10)의 후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제1위치고정부(150)와,
    상기 제2위치선정부(140)를 통해 전단 위치가 선정된 트레일링암(10)의 전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제2위치고정부(160)와,
    상기 트레일링암의 전단부에 부시를 공급 및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부시공급부(170)와,
    상기 부시공급부(170)에 의해 공급되는 부시(20)를 상부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부시고정부(180)와,
    상기 제1,제2위치선정부(130,140) 및 상기 제1,제2위치고정부(150,16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트레일링암(10)의 중앙부 상측에 케이블 고정을 위한 브라켓(60)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브라켓부착부(190) 및
    상기 제1,제2위치선정부(130,140) 및 제1,제2위치고정부(150,160)에 위치가 고정된 상기 트레일링암(10)의 유무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 센서(S)를 포함하는 현가장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고정부(150)는
    상기 제1위치선정부(130)의 후단실린더(132) 측벽에 일측이 고정결합되는 후단지지부재(151)와,
    상기 후단지지부재(151)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는 로드(152)가 마련된 고정실린더(153)와,
    일단은 상기 고정실린더(153)의 로드(15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트레일링암(10)의 후단 상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 가압부재(154)가 마련된 것으로, 일부분이 상기 후단지지부재(15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가압링크(155)와,
    상기 가압링크(155)와 상기 후단지지부재(15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링크(155)의 회전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댐퍼(156)를 포함하는 현가장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시공급부(170)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에 고정결합되는 부시지지부재(171)와,
    상기 부시지지부재(171)에 고정결합되는 부시공급실린더(172)와,
    상기 부시공급실린더(172)와 일단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는 것으로, 상부에 부시(20)가 안착될 수 있게 링 형상의 안착홈(173a)이 형성된 부시공급로드(173)와,
    상기 부시공급로드(173)를 통해 공급되는 부시(20)의 유무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 위치감지센서(174)를 포함하는 현가장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시고정부(180)는
    상기 부시공급부(170)의 부시공급실린더(172)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고정지지부재(181)와,
    상기 부시공급실린더(172)와 일측이 결합된 고정지지부재(181)의 타측에 고정결합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는 로드(183)가 마련된 부시고정실린더(182)와,
    일단은 상기 로드(183)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부시공급부(170)의 부시공급로드(173)에 의해 상방향으로 상승된 부시(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원판형태의 부시고정부재(184)가 마련된 것으로, 일부분이 상기 고정지지부재(18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부시고정링크(185)로 이루어진 현가장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착부(190)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20)에 고정결합되는 부착지지부재(191)와,
    상기 부착지지부재(191)와 고정결합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는 로드(193)가 마련된 제1부착실린더(192)와,
    상기 로드(193)의 말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로드(193)의 승하강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상기 부착지지부재(19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링크(194)와,
    상기 부착링크(194)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는 제2부착실린더(195)와,
    상기 제2부착실린더(195)의 구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로드의 말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부착링크(194)의 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94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더(196)와,
    상기 슬라이더(196)와 고정결합되며, 상기 트레일링암(10)에 부착하고자 하는 브라켓(6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 파지부재(197)로 이루어진 현가장치 제조방법.
KR1020170043944A 2017-04-04 2017-04-04 현가장치 제조방법 KR101761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944A KR101761153B1 (ko) 2017-04-04 2017-04-04 현가장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944A KR101761153B1 (ko) 2017-04-04 2017-04-04 현가장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306A Division KR101771955B1 (ko) 2017-07-19 2017-07-19 현가장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153B1 true KR101761153B1 (ko) 2017-08-04

Family

ID=59654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944A KR101761153B1 (ko) 2017-04-04 2017-04-04 현가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1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800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세원정공 카울 크로스 용접용 틸팅지그
KR102102763B1 (ko) * 2018-12-27 2020-04-22 주식회사 세원정공 카울 크로스 부품 용접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800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세원정공 카울 크로스 용접용 틸팅지그
KR102046304B1 (ko) * 2017-12-11 2019-11-21 주식회사 세원정공 카울 크로스 용접용 틸팅지그
KR102102763B1 (ko) * 2018-12-27 2020-04-22 주식회사 세원정공 카울 크로스 부품 용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085B1 (ko) 작업물 반송 장치
KR101761153B1 (ko) 현가장치 제조방법
US7621311B2 (en) Tire-wheel assembly adjuster
US20060208447A1 (en) Independent suspension for a drive axle
JP5107347B2 (ja) 移動するワークピースを加工するための加工システム
US6401319B1 (en) Rear suspension mounting feature and method
JP2008542121A (ja) 車輪を車両に固定する機械
JP3666658B2 (ja) 車両のラジエータモジュールの組付け方法及びその組付け装置
KR101771955B1 (ko) 현가장치 제조방법
JP2010083457A (ja) 駆動系部品集合体の運搬装置及び車両の組立方法
KR20210151347A (ko) 차량의 글라스 장착 장치 및 방법
JP5212011B2 (ja) バッテリ搭載車
JP2001039648A (ja) エレベータ調速機用ロープのテンション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30051468A (ko) 차량 부품 조립을 위한 지그장치
WO2021157344A1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組立て方法及び組立て装置並びに混流生産ライン
KR101405229B1 (ko) 트렁크 리드 및 테일 게이트 공용 힌지 조립 지그장치
KR102196606B1 (ko) 프레임 용접용 지그
JP4382261B2 (ja) ストラット式サスペンションの組付装置
JP4382262B2 (ja) サスペンションの組付装置
JP6506331B2 (ja) サスペンションアセンブリの組付け方法とその装置
JP2924591B2 (ja) 車体へのサスペンション組付け方法とその位置決め装置
JP3405899B2 (ja) 作業機の作業装置昇降機構
JP4595799B2 (ja) アーム部材の取り付け装置
JP7486054B2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の組付け装置
JP2001087957A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