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498B1 -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 - Google Patents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498B1
KR101760498B1 KR1020170006259A KR20170006259A KR101760498B1 KR 101760498 B1 KR101760498 B1 KR 101760498B1 KR 1020170006259 A KR1020170006259 A KR 1020170006259A KR 20170006259 A KR20170006259 A KR 20170006259A KR 101760498 B1 KR101760498 B1 KR 101760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frame
frame member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06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설교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설치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며, 설치 비용이 적게 들고, 재활용이 가능한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체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관통홀을 구비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며 프레임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2수직판 및, 상기 수평판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판의 관통홀 하부에 위치하는 너트를 구비하여, 프레임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연결기구를 갖추고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프레임부재와:
상판과; 상판의 우측 및 좌측에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며 프레임부재의 프레임체에 안착되는 지지판과;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상부관통홀을 구비한 상부연결체, 상부관통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관통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서 상부관통홀과 연통되는 하부관통홀을 구비하여 상부연결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연결체를 갖추고서, 각각의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며 프레임부재의 연결기구의 수평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다수의 연결체를 갖추고서, 상부체의 우측이 하나의 프레임부재의 좌측에 설치되고 상부체의 좌측이 또 다른 프레임부재의 우측에 설치되되, 서로 이웃하는 상부체의 상부연결체가 서로 맞닿게 구비되는 다수의 상부체 및:
상부체의 하부연결체의 하부관통홀을 관통하여 프레임부재의 너트에 체결되는 나사부와, 상부체의 상부연결체의 상부관통홀에 위치하는 헤드부를 갖춘 다수의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TEMPORARY UNION GIRDER BRIDGE}
본 발명은 가설교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설치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며, 설치 비용이 적게 들고, 재활용이 가능한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에 관한 것이다.
가설교량은 일정기간 임시적인 사용을 위한 임시교량으로 도로개설이나 확장시 우회도로용, 공사 현장 내 작업도로용, 보도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가설교량은 일반적으로 일정 간격으로 하상에서 수직으로 지주를 설치하고, 지주 사이에 주형을 설치한 후, 주형의 상면에 복공판 등을 배치함으로 완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가설교량은 복공판이 일체형으로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강성 확보가 어려우며, 소음 및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설교량은 하중이 많이 나가 내진 저항 능력이 떨어지고, 처짐이 많이 발생하여 구조적으로 불안전해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주형과 복공판을 볼트 등으로 연결하는 종래의 복공판 일체형 가설교량은 주형 및 복공판 간의 설치 구조가 복잡하여, 주형 및 복공판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이 번거로우며, 이로 인해 시공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공사비가 많이 든다.
나아가, 종래의 복공판 일체형 가설교량은 주형 및 복공판 간의 설치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분리 작업 시 주형 및 복공판의 구조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어, 재활용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058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설치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며, 설치 비용이 적게 들고, 재활용이 가능한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체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관통홀을 구비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며 프레임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2수직판 및, 상기 수평판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판의 관통홀 하부에 위치하는 너트를 구비하여, 프레임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연결기구를 갖추고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프레임부재와:
상판과; 상판의 우측 및 좌측에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며 프레임부재의 프레임체에 안착되는 지지판과;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상부관통홀을 구비한 상부연결체, 상부관통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관통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서 상부관통홀과 연통되는 하부관통홀을 구비하여 상부연결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연결체를 갖추고서, 각각의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며 프레임부재의 연결기구의 수평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다수의 연결체를 갖추고서, 상부체의 우측이 하나의 프레임부재의 좌측에 설치되고 상부체의 좌측이 또 다른 프레임부재의 우측에 설치되되, 서로 이웃하는 상부체의 상부연결체가 서로 맞닿게 구비되는 다수의 상부체 및:
상부체의 하부연결체의 하부관통홀을 관통하여 프레임부재의 너트에 체결되는 나사부와, 상부체의 상부연결체의 상부관통홀에 위치하는 헤드부를 갖춘 다수의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체는, 상부체의 상판의 우측 하부 및 좌측 하부에 수직판이 각각 구비되고, 상부체의 지지판이 수직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체는, 상부체의 수직판의 하부에, 프레임에 안착되는 수평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부재의 제1,2수직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부재의 수평판의 저면에 구비되되, 양측면이 제1,2수직판과 맞닿는 보강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재을 이루는 구성이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부체를 이루는 구성이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상부체를 프레임부재에 볼트를 통해 간단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시공 기간이 단축되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및 분리 작업이 편리하여, 설치 및 분리 작업 시 프레임부재 및 상부체의 구조에 변형이 발생할 위험이 줄어들어, 부품의 재활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부재 및 상부체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충분한 강성 확보가 가능하며, 소음 및 진동이 발생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프레임 및 판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하중이 많이 나가지 않으며, 이로 인해 내진 저항 능력이 향상되고 처짐 발생량이 줄어들어 구조적으로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의 상부체를 설명하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의 프레임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프레임부재에 상부체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프레임부재에 상부체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프레임부재와 상부체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프레임부재와 상부체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의 상부체를 설명하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의 프레임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프레임부재에 상부체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프레임부재에 상부체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프레임부재와 상부체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프레임부재와 상부체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은 지지체(10)와, 프레임부재(20)와, 상부체(30) 및, 볼트(40)를 갖추고서, 임시교량이 필요한 곳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체(10)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체(10)는 기둥 형상의 지지부(11)와, 지지부(11)의 상부에 구비되는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부(12)를 갖춘다. 이때 프레임부(12)는 I자형 프레임 구조를 이룬다.
상기 프레임부재(20)는 프레임체(21)와, 연결기구(22)를 갖추고서, 지지체(10)의 프레임부(12)의 상부에 설치되되, 다수의 프레임부재(20)가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체(21)는 지지체(10)의 프레임부(12)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지지체(10)의 프레임부(12)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체(21)는 I자형 프레임 구조를 이룬다.
상기 연결기구(22)는 수평판(22a)과, 제1,2수직판(22b,22c)과, 너트(22d) 및, 보강판(22e)을 갖추고서, 프레임체(21)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기구(22)의 수평판(22a)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관통홀(22a1)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판(22a)의 관통홀(22a1)은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1수직판(22b)은 연결기구(22)의 수평판(22a)의 좌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프레임체(21)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수직판(22c)은 연결기구(22)의 수평판(22a)의 우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프레임체(21)의 상부에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결기구(22)의 수평판(22a), 제1수직판(22b), 제2수직판(22c)은 'ㄷ'자 형상을 이루며, 제1,2수직판(22b,22c)의 하면은 프레임체(21)의 상면에 용접으로 설치되어, 연결기구(22)가 프레임체(21)와 일체형을 이룬다.
상기 너트(22d)는 연결기구(22)의 수평판(22a)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판(22a)의 관통홀(22a1) 하부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너트(22d)는 연결기구(22)의 수평판(22a)의 저면에 용접으로 설치되어 연결기구(22)의 수평판(22a)과 일체형을 이룬다.
상기 보강판(22e)은 프레임부재(20)의 제1,2수직판(22b,22c) 사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부재(20)의 수평판(22a)의 저면에 구비되되, 양측면이 제1,2수직판(22b,22c)과 맞닿아, 연결기구(22)의 수평판(22a) 및 제1,2수직판(22b,22c)이 보다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체(30)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판(31)과, 지지판(32)과, 연결체(33)와, 수직판(34) 및, 수평판(35)를 갖추고서, 상부체(30)의 우측이 하나의 프레임부재(20)의 좌측에 설치되고 상부체(30)의 좌측이 또 다른 프레임부재(20)의 우측에 설치되되, 서로 이웃하는 상부체(30)의 상부연결체(33a)가 서로 맞닿게 구비된다.
상기 상판(31)은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상판(31)의 저면에는 종보강재(31a) 및 횡보강재(31b)가 그물 형상 또는 격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32)은 상판(31)의 우측 및 좌측에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며, 프레임부재(20)의 프레임체(21)에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지지판(32)은 서로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구비된다.
상기 연결체(33)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부연결체(33a)와, 하부연결체(33b)를 갖추고서, 각각의 지지판(32) 사이에 설치되며, 프레임부재(20)의 연결기구(22)의 수평판(22a)의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상부연결체(33a)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상부관통홀(33a1)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연결체(33b)는, 상부관통홀(33a1)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관통홀(33a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서 상부관통홀(33a1)과 연통되는 하부관통홀(33b1)을 구비하여, 상부연결체(33a)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수직판(34)은, 상부체(30)의 상판(31)의 우측 하부 및 좌측 하부에 각각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체(30)의 지지판(32)은 상판(31)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수직판(34)에 수직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체(30)의 수평판(35)은, 상부체(30)의 수직판(34)의 하부에 구비되며, 프레임(20)에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판(35)은 상판(31)의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수직판(34)에 수직되게 설치된다.
상기 볼트(40)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나사부(41)와, 헤드부(42)를 갖추고서, 상부체(30)의 연결체(33)를 프레임부재(20)의 연결기구(2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 나사부(41)는 상부체(30)의 하부연결체(33b)의 하부관통홀(33b1)을 관통하여 프레임부재(20)의 너트(22d)에 체결된다.
상기 헤드부(42)는 상부체(30)의 상부연결체(33a)의 상부관통홀(33a1)에 위치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을 이루는 구성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그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지지체(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체(10)에 다수의 프레임부재(20)를 서로 나란하게 설치한다.
이후, 하나의 프레임부재(20) 및 또 다른 프레임부재(20)에 상부체(30)의 양측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부체(30)의 지지판(32) 사이로 각각의 프레임부재(20)의 연결기구(22)가 삽입되는 데, 상기 지지판(32)은 상기 연결기구(2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재(20)에 상부체(30)가 안착되면, 각각의 프레임부재(20)의 연결기구(22)의 상부에는 상부체(30)의 연결체(33)가 안착된다.
계속해서, 볼트(40)를 상부체(30)의 연결체(33)의 상부관통홀(33a1) 및 하부관통홀(33b1)에 삽입한 후, 각각의 볼트(40)의 나사부(41)를 각각의 프레임부재(20)의 연결기구(22)의 너트(22d)에 체결한다. 그러면 상부체(30)는 프레임부재(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재(20)을 이루는 구성이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부체(30)를 이루는 구성이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상부체(30)를 프레임부재(20)에 볼트(40)를 통해 간단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작업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편리한 작업은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공사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및 분리 작업이 편리하여, 설치 및 분리 작업 시 프레임부재(20) 및 상부체(30)의 구조에 변형이 발생할 위험이 줄어들어, 부품의 재활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부재(20) 및 상부체(30)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충분한 강성 확보가 가능하며, 소음 및 진동이 발생이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프레임 및 판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하중이 많이 나가지 않으며, 이로 인해 내진 저항 능력이 향상되고 처짐 발생량이 줄어들어 구조적으로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체(30)의 지지판(32)과, 상부체(30)의 수직판(34)과, 상부체(30)의 수평판(35)이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부체(30)의 수평판(35)이 지지체(10)에 지지되어, 상부체(30)에 하중이 작용할 시, 충분한 지지력 확보가 가능하며, 특히 상부체(30)의 지지판(32)은 상기와 같이 지지기능을 하면서 가이드 기능을 하여 프레임부재(20)의 연결기구(22)의 삽입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상부체(30)의 상부연결체(33a)와, 상기 상부체(30)와 이웃하는 또 다른 상부체(30)의 상부연결체(33a)가 맞닿아, 상부체(30) 사이로 유격공간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체(30)에 하중이 작용할 시, 프레임부재(20)의 연결기구(22)가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40)의 헤드부(42)가 상부체(30)의 연결체(33)의 상부관통홀(33a1)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수용되어, 상부체(30)의 평면이 고르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져, 가설교량 분야에서의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를 통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지지체 11; 지지부
12; 프레임부 20; 프레임부재
21; 프레임체 22; 연결기구
30; 상부체 31; 상판
32; 지지판 33; 연결체
34; 수직판 35; 수평판
40; 볼트 41; 나사부
42; 헤드부

Claims (4)

  1. 다수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체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관통홀을 구비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며 프레임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2수직판 및, 상기 수평판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판의 관통홀 하부에 위치하는 너트를 구비하여, 프레임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연결기구를 갖추고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프레임부재와:
    상판과; 상판의 우측 및 좌측에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며 프레임부재의 프레임체에 안착되는 지지판과;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상부관통홀을 구비한 상부연결체, 상부관통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관통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서 상부관통홀과 연통되는 하부관통홀을 구비하여 상부연결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연결체를 갖추고서, 각각의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며 프레임부재의 연결기구의 수평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다수의 연결체를 갖추고서, 상부체의 우측이 하나의 프레임부재의 좌측에 설치되고 상부체의 좌측이 또 다른 프레임부재의 우측에 설치되되, 서로 이웃하는 상부체의 상부연결체가 서로 맞닿게 구비되는 다수의 상부체 및:
    상부체의 하부연결체의 하부관통홀을 관통하여 프레임부재의 너트에 체결되는 나사부와, 상부체의 상부연결체의 상부관통홀에 위치하는 헤드부를 갖춘 다수의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는, 상부체의 상판의 우측 하부 및 좌측 하부에 수직판이 각각 구비되고, 상부체의 지지판이 수직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는, 상부체의 수직판의 하부에, 프레임에 안착되는 수평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제1,2수직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부재의 수평판의 저면에 구비되되, 양측면이 제1,2수직판과 맞닿는 보강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
KR1020170006259A 2017-01-13 2017-01-13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 KR101760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259A KR101760498B1 (ko) 2017-01-13 2017-01-13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259A KR101760498B1 (ko) 2017-01-13 2017-01-13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498B1 true KR101760498B1 (ko) 2017-07-24

Family

ID=5942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259A KR101760498B1 (ko) 2017-01-13 2017-01-13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5954A (zh) * 2017-12-06 2018-03-20 哈尔滨市市政工程设计院 基于气动肌肉实现主动振动控制的人行天桥或钢制便桥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665Y1 (ko) * 2002-11-04 2003-03-03 성기안 편향부 및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일체형 거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665Y1 (ko) * 2002-11-04 2003-03-03 성기안 편향부 및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일체형 거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5954A (zh) * 2017-12-06 2018-03-20 哈尔滨市市政工程设计院 基于气动肌肉实现主动振动控制的人行天桥或钢制便桥
CN107815954B (zh) * 2017-12-06 2023-11-10 哈尔滨市市政工程设计院 基于气动肌肉实现主动振动控制的人行天桥或钢制便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220B1 (ko) 내하성능 및 사용성능이 개선된 강거더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100693098B1 (ko) 에이치 형강 기둥-보 일면전단형 접합구조체
KR20150065985A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모듈유닛
CN106522093A (zh) 一种带内置肋条的正交异性钢桥面闭口加劲肋结构
KR100758994B1 (ko) 형강인 수직보강부재로 보강된 빔과 그 설치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760498B1 (ko) 기능이 향상된 합체 형태의 가설교량
CN102021947B (zh) 建筑钢框架节点结构
KR102200236B1 (ko)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
KR101274990B1 (ko) 중간가로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거더교
KR102142304B1 (ko) 기둥부재와 와이드보의 접합구조 및, 바닥구조체
KR20140020582A (ko) 해체작업이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20140121228A (ko) 트럭 적재함의 플로어패널
JP2015068005A (ja) 溶接接合連続小梁構造
KR102000114B1 (ko) 가설교량용 모듈형 트러스 거더 및 그 설치 구조
CN107288045B (zh) 加固式桥梁
KR20060036630A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보강재
KR101822923B1 (ko)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결합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보강부재 설치방법
KR102299914B1 (ko) 보 데크플레이트 설치 구조
JP6286737B2 (ja) 床版パネルの固定構造
KR200462050Y1 (ko) 거푸집 판넬
KR101031351B1 (ko) 제진구조를 갖는 기둥-보 연결 구조물
JP5033387B2 (ja) 制振補強構造
KR101807119B1 (ko) 공업화박판강구조물 및 이의 텐던을 이용한 엔드플레이트 접합부 보강구조
KR101774046B1 (ko) 조립식 일체형 가설교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