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058B1 - 숏크리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 - Google Patents

숏크리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058B1
KR101760058B1 KR1020170005535A KR20170005535A KR101760058B1 KR 101760058 B1 KR101760058 B1 KR 101760058B1 KR 1020170005535 A KR1020170005535 A KR 1020170005535A KR 20170005535 A KR20170005535 A KR 20170005535A KR 101760058 B1 KR101760058 B1 KR 101760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hotcrete
coupled
main body
qu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욱
유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케미우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케미우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70005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12Supplying or proportioning liquid ingredients
    • B28C7/126Supply means, e.g. nozz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5Transport or application of concrete specially adapted for the lining of tunnels or galleries ; Backfilling the space between main building element and the surrounding rock, e.g. with concre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10Accelerators; Activators
    • C04B2103/12Set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10Accelerators; Activators
    • C04B2103/14Hardening accel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급결제와 콘크리트가 혼합 분사되는 본원발명의 숏크리트 분사장치(A)는 콘크리트이송호스(10)에 연결된 관 구조의 본체부(100); 본체부(100)의 전방부(110)에 결합되되, 전방부(110)가 후방부(220)에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분출부(200); 급결제와 콘크리트가 혼합되는 혼합영역(30)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본체부(100)와 분출부(200)의 결합길이(L)를 조절하기 위해, 본체부(100)와 분출부(200)에 공통으로 결합된 길이조절부(300);를 포함하되, 본체부(100)의 측면에는 급결제이송호스(20)와 연결되는 급결제주입부(120)가 형성된다.
이 경우, 도15, 도16과 같이 길이조절부(300)를 이용하여 본체부(100)와 분출부(200)의 결합길이(L)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숏크리트 분사장치(A)에서 콘크리트와 첨가제의 혼합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숏크리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CONCRETE SPRAYING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숏크리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에 관한 것이다.
숏크리트는 콘크리트와 첨가제를 혼합한 것으로서, 암반의 굴착 직후 굴착면에 분사하여 굴착면을 안정화시키는 조성물로서, 숏크리트는 콘크리트와 첨가제의 혼합 정도에 따라 암반의 굴착면과 결합되는 결합력이 결정된다.
숏크리트는 분사장치에서 콘크리트와 첨가제가 혼합되는데, 콘크리트와 첨가제의 배합비와 콘크리트의 이송 압력 및 참가제의 이송 압력에 따라 숏크리트의 접착성 및 경화시간이 결정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숏크리트 분사장치는 콘크리트와 첨가제의 혼합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현장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술하는 종래기술의 기술구성, 명칭 및 도면번호는 그 종래기술의 설명에 한정되어 사용한다.
한국특허 제10-2014-0090009호 '분진을 저감시키기 위한 숏크리트 압송부,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는 분말형 급결제를 이용하는 숏크리트의 시공 시, 분사 분진 및 리바운드 분진을 저감시키기 위한 숏크리트 압송부, 숏크리트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측은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압송수단과 연결되고, 타측은 숏크리트 시공대상 지반에 콘크리트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연결되어, 압송되는 콘크리트가 수용되는 압송관; 압송관의 중단에 설치되고, 압송되는 콘크리트에 분말형 급결제가 인젝션되도록 구성되는 급결제 인젝션부; 및 압송관에서 급결제 인젝션부보다 분사부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고, 압송되는 콘크리트에 물이 분무되도록 구성되는 물 분무부;를 포함한다.
한국특허 제10-2008-0072885호 '숏크리트 타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부 단면 보수방법'은 숏크리트 타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부 단면 복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상된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 중에서 깊이가 깊고, 면적이 넓은 보수단면을 숏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하여 친환경 보수모르타르를 타설함에 의해 단기간에 급속 시공할 수 있는 숏크리트 타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부 단면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숏크리트 타설 장치는 보수모르타르를 수용, 혼합하는 모르타르 믹서기와, 상기 모르타르를 이송시키기 위한 압송펌프와,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급결제를 공급하는 급결제 투입기와, 상기 보수모르타르와 상기 압축공기 및 상기 급결제의 인입과 인출을 제어하는 제어패널과, 상기 압축공기와 함께 보수모르타르를 분사시키는 숏크리트 노즐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국특허 제10-2006-0067115호 '모르타르 분사장치 및 그 모르타르 분사장치를 이용한 모르타르 시공방법'은 구조물의 시공이나 보수, 보강 등에 사용되는 모르타르를 분사하기 위한 모르타르 분사장치 및 그 모르타르 분사장치를 이용한 모르타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르타르에 보강용 단섬유가 다량 혼입된 경우에도 원활하게 모르타르를 원하는 지점에 분사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모르타르 분사장치 및 그 모르타르 분사장치를 이용한 모르타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르타르가 유입되는 제1중공부를 가지는 본체; 일단부가 상기 본체와 결합하며, 내부에는 일측이 상기 제1중공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2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중공부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노즐; 및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노즐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며 고압가스가 유입되는 공간인 가스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에는 상기 가스챔버로 유입된 고압가스를 상기 제2중공부로 주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스챔버와 제2중공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가스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가스통로는, 상기 제2중공부의 제1위치에 연결된 제1가스통로와, 상기 제2중공부의 제1위치으로부터 상기 제2중공부의 타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제2위치에 연결된 제2가스통로를 포함한다.
한국특허 제10-2014-0090009호 한국특허 제10-2008-0072885호 한국특허 제10-2006-00671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와 첨가제의 혼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숏크리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급결제와 콘크리트가 혼합 분사되는 본원발명의 숏크리트 분사장치(A)는 콘크리트이송호스(10)에 연결된 관 구조의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부(110)에 결합되되, 상기 전방부(110)가 후방부(220)에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분출부(200); 상기 급결제와 상기 콘크리트가 혼합되는 혼합영역(30)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분출부(200)의 결합길이(L)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분출부(200)에 공통으로 결합된 길이조절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에는 급결제이송호스(20)와 연결되는 급결제주입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분출부(200)는 관 구조이고, 상기 후방부(220); 상기 후방부(220)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분출부전방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분출부전방부(230)는 전방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관 지름이 좁아지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출부전방부(230)는 전방부에 형성된 분사구(231)의 크기 및 형상과 상기 분출부전방부(230)의 길이(ℓ)가 서로 다른 복수의 상기 분출부전방부(23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후방부(2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00)에는 축방향을 따라 외측면에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의 홈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분출부(200)에는 관통홀(210)이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부(300)는 상기 분출부(200)의 외면을 둘러 결합되는 결속부(310); 상기 결속부(31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210)을 관통하여 상기 홈부(130)에 끼워지는 돌부(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부(310)는 상기 분출부(200)의 하측 외면을 둘러 결합되는 하부결속부(311); 상기 분출부(200)의 상측 외면을 둘러 결합되는 상부결속부(312); 상기 하부결속부(311)와 상기 상부결속부(312)가 힌지결합 되도록 상기 하부결속부(311)와 상기 상부결속부(312)의 일측 영역에 형성되는 힌지결합부(313); 상기 하부결속부(311)와 상기 상부결속부(312)를 결속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결속부(311)와 상기 상부결속부(312)의 타측 영역에 형성되는 결합부(3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조절부(300)에 형성된 상기 돌부(320)는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홈부(110) 중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부 영역 또는 후방부 영역에 형성된 상기 홈부(110)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길이(L)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영역에는 상기 콘크리트이송호스(10)로 이송된 콘크리트와 상기 급결제이송호스(20)로 이송된 급결제의 교반을 위한 교반날개(400)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날개(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심부(410); 상기 심부(410)의 외면에 결합하되, 외측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날개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420)는 상기 심부(410)의 축방향을 따라 비틀린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숏크리트 분사장치(A)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은 콘크리트이송호스(10)와 상기 급결제이송호스(20)를 상기 분사장치(A)에 결합하는 분사장치결합단계; 상기 콘크리트이송호스(10)의 이송압력(P)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부(300)를 조절하여 상기 결합길이(L)를 조절하는 결합길이조절단계; 상기 분사장치(A)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와 급결제가 혼합된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급결제는 콘크리트급결제; 첨가제; 물;을 포함하고, 상기 급결제는 슬러리형태의 급결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급결제는 C12A7, CSA 및 칼슘알루미네이트를 포함하는 광물계 분말이고, 상기 첨가제는 소듐글루코네이트, 구연산 및 주석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결제는 상기 콘크리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숏크리트 분사장치는 길이조절부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와 첨가제가 혼합되는 분사장치 내부의 혼합영역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와 첨가제의 혼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콘크리트 이송압력, 급결제의 혼합량에 따라 길이조절부를 조절하여 숏크리트 분사장치 내에서 콘크리트와 급결제가 혼합되는 혼합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한국특허 제10-2014-0090009호의 압송부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한국특허 제10-2008-0072885호의 숏크리트 타설 장치의 노즐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한국특허 제10-2006-0067115호의 모르타르 분사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숏크리트 분사장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출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반날개가 결합된 숏크리트 분사장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혼합영역이 최대인 숏크리트 분사장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반날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반날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사구의 크기와 분출부전방부의 길이가 다른 분출부전방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사구의 크기와 분출부전방부의 길이가 다른 분출부전방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부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펼처진 길이조절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혼합영역이 최소로 형성된 숏크리트 분사장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혼합영역이 최대로 형성된 숏크리트 분사장치 측면도.
본 발명에 따른 숏크리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숏크리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급결제와 콘크리트가 혼합 분사되는 본원발명의 숏크리트 분사장치(A)는 콘크리트이송호스(10)에 연결된 관 구조의 본체부(100); 본체부(100)의 전방부(110)에 결합되되, 전방부(110)가 후방부(220)에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분출부(200); 급결제와 콘크리트가 혼합되는 혼합영역(30)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본체부(100)와 분출부(200)의 결합길이(L)를 조절하기 위해, 본체부(100)와 분출부(200)에 공통으로 결합된 길이조절부(300);를 포함하되, 본체부(100)의 측면에는 급결제이송호스(20)와 연결되는 급결제주입부(120)가 형성된다.
이 경우, 도15, 도16과 같이 길이조절부(300)를 이용하여 본체부(100)와 분출부(200)의 결합길이(L)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숏크리트 분사장치(A)에서 콘크리트와 첨가제의 혼합을 조절할 수 있다.
분출부(200)는 관 구조이고, 후방부(220); 후방부(220)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분출부전방부(230);를 포함하며, 분출부전방부(230)는 전방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관 지름이 좁아지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분출부(200)의 구조가 관 구조임과 아울러, 전방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지름이 좁아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적은 압력으로 숏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분출부전방부(230)는 전방부에 형성된 분사구(231)의 크기 및 형상과 분출부전방부(230)의 길이(ℓ)가 서로 다른 복수의 분출부전방부(230) 중 어느 하나가 후방부(2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11, 도 12와 같이 분사구(231)의 크기와 분출부전방부(230)의 길이(ℓ)가 서로다른 여러 타입의 분출부전방부(230)를 이용하여 숏크리트의 타설압력과 분사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숏크리트 분사작업시 분사구(231)에 막힘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분출부전방부를 교체하여,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체부(100)에는 축방향을 따라 외측면에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의 홈부(130)가 형성되고, 분출부(200)에는 관통홀(210)이 형성되며, 길이조절부(300)는 분출부(200)의 외면을 둘러 결합되는 결속부(310); 결속부(31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되, 관통홀(210)을 관통하여 홈부(130)에 끼워지는 돌부(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조절부(300)에 형성된 돌부(320)는 본체부(100)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110) 중 본체부(100)의 전방부 영역 또는 후방부 영역에 형성된 홈부(110)에 결합되어 결합길이(L)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15, 도 16과 같이 길이조절부(300)에 형성된 돌부(320)가 분출부(200)에 형성된 관통홀(210)을 관통하여 본체부(100)의 축방향을 따라 외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130)에 결합하여 혼합영역(3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결속부(310)는 분출부(200)의 하측 외면을 둘러 결합되는 하부결속부(311); 분출부(200)의 상측 외면을 둘러 결합되는 상부결속부(312); 하부결속부(311)와 상부결속부(312)가 힌지결합 되도록 하부결속부(311)와 상부결속부(312)의 일측 영역에 형성되는 힌지결합부(313); 하부결속부(311)와 상부결속부(312)를 결속시키기 위해 하부결속부(311)와 상부결속부(312)의 타측 영역에 형성되는 결합부(3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13,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부(300)는 힌지결합부(313)를 기준으로 하부결속부(311)와 상부결속부(312)가 벌어지는 구조로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길이조절부(300)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다.
본체부(100)의 내측 영역에는 콘크리트이송호스(10)로 이송된 콘크리트와 급결제이송호스(20)로 이송된 급결제의 교반을 위한 교반날개(400)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날개(400)는 본체부(100)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심부(410); 심부(410)의 외면에 결합하되, 외측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날개부(420);를 포함하고, 날개부(420)는 심부(410)의 축방향을 따라 비틀린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영역(30)에 교반날개(400)가 결합되는 경우, 콘크리트와 급결제의 결합을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숏크리트 분사장치(A)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은 콘크리트이송호스(10)와 급결제이송호스(20)를 분사장치(A)에 결합하는 분사장치결합단계; 콘크리트이송호스(10)의 이송압력(P)의 크기에 따라 길이조절부(300)를 조절하여 결합길이(L)를 조절하는 결합길이조절단계; 분사장치(A)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와 급결제가 혼합된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단계;를 포함한다.
급결제는 콘크리트급결제; 첨가제; 물;을 포함하고, 급결제는 슬러리형태의 급결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급결제는 C12A7, CSA 및 칼슘알루미네이트를 포함하는 광물계 분말이고, 첨가제는 소듐글루코네이트, 구연산 및 주석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결제는 콘크리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송압력(P), 급결제의 배합비에 따라 길이조절부(300)를 조절하여 숏크리트 분사장치(A) 내에서 콘크리트와 급결제가 혼합되는 혼합영역(3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능동적으로 현장조건에 대응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혼합영역(30)의 크기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현장 상황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하여 시공할 수 있다.
A : 숏크리트 분사장치 L : 본체부와 분출부의 결합길이
ℓ : 분출부전방부의 길이 P : 이송압력
10 : 콘크리트 이송호스 20 : 급결제 이송호스
30 : 혼합영역 100 : 본체부
110 : 전방부 120 : 급결제주입부
130 : 홈부 200 : 분출부
210 : 관통홀 220 : 후방부
230 : 분출부전방부 231 : 분사구
300 : 길이조절부 310 : 결속부
311 : 하부결속부 312 : 상부결속부
313 : 힌지결합부 314 : 결합부
320 : 돌부 400 : 교반날개
410 : 심부 420 : 날개부

Claims (12)

  1. 급결제와 콘크리트가 혼합 분사되는 숏크리트 분사장치(A)로서,
    콘크리트이송호스(10)에 연결된 관 구조의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부(110)에 결합되되, 상기 전방부(110)가 후방부(220)에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분출부(200);
    상기 급결제와 상기 콘크리트가 혼합되는 혼합영역(30)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분출부(200)의 결합길이(L)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분출부(200)에 공통으로 결합된 길이조절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에는 급결제이송호스(20)와 연결되는 급결제주입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에는
    축방향을 따라 외측면에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의 홈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분출부(200)에는 관통홀(210)이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부(300)는
    상기 분출부(200)의 외면을 둘러 결합되는 결속부(310);
    상기 결속부(31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210)을 관통하여 상기 홈부(130)에 끼워지는 돌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200)는 관 구조이고,
    상기 후방부(220);
    상기 후방부(220)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분출부전방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분출부전방부(230)는 전방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관 지름이 좁아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분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전방부(230)는
    전방부에 형성된 분사구(231)의 크기 및 형상과 상기 분출부전방부(230)의 길이(ℓ)가 서로 다른 복수의 상기 분출부전방부(23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후방부(2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분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310)는
    상기 분출부(200)의 하측 외면을 둘러 결합되는 하부결속부(311);
    상기 분출부(200)의 상측 외면을 둘러 결합되는 상부결속부(312);
    상기 하부결속부(311)와 상기 상부결속부(312)가 힌지결합 되도록 상기 하부결속부(311)와 상기 상부결속부(312)의 일측 영역에 형성되는 힌지결합부(313);
    상기 하부결속부(311)와 상기 상부결속부(312)를 결속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결속부(311)와 상기 상부결속부(312)의 타측 영역에 형성되는 결합부(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분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300)에 형성된 상기 돌부(320)는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홈부(110) 중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부 영역 또는 후방부 영역에 형성된 상기 홈부(110)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길이(L)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분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영역에는 상기 콘크리트이송호스(10)로 이송된 콘크리트와 상기 급결제이송호스(20)로 이송된 급결제의 교반을 위한 교반날개(40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분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심부(410);
    상기 심부(410)의 외면에 결합하되, 외측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날개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420)는 상기 심부(410)의 축방향을 따라 비틀린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분사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숏크리트 분사장치(A)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으로서,
    콘크리트이송호스(10)와 상기 급결제이송호스(20)를 상기 분사장치(A)에 결합하는 분사장치결합단계;
    상기 콘크리트이송호스(10)의 이송압력(P)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부(300)를 조절하여 상기 결합길이(L)를 조절하는 결합길이조절단계;
    상기 분사장치(A)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와 급결제가 혼합된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타설공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결제는
    콘크리트급결제;
    첨가제;
    물;을 포함하고,
    상기 급결제는 슬러리형태의 급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타설공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급결제는
    C12A7, CSA 및 칼슘알루미네이트를 포함하는 광물계 분말이고,
    상기 첨가제는
    소듐글루코네이트, 구연산 및 주석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타설공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결제는
    상기 콘크리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숏크리트 타설공법.
KR1020170005535A 2017-01-12 2017-01-12 숏크리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 KR101760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535A KR101760058B1 (ko) 2017-01-12 2017-01-12 숏크리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535A KR101760058B1 (ko) 2017-01-12 2017-01-12 숏크리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058B1 true KR101760058B1 (ko) 2017-07-20

Family

ID=5944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535A KR101760058B1 (ko) 2017-01-12 2017-01-12 숏크리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0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0236A (ja) * 2007-02-06 2008-08-21 Geibi:Kk 飛散防止伸縮自在型ウレタン吹付けガン及びその吹付け方法
JP6099927B2 (ja) * 2012-10-10 2017-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制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0236A (ja) * 2007-02-06 2008-08-21 Geibi:Kk 飛散防止伸縮自在型ウレタン吹付けガン及びその吹付け方法
JP6099927B2 (ja) * 2012-10-10 2017-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制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059B1 (ko) 숏크리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
CN102635373B (zh) 一种高压液力喷射系统
KR101630516B1 (ko) 분진을 저감시키기 위한 숏크리트 압송부,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방법
US4978073A (en) Apparatus for pneumatically discharging liquified building material containing a hardener
KR101760058B1 (ko) 숏크리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
KR100989428B1 (ko)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공법
KR100785654B1 (ko) 콘크리트 압송장치
KR102103556B1 (ko) 강관 압입식 추진공법 및 장거리 마이크로 터널링 공법에 사용되는 추진용 강관체
CN205277447U (zh) 一种混凝土湿喷机喷枪
KR101241372B1 (ko) 숏크리트 시공장비에서의 콘크리트 압송부 구조
JP2007077739A (ja) ジェットグラウト式地盤改良工法
KR101620276B1 (ko) 고압분사 그라우팅 주입장치
KR101660023B1 (ko) 칼라 숏크리트 시공방법
KR101877670B1 (ko) 스퀴즈 방식의 모르타르 타설 장치
JP2010075855A (ja) 混合システム
KR100289016B1 (ko) 습식 숏크리트 타설을 위한 액상 급결제 투입 방법 및 그 장치
KR102075793B1 (ko) 콘크리트 공급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믹싱 트럭
JP2005213732A (ja) モルタル又はコンクリート用吹付け装置
CN102814863B (zh) 一种混凝土混合仓及基于其的混凝土湿法喷射系统和方法
JP5498881B2 (ja) 地盤改良工法
KR20210081476A (ko) 부착성능이 향상된 모르타르 숏크리트 분사장치 및 그 분사장치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방법
KR100800580B1 (ko) 모르타르 분사장치 및 그 모르타르 분사장치를 이용한모르타르 시공방법
JP6912152B2 (ja) 吹付システム
KR102309591B1 (ko) 건축물 마감재 분사장치
KR20090019084A (ko) 다량의 단섬유가 함유된 고인성 내화보수모르타르의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