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654B1 - 콘크리트 압송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압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654B1
KR100785654B1 KR1020070051169A KR20070051169A KR100785654B1 KR 100785654 B1 KR100785654 B1 KR 100785654B1 KR 1020070051169 A KR1020070051169 A KR 1020070051169A KR 20070051169 A KR20070051169 A KR 20070051169A KR 100785654 B1 KR100785654 B1 KR 100785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mpressed air
inlet
pressur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두희
Original Assignee
홍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두희 filed Critical 홍두희
Priority to KR1020070051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가압하는 콘크리트 펌프카와 콘크리트의 사용처인 건설현장과의 거리가 먼 경우에도 콘크리트를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한 콘크리트 압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압펌프에서 가압된 콘크리트가 이송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콘크리트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대한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압축공기 유입구, 상기 콘크리트 유입구와 압축공기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 이송해 줌과 더불어 압축공기 유입구의 선단에 공기 분사체임버가 형성되게 하는 유도관, 상기 공기 분사체임버의 선단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유도관의 내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콘크리트가 유도관의 바깥에 형성된 분사체임버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가압되게 하는 가압관 및, 상기 가압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면서 콘크리트를 가압이송하는 압송관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를 콘크리트 펌프카에서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이송관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별다른 부가 보조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콘크리트를 먼 거리까지 이송시킬 수가 있으므로, 험난한 지형이나 협소한 공간에서도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챔버, 에어유입구, 에어분사구, 믹싱, 펌프, 분사노즐,

Description

콘크리트 압송장치{AN APPARATUS FOR TRANSPORTING CONCRETE UNDER PRESS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압송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압송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압송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압송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압송장치에 사용되는 분사링의 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압송장치에 사용되는 분사링의 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압송장치 2 - 믹싱카
3 - 가압펌프 4 - 분사노즐
5 - 이송관 6 - 콘크리트 유입구
7 - 압축공기 유입구 8 - 공기분사체임버
9 - 유도관 10 - 가압관
11- 압송관 12 - 노즐홈
13 - 분사링
본 발명은 콘크리트 압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크리트를 펌프카에서 먼거리까지 간단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한 콘크리트 압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공사시 절토, 성토로 조성되는 토사면이나 폭파 등에 의한 암질개와 같은 암반 절개사면은 통상적으로 급경사를 이루어 있어 붕괴의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주변경관과의 환경을 고려하여 사면에 각종 초목을 식재하여 녹화하는데, 이러한 경사면(토사면이나 암반 절개사면) 등을 녹화하기 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사면이 붕괴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토목 공사의 작업 현장은 지형이 험하고 작업 공간이 여의치 않아 콘크리트 펌프카를 작업 현장 가까이에 투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 콘크리트 펌프카는 최대 50m 까지면 이송시킬 수가 있으므로, 그 이상 먼 거리를 이송해야 하는 경우에는 중간에 별도의 가압장치를 설치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 공간이 험한 산악지형이거나 협소한 경우에는 이러한 보조 가압장치를 설치해 줄 수가 없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불가능 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없는 경우에는 부득이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데 그 대체 방법이 부적절하여 사고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펌프카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 현장이 먼 거리 인 경우에도 콘크리트를 간단하고 원활하게 압송해 줄 수 있게 한 콘크리트 압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콘크리트 압송장치는, 가압펌프에서 가압된 콘크리트가 이송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콘크리트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대한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압축공기 유입구, 상기 콘크리트 유입구와 압축공기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 이송해 줌과 더불어 압축공기 유입구의 선단에 공기 분사체임버가 형성되게 하는 유도관, 상기 공기 분사체임버의 선단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유도관의 내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콘크리트가 유도관의 바깥에 형성된 분사체임버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가압되게 하는 가압관 및, 상기 가압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면서 콘크리트를 가압이송하는 압송관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콘크리트 펌프카에서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이송관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200m에 이르는 먼 거리까지 별다른 부가 보 조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콘크리트를 이송시킬 수가 있으므로, 험난한 지형이나 협소한 공간에서도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압송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설치된 개략적 구성도로서, 도면 3에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압송장치(1)는, 혼합된 콘크리트를 믹싱하며 이송해 온 믹싱카(2)에 구비되어 콘크리트를 가압하는 가압펌프(3)와 가압 이송된 콘크리트를 건설현장에 분사하는 분사노즐(4) 사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빠른 속도로 가압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압송장치(1)는 도면 1과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펌프(3)에서 가압된 콘크리트가 이송관(5)을 통하여 유입되는 콘크리트 유입구(6)와, 상기 유입구(6)에 대한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압축공기 유입구(7), 상기 콘크리트 유입구(6)와 압축공기 유입구(7) 사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 이송해 줌과 더불어 압축공기 유입구(7)의 선단에 공기 분사체임버(8)가 형성되게 하는 유도관(9), 상기 공기 분사체임버(8)의 선단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유도관(9)의 내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콘크 리트가 유도관(9)의 바깥에 형성된 분사체임버(8)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가압되게 하는 가압관(10) 및, 상기 가압관(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면서 콘크리트를 가압이송하는 압송관(1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분사체임버(9)의 출구쪽에는 압축공기 유입구(7)를 통하여 유입된 압축공기를 포집하여 더욱 가압함과 더불어 가압된 공기를 집중적으로 분사하게 해주는 다수개의 환형 노즐홈(12)을 갖춘 분사링(13)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분사링(13)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사체임버(9)의 입구에 설치할 수가 있는데,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관(9)의 표면에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사링(13)에 형성된 환형 노즐홈(12)의 형상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소요인데, 우선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환형 노즐홈(12)을 분사링(13)에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게 형성할 수도 있고, 도면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링(13)의 길이 방향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노즐홈(12)의 형성 방향은 공기의 흐름 방향에 영향을 미쳐, 공기가 일직선으로 흐르게 하거나, 나선형으로 흐르게 하는데, 공기가 나선형으로 흐르게 하는 경우가 더욱 콘크리트를 압송하는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통상 콘크리트 펌프카에 설치된 콘크리트 이송관의 직경이 10cm짜리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 상기 분사링(13)의 주변에 형성시킨 노즐홈(12)을 전부 사선방향으로 형성시키면 공기의 흐름이 지나치게 빨라져 부품이 빨리 닳 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어, 도면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링(13)의 원둘레를 기준으로 하여 절반은 사선방향으로 형성시키고, 나머지 절반은 직선 방향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 유입구(7)는 도면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도면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이송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는데, 상기 압축공기 유입구(7)의 설치 방향에 따라 분사체임버(8)의 형상을 달리할 수가 있다.
예컨대, 상기 압축공기 유입구(7)를 경사지게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분사체임버(8)의 시작점을 도면 2a,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공기 유입구(7)의 정확한 선단에서부터 시작하게 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압축공기 유입구(7)가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에 분사체임버(8)가 압축공기 유입구(7)의 시작점 뒤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면, 가압 이송되는 콘크리트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역류하는 경우에 분사체임버(8)의 뒤쪽으로 콘크리트가 밀려져 들어가서 빠져나오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압축공기 유입구(7)를 도면 2a에서와 같이 직각 방향으로 형성시킨 경우에는, 직각 방향의 압축공기 유입구(7)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앞뒤로 분산되어 흐르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분사체임버(8)를 압축공기 유입구(7)의 뒤쪽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콘크리트가 코너에 박혀 머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믹싱카(2)의 가압펌프(3)에 의해 가압된 콘크리트가 이송되는 이송관(5)의 중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이송관(5)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치하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압축공기 유입구(7)에는 공기압축기(도시 안 됨)를 연결시켜 가압공기가 공급되게 한다.
이와 같이 연결하여, 상기 콘크리트 유입구(6)를 통하여 콘크리트를 공급함과 더불어 압축공기 유입구(7)를 통하여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면, 콘크리트가 유도관(9)을 통하여 들어오면서 유도관(9)의 바깥쪽에서 유입되어 들어오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가압 되면서 가압관(10)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다시 가압관(10)에서는 직경이 절반, 즉 10cm에서 5cm로 좁아지게 형성된 압송관(11)속으로 유입되어 들어가면서 빠른 속도록 빠져나가게 된다.
실제 직경이 5cm의 압송관(11)을 갖춘 본 발명의 압송장치(1)를 10cm의 이송관(5)을 갖춘 믹싱카에 연결하고 시험한 결과, 중간에 별도의 다른 보조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본 발명에 따른 압송장치(1) 하나만을 사용하여 현재까지 180m까지의 작업 현장까지 문제없이 콘크리트를 이송시킬 수가 있었다.
그러나 압송거리는 작업 현장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200m 이상도 별문제 없이 이송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압송장치는 가압이송 되는 콘크리트의 통로 주변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의 힘에 의해 콘크리트가 더욱 가압된 상태에서 빠른 속도로 먼 거리까지 이송시킬 수가 있으므로, 지형이 험한 곳이나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곤란한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콘크리트를 먼 거리까지 가압이송할 수가 있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가압펌프(3)에서 가압된 콘크리트가 이송관(5)을 통하여 유입되는 콘크리트 유입구(6)와, 상기 유입구(6)에 대한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압축공기 유입구(7), 상기 콘크리트 유입구(6)와 압축공기 유입구(7) 사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 이송해 줌과 더불어 압축공기 유입구(7)의 선단에 공기 분사체임버(8)가 형성되게 하는 유도관(9), 상기 공기 분사체임버(8)의 선단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유도관(9)의 내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콘크리트가 유도관(9)의 바깥에 형성된 분사체임버(8)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가압되게 하는 가압관(10) 및, 상기 가압관(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면서 콘크리트를 가압이송하는 압송관(11)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압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체임버(9)의 출구쪽에는 압축공기 유입구(7)를 통하여 유입된 압축공기를 포집하여 더욱 가압함과 더불어 가압된 공기를 집중적으로 분사해주는 다수개의 환형 노즐홈(12)을 갖춘 분사링(1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압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노즐홈(12)이 분사링(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압송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노즐홈(12)이 분사링(13)의 원주면을 따라 절반의 원주면에는 분사링(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나머지 절반의 원주면에는 분사링(13)의 길이 방향을 따리 직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압송장치
KR1020070051169A 2007-05-26 2007-05-26 콘크리트 압송장치 KR100785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169A KR100785654B1 (ko) 2007-05-26 2007-05-26 콘크리트 압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169A KR100785654B1 (ko) 2007-05-26 2007-05-26 콘크리트 압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654B1 true KR100785654B1 (ko) 2007-12-14

Family

ID=3914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169A KR100785654B1 (ko) 2007-05-26 2007-05-26 콘크리트 압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6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526B1 (ko) * 2008-03-19 2009-11-12 세기하이테크건설 주식회사 시멘트 모르타르의 성능 최적화 및 균열 제어를 위한 보강 섬유의 균등분산용 특수 분사장치를 사용하는 열화 콘크리트 보수공법
CN102564651A (zh) * 2011-12-27 2012-07-11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混凝土泵车、其输送管用测量装置及其感应器件安装座
CN104594636A (zh) * 2015-01-26 2015-05-06 广东城建职业学院 混凝土砂浆分离器
CN105003077A (zh) * 2015-07-17 2015-10-28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密闭空间混凝土浇筑装置及施工方法
CN106353031A (zh) * 2016-08-26 2017-01-25 北京建工新型建材有限责任公司 监测大流态混凝土超高层泵送压力的水平盘管体系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90U (ko) * 2019-02-28 2019-04-08 (주) 비엠비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90U (ko) * 2019-02-28 2019-04-08 (주) 비엠비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526B1 (ko) * 2008-03-19 2009-11-12 세기하이테크건설 주식회사 시멘트 모르타르의 성능 최적화 및 균열 제어를 위한 보강 섬유의 균등분산용 특수 분사장치를 사용하는 열화 콘크리트 보수공법
CN102564651A (zh) * 2011-12-27 2012-07-11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混凝土泵车、其输送管用测量装置及其感应器件安装座
CN104594636A (zh) * 2015-01-26 2015-05-06 广东城建职业学院 混凝土砂浆分离器
CN105003077A (zh) * 2015-07-17 2015-10-28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密闭空间混凝土浇筑装置及施工方法
CN106353031A (zh) * 2016-08-26 2017-01-25 北京建工新型建材有限责任公司 监测大流态混凝土超高层泵送压力的水平盘管体系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654B1 (ko) 콘크리트 압송장치
JP6764691B2 (ja) ケーソン躯体の沈設装置
JP3620961B2 (ja) 流体噴射装置
KR102103556B1 (ko) 강관 압입식 추진공법 및 장거리 마이크로 터널링 공법에 사용되는 추진용 강관체
KR100843390B1 (ko) 워터젯 커팅장치
US2799540A (en) Log conveying
JP6912152B2 (ja) 吹付システム
US2778692A (en) Log conveying
CN107762524B (zh) 水切割盾构机
JP2010075855A (ja) 混合システム
CN205148088U (zh) 一种磨料的输送系统
KR102075793B1 (ko) 콘크리트 공급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믹싱 트럭
JPS594006B2 (ja) 地盤改良方法
JP2005213732A (ja) モルタル又はコンクリート用吹付け装置
KR100289016B1 (ko) 습식 숏크리트 타설을 위한 액상 급결제 투입 방법 및 그 장치
JP5369049B2 (ja) 中心孔を取り囲んだ多孔ノズルによる噴射装置を使用した地盤改良工法および地盤改良装置
JP2007061758A (ja) 吹付装置及び吹付施工方法
JP5385445B1 (ja) ジェットポンプおよびジェットポンプによる負圧形成方法並びにジェットポンプによる吸引流送方法
KR101348533B1 (ko) 지반보강을 위한 주입관 장치 및 지반보강 시스템
JP4137578B2 (ja) モルタルまたはコンクリート混合装置ならびにモルタルまたはコンクリート吹付け装置
KR101760058B1 (ko) 숏크리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
KR101594512B1 (ko) 에어공급부가 구비된 수로교구조물 보수용 콘크리트 압송장치
JP3513466B2 (ja) 混合物の吹き付け工法とその装置
JP2000290991A (ja) 地盤改良工法
KR101529595B1 (ko) 내부 분출식 관로용 오존수 혼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1103

Effective date: 2009072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