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005B1 - 균일한 머신-투-머신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균일한 머신-투-머신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005B1
KR101760005B1 KR1020137003665A KR20137003665A KR101760005B1 KR 101760005 B1 KR101760005 B1 KR 101760005B1 KR 1020137003665 A KR1020137003665 A KR 1020137003665A KR 20137003665 A KR20137003665 A KR 20137003665A KR 101760005 B1 KR101760005 B1 KR 101760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format
services
module
providing uni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378A (ko
Inventor
게오르게 체리안
준 왕
라빈드라 마노하르 패트와드한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38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는 제 1 머신-투-머신(M2M) 모듈에 의해, 제 1 포맷을 이용하여 제 1 머신-투-머신(M2M)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콘텐츠는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어드레싱됨 ― ; 제 2 M2M 모듈로의 전송을 위해 수신된 콘텐츠를 제 2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 상기 제 2 M2M 모듈은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제 1 포맷으로 역으로(back) 수신된 콘텐츠를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함 ― ; 및 제 2 M2M 모듈을 통해 제 2 M2M 디바이스로 변환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균일한 머신-투-머신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FORM MACHINE-TO-MACHINE ADDRESSING}
35 U.S.C. §119 하의 우선권 주장
본 특허출원은, 2010년 7월 13일 출원되고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그에 의해, 본원에 인용에 의해 명시적으로 포함되는, 발명의 명칭이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form Machine-to-machine Addressing"인 가 출원 번호 제61/363,999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M2M (Machine-to-machine)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전화,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및 브로드캐스트와 같은 다양한 원격통신 서비스들 제공하기 위해 널리 전개된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 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전송 전력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기술들의 예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al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및 TD-SCDMA(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이들 다수의 액세스 기술들은 지방의, 국가의, 지역의 및 심지어 전세계의 레벨로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원격통신 표준들에서 채택된다. 다른 원격통신 표준의 예는 LTE(Long Term Evolution)이다. LTE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발표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모바일 표준에 대한 일 세트의 개선들이다. LTE는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함으로써 모바일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더 잘 지원하고, 비용들을 낮추고, 서비스들을 개선하고 새로운 스펙트럼을 이용하게 하고, 다운링크(DL) 상에서 OFDMA를, 업링크(UL) 상에서 SC-FDMA를, 및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안테나 기술을 이용하는 다른 개방 표준들과 더 잘 통합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모바일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LTE 기술에 있어서의 추가의 개선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개선들은 이들 기술들을 이용하는 다른 다중-액세스 기술들 및 원격통신 표준들에 응용 가능해야 한다.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양상에 따라,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기재되는데, 이 방법은 제 1 머신-투-머신(M2M) 모듈에 의해, 제 1 포맷을 이용하여 제 1 머신-투-머신(M2M)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콘텐츠는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어드레싱됨 ― ; 콘텐츠를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결정하는 단계; 제 2 M2M 모듈로의 전송을 위해 수신된 콘텐츠를 제 2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 상기 제 2 M2M 모듈은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수신된 콘텐츠를 제 1 포맷으로 역으로(back)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함 ― ; 및 제 2 M2M 모듈을 통해 제 2 M2M 디바이스로 변환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라, 머신-투-머신(Machine-to-machine; 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가 기재되는데, 이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제 1 머신-투-머신(M2M) 모듈에 의해, 제 1 포맷을 이용하여 제 1 머신-투-머신(M2M)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 ― 상기 콘텐츠는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어드레싱됨 ― ; 제 2 M2M 모듈로의 전송을 위해 수신된 콘텐츠를 제 2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 ― 상기 제 2 M2M 모듈은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수신된 콘텐츠를 제 1 포맷으로 역으로(back)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함 ― ; 및 제 2 M2M 모듈을 통해 제 2 M2M 디바이스로 변환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라, 머신-투-머신(Machine-to-machine; 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가 기재되는데, 이 장치는, 제 1 머신-투-머신(M2M) 모듈에 의해, 제 1 포맷을 이용하여 제 1 머신-투-머신(M2M)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콘텐츠는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어드레싱됨 ― ; 제 2 M2M 모듈로의 전송을 위해 수신된 콘텐츠를 제 2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2 M2M 모듈은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수신된 콘텐츠를 제 1 포맷으로 역으로(back)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함 ― ; 및 제 2 M2M 모듈을 통해 제 2 M2M 디바이스로 변환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라,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기재되며, 이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머신-투-머신(M2M) 모듈에 의해, 제 1 포맷을 이용하여 제 1 머신-투-머신(M2M)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게 하고 ― 상기 콘텐츠는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어드레싱됨 ― ; 제 2 M2M 모듈로의 전송을 위해 수신된 콘텐츠를 제 2 포맷으로 변환하게 하고 ― 상기 제 2 M2M 모듈은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제 1 포맷으로 역으로(back) 수신된 콘텐츠를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함 ― ; 및 제 2 M2M 모듈을 통해 제 2 M2M 디바이스로 변환된 콘텐츠를 전송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이점들은, (a) 특정한 M2M 에어 인터페이스 상세들과 독립적으로,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한 공통적인 어드레싱 방식을 제공하고, (b) M2M 서버 및 M2M 디바이스에 영향을 주지 않고 사용자가 하나의 에어-인터페이스로부터 다른 에어 인터페이스로 스위칭하도록 허용하고, (c) 로딩, 효율 등과 같은 상이한 조건들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운용자가 최적의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은 예로서 도시되고 기술된 다양한 양상들인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들에게 쉽게 자명하게 될 것임이 이해된다.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일 양상에 따라 머신-투-머신(machine-to-machine; M2M) 서비스를 구현하는 다수의 WAN들(wide area networks)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를 구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 1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를 구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 2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를 구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 3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를 구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 4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
도 8은 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블록도.
도 9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는데 적합한 디바이스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10은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와 통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11은 2개의 단말 시스템, 예를 들어, 노드/사용자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기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는 양상들만을 나타내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기술되는 각각의 양상은 단순히 본 개시의 예 또는 예시로서 제공되며 반드시 다른 양상들보다 유리하거나 선호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선 안 된다.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한 상세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들 특정한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몇몇 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본 개시의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두문자어들 및 다른 설명적 용어는 단지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설명의 단순함을 위해, 방법들은 일련의 동작들로서 도시되고 기술되지만, 방법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몇몇 동작들이 여기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들로 그리고/또는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고 인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들은 방법이 상태도에서와 같이 일련의 서로 관련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대안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지할 것이다. 또한, 모든 예시되는 동작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데 요구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기법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OFDMA(Orthogonal FDMA) 네트워크들, SC-FDMA(Single-Carrier FDMA) 네트워크들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용어들 "네트워크들" 및 "시스템들"은 종종 상호 교환 가능하게 이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W-CDMA(Wideband-CDMA) 및 LCR(Low Chip Rate)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E-UTRA(Evolved UTRA), IEEE 802.11, IEEE 802.16,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E-UTRA, 및 GSM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부분이다.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이용하는 UMTS의 릴리즈이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는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란 명칭의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된다. cdma2000은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란 명칭의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된다. 이들 다양한 라디오 기술들 및 표준들은 당 분야에 알려져 있다. 명확성을 위해, 기법들의 특정한 양상들은 LTE 또는 LTE-A에 대해 아래에서 기술되며, LTE 또는 LTE-A 용어는 단지 LTE 또는 LTE-A 시스템들로 본 개시의 범위 또는 양상을 제한하는 의도 없이 설명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일 예를 예시한다. 일 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LTE 네트워크일 수 있고, M2M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다수의 이볼브드 노드 B들(다시 말해, eNB들 또는 e노드 B들)(11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eNB는 사용자 장비(UE)와 통신하는 스테이션일 수 있고, 기지국,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eNB(110)는 특정한 지리적인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3GPP에서, 용어 "셀"은 용어가 이용되는 맥락에 의존해서, eNB의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이러한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eNB 서브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예에서, eNB는 매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또는 다른 타입들의 셀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 셀은 상대적으로 큰 지리적인 영역(예를 들어, 수 킬로미터들의 반경)을 커버할 수 있고, 서비스 가입을 한 UE들에 의한 비제한되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피코 셀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리적인 영역을 커버할 수 있으며, 서비스 가입을 한 UE들에 의한 비제한되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펨토셀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리적인 영역(예를 들어, 홈)을 커버할 수 있고, 펨토 셀과의 연관성을 갖는 UE들(예를 들어, CSG(Closed Subscriber Group)의 UE들, 집 내에 있는 사용자들에 대한 UE들 등)에 의한 제한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매크로 셀에 대한 eNB는 매크로 eNB로서 지칭될 수 있다. 피코 셀에 대한 eNB는 피코 eNB로서 지칭될 수 있다. 펨토 셀에 대한 eNB는 펨토 eNB 또는 홈 eNB(HNB)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예에서, eNB들(110a, 110b, 및 110c)은 각각 매크로 셀들(102a, 102b, 102c)에 대한 매크로 eNB들일 수 있다. eNB(110x)는 피코 셀(102x)에 대한 피코 eNB일 수 있다. eNB들(110y 및 110z)은 각각 펨토 셀들(102y 및 102z)에 대한 펨토 eNB들일 수 있다. eNB는 하나 또는 다수(예를 들어, 3개)의 셀들을 지원할 수 있다. 당업자는 지원되는 셀들의 양이 여기서의 예들에서 예시된 양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또한 중계 스테이션(relay station)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중계 스테이션은 업스트림 스테이션(예를 들어, eNB 또는 UE)으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전송을 수신하고 다운스트림 스테이션(예를 들어, UE 또는 eNB)로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전송을 송신한다. 중계 스테이션은 또한 다른 UE들에 대한 전송들을 중계하는 UE일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예에서, 중계 스테이션(110r)은 eNB(110a)와 UE(120r)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eNB(110a) 및 UE(120r)와 통신할 수 있다. 중계 스테이션은 또한 중계 eNB, 중계기(relay) 등으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도 1에서 예시되는 무선 네트워크(100)는 상이한 타입들의 eNB들, 예를 들어,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펨토 eNB들, 중계기들 등을 포함하는 이종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들 상이한 타입들의 eNB들은 상이한 전송 전력 레벨들,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들, 및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간섭에 관한 상이한 영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eNB들은 높은 전송 전력 레벨(예를 들어, 20와트)을 가질 수 있는 반면에, 피코 eNB들, 펨토 eNB들 및 중계기들은 더 낮은 전송 전력 레벨(예를 들어, 1 와트)을 가질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무선 네트워크(100)는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동기식 동작에 대해서, eNB들은 유사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지며, 상이한 eNB들로부터의 전송들은 대략 시간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비동기식 동작에 대해, eNB들은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지며, 상이한 eNB들로부터의 전송들은 시간적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기법들은 동기식 및 비동기식 동작 둘 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eNB들의 세트에 결합되고 이들 eNB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백홀(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을 통해 eNB들(110)과 통신할 수 있다. eNB들(110)은 또한 무선 또는 유선 백홀을 통해 및/또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UE들(120)은 무선 네트워크(100) 전체에 걸쳐서 분산될 수 있고, 각각의 UE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일 수 있다. UE는 또한 단말, 모바일 스테이션,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UE는 셀룰러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코드리스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등일 수 있다. UE는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펨토 eNB들, 중계기들 등과 통신할 수 있을 수 있다. 도 1에서, 이중 화살표들을 갖는 실선은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상에서 UE를 서빙하도록 지정된 eNB인 서빙 eNB와 UE 간의 바람직한 전송들을 표시한다. 이중 화살표들을 갖는 점선은 UE와 eNB 간의 간섭하는 전송들을 표시한다. 당업자는 예시되는 지정된 전송 경로들 및 방향들이 단지 예이며, 다른 전송 경로들 및 방향들이 균등하게 응용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개시의 범위 또는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2는 일 양상에 따라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를 구현하는 다수의 광역 네트워크들(WAN들)(220, 230)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200)의 일 예를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200)은 M2M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상이한 타입들의 M2M 모델들은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서 제안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포맷 단편화(fragmentation)가 상이한 타입들의 M2M 디바이스들이 상이한 서비스들에 대해 이용되게 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이용되는 WLAN 기술과 독립적으로 M2M 디바이스들을 유지할 수 있는 M2M 네트워크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M2M 디바이스 및 서비스들은 이용되는 WLAN 기술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미 설치되었을 수 있는 M2M 디바이스들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백홀 통신을 위해 이용되는 WLAN-기술을 교체할 수 있을 수 있다. 즉, M2M 서버 및 M2M 디바이스는, M2M 디바이스 어드레싱이 WAN 어드레싱에 결속(tie)되지 않기 때문에, WAN 기술에 의해 이용되는 어드레싱 매커니즘(예를 들어, 포맷)과 무관하게 서로 어드레싱(예를 들어,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200)은 도 2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UE들(202)(다시 말해, M2M 디바이스들(202)), 다수의 WAN들(220, 230), 및 다수의 M2M 서버들(226, 236)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도 2에서 도시된 UE들, WAN들 및 M2M 서버들의 양(quantity)이 단지 예시 목적들을 위한 것이며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선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 양상에서, 각각의 WAN(220, 230)은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222, 232) 및 M2M 무선 게이트웨이(224, 234)와 연관될 수 있다. UE(202)와 M2M 서버(226, 236) 간의 통신들은 WAN들(220, 23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신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UE(202)와 M2M 서버(226, 236)로부터의 콘텐츠는 인터넷 프로토콜(IP) 포맷을 이용하여 포맷팅될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양상에서, M2M 서버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 질의를 이용하여 M2M 등록 동안 UE(202)의 IP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또한 IP 어드레스는 여기서 언급된 이유들 중 하나 이상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UE(202)와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222, 232) 간의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인터페이스로서 취급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선택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되는 링크 식별자를 이용할 수 있는 다수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Bluetooth, ZigBee, Wifi 등)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IP 포맷을 이용하는 것은 UE들(202), 서비스들 또는 M2M 서버들(226, 236)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WAN 기술에 대한 이동 경로(migration path)가 M2M 디바이스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예를 들어, 전력 소비 개선들, 네트워크 자원 최적화 개선들 등)하도록 진화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222, 232)는 IP 어드레스에 기초한 라우팅은 M2M 디바이스 어드레싱에 관해 불가지론적(agnostic)일 수 이고, 라우팅 목적을 위해 새로운 어드레싱 매커니즘을 도입하는 것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일 양상에서, 각각의 UE(202)는 고유한 디바이스 식별자(예를 들어, EUI(extended unique identifier), MEID(mobility equipment identifier) 등)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식별자는 예를 들어, M2M 서버(226, 236)와 UE(202) 간의 디바이스의 인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UE(202)가 인증되면, IP 어드레스와 디바이스 식별자 간의 연관성(association)이 형성된다. 일 양상에서, MDN(mobile directory number) 기반 어드레싱 포맷을 이용하여 통신들이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M2M 서버(226, 236)는,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222, 232)가 전개되지 않는 경우 직접 UE(202)를 어드레싱할 수 있다.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222, 232)가 전개되는 일 예에서, UE(202)는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할 수 있고, M2M 서버(226, 236)는 UE(202)에 도달하기 위해 특별한 디바이스 ID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M2M 서버(226, 236)의 변화들은 특별한 디바이스 ID들에 변화를 야기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M2M 서비스들에서 데이터 서비스들로의 이동은 복잡해질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IP 기반 포맷팅은 전송될 콘텐츠에 대해 비교적 큰 오버헤드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Pv6 어드레스가 이용되면, 오버헤드(40 옥텟 IP 헤더 + TCP/UD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user datagram protocol) 헤더)가 콘텐츠에 비해 클 수 있다. 일 양상에서, IPv6 대 에어-인터페이스 IP 맵핑은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션 셋업 동안, 사용자의 IP 어드레스는 사용자의 에어-인터페이스 식별자(IPv6 어드레스에 맵핑되는, UATI(unicast access terminal identifier), 또는 MSISDN(mobile subscriber integrated services data network) 등과 같은)와 연관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패킷이 전송될 때, 오버 에어-인터페이스(over air-interface)는 소스-IP 어드레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IP 헤더 오버헤드를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예에서, 5-튜플(tuple)(source-IP-addr, destination-IP-addr, source port-num, dest-port-num, protocol-ID) 헤더가 구현될 수 있고 에어-인터페이스 링크 IP에 맵핑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패킷들이 전송될 때, 오버 에어-인터페이스는 5-튜플 헤더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에서, UE(202)로부터 M2M 서버(226, 236)로의 통신들을 위해, WAN(220) 또는 WAN(230)이 패킷 데이터 서비스(WAN에서의 IP 어드레싱)를 이용하는 경우,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222, 232) 및 M2M 무선 게이트웨이(224, 234)는 라우터로서 작용한다. 다른 동작 양상에서, UE(202)로부터의 통신들을 위해, 회선 교환 모드(예를 들어, SMS)가 WAN 상에서 이용되는 경우,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222, 232) 및 M2M 무선 게이트웨이(224, 234)는 WAN 특정 어드레스 모드(예를 들어,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등)로 IP 어드레스를 변환하고 WAN 특정 어드레스 모드로부터 재변환할 수 있다. 또한, WAN 어드레싱은 단지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222, 232)를 어드레싱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다수의 UE들(202)에 대한 다수의 M2M-IP-어드레스들은 단일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에 맵핑될 수 있다.
WAN(220)은 2개 이상의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로 또한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WAN은 회선 교환 네트워크 및 패킷 교환 네트워크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음).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222)는 WAN(220)에서 표현되는 기술들 중 하나 또는 모두 다에 의해 도달 가능할 수 있다. M2M 무선 게이트웨이(224)가 M2M 디바이스(사용자 장비(202)로서 또한 표현됨)에 대해 정해진 M2M 서버(226)로부터 패킷을 수신할 때, M2M 무선 게이트웨이(224)는 최적의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결정한다. 최적의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의 결정은 (a)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접속 사전 셋업(packet data connection already setup)을 갖는지 여부, (b)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 각각의 네트워크 로딩 조건들, (c) 전달의 효율, (d)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이 바람직한 정책, (e) 특정한 기술을 이용하는 비용을 포함(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음)한다.
도 3은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를 구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300)의 제 1 예를 예시한다.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300)은 다수의 UE들(302),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322), 연관된 인터넷 프로토콜(IP)-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게이트웨이(324)를 갖는 회선 교환 네트워크(320), 연관된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높은 레이트 패킷 데이터(HRPD) 서빙 게이트웨이(PDSN/HSGW)(334)를 갖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330), 홈 에이전트/로컬 이동 에이전트(HA/LMA)(328), 및 M2M 서버(3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통신들은 회선 교환 네트워크(320)를 통해 M2M 서버(326)와 선택된 UE(302)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양상에서,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322)에는 어드레스들의 HA-풀(pool)로부터 "IPv6 프리픽스"가 할당될 수 있다. M2M 서버(326)는 IP 패킷을 UE(A)(302)에 송신할 수 있다. 동작에서, HA/LMA(328)는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322)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도달 가능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322)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도달 가능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322)와 HA/LMA(328) 간의 모바일 IP 세션 셋업이 존재하지 않음), HA/LMA(328)는 IP 패킷을 SMS 포맷으로 변환하고 패킷을 SMS 게이트웨이(324)에 포워딩할 수 있다. 또한, IP-SMS 게이트웨이(324)는 홈 링크로서 취급될 수 있다. 즉,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322)와 HA/LMA(328) 간의 모바일 IP 세션 셋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HA/LMA(328)는 SMS 게이트웨이(324)로의 터널이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322)에 대한 홈 링크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HA/LMA(328)와 SMS 게이트웨이(324) 간의 링크는 모바일 IP 터널이다. IP 패킷이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322)에 도달한 이후, IP 패킷은 캡슐해제(decapsulate)되고 타겟 UE(A)(302)에 통신될 수 있다.
도 4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를 구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400)의 제 2 예를 예시한다.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400)은 다수의 UE들(402),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422), 연관된 IP-SMS 게이트웨이(424)를 갖는 회선 교환 네트워크(420), 연관된 PDSN/HSGW(434)를 갖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430), HA/LMA(428), 및 M2M 서버(4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패킷 교환 네트워크(430)를 통해 M2M 서버(426)와 선택된 UE(402) 사이에서 통신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에서,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422)에는 어드레스들의 HA-풀(pool)로부터 "IPv6 프리픽스"가 할당될 수 있다. M2M 서버(426)는 IP 패킷을 UE(A)(402)에 송신할 수 있다. 동작에서, HA/LMA(428)는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422)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430)를 통해 도달 가능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422)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430)를 통해 도달 가능하면, HA/LMA(428)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430)를 이용하여 IP 패킷을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422)에 포워딩할 수 있다. IP 패킷이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422)에 도달한 이후, IP 패킷은 타겟 UE(A)(402)로 라우팅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도 3 및 도 4는 SMS 또는 패킷-데이터 접속이 이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2개의 구성들을 갖는 유사한 아키텍처들을 예시한다.
도 5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를 구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500)의 제 3 예를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500)은 다수의 UE들(502),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522), 연관된 IP-SMS 게이트웨이(524)를 갖는 회선 교환 네트워크(520), 연관된 PDSN/HSGW(534)를 갖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530), HA/LMA(528), M2M 게이트웨이(530), 및 M2M 서버(5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패킷 교환 네트워크(530)를 통해 M2M 서버(526)와 선택된 UE(502) 사이에서 통신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이 양상에서, M2M-게이트웨이(527)는 M2M 서버(526)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HA/LMA(528) 또는 SMS 게이트웨이(524)에 송신할 수 있다. M2M 게이트웨이(527)는 최적의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결정한다. 최적의 에어 인터페이스기술의 결정은 (a) 디바이스가 패킷 데이터 접속 사전 셋업(packet data connection already setup)을 갖는지 여부, (b)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 각각의 네트워크 로딩 조건들, (c) 전달의 효율, (d)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이 바람직한 정책, (e) 특정한 기술을 이용하는 비용을 포함(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음)한다.
또한, 이러한 양상에서,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522)에는 어드레스들의 HA-풀로부터 "IPv6 프리픽스"가 할당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IP 터널은 M2M 서버(526)와 M2M-게이트웨이(527) 사이에서 셋업될 수 있다. 일 예에서,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522)는 바람직한 통신 링크(예를 들어, SMS 대 IP 등)에 관해 M2M-게이트웨이(527)와 시그널링을 교환할 수 있다. M2M 게이트웨이(527)는 적절한 전송에서 M2M 서버(526)로부터 수신된 IP 패킷을 캡슐화하고, 이를 적절한 UE(A)(502)에 포워딩할 수 있다.
도 6은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를 구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600)의 제 4 예를 예시한다.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600)은 다수의 UE들(602),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622), 연관된 IP-SMS 게이트웨이(624)를 갖는 회선 교환 네트워크(620), 연관된 PDSN/HSGW(634)를 갖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630), 연관된 M2M 게이트웨이(627)를 갖는 HA/LMA(628) 및 M2M 서버(6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패킷 교환 네트워크(630)를 통해 선택된 UE(602)와 M2M 서버(626) 사이에서 통신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622)에는 어드레스들의 HA-풀로부터 "IPv6 프리픽스"가 할당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IP 터널이 M2M 서버(626)와 M2M 게이트웨이(627) 사이에서 셋업될 수 있으며, 여기서 M2M 게이트웨이(627)는 홈 에이전트/로컬 이동 앵커(home agent/ local mobility anchor; HA/LMA)(628)와 공존된다. 그 후, IP 링크가 이용 가능한 경우, HA/LMA(628)는 패킷 기반 네트워크(630)에서 패킷들을 포워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HA/LMA(628)는 HA/LMA(628)와 또한 공존될 수 있는 단문 메시징 서비스(SMS) 대화 애플리케이션(도시되지 않음)에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도 5 및 도 6은 SMS 또는 패킷-데이터 접속이 이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2개의 구성들을 갖는 유사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도 7은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예시한다. 블록(710)에서, 제 1 포맷을 이용하여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한다. 일 양상에서, 제 1 M2M 모듈은 제 1 포맷을 이용하여 제 1 M2M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여기서 콘텐츠는 무선 WAN을 통해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어드레싱된다. 일 예에서, 제 1 포맷은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 포맷이다.
블록(720)에서, WAN을 통한 전송을 위해 수신된 콘텐츠를 제 2 포맷으로 변환한다. 일 예에서, 제 1 M2M 모듈은 제 2 M2M 모듈로의 WAN을 통한 전송을 위해 수신된 콘텐츠를 제 2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2 M2M 모듈은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콘텐츠를 제 1 포맷으로 역으로(back)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일 양상에서, 제 1 M2M 모듈은 M2M 무선 게이트웨이이고, 제 1 M2M 디바이스는 M2M 서버이고, 제 2 M2M 모듈은 M2M 어그리게이션 포인트이고, 제 2 M2M 디바이스는 UE이다. 다른 양상에서, 제 1 M2M 모듈은 M2M 어그리게이션 포인트이고, 제 1 M2M 디바이스는 UE이고, 제 2 M2M 모듈은 M2M 무선 게이트웨이이고, 제 2 M2M 디바이스는 M2M 서버이다. 다른 양상에서, 제 2 포맷은 회선 교환 기반 포맷 또는 패킷 교환 기반 포맷일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WAN은 회선 교환 네트워크 또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M2M 무선 게이트웨이는 인터넷 프로토콜(IP)-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게이트웨이,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높은 레이트 패킷 데이터(HRPD) 게이트웨이(PDSN/HSGW) 또는 홈 에이전트/로컬 이동 에이전트(HA/LM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변환은 제 2 포맷을 통해 제 1 포맷을 터널링하기 위해 인터넷 프로토콜(IP)-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터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변환은 제 2 포맷을 통해 제 1 포맷을 터널링하기 위해 CMIP/PMIP(client mobile Internet protocol/proxy mobile Internet protocol) 터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 1 M2M 모듈은 M2M 어그리게이션 포인트이고, 제 1 M2M 디바이스는 UE이고, 제 1 포맷은 M2M 어그리게이션 포인트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UE들에 공통적인 IP 프리픽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IP 어드레스 오버헤드는 에어-인터페이스 식별자에 맵핑된 IP 어드레스, 에어-인터페이스 식별자에 맵핑된 IP 어드레스 5-튜플 등을 이용하여 감소될 수 있다.
블록(730)에서, 변환된 콘텐츠가 전송된다. 일 예에서, 제 1 M2M 모듈은 제 2 M2M 모듈을 통해 제 2 M2M 디바이스로 변환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제 1 M2M 디바이스는 최적의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한다. 그리고, 일 예에서, M2M 게이트웨이는 제 1 M2M 디바이스에 의한 이용을 위해 최적의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선택한다. 일 양상에서, 제 1 포맷은 URL(Uniform Resource Locator) 기반 포맷이다. 일 양상에서, 제 2 포맷은 회선 교환 기반 포맷 또는 패킷 교환 기반 포맷이다.
도 8은 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2에서 도시된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222, 232) 및 M2M 무선 게이트웨이(224, 234)와 같은 M2M 어드레싱 시스템(800)의 상세한 블록도가 예시된다. M2M 어드레싱 시스템(800)은 임의의 타입의 하드웨어, 서버, 개인용 컴퓨터,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또는 범용 컴퓨팅 디바이스 중 하나인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2M 어드레싱 시스템(800)에 의해 실행되거나, 그 상에서 동작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기술되는 모듈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서 전체가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양상에서, 별개의 서버들, 데이터베이스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들은 UE들(202), M2M 서버들(226, 236), 및 M2M 어드레싱 시스템(800)에 의해 실행되는 모듈들 및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데이터 흐름의 별개의 제어층을 제공하기 위해 및/또는 파티들(parties)에 유용한 포맷들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협력하여 작동할 수 있다.
예시되는 예에서, M2M 어드레싱 시스템(800)은 루틴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고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는 컴퓨터 플랫폼(802)을 포함한다. 컴퓨터 플랫폼(802)은 판독-전용 및/또는 랜덤-액세스 메모리(ROM 및 RAM), EPROM, EEPROM, 플래시 카드들, 또는 컴퓨터 플랫폼들에 공통적인 임의의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804)를 포함한다. 메모리(804)는 하나 이상의 플래시 메모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자기 매체들, 광학 매체들, 테이프, 또는 소프트 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임의의 제 2의 또는 제 3의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플랫폼(802)은 주문형 집적회로("ASIC"), 또는 다른 칩셋, 로직 회로, 또는 다른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일 수 있는 프로세서(8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3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M2M 어드레싱 시스템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 이들의 조합들에서 실현되는 다양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들(8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컴퓨터 플랫폼(802)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 이들의 조합들에서 실현될 수 있는 통신 모듈(850)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통신 모듈(850)은 M2M 어드레싱 시스템(8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 사이에서는 물론 M2M 어드레싱 시스템(800), UE들(202) 및 M2M 서버들(226, 236) 사이에서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 모듈(850)은 무선 통신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되는 양상들에 따라, 통신 모듈(850)은 요청된 콘텐츠 아이템들, 제어 정보, 애플리케이션들 등의 무선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및/또는 유니캐스트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필수적인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M2M 어드레싱 시스템(800)의 메모리(804)는 M2M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해 동작 가능한 콘텐츠 모듈(810)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콘텐츠 모듈(810)은 WAN 네트워크 포맷 모듈(812) 및 포맷 변환 모듈(814)을 포함할 수 있다. WAN 네트워크 포맷 모듈(812)은 근본적인 WAN에 의해 이용되는 포맷을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포맷 변환 모듈(814)은 근본적인 WAN을 통해 통신될 수 있도록 콘텐츠 아이템의 초기 포맷을 수신하여 이를 변환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로부터 M2M 서버로의 통신에 대해, 근본적인 WAN이 패킷 데이터 서비스(WAN에서의 IP 어드레싱)를 이용하는 경우,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 및 M2M 무선 게이트웨이는 라우터들로서 작용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UE로부터의 통신에 대해, 근본적인 WAN이 회선 교환 모드(예를 들어, SMS)를 이용하는 경우,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 및 M2M 무선 게이트웨이는 IP 어드레스를 WAN 특정 어드레스 모드(예를 들어, IMSI 등)로 변환하고, WAN 특정 어드레스 모드로부터 재변환할 수 있다.
당업자는 도 7의 예시적인 흐름도에서 기재된 단계들이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그들의 순서에서 서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흐름도에서 예시된 단계들은 배타적이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다른 단계들이 포함될 수 있거나 예시적인 흐름도의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이 삭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들은 여기서 기재된 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또는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펌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인지될 것이다.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또는 알고리즘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의 견지에서 일반적으로 상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 및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기술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판단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구현에 대해,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들(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 있어서, 여기서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을 통해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되고 프로세서 유닛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여기서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흐름도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또는 알고리즘 단계들은 또한 당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구현되거나 당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서 전달되는 컴퓨터-판독 가능한 명령들로서 코딩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들에서, 여기서 기술된 단계들 또는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들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또는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수단(connection)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데이터를 보통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한 것들의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도 9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디바이스(900)의 예를 예시한다. 일 양상에서, 디바이스(900)는 블록들(910, 920 및 930)에서 여기서 기술되는 바와 같은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는 상이한 양상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모듈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디바이스(900)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의해 구현된다.
일 예에서, 여기서 기술되는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흐름도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또는 알고리즘 단계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수행된다. 일 양상에서, 프로세서는 여기서 기술되는 다양한 흐름도들, 로직 블록들 및/또는 모듈들을 구현하거나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메타데이터, 프로그램 명령들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에 결합된다. 도 10은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들을 실행하도록 메모리(1020)와 통신하는 프로세서(1010)를 포함하는 디바이스(1000)의 예를 예시한다. 일 예에서, 디바이스(1000)는 도 7에서 예시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는데 이용된다. 일 양상에서, 메모리(1020)는 프로세서(1010) 내에 위치된다. 다른 양상에서, 메모리(1020)는 프로세서(1010) 외부에 있다. 일 양상에서, 프로세서는 여기서 기술된 다양한 흐름도들, 로직 블록들 및/또는 모듈들을 구현하거나 수행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도 11은 2개의 단말 시스템, 예를 들어, 노드/사용자 시스템(1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무선 아키텍처의 일 예에서, 노드는 도 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M2M 무선 어그리게이션 포인트(222, 232) 또는 M2M 무선 게이트웨이(224, 234) 중 어느 하나이고, 사용자는 사용자 장비(202) 또는 머신-투-머신(M2M) 서버(226, 236) 중 어느 하나이다.
당업자는 도 11에서 예시되는 예시적인 노드/사용자 시스템(1100)이 FDMA 환경, OFDMA 환경, CDMA 환경, WCDMA 환경, TDMA 환경, SDMA 환경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무선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노드/사용자 시스템(1100)은 노드(1101)(예를 들어,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또는 UE(1201)(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다운링크 레그에서, 노드(1101)는 트래픽 데이터를 수용, 포맷팅, 코딩, 인터리빙 및 변조(또는 심볼 맵핑)하고 변조 심볼들(예를 들어, 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하는 전송(TX) 데이터 프로세서 A(1110)를 포함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 A(1110)는 심볼 변조기 A(1120)와 통신한다. 심볼 변조기 A(1120)는 데이터 심볼들 및 다운링크 파일롯 심볼들을 수용 및 프로세싱하고 심볼들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서, 이것은 트래픽 데이터를 변조(또는 심볼 맵핑)하고 변조 심볼들(예를 들어, 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하는 심볼 변조기 A(1120)이다. 일 양상에서, 심볼 변조기 A(1120)는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A(1180)와 통신한다. 심볼 변조기 A(1120)는 전송기 유닛(TMTR) A(1130)과 통신한다. 심볼 변조기 A(1120)는 데이터 심볼들 및 다운링크 파일롯 심볼들을 멀티플렉싱하고 전송기 유닛 A(1130)에 이들을 제공한다.
전송될 각각의 심볼은 데이터 심볼, 다운링크 파일롯 심볼 또는 0의 신호 값일 수 있다. 다운링크 파일롯 심볼들은 각각의 심볼 기간에서 연속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다운링크 파일롯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DM)된다. 다른 양상에서, 다운링크 파일롯 심볼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다운링크 파일롯 심볼들은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DM)된다. 일 양상에서, 전송기 유닛 A(1130)는 심볼들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무선 전송에 적합한 아날로그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로 컨디셔닝, 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또는 주파수 상향변환한다. 아날로그 다운링크 신호는 이어서 안테나(140)를 통해 전송된다.
다운링크 레그에서, 사용자(1201)는 아날로그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기 유닛(RCVR) B(1220)에 입력하기 위한 아테나(1210)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수신기 유닛 B(1220)는 아날로그 다운링크 신호를 제 1 "컨디셔닝된" 신호로 컨디셔닝, 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주파수 하향 변환한다. 제 1 "컨디셔닝된" 신호가 이어서 샘플링된다. 수신기 유닛 B(1220)는 심볼 복조기 B(1230)와 통신한다. 심볼 복조기 B(1230)는 수신기 유닛 B(1220)로부터 출력된 제 1 "컨디셔닝된" 그리고 "샘플링된" 신호(예를 들어, 데이터 심볼들)를 복조한다. 당업자는 심복 복조기 B(1230)에서 샘플링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것이 대안임을 이해할 것이다. 심볼 복조기 B(1230)는 프로세서 B(1240)와 통신한다. 프로세서 B(1240)는 심볼 복조기 B(1230)로부터 다운링크 파일롯 심볼들을 수신하고 다운링크 파일롯 심볼들 상에서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일 양상에서, 채널 추정은 현재의 전파 환경을 특징화하는 프로세스이다. 심볼 복조기 B(1230)는 프로세서 B(1240)로부터 다운링크 레그에 대한 주파수 응답 추정을 수신한다. 심볼 복조기 B(1230)는 다운링크 경로 상에서 데이터 심볼 추정들을 획득하기 위해 데이터 심볼들 상에서 데이터 복조를 수행한다. 다운링크 경로 상의 데이터 심볼 추정들은 전송된 데이터 심볼들의 추정들이다. 심볼 복조기 B(1230)는 또한 RX 데이터 프로세서 B(1250)와 통신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 B(1250)는 심볼 복조기 B(1230)로부터 다운링크 경로 상에서 데이터 심볼 추정을 수신하고, 예를 들어,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해 다운링크 경로 상에서 데이터 심볼 추정들을 복조(즉, 심볼 디맵핑), 디인터리빙 및/또는 디코딩한다. 일 양상에서, 심볼 복조기 B(1230) 및 RX 데이터 프로세서 B(1250)에 의한 프로세싱은 각각 심볼 변조기 A(11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 A(1110)에 의한 프로세싱에 상보적이다.
업링크 레그에서, UE(1201)는 TX 데이터 프로세서 B(1260)를 포함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 B(1260)는 데이터 심볼들을 출력하기 위해 트래픽 데이터를 수용 및 프로세싱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 B(1260)는 심볼 변조기 D(1270)와 통신한다. 심볼 변조기 D(1270)는 데이터 심볼들을 수용하여 이를 업링크 파일롯 심볼들과 멀티플랙싱하고, 변조를 수행하고 심볼들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서, 심볼 변조기 D(1270)는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B(1240)와 통신한다. 심볼 변조기 D(1270)는 전송기 유닛 B(1280)와 통신한다.
전송될 각각의 심볼은 데이터 심볼, 업링크 파일롯 심볼 또는 0의 신호 값일 수 있다. 업링크 파일롯 심볼들은 각각의 심볼 기간에서 연속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업링크 파일롯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DM)된다. 다른 양상에서, 업링크 파일롯 심볼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업링크 파일롯 심볼들은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DM)된다. 일 양상에서, 전송기 유닛 B(1280)는 심볼들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무선 전송에 적합한 아날로그 업링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로 컨디셔닝, 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또는 주파수 상향변환한다. 아날로그 업링크 신호는 이어서 안테나(1210)를 통해 전송된다.
사용자(1201)로부터의 아날로그 업링크 신호는 안테나(1140)에 의해 수신되고 샘플들을 획득하기 위해 수신기 유닛 A(1150)에 의해 프로세싱된다. 일 양상에서, 수신기 유닛 A(1150)는 아날로그 업링크 신호를 제 2 "컨디셔닝된" 신호로 컨디셔닝, 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하향변환한다. 제 2 "컨디셔닝된" 신호는 이어서 샘플링된다. 수신기 유닛 A(1150)는 심볼 복조기 C(1160)와 통신한다. 당업자는 심볼 복조기 C(1160)에서 샘플링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것이 대안임을 이해할 것이다. 심볼 복조기 C(1160)는 업링크 경로 상에서 데이터 심볼 추정들을 획득하기 위해 데이터 심볼들 상에서 데이터 복조를 수행하고, 이어서 업링크 경로 상의 데이터 심볼 추정들 및 업링크 파일롯 심볼들을 RX 데이터 프로세서 A(1170)에 제공한다. 업링크 경로 상의 데이터 심볼 추정들은 전송된 데이터 심볼들의 추정들이다. RX 데이터 프로세서 A(1170)는 사용자(1201)에 의해 전송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해 업링크 경로 상의 데이터 심볼 추정들을 프로세싱한다. 심볼 복조기 C(1160)는 또한 프로세서 A(1180)와 통신한다. 프로세서 A(1180)는 업링크 레그 상에서 전송하는 각각의 활성 단말들에 대한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일 양상에서, 다수의 단말들은 그들 각각의 파일롯 서브대역들의 할당된 세트들을 통해 업링크 레그 상에서 동시에 파일롯 심볼들을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 파일롯 서브대역 세트들은 인터레이싱될 수 있다.
프로세서 A(1180) 및 프로세서 B(1240)는 각각 노드(1101)(예를 들어, 기지국) 및 사용자(1201)에서의 동작을 지시(즉, 제어, 조절 또는 관리 등)한다. 일 양상에서, 프로세서 A(1180) 및 프로세서 B(124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들(도시되지 않음)과 연관된다. 일 양상에서, 프로세서 A(1180) 및 프로세서 B(124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는 각각 업링크 레그 또는 다운링크 레그에 대한 주파수 및 임펄스 응답 추정들을 유도하기 위한 계산들을 수행한다.
일 양상에서, 노드/사용자 시스템(1100)은 다중-액세스 시스템이다. 다중-액세스 시스템(예를 들어,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에 대해서, 다수의 단말들은 업링크 레그 상에서 동시에 전송하여 복수의 UE들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한다. 일 양상에서, 다중-액세스 시스템에 대해, 파일롯 서브대역들은 상이한 단말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각각의 단말에 대한 파일롯 서브대역이 전체 동작 대역(가능하게는 대역 에지들을 제외함)에 걸쳐 있는 경우들에 채널 추정 기법들이 이용된다. 이러한 파일롯 서브대역 구조는 각각의 단말에 대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획득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기재된 양상들의 이전의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가 본 개시를 제조 또는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들에게 쉽게 자명하게 될 것이며, 여기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0)

  1. 머신-투-머신(Machine-to-machine; 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머신-투-머신(M2M) 모듈에 의해, 제 1 포맷을 이용하여 제 1 머신-투-머신(M2M)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콘텐츠는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어드레싱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포맷은 에어 인터페이스 식별자에 맵핑되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 또는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식별자에 맵핑되는 IP 어드레스 5-튜플(tuple)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함 ― ;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2 M2M 모듈이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도달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2 M2M 모듈이 상기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도달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WAN)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air interface technology)을 결정하는 단계;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WAN을 통한 상기 제 2 M2M 모듈로의 전송을 위해 제 2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 상기 제 2 M2M 모듈은 상기 WAN을 통한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제 1 포맷으로 역으로(back)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함 ― ; 및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WAN 상에서 상기 제 2 M2M 모듈을 통해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맷은 IP 기반 포맷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기반 포맷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포맷은 회선 교환 기반 포맷 또는 패킷 교환 기반 포맷을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모듈 및 상기 제 2 M2M 모듈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의한 이용을 위해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선택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은,
    (a)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설정된 패킷 데이터 접속(packet data connection)을 가지는지 여부, (b)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로딩 조건들, (c) 전달의 효율, (d) 선호되는 정책 또는 (e) 비용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모듈은 M2M 무선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는 M2M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M2M 모듈은 M2M 어그리게이션 포인트(aggregation point)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모듈은 M2M 어그리게이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는 UE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M2M 모듈은 M2M 무선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는 M2M 서버를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맷은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 포맷인,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맷은 URL 기반 포맷인,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WAN은 회선 교환 네트워크 또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 중 하나를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포맷을 통해 상기 제 1 포맷을 터널링하기 위해 인터넷 프로토콜(IP)-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터널링을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포맷을 통해 상기 제 1 포맷을 터널링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프록시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client mobile Internet Protocol/proxy mobile Internet Protocol; CMIP/PMIP) 터널링을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모듈은 M2M 어그리게이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는 UE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맷은 상기 M2M 어그리게이션 포인트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UE들에 공통적인 IP 프리픽스(prefix)를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모듈은,
    IP-SMS 게이트웨이,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하이 레이트 패킷 데이터(HRPD) 게이트웨이(PDSN/HSGW), 또는 홈 에이전트/로컬 이동 에이전트(HA/LMA) 중 하나를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맷은,
    에어-인터페이스 식별자에 맵핑된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 및 에어-인터페이스 식별자에 맵핑된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 5-튜플(5-tuple)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더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제 1 머신-투-머신(M2M) 모듈에 의해, 제 1 포맷을 이용하여 제 1 머신-투-머신(M2M)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 ― 상기 콘텐츠는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어드레싱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포맷은 에어 인터페이스 식별자에 맵핑되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 또는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식별자에 맵핑되는 IP 어드레스 5-튜플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함 ― ;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2 M2M 모듈이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도달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2 M2M 모듈이 상기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도달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WAN)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결정하는 것;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WAN을 통한 상기 제 2 M2M 모듈로의 전송을 위해 제 2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 ― 상기 제 2 M2M 모듈은 상기 WAN을 통한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제 1 포맷으로 역으로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함 ― ; 및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WAN 상에서 상기 제 2 M2M 모듈을 통해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
    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맷은 IP 기반 포맷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기반 포맷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포맷은 회선 교환 기반 포맷 또는 패킷 교환 기반 포맷을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모듈 및 상기 제 2 M2M 모듈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의한 이용을 위해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선택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은,
    (a)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설정된 패킷 데이터 접속을 가지는지 여부, (b)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로딩 조건들, (c) 전달의 효율, (d) 선호되는 정책 또는 (e) 비용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모듈은 M2M 무선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는 M2M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M2M 모듈은 M2M 어그리게이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모듈은 M2M 어그리게이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는 UE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M2M 모듈은 M2M 무선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는 M2M 서버를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맷은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 포맷인,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맷은 URL 기반 포맷인,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WAN은 회선 교환 네트워크 또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 중 하나를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 2 포맷을 통해 상기 제 1 포맷을 터널링하기 위해 인터넷 프로토콜(IP)-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터널링을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 2 포맷을 통해 상기 제 1 포맷을 터널링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프록시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CMIP/PMIP) 터널링을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모듈은 M2M 어그리게이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는 UE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맷은 상기 M2M 어그리게이션 포인트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UE들에 공통적인 IP 프리픽스를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2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모듈은,
    IP-SMS 게이트웨이,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하이 레이트 패킷 데이터(HRPD) 게이트웨이(PDSN/HSGW), 또는 홈 에이전트/로컬 이동 에이전트(HA/LMA) 중 하나를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맷은,
    에어-인터페이스 식별자에 맵핑된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 및 에어-인터페이스 식별자에 맵핑된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 5-튜플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더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29.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 1 머신-투-머신(M2M) 모듈에 의해, 제 1 포맷을 이용하여 제 1 머신-투-머신(M2M)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콘텐츠는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어드레싱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포맷은 에어 인터페이스 식별자에 맵핑되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 또는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식별자에 맵핑되는 IP 어드레스 5-튜플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함 ― ;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2 M2M 모듈이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도달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2 M2M 모듈이 상기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도달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WAN)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WAN을 통한 상기 제 2 M2M 모듈로의 전송을 위해 제 2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2 M2M 모듈은 상기 WAN을 통한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제 1 포맷으로 역으로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함 ― ; 및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WAN 상에서 상기 제 2 M2M 모듈을 통해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맷은 IP 기반 포맷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기반 포맷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포맷은 회선 교환 기반 포맷 또는 패킷 교환 기반 포맷을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모듈 및 상기 제 2 M2M 모듈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의한 이용을 위해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선택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은,
    (a)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설정된 패킷 데이터 접속을 가지는지 여부, (b)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로딩 조건들, (c) 전달의 효율, (d) 선호되는 정책 또는 (e) 비용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모듈은 M2M 무선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는 M2M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M2M 모듈은 M2M 어그리게이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34.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모듈은 M2M 어그리게이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는 UE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M2M 모듈은 M2M 무선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는 M2M 서버를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35.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맷은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 포맷인,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36.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맷은 URL 기반 포맷인,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37.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WAN은 회선 교환 네트워크또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 중 하나를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포맷을 통해 상기 제 1 포맷을 터널링하기 위해 인터넷 프로토콜(IP)-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터널링을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포맷을 통해 상기 제 1 포맷을 터널링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프록시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CMIP/PMIP) 터널링을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4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모듈은 M2M 어그리게이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는 UE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맷은 상기 M2M 어그리게이션 포인트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UE들에 공통적인 IP 프리픽스를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4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모듈은,
    IP-SMS 게이트웨이,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하이 레이트 패킷 데이터(HRPD) 게이트웨이(PDSN/HSGW), 또는 홈 에이전트/로컬 이동 에이전트(HA/LMA) 중 하나를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맷은,
    에어-인터페이스 식별자에 맵핑된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 및 에어-인터페이스 식별자에 맵핑된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 5-튜플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더 포함하는,
    머신-투-머신(M2M) 서비스들을 위해 균일한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43.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머신-투-머신(M2M) 모듈에 의해, 제 1 포맷을 이용하여 제 1 머신-투-머신(M2M)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게 하고 ― 상기 콘텐츠는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어드레싱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포맷은 에어 인터페이스 식별자에 맵핑되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 또는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식별자에 맵핑되는 IP 어드레스 5-튜플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함 ― ;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2 M2M 모듈이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도달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고;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제 2 M2M 모듈이 상기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도달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WAN)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결정하게 하고;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WAN을 통한 상기 제 2 M2M 모듈로의 전송을 위해 제 2 포맷으로 변환하게 하고 ― 상기 제 2 M2M 모듈은 상기 WAN을 통한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제 1 포맷으로 역으로 변환하도록 동작 가능함 ― ; 그리고
    변환된 콘텐츠를 상기 WAN 상에서 상기 제 2 M2M 모듈을 통해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맷은 IP 기반 포맷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기반 포맷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포맷은 회선 교환 기반 포맷 또는 패킷 교환 기반 포맷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2M 모듈 및 상기 제 2 M2M 모듈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의한 이용을 위해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선택하고,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은,
    (a) 상기 제 1 M2M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M2M 디바이스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설정된 패킷 데이터 접속을 가지는지 여부, (b)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로딩 조건들, (c) 전달의 효율, (d) 선호되는 정책 또는 (e) 비용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KR1020137003665A 2010-07-13 2011-07-13 균일한 머신-투-머신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60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399910P 2010-07-13 2010-07-13
US61/363,999 2010-07-13
US13/180,421 US9210527B2 (en) 2010-07-13 2011-07-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form machine-to-machine addressing
US13/180,421 2011-07-11
PCT/US2011/043918 WO2012009480A1 (en) 2010-07-13 2011-07-13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form machine-to-machine address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243A Division KR20150123960A (ko) 2010-07-13 2011-07-13 균일한 머신-투-머신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378A KR20130038378A (ko) 2013-04-17
KR101760005B1 true KR101760005B1 (ko) 2017-07-20

Family

ID=445846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665A KR101760005B1 (ko) 2010-07-13 2011-07-13 균일한 머신-투-머신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57030243A KR20150123960A (ko) 2010-07-13 2011-07-13 균일한 머신-투-머신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243A KR20150123960A (ko) 2010-07-13 2011-07-13 균일한 머신-투-머신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10527B2 (ko)
EP (1) EP2594093A1 (ko)
JP (1) JP5596229B2 (ko)
KR (2) KR101760005B1 (ko)
CN (1) CN102986257B (ko)
WO (1) WO2012009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9582B2 (en) * 2010-08-12 2013-12-31 Via Telecom Co., Ltd. Data processing methods for process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 data an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thereof
CN102142980B (zh) * 2010-10-27 2014-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远程管理传感网络拓扑的方法及网关
US9071925B2 (en) * 2011-01-05 2015-06-30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an application server and an M2M device
WO2012118711A2 (en) * 2011-03-03 2012-09-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services affiliated with a discovered service provider
TWI482522B (zh) * 2011-06-08 2015-04-21 Inst Information Industry 訊息轉換裝置、訊息傳輸系統、訊息傳輸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
CN102904971B (zh) * 2011-07-26 2015-11-25 华为终端有限公司 获取目的ip地址的方法及装置
JP5826090B2 (ja) * 2011-10-13 2015-12-02 Kddi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およびプログラム
US9095000B2 (en) * 2011-10-19 2015-07-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achine type communication gateway user equipment and machine type communication data relay method of the same
US9794327B2 (en) * 2012-09-10 2017-10-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machine to machine M2M service provider networks
US9621495B1 (en) * 2012-12-10 2017-04-11 Jeffrey Brian Shumate Anonymous messaging proxy
US20140287687A1 (en) * 2013-03-20 2014-09-25 Elbrys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bluetooth bonding for pre-pairing and impersonation
CN105210344B (zh) * 2013-05-16 2018-09-18 Lg电子株式会社 在m2m通信系统中的定制和通知方法和用于该方法的设备
EP3005742B1 (en) 2013-06-07 2018-10-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ptimization of resource urls in machine-to-machine networks
US20140376426A1 (en) * 2013-06-20 2014-12-25 Gary David Boudreau Machine type communication aggregator apparatus and method
EP3101928B1 (en) * 2014-02-27 2018-05-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policy
US9838258B2 (en) 2014-12-04 2017-12-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 service interface for machine-to-machine applications
US9686793B2 (en) * 2015-05-01 2017-06-2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Network sharing scheme for machine-to-machine (M2M) network
CN108353263B (zh) * 2015-10-30 2021-02-09 Lg 电子株式会社 处理无线通信系统中的服务请求的方法及其设备
WO2017113390A1 (zh) * 2015-12-31 2017-07-06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US10573144B2 (en) * 2016-10-10 2020-02-25 Netgear, Inc. Changing topology in a wireless network
WO2019027409A1 (en) 2017-07-31 2019-02-07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MODULAR SYSTEM FOR PROCESSING AND STORING DATA
JP6971118B2 (ja) 2017-10-10 2021-11-24 株式会社ソラコム IoT機器とのデータの送受信を行うための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321230A1 (en) * 2020-04-12 2021-10-14 Lazy Texts, LLC. Student-controlled text message reminders with third party learning management systems
KR20240007556A (ko) 2022-07-08 2024-01-16 김여진 미술교육교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6224A1 (en) * 2001-01-12 2002-09-26 Motley Cecil F. Telecommunication data com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80002647A1 (en) * 2006-01-11 2008-01-03 Rajiv Laroia Choosing parameters in a peer-to-peer communcations system
US20080153521A1 (en) * 2006-12-22 2008-06-26 Cellco Partnership (D/B/A Verizon Wireless) MDN-less SMS messaging (network solution) for wireless M2M application
US20090161624A1 (en) * 2007-12-19 2009-06-25 Motorola, Inc. Register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n acces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3627B1 (en) * 1995-01-19 2005-03-29 The Fantasti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packets over a computer network
KR100279717B1 (ko) 1998-12-10 2001-02-01 윤종용 단축메시지 서비스 이용 무선단말시스템에서 외부기기 원격제어방법
US7653744B2 (en) * 2000-06-12 2010-01-26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wireless content
JP4027197B2 (ja) 2002-10-04 2007-12-2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EP1432263B1 (en) * 2002-12-16 2005-09-28 Alcatel A telecommunication method supporting multiple air interfaces
US7876772B2 (en) * 2003-08-01 2011-01-25 Foundry Network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access modes in a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8316152B2 (en) 2005-02-15 2012-11-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JP4316522B2 (ja) 2005-03-15 2009-08-19 サンデン株式会社 通信機器用の接続装置
JP4846398B2 (ja) 2005-03-25 2011-12-28 サンデ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CN101473616B (zh) 2006-06-27 2011-12-14 汤姆森特许公司 用于可靠地传递多播数据的方法和装置
US9049051B2 (en) * 2007-10-10 2015-06-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echniques to access messaging services for branch offices
US8867486B2 (en) * 2009-04-17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employing IP flow mobility
WO2011025876A1 (en) 2009-08-27 2011-03-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lving limited addressing space in machine-to-machine (m2m) environments
US9374704B2 (en) 2009-09-15 2016-06-2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8601153B2 (en) 2009-10-16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media playback quality for a wireless handheld computing device
US9084095B2 (en) * 2009-10-27 2015-07-14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system to deliver SMS messages in long term evolution (LTE) evolved packet core (EPC)
US8934463B2 (en) * 2010-02-17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pages of an access terminal when the access terminal is engaged in a communication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P2578050B1 (en) * 2010-05-28 2018-12-1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network interface preference polic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6224A1 (en) * 2001-01-12 2002-09-26 Motley Cecil F. Telecommunication data com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80002647A1 (en) * 2006-01-11 2008-01-03 Rajiv Laroia Choosing parameters in a peer-to-peer communcations system
US20080153521A1 (en) * 2006-12-22 2008-06-26 Cellco Partnership (D/B/A Verizon Wireless) MDN-less SMS messaging (network solution) for wireless M2M application
US20090161624A1 (en) * 2007-12-19 2009-06-25 Motorola, Inc. Register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n acc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960A (ko) 2015-11-04
WO2012009480A1 (en) 2012-01-19
EP2594093A1 (en) 2013-05-22
US20120016942A1 (en) 2012-01-19
CN102986257B (zh) 2016-04-27
JP5596229B2 (ja) 2014-09-24
CN102986257A (zh) 2013-03-20
JP2013539617A (ja) 2013-10-24
KR20130038378A (ko) 2013-04-17
US9210527B2 (en) 201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005B1 (ko) 균일한 머신-투-머신 어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389691B2 (en) Shared security context
US11516733B2 (en) Connectivity to a local area network via a cellular radio access technology
JP2023018061A (ja) 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基地局、移動管理装置および関門装置
US9351143B2 (en) Multi-homed peer-to-peer network
KR101488149B1 (ko) 로컬 인터넷 프로토콜 오프로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332582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ing peer communication in wireless systems
TWI735099B (zh) 使用者設備及其無線通訊方法
CN108810983B (zh) 发送和接收信息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KR20130121195A (ko) 로컬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트래픽을 위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의 설정
JP2012531826A (ja) 許可csgリスト及びvplmn自律csgローミングの管理
US10200825B2 (en) EMBMS over home sharing environment
WO2013186024A1 (en) Interworking base station between a wireless network and a cellular network
US86392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common channel communications of SMS
JP7383827B2 (ja) 時刻同期方法、電子設備および記憶媒体
KR20180042837A (ko) Http-인식 콘텐츠 캐싱
US2018022026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mergency broadcast services over local area networks
KR2021007734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설망에서 선택한 plmn의 보고 및 자동 이웃 관계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82676A (ko) 무선 기지국 및 그의 동작 방법
Hayes 3GPP technology standards roadm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14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020

Effective date: 201706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