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834B1 - 웨빙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웨빙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834B1
KR101759834B1 KR1020160046065A KR20160046065A KR101759834B1 KR 101759834 B1 KR101759834 B1 KR 101759834B1 KR 1020160046065 A KR1020160046065 A KR 1020160046065A KR 20160046065 A KR20160046065 A KR 20160046065A KR 101759834 B1 KR101759834 B1 KR 101759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rotating body
clutch
webb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872A (ko
Inventor
다카히로 오사키
도모나리 우마코시
유야 나가타
다쿠히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126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19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e.g. using a clutch on reel side
    • B60R22/4623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e.g. using a clutch on reel side the cable being pulled by mechanical means, e.g. pre-stressed springs, bumper displacement during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60R22/3413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operating between belt reel and retracto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19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e.g. using a clutch on reel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6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 B60R2022/287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of torsion rod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with means to adjust or regulate the amount of energy to be absor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60R2022/4446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one spring and on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in series
    • B60R2022/4453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one spring and on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in series th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being a second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60R2022/4446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one spring and on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in series
    • B60R2022/4466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one spring and on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in series th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being an electr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6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electr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clutching means between actuator and belt r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과제) 클러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프링의 반복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웨빙 권취 장치 (10) 는, 모터 (66) 의 회전을 스풀 (20) 에 전달하는 제 2 클러치 (116) 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클러치 (116) 는, 제 1 스프링 걸림부 (125) 를 갖는 베이스 (118) 와, 클러치 기어 (136) 와, 권회부 (141) 를 가짐과 함께 일방측의 단부가 제 1 스프링 걸림부 (125) 에 걸린 클러치 스프링 (140) 과, 클러치 스프링 (140) 의 타방측의 단부가 걸리는 제 2 스프링 걸림부 (153) 를 갖고, 클러치 스프링 (140) 의 타방측의 단부를 베이스 (118) 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권회부 (141) 를 확경시켜 클러치 기어 (136) 에 맞닿게 하는 레버 (148)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일방측의 단부의 종단이, 레버 (148) 가 베이스 (118) 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제 1 스프링 걸림부 (125) 에 맞닿게 된다.

Description

웨빙 권취 장치{WEBBING TAKE-UP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 벨트 장치를 구성하는 웨빙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 에는, 모터의 회전을 스풀 (스핀들) 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클러치를 구비한 웨빙 권취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기재된 클러치는,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파이널 기어와 일체 회전하는 핀 부재와, 스풀과 함께 회전하는 래치 링과, 래치 링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일단이 핀 부재에 고정되고 또한 타단이 로어 커버에 유지된 프릭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가 일방측으로 회전됨으로써 파이널 기어가 일방측으로 회전되고, 프릭션 스프링이 축경 (縮徑) 됨으로써, 당해 프릭션 스프링이 래치 링의 외주면에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모터의 일방측으로의 회전이 스풀 (스핀들) 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 모터가 타방측으로 회전됨으로써 파이널 기어가 타방측으로 회전될 때에 있어서는, 프릭션 스프링이 축경되지 않기 때문에, 당해 프릭션 스프링은 래치 링의 외주면에 걸어 맞춰지지 않는다. 이로써, 모터의 타방측으로의 회전이 스풀 (스핀들) 에 전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51419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와 같이, 프릭션 스프링이 반복 변형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당해 스프링의 반복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스프링의 반복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웨빙 권취 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는,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이 권취되는 스풀과, 제 1 스프링 걸림부를 갖는 제 1 회전체와, 상기 스풀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이 전달됨으로써 회전되는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 사이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회전체의 외주부를 따라 환상으로 권회된 권회부를 가짐과 함께 일방측의 단부가 상기 제 1 스프링 걸림부에 걸린 스프링과,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으로 회동 (回動)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스프링의 타방측의 단부가 걸리는 제 2 스프링 걸림부를 갖고,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동될 때에 상기 스프링의 타방측의 단부를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권회부를 확경 (擴徑) 시키고,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이 상기 권회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회전체에 맞닿게 되는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의 일방측의 단부 및 타방측의 단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의 종단이, 상기 제 1 스프링 걸림부 또는 상기 제 2 스프링 걸림부에 맞닿게 된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는,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이 권취되는 스풀과, 제 1 스프링 걸림부를 갖는 제 1 회전체와, 상기 스풀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이 전달됨으로써 회전되는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 사이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회전체의 외주부를 따라 환상으로 권회된 권회부를 가짐과 함께 일방측의 단부가 상기 제 1 스프링 걸림부에 걸린 스프링과,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스프링의 타방측의 단부가 걸리는 제 2 스프링 걸림부를 갖고,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동될 때에 상기 스프링의 타방측의 단부를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권회부를 확경시키고,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이 상기 권회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회전체에 맞닿게 되는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의 일방측의 단부 및 타방측의 단부 중 적어도 어느 단부가, 상기 제 1 스프링 걸림부 또는 상기 제 2 스프링 걸림부에 걸린 채로 상기 제 1 회전체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의 일방측의 단부가, 상기 제 1 스프링 걸림부에 맞닿게 된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는, 청구항 2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의 일방측의 단부가, 상기 제 1 스프링 걸림부에 걸린 채로 상기 제 1 회전체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는, 청구항 1 ∼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회부가 확경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웨빙이 소정의 장력을 초과하여 인장됨으로써, 상기 제 2 회전체가 상기 스프링의 상기 권회부 및 타방측의 단부를 통하여 상기 레버를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타방측으로 회동시킨다.
청구항 1 및 청구항 2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이 스풀에 권취되어 있다. 또, 제 1 회전체가 회전된 상태에서, 레버가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전되면, 스프링의 권회부가 확경되고, 제 1 회전체의 회전력이 제 2 회전체에 전달된다. 그리고, 제 2 회전체의 회전력이 스풀에 전달됨으로써, 스풀이 회전된다.
여기서, 청구항 1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레버가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전되면, 스프링의 일방측의 단부 및 타방측의 단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의 종단이, 제 1 스프링 걸림부 또는 제 2 스프링 걸림부에 맞닿게 된다. 이로써, 스프링에 있어서 종단이 제 1 스프링 걸림부 또는 제 2 스프링 걸림부에 맞닿고 있는 측의 단부에 압축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음과 함께, 스프링에 있어서 종단이 제 1 스프링 걸림부 또는 제 2 스프링 걸림부에 맞닿고 있는 측의 단부에 발생하는 굽힘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스프링의 반복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 의하면, 레버가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전되면, 스프링의 일방측의 단부 및 타방측의 단부 중 적어도 어느 단부가, 제 1 스프링 걸림부 또는 제 2 스프링 걸림부에 걸린 채로 제 1 회전체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스프링에 있어서 제 1 스프링 걸림부 또는 제 2 스프링 걸림부에 걸린 채로 제 1 회전체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측의 단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당해 단부에 분산시킬 수 있다. 즉, 당해 단부가 국소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스프링의 반복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제 2 회전체로부터 스프링의 타단부에 당해 스프링의 권회부를 확경시키는 측으로의 회전력이 입력되면, 스프링에 있어서 제 1 회전체의 제 1 스프링 걸림부에 걸려 있는 측의 단부의 응력이 높아지기 쉽다. 그러나,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 의하면, 스프링의 일방측의 단부가 제 1 스프링 걸림부에 맞닿게 됨으로써, 혹은 스프링의 일방측의 단부가 제 1 스프링 걸림부에 걸린 채로 제 1 회전체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프링의 일방측의 단부에 발생하는 굽힘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거나, 혹은 스프링의 일방측의 단부가 국소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스프링의 반복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 의하면, 웨빙이 소정의 장력을 초과하여 인장되면, 제 2 회전체가 스프링의 권회부 및 타방측의 단부를 통하여 레버를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타방측으로 회동시킨다. 이로써, 스프링의 권회부가 축경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빙이 소정의 장력을 초과하여 인장되었을 때, 스풀과 제 1 회전체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각 부품에 과대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빙 권취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배면 단면도이다.
도 2 는 웨빙 권취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제 2 클러치의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모터를 포함하는 주변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 는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제 2 클러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제 2 클러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은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제 2 클러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제 2 클러치의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내며, (A) 는 클러치 스프링의 통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B) 는 클러치 스프링의 권회부의 외경 치수가 확대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 는 변형예에 관련된 클러치 스프링의 제 1 걸림부 및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스프링 걸림부를 구비한 제 2 클러치의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내며, (A) 는 클러치 스프링의 통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B) 는 클러치 스프링의 권회부의 외경 치수가 확대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 도 9 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웨빙 권취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빙 권취 장치 (10) 의 전체 구성의 개략이 배면 단면도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웨빙 권취 장치 (10) 는, 프레임 (12) 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12) 은 대략 판상의 배판 (背板) (14) 을 구비하고 있고, 이 배판 (14) 이 볼트 등의 도시되지 않은 체결 수단에 의해 차체에 고정됨으로써, 본 웨빙 권취 장치 (10) 가 차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배판 (14) 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는 1 쌍의 다리편 (16, 18) 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이들 다리편 (16, 18) 사이에 다이캐스트 등에 의해 제작된 스풀 (20) 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풀 (20) 은 대략 원통 형상의 스풀 본체 (22) 와, 이 스풀 본체 (22) 의 양 단부에 대략 원반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1 쌍의 플랜지부 (24, 26) 를 구비하고 있고, 전체적으로는 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풀 본체 (22) 의 플랜지부 (24, 26) 의 사이에는, 장척 띠상으로 형성된 웨빙 (28) 의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스풀 (20) 을 그 축선 둘레 일방 (이하, 이 방향을「권취 방향」이라고 한다) 으로 회전시키면, 웨빙 (28) 이 그 기단측으로부터 스풀 본체 (22) 의 외주부에 층상으로 권취된다. 또, 웨빙 (28) 을 그 선단측으로부터 인장하면, 스풀 본체 (22) 의 외주부에 권취된 웨빙 (28) 이 인출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웨빙 (28) 을 권취할 때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로 스풀 (20) 이 회전한다 (이하, 웨빙 (28) 을 인출할 때의 스풀 (20) 의 회전 방향을「인출 방향」이라고 한다).
또, 스풀 (20) 은, 플랜지부 (24) 측의 단부로부터 동축적으로 돌출된 지지축부 (29) 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축부 (29) 는, 다리편 (16) 에 형성된 원공 (圓孔) (30) 을 대략 동축적으로 관통하여 프레임 (12) 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다리편 (16) 측의 프레임 (12) 의 외측에는, 역전 (逆轉) 구동력 전달 수단을 구성하는 케이스 (32) 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 (32) 는, 스풀 (20) 의 축선 방향을 따라 다리편 (16) 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다리편 (16) 에 고정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 (32) 는, 단면 원형의 제 1 수용부 (34) 및 제 2 수용부 (100), 그리고 단면 대략 반원형의 제 3 수용부 (102) 를 갖는 케이스 본체 (38) 와, 이들 제 1 수용부 (34), 제 2 수용부 (100), 제 3 수용부 (102) 를 폐색하는 도시되지 않은 얇은 두께의 평판상의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 (38) 의 제 1 수용부 (34) 의 내부에는, 역전 구동력 전달 수단을 구성하는 향 상자 (42) 가 수용되어 있다.
향 상자 (42) 는, 다리편 (16) 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개구된 축선 방향 치수가 짧은 바닥이 있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부에는 외측 톱니 (44) 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톱니 (44) 는, 평기어로 되어 있다.
또, 향 상자 (42) 의 바닥벽에 있어서 다리편 (16) 측의 면에는, 원통상의 연결부 (46) 가 동축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 (46) 는 다리편 (16) 의 원공 (30) 을 관통한 지지축부 (29) (도 1 참조) 에 동축적 또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향 상자 (42) 의 바닥벽에 있어서 다리편 (16) 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지지축이 향 상자 (42) 와 동축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축은, 제 1 수용부 (34) 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된 베어링부 (50)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스풀 (20) 의 지지축부 (29) 측은, 향 상자 (42) 를 개재하여 케이스 (32) 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향 상자 (42) 의 내부에는, 소용돌이 스프링 (52) 이 수용되어 있다. 소용돌이 스프링 (52) 은, 그 내측단이 케이스 본체 (38) 의 베어링부 (50) 에 걸림과 함께, 그 외측단이 향 상자 (42) 에 걸려져 있다. 이 소용돌이 스프링 (52) 은, 향 상자 (42) 를 개재하여 스풀 (20) 을 권취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이 소용돌이 스프링 (52) 의 탄성력 (에 기초한 웨빙 (28) 의 권취력) 은, 탑승자가 장착한 웨빙 (28) 의 느슨해짐을 해소할 정도로 비교적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소용돌이 스프링 (52) 의 탄성력은, 웨빙 (28) 의 장착 상태에서 탑승자 비압박성에 대응한 강도가 되도록 설정되고, 스풀 (20) 로부터 인출된 웨빙 (28) 을 당해 웨빙 (28) 에 작용하는 마찰력 등에 저항하여 마지막까지 권취하는 강도는 요구되고 있지 않다.
한편,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풀 (20) 은, 플랜지부 (26) 측의 단부로부터 동축적으로 돌출된 도시되지 않은 지지축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축부는, 다리편 (18) 에 형성된 내측 톱니의 래칫공 (54) 을 대략 동축적으로 관통하여 프레임 (12) 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다리편 (18) 의 외면에 개구단을 부딪히게 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로크 기구 (56) 를 구성하는 대략 컵상의 케이스 (58) 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로크 기구 (56) 는, 통상은 스풀 (20) 의 권취 방향, 인출 방향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하고, 차량 급감속시에 스풀 (20) 의 인출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속도 센서 (60) 가 래칫 기어 (61) 의 인출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면, 그 래칫 기어 (61) 와 스풀 (20) 의 상대 회전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 (64) 가 로크 베이스 (62) 로부터 돌출되어 다리편 (18) 에 있어서의 래칫공 (54) 의 내측 톱니에 맞물려, 스풀 (20) 의 인출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로크 베이스 (62) 와 스풀 (20) 사이에 토션 바를 연결하고, 상기 로크 후에 토션 바를 비틀면서 스풀 (20) 의 인출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여 에너지 흡수를 하는 (포스 리미터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웨빙 권취 장치 (10) 는 모터 (66) 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 (66) 는, 프레임 (12) 의 1 쌍의 다리편 (16, 18) 사이에 있어서의 스풀 (20) 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그 프레임 (12) 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도시 생략). 이 모터 (66) 의 출력축 (68) 은, 배판 (14) 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이 출력축 (68) 측에는 기어 하우징 (70) 이 형성되어 있다.
기어 하우징 (70) 은, 나사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프레임 (12) 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모터 (66) 의 출력축 (68) 의 선단측이 기어 하우징 (70) 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어 하우징 (70) 의 내부에는, 각각이 외측 톱니의 평기어로 된 1 쌍의 기어 (72, 74) 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기어 (72) 는 출력축 (68) 에 동축적으로 또한 착탈 가능하게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기어 (72) 보다 피치원이 크고 그리고 톱니수도 많은 기어 (74) 는, 축선 방향이 출력축 (68) 과 평행한 웜 샤프트 (76) 에 동축적으로 또한 착탈 가능하게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웜 샤프트 (76) 는, 기어 하우징 (70) 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그 일단측은 다리편 (16) (도 1 참조) 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베어링 (78) 을 관통하고 있다. 또, 웜 샤프트 (76) 의 타단측에는, 베어링 (88)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 (88) 은 대략 통상 (筒狀) 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베어링 (88) 의 내부에는 강구 (90) 가 수용되어 있다. 강구 (90) 의 외경 치수는 베어링 (88) 의 내경 치수보다 극히 근소하게 작고, 타단이 테이퍼상으로 된 웜 샤프트 (76) 의 단부에 접촉하고 있다.
강구 (90) 를 개재하여 웜 샤프트 (76) 와는 반대측에서는, 베어링 (88) 의 내주부가 암나사로 되어 있고, 배판 (14) 측의 개구단으로부터 어저스트 스크루 (92) 가 나선으로 들어가 있다. 어저스트 스크루 (92) 는, 그 선단부에서 강구 (90) 를 가압함으로써 강구 (90) 를 웜 샤프트 (76) 의 선단에 압접시키고 있다. 이로써, 웜 샤프트 (76) 의 축선 방향의 변위가 규제되고 있다.
또, 웜 샤프트 (76) 의 축 방향의 중간부에는, 후술하는 웜 휠 (96) 및 출력 분기 기어 (108) 의 웜 휠부 (112) 가 맞물리는 웜 기어 (84) 가 웜 샤프트 (76)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웜 기어 (84) 의 상방에는, 정전 (正轉) 구동력 전달 수단을 구성하는 제 1 클러치 (94)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클러치 (94) 는, 링상으로 형성된 웜 휠 (96) 을 구비하고 있다. 웜 휠 (96) 은, 다리편 (16) 과 플랜지부 (24) 사이에서, 스풀 (20) 에 대하여 동축적이고 또한 상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축선 방향 양단은 원반상 부재 (98) 에 의해 폐지 (閉止) 되어 있다.
또, 제 1 클러치 (94) 는, 도시되지 않은 어댑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어댑터는, 스풀 (20) (도 1 참조) 에 있어서의 플랜지부 (24) 와 지지축부 (29) 사이에 동축적 또한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함께, 웜 휠 (96) 의 원반상 부재 (98) 를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관통하여 웜 휠 (96) 과 웜 기어 (84) 를 맞물리게 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있다.
웜 휠 (96) 의 내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전달 부재가 수용되어 있고, 제 1 클러치 (94) 는, 웜 휠 (96) 의 권취 방향 (도 2 의 화살표 A 방향) 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달 부재가 웜 휠 (96) 과 상기 어댑터를 회전 전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 1 클러치 (94) 는, 웜 휠 (96) 의 인출 방향 (도 2 의 화살표 B 방향) 으로의 회전, 또는 웜 휠 (96) 의 정지 (연결 부재의 부하 해소) 에 의해, 상기 전달 부재에 의한 기계적 결합이 해제된 상태로 복귀시키는 구성이다.
이상의 구성의 제 1 클러치 (94) 는, 모터 (66) 의 출력축 (68) 의 회전력이 기어 (72, 74), 웜 샤프트 (76), 및 웜 기어 (84) 를 통하여 웜 휠 (96) 에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모터 (66) 의 출력축 (68) 이 정방향 (도 2 의 화살표 C 방향) 으로 회전하면, 웜 휠 (96) 이 권취 방향 (도 2 의 화살표 A 방향) 으로 회전되고, 모터 (66) 의 출력축 (68) 이 역방향 (도 2 의 화살표 D 방향) 으로 회전하면 웜 휠 (96) 이 인출 방향 (도 2 의 화살표 B 방향) 으로 회전되는 구성이다.
한편, 케이스 본체 (38) 의 제 3 수용부 (102) 의 내부에는, 역전 구동력 전달 수단을 구성하는 출력 분기 기어 (108) 가 수용되어 있다. 이 출력 분기 기어 (108) 는, 평기어인 기어부 (110) 와, 기어부 (110) 의 축선 방향 일단측에 동축적 또한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외주부에 웜 휠 톱니가 형성된 웜 휠부 (112) 를 갖고 있다. 기어부 (110) 및 웜 휠부 (112) 의 축심부에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제 3 수용부 (102) 의 바닥벽 중앙부에 돌출 형성된 원기둥상의 지지봉 (114) 이 이 관통공에 삽입됨으로써, 출력 분기 기어 (108) 는, 지지봉 (114)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케이스 본체 (38) 에 지지되어 있다.
또, 출력 분기 기어 (108) 의 웜 휠부 (112) 는, 기어부 (110) 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고, 케이스 (32) 의 외측으로 노출 (돌출) 되어 있다. 이 웜 휠부 (112) 는, 정전 구동력 전달 수단 및 역전 구동력 전달 수단을 구성하는 웜 기어 (84) 에 맞물려 있다. 이로써, 웜 기어 (84) (웜 샤프트 (76)) 가 회전하면, 웜 휠 (96) 과 출력 분기 기어 (108) 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한편, 케이스 본체 (38) 의 제 2 수용부 (100) 의 내부에는, 역전 구동력 전달 수단을 구성하는 클러치로서의 제 2 클러치 (116) 가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도 5 및 도 6 에는, 제 2 클러치 (116) 의 구성이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또, 도 7 에는, 제 2 클러치 (116) 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클러치 (116) 는, 제 1 회전체로서의 베이스 (118) 와, 당해 베이스 (118) 에 장착됨으로써 당해 베이스 (118) 와 일체 회전하는 로터 (128) 을 구비하고 있다. 또, 제 2 클러치 (116) 는, 제 2 회전체로서의 클러치 기어 (136) 와, 베이스 (118) 와 클러치 기어 (136)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 및 전달 부재로서의 클러치 스프링 (140) 과, 베이스 (118) 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전달 부재로서의 레버 (148)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클러치 (116) 는, 베이스 (118) 에 지지된 1 쌍의 클러치 웨이트 (170, 172) 와, 베이스 (118) 에 장착되는 스페이서 (184) 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118) 는, 원반상으로 형성된 원반부 (120) 와, 원반부 (120) 의 축심부에 있어서 원반부 (120) 의 축선 방향 일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원기둥상의 지지축부 (122) 와, 지지축부 (122) 의 주위에 동축적으로 형성된 단면 대략 C 자상의 측벽부 (124) 를 구비하고 있다. 또, 베이스 (118) 는,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일방측의 단부가 걸리는 제 1 스프링 걸림홈 (125A) 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지지축부 (122) 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블록상의 제 1 스프링 걸림부 (125)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 스프링 걸림부 (125) 의 직경 방향 외측의 면은, 측벽부 (124) 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 변형으로 된 원통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8 의 (A)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스프링 걸림부 (125) 에 형성된 제 1 스프링 걸림홈 (125A) 은, 베이스 (118) 의 직경 방향 외측 및 축 방향 일방측 (로터 (128) 측) 이 개방된 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스프링 걸림홈 (125A) 은,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측벽부 (K1, K2) 와, 제 1 스프링 걸림홈 (125A) 의 깊이 방향의 종단면을 형성하는 바닥벽부 (K3) 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 (K1, K2) 는, 베이스 (118) 의 축 방향에서 봤을 때, 베이스 (118) 의 축선 둘레 타방 (화살표 J 방향) 측을 향함에 따라 베이스 (118) 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 제 1 스프링 걸림홈 (125A) 의 홈폭 (W1) 은, 즉, 측벽부 (K1) 와 측벽부 (K2)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후술하는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제 1 걸림부 (142) 의 선 직경보다 약간 큰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스프링 걸림홈 (125A) 에 있어서의 베이스 (118) 의 축 방향 일방측의 개방단은, 후술하는 로터 (128) 의 원반부 (130) 에 의해 폐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5 및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 (118) 는, 원반부 (120) 에 있어서 지지축부 (122) 가 형성된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원통상의 지지축부 (123)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 (118) 는, 원반부 (120) 에 있어서의 지지축부 (123) 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 클러치 웨이트 (170, 172) 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지지축 (176, 178) 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축 (176, 178) 은, 베이스 (118) 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베이스 (118) 의 원반부 (120) 에 있어서의 지지축부 (122, 123) 의 직경 방향 외측의 부위에는, 1 쌍의 장공 (長孔) (160, 162) 이 베이스 (118) 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장공 (160, 162) 에는, 후술하는 레버 (148) 의 연결 돌기 (156, 158) 가 걸어 맞춰져 있고, 이 연결 돌기 (156, 158) 가, 원반부 (120) 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각 장공 (160, 162) 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원반부 (120) 에는, 후술하는 리턴 스프링 (164) 의 일단부가 맞닿는 걸림벽 (127) 이 세워져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베이스 (118) 는, 제 2 수용부 (100) 의 바닥벽 중앙부에 돌출 형성된 지지봉 (126) 이, 지지축부 (123) 의 통 내에 삽입됨으로써, 후술하는 스페이서 (184) 와 함께 지지봉 (126)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케이스 본체 (38) 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부 (122) 의 축선 방향 일단측 (도 5 및 도 6 에서는 우측) 에는, 로터 (12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로터 (128) 는, 원판상으로 형성된 원반부 (130) 와, 원반부 (130) 의 축심부로부터 베이스 (118) 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통상으로 형성된 통상부 (131) 를 구비하고 있다. 또, 로터 (128) 는, 베이스 (118) 의 측벽부 (124) 에 형성된 갈고리부가 원반부 (130) 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베이스 (118) 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통상부 (131) 의 외주부에는, 평톱니의 외측 톱니 (132)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외측 톱니 (132) 는, 전술한 출력 분기 기어 (108) 의 기어부 (110) 에 카운터 기어 (190) 를 개재하여 맞물려 있다. 또한, 카운터 기어 (190) 는, 도시되지 않은 축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 (118) 의 측벽부 (124) 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클러치 기어 (136) 가 베이스 (118) 에 대하여 동축적이고 또한 상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기어 (136) 의 외주부에는 평톱니의 외측 톱니 (138)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외측 톱니 (138) 는, 전술한 향 상자 (42) 의 외측 톱니 (44) (도 2 참조) 에 맞물려져 있다. 또, 클러치 기어 (136) 의 내경 치수는, 베이스 (118) 의 측벽부 (124) 의 외경 치수보다 충분히 커서, 클러치 기어 (136) 의 내주면과 측벽부 (124) 의 외주면 사이에는 환상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의 간극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클러치 스프링 (140) 이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스프링 (140) 은, 베이스 (118) 의 측벽부 (124) 의 외주면과 클러치 기어 (136) 의 내주면 사이에 있어서 환상으로 권회된 권회부 (141) 를 구비하고 있다. 또,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일방측의 단부는, 권회부 (141) 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절곡된 제 1 걸림부 (142) 로 되어 있다. 또, 도 8 의 (A)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걸림부 (142) 는, 전술한 제 1 스프링 걸림홈 (125A) 에 대응하여 권회부 (141) 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클러치 스프링 (140) 의 타방측의 단부는, 권회부 (141) 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절곡된 제 2 걸림부 (146) 로 되어 있다. 또, 제 2 걸림부 (146) 는, 후술하는 레버 (148) 에 형성된 제 2 스프링 걸림홈 (153A) 에 대응하여 권회부 (141) 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1 걸림부 (142) 와 제 2 걸림부 (146) 는, 권회부 (141) 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자연 상태에 있어서의 권회부 (141) 의 내경 치수는, 베이스 (118) 의 측벽부 (124) 의 외경 치수보다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권회부 (141) 가 베이스 (118) 의 측벽부 (124) 에 장착되었을 때, 당해 권회부 (141) 는, 스스로의 탄성력에 의해 축경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또, 이로써, 권회부 (141) 가 베이스 (118) 의 측벽부 (124) 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당해 권회부 (141) 는, 베이스 (118) 의 측벽부 (124) 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또한, 권회부 (141) 가 베이스 (118) 의 측벽부 (124) 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당해 권회부 (141) 와 클러치 기어 (136) 의 내주면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제 1 걸림부 (142) 는, 베이스 (118) 의 제 1 스프링 걸림부 (125) 에 형성된 제 1 스프링 걸림홈 (125A) 에 끼워 넣어져 걸려 있다. 또한,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제 2 걸림부 (146) 는, 후술하는 레버 (148) 의 제 2 스프링 걸림부 (153) 에 형성된 제 2 스프링 걸림홈 (153A) 에 끼워 넣어져 걸려 있다.
레버 (148) 는, 원통상의 베어링부 (150) 를 구비하고 있다. 베어링부 (150) 의 통 내에는, 베이스 (118) 의 지지축부 (122) 가 관통하고 있고, 이로써, 레버 (148) 는, 지지축부 (122) (베이스 (118)) 에 대하여 축선 둘레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베어링부 (150) 의 외주부에는, 직경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1 쌍의 연결부 (152) 및 연결부 (154) 가, 서로 둘레 방향을 따라 반대측 (180 도 반대측) 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1 쌍의 연결부 (152, 154) 에는, 각각 베이스 (118) 의 원반부 (120) 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원기둥상의 연결 돌기 (156) 및 연결 돌기 (158)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연결 돌기 (156, 158) 는, 후술하는 1 쌍의 클러치 웨이트 (170) 및 클러치 웨이트 (172) 에 형성된 걸어맞춤 갈고리 (180, 182) 가 각각 걸어 맞춰져 있다.
또, 레버 (148) 의 일방의 연결부 (152) 에는, 뒤틀림 코일 스프링인 리턴 스프링 (164) 의 일단부가 맞닿아져 있고, 이 리턴 스프링 (164) 의 타단부는, 베이스 (118) 의 원반부 (120) 에 세워져 형성된 걸림벽 (127) 에 맞닿아 있다. 이 리턴 스프링 (164) 은, 레버 (148) 를 항상 베이스 (118) 의 축선 둘레 일방 (도 5 및 도 6 에서는 화살표 I 방향) 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고, 레버 (148) 는, 통상은 1 쌍의 연결 돌기 (156, 158) 가, 본체부 (120) 의 1 쌍의 장공 (160, 162) 의 각 길이 방향 일단부 (도 5 및 도 6 에서는 화살표 I 방향측의 단부) 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 도 8 의 (A)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버 (148) 의 타방의 연결부 (154) 는,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제 2 걸림부 (146) 가 걸리는 제 2 스프링 걸림부 (153) 로 되어 있다. 이 제 2 스프링 걸림부 (153) 에는,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제 2 걸림부 (146) 가 끼워 넣어지는 제 2 스프링 걸림홈 (153A) 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도 8 의 (A) 및 도 8 의 (B)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버 (148) 가 리턴 스프링 (164)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베이스 (118) 에 대하여 축선 둘레 타방 (도 8 의 (A) 및 도 8 의 (B) 에서는 화살표 J 방향) 으로 회동되면,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제 2 걸림부 (146) 가, 클러치 스프링 (140) 의 권취 방향 일방 (도 8 의 (A) 및 도 8 의 (B) 에서는 화살표 J 방향) 으로 이동되어, 클러치 스프링 (140) 의 권회부 (141) 의 외경 치수가 확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2 스프링 걸림홈 (153A) 은, 전술한 제 1 스프링 걸림홈 (125A) 과 동일하게, 측벽부 (K4, K5) 와 바닥벽부 (K6) 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버 (148) 가 베이스 (118) 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측벽부 (K4, K5) 가 베이스 (118) 의 직경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제 2 스프링 걸림홈 (153A) 의 홈폭 (W2) 은, 즉, 측벽부 (K4) 와 측벽부 (K5)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제 2 걸림부 (146) 의 선 직경에 대하여 충분히 넓은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클러치 스프링 (140) 의 베이스 (118) 및 레버 (148) 에 대한 장착성이 양호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이 클러치 스프링 (140) 의 권회부 (141) 의 외경 치수가 확대되면, 클러치 스프링 (140) 의 권회부 (141) 는 클러치 기어 (136) 의 내주면에 압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외주부와 클러치 기어 (136) 의 내주면 사이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클러치 스프링 (140) 과 클러치 기어 (136) 는 이 마찰력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 (118) 의 축선 방향 타측 (로터 (128) 와는 반대측) 에는, 각각 대략 반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된 1 쌍의 클러치 웨이트 (170) 및 클러치 웨이트 (172) 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1 쌍의 클러치 웨이트 (170, 172) 는, 동일한 중량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원반부 (120) 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반대측 (180 도 반대측) 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1 쌍의 클러치 웨이트 (170, 172) 의 각 둘레 방향 일단측에는, 원형의 베어링공 (174, 175)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공 (174, 175) 에는, 베이스 (118) 의 원반부 (120) 에 돌출 형성된 원기둥상의 지지축 (176) 또는 지지축 (178) 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 맞춰져 있다. 이로써, 각 클러치 웨이트 (170, 172) 는, 각각 지지축 (176, 178) (베어링공 (174, 175)) 둘레로 베이스 (118) 의 직경 방향으로 회동 가능 (경동 (傾動) 가능) 하게 베이스 (118) 에 지지되어 있다.
또, 일방의 클러치 웨이트 (170) 는, 전술한 레버 (148) 의 연결 돌기 (158) 에 걸어 맞춰지는 대략 U 자상의 걸어맞춤 갈고리 (180) 를 구비하고 있고, 타방의 클러치 웨이트 (172) 는, 동일하게 레버 (148) 의 연결 돌기 (156) 에 걸어 맞춰지는 대략 U 자상의 걸어맞춤 갈고리 (182) 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1 쌍의 클러치 웨이트 (170) 및 클러치 웨이트 (172) 는 레버 (148) 를 통하여 동기 (연동) 하도록 되어 있으며, 통상은 레버 (148) 에 작용하는 리턴 스프링 (164) 의 탄성력에 의해, 베이스 (118) 의 직경 방향 내측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 쌍의 클러치 웨이트 (170, 172) 를 개재하여 베이스 (118) 와는 반대측에는, 원반상의 스페이서 (184) 가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스페이서 (184) 의 중심부에는, 베이스 (118) 의 지지축부 (123) 의 외주부에 끼워 맞춰지는 통상의 보스부 (184A) 가 세워져 형성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 (184) 는, 1 쌍의 클러치 웨이트 (170, 172) 의 베이스 (118) 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함과 함께, 1 쌍의 클러치 웨이트 (170) 및 클러치 웨이트 (172) 가, 케이스 본체 (38) 의 제 2 수용부 (100) 의 바닥벽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여기서, 이 제 2 클러치 (116) 에서는, 로터 (128) 가 그 축선 둘레 타방 (도 5 및 도 6 의 화살표 J 방향) 으로 회전되면, 로터 (128) 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베이스 (118) 가 로터 (128) 와 함께 그 축선 둘레 타방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 (118) 에 지지된 1 쌍의 클러치 웨이트 (170) 및 클러치 웨이트 (172) 가, 베이스 (118) 에 추종하여 베이스 (118) 의 축선 둘레로 회전한다. 이 때, 1 쌍의 클러치 웨이트 (170) 및 클러치 웨이트 (172) 에는 원심력이 작용하며, 클러치 웨이트 (170) 에는 지지축 (176) 둘레의 회전 토크가 작용함과 함께, 클러치 웨이트 (172) 에는 지지축 (178) 둘레의 회전 토크가 작용한다.
따라서, 이들 회전 토크의 크기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즉, 1 쌍의 클러치 웨이트 (170) 및 클러치 웨이트 (172) 의 회전 속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1 쌍의 클러치 웨이트 (170) 및 클러치 웨이트 (172) 는, 레버 (148) 에 작용하는 리턴 스프링 (164)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베이스 (118)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지지축 (176) 또는 지지축 (178) 둘레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클러치 웨이트 (170) 의 걸어맞춤 갈고리 (180) 에 연결 돌기 (158) 가 걸어 맞춰지고 또한 클러치 웨이트 (172) 의 걸어맞춤 갈고리 (182) 에 연결 돌기 (156) 가 걸어 맞춰진 레버 (148) 는, 베이스 (118) 에 대하여 축선 둘레 타방 (도 8 의 (A) 및 도 8 의 (B) 에서는 화살표 J 방향) 으로 회동되는 구성이다.
이상의 구성의 제 2 클러치 (116) 에서는, 모터 (66) 의 출력축 (68) 의 회전력이 기어 (72, 74), 웜 샤프트 (76), 웜 기어 (84), 출력 분기 기어 (108) 및 카운터 기어 (190) 를 통하여 로터 (128) 에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모터 (66) 의 출력축 (68) 이 정방향 (도 2 의 화살표 C 방향) 으로 회전하면, 로터 (128) 는 베이스 (118) 와 함께 그 축선 둘레 일방 (도 2 의 화살표 I 방향) 으로 회전되고, 모터 (66) 의 출력축 (68) 이 역방향 (도 2 의 화살표 D 방향) 으로 회전하면, 로터 (128) 는 베이스 (118) 와 함께 그 축선 둘레 타방 (도 2 의 화살표 J 방향) 으로 회전되는 구성이다.
또, 웜 기어 (84), 출력 분기 기어 (108) 의 웜 휠부 (112), 출력 분기 기어 (108) 의 기어부 (110), 카운터 기어 (190), 로터 (128) 의 외측 톱니 (132), 클러치 기어 (136) 의 외측 톱니 (138), 및 향 상자 (42) 의 외측 톱니 (44) (역전 구동력 전달 수단) 에 의한 토탈의 감속비는, 웜 기어 (84) 및 웜 휠 (96) (정전 구동력 전달 수단) 의 감속비에 비해 충분히 낮게 설정되어 있다.
한편,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웨빙 권취 장치 (10) 에서는, 제어 장치 (300) 에 의해 모터 (66) 로의 급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 (300) 는, 드라이버 (302) 와 ECU (307) 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 (66) 는, 드라이버 (302) 를 통하여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304)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배터리 (304) 로부터의 전류가 드라이버 (302) 를 통하여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드라이버 (302) 는 ECU (307) 에 접속되어 있고, 이 드라이버 (302) 를 통한 모터 (66) 로의 급전 유무, 공급 전류의 방향, 및 크기가 ECU (307) 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이다.
또, ECU (307) 는, 탑승자의 웨빙 (28) 장착 유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버클 스위치 (306), 및 차량과 차량 전방의 장애물의 거리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전방 감시 장치 (308) 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버클 스위치 (306) 는, 웨빙 (28) 에 형성된 텅 플레이트가 버클 장치 (모두 도시 생략) 에 연결되어 있을 때에 ON 신호를 ECU (307) 에 출력하고, 텅 플레이트의 버클 장치로의 연결 상태가 해제되어 있을 때에 OFF 신호를 ECU (307) 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즉, 버클 스위치 (306) 는, 탑승자에 의한 웨빙 (28) 의 장착 유무에 대응한 텅 플레이트와 버클 장치의 연결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ON 신호 및 OFF 신호 중 어느 일방을 ECU (307) 에 출력하는 구성이다.
전방 감시 장치 (308) 는, 차량 전단부 근방에 형성된 적외선 센서 (310) 를 구비하고 있다. 적외선 센서 (310) 는 적외선을 차량 전방에 발함과 함께, 차량의 전방에서 주행 혹은 정지하고 있는 다른 차량이나 장애물 (이하, 주행 혹은 정지하고 있는 다른 차량도 포함시켜 편의상「장애물」이라고 한다) 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을 받는다.
또한, 전방 감시 장치 (308) 는 연산부 (312) 를 구비하고 있다. 연산부 (312) 는 적외선 센서 (310) 로부터 적외선이 발하여지고 나서, 장애물에 의해 반사되어 적외선 센서 (310) 로 되돌아올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연산한다. 또, 연산부 (312) 는, 이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장애물 검출 신호 (Os) 를 ECU (307) 에 대하여 출력한다. 이 장애물 검출 신호 (Os) 는, 장애물까지의 거리가 소정값 이상이면 Low 레벨로 되고, 장애물까지의 거리가 소정값 미만이면 High 레벨로 된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그리고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그리고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웨빙 권취 장치 (10) 에서는, 스풀 (20) 에 웨빙 (28) 이 층상으로 권취된 수납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텅 플레이트를 인장하면서 웨빙 (28) 을 인장하면, 스풀 (20) 을 권취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소용돌이 스프링 (52)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스풀 (20) 을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웨빙 (28) 이 인출된다.
이와 같이, 웨빙 (28) 이 인출된 상태에서, 웨빙 (28) 을 좌석에 착석한 탑승자의 신체의 전방으로 걸어 두르면서 텅 플레이트를 버클 장치에 삽입하고, 버클 장치에 텅 플레이트를 유지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신체에 대한 웨빙 (28) 의 장착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탑승자가 웨빙 (28) 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그 웨빙 (28) 은 소용돌이 스프링 (52) 의 탄성력에 의해 비교적 약하게 탑승자를 구속하고 있다. 또, 이 상태에서 ECU (307) 에는, 버클 스위치 (306) 로부터의 ON 신호가 입력되고 있다.
한편, 탑승자가 차량을 정차하고 버클 장치로부터 텅 플레이트를 빼면, 스풀 (20) 은 소용돌이 스프링 (52) 의 탄성력에 의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단, 이 소용돌이 스프링 (52) 의 탄성력은 비교적 약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 (20) 은, 이 소용돌이 스프링 (52) 의 탄성력에 대응한 비교적 약한 회전력으로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이 때, ECU (307) 에는, 버클 스위치 (306) 로부터 OFF 신호가 입력된다. OFF 신호가 입력된 ECU (307) 는, 모터 (66) 로의 급전을 개시시키는 제어 신호를 드라이버 (302) 에 출력하고, 이 제어 신호가 입력된 드라이버 (302) 는, 모터 (66) 의 출력축 (68) 을 급격하게 역방향 (화살표 D 방향) 으로 회전시킨다. 출력축 (68) 의 역방향으로의 급격한 회전은, 기어 (72, 74) 를 통하여 웜 샤프트 (76) 에 전달되고, 웜 기어 (84) 가 급격하게 회전한다.
웜 기어 (84) 의 급격한 회전은, 제 1 클러치 (94) 의 웜 휠 (96) 에 전달되고, 웜 휠 (96) 을 소정값 이상의 회전 속도로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경우, 웜 휠 (96) 과 어댑터 (스풀 (20)) 는, 전달 부재에 의한 기계적 결합이 해제된 상태가 유지되고, 따라서, 웜 휠 (96) 과 어댑터 (스풀 (20)) 는 상대적으로 공전한다.
이에 대하여, 웜 기어 (84) 의 급격한 회전은, 출력 분기 기어 (108) 및 카운터 기어 (190) 를 통하여 제 2 클러치 (116) 의 로터 (128) 에 전달되고, 로터 (128) 가 그 축선 둘레 타방으로 (화살표 J 방향으로) 소정값 이상의 회전 속도로 회전된다. 이 때문에, 로터 (128) 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베이스 (118) 가 그 축선 둘레 타방으로 소정값 이상의 회전 속도로 회전된다.
또, 베이스 (118) 의 회전은, 지지축 (176) 및 베어링공 (174) 을 통하여 클러치 웨이트 (170) 에 전달됨과 함께, 지지축 (178) 및 베어링공 (175) 을 통하여 클러치 웨이트 (172) 에 전달되고, 클러치 웨이트 (170) 및 클러치 웨이트 (172) 가, 베이스 (118) 에 추종하여 그 베이스 (118) 의 축선 둘레로 소정값 이상의 회전 속도로 회전된다. 이로써, 클러치 웨이트 (170) 및 클러치 웨이트 (172) 에는 원심력이 작용한다. 그 결과, 클러치 웨이트 (170) 및 클러치 웨이트 (172) 가, 레버 (148) 에 작용하는 리턴 스프링 (164)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베이스 (118)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지지축 (176, 178) 둘레로 회동한다 (경동한다).
이 때문에, 클러치 웨이트 (170) 의 걸어맞춤 갈고리 (180) 에 연결 돌기 (158) 가 걸어 맞춰지고 또한 클러치 웨이트 (172) 의 걸어맞춤 갈고리 (182) 에 연결 돌기 (156) 가 걸어 맞춰진 레버 (148) 가, 베이스 (118) 에 대하여 축선 둘레 타방 (도 8 의 (A) 및 도 8 의 (B) 의 화살표 J 방향) 으로 회동된다.
레버 (148) 가 베이스 (118) 에 대하여 축선 둘레 타방으로 회동되면,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제 2 걸림부 (146) 는, 레버 (148) 에 의해 클러치 스프링 (140) 의 권취 방향 일방 (도 8 의 (A) 및 도 8 의 (B) 의 화살표 J 방향) 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클러치 스프링 (140) 의 권회부 (141) 의 외경 치수가 확대되고, 클러치 스프링 (140) 의 권회부 (141) 의 외주부가 클러치 기어 (136) 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이로써, 클러치 스프링 (140) 의 회전이 클러치 기어 (136) 에 전달되고, 클러치 기어 (136) 가 그 축선 둘레 타방으로 회전된다. 이 클러치 기어 (136) 의 외측 톱니 (138) 에는, 향 상자 (42) 의 외측 톱니 (44) 가 맞물려 있기 때문에, 향 상자 (42) 가 권취 방향으로 회전되고, 나아가서는 스풀 (20) 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스풀 (20) 의 회전에 의해, 소용돌이 스프링 (52) 의 탄성력 부족이 보충되고, 웨빙 (28) 이 스풀 (20) 에 층상으로 권취되어 수납된다 (소위「권취 어시스트 기구」).
게다가 이 경우, 스풀 (20) 은 저토크로 회전되므로, 웨빙 (28) 을 안전하게 스풀 (20) 에 권취하여 수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권취 어시스트가 이루어진 경우에 있어서도, 웨빙 (28) 을 스풀 (20) 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권취 어시스트 토크에 저항하여 스풀 (20) 을 용이하게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웨빙 (28) 이 스풀 (20) 에 마지막까지 권취되면, 모터 (66) 로의 급전이 차단되고, 모터 (66) 의 출력축 (68) 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 때문에, 로터 (128) 의 회전이 정지되고, 로터 (128) 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베이스 (118) 의 회전이 정지된다.
베이스 (118) 의 회전이 정지되면, 클러치 웨이트 (170) 및 클러치 웨이트 (172) 는, 레버 (148) 에 작용하는 클러치 스프링 (140) 의 탄성력 및 리턴 스프링 (164) 의 탄성력에 의해 베이스 (118) 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회동된다. 이 때문에, 클러치 스프링 (140) 은 다시 자연 상태로 되돌아가고, 권회부 (141) 의 외주부가 클러치 기어 (136) 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서술한 클러치 스프링 (140) 과 클러치 기어 (136) 의 연결이 바로 해제된다. 이로써, 제 2 클러치 (116) 에 의한 스풀 (20) 과 모터 (66) 의 출력축 (68) 의 연결이 해제되고, 스풀 (20) 에 권취된 웨빙 (28) 의 재차의 인출이 가능해진다.
한편, 차량의 주행 상태에서는, 전방 감시 장치 (308) 의 적외선 센서 (310) 에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연산부 (312) 가 차량 전방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연산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전방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혹은 장애물이 존재하지만 장애물에서 차량까지의 거리가 소정값 이상이면, 연산부 (312) 로부터는 Low 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에 대하여, 차량에서 전방의 장애물까지의 거리가 소정값 미만이 되면, 연산부 (312) 로부터는 High 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연산부 (312) 로부터 High 레벨의 신호가 ECU (307) 에 입력되면, ECU (307) 는 드라이버 (302) 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이 상태에서의 조작 신호가 입력된 드라이버 (302) 는, 모터 (66) 로의 급전을 개시하여 출력축 (68) 을 급격하게 정방향 (화살표 C 방향) 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제 1 클러치 (94) 의 웜 휠 (96) 이 권취 방향 (화살표 A 방향) 으로 회전되면, 웜 휠 (96) 과 어댑터 (스풀 (20)) 는 일체로 회전한다. 이로써, 웨빙 (28) 이 스풀 (20) 에 권취되고, 웨빙 (28) 의 근소한 느슨해짐, 소위「슬랙」이 해소되어, 웨빙 (28) 에 의한 탑승자 신체에 대한 구속력이 향상된다 (소위「프리텐셔너 기구」).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빙 권취 장치 (10) 에서는, 권취 어시스트 기구와 프리텐셔너 기구에 요구되는 서로 상반되는 성능을 단일의 모터 (66) 에 의해 양립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 의 (A) 및 (B)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버 (148) 가 베이스 (118) 에 대하여 당해 베이스 (118) 의 축선 둘레 타방 (화살표 J 방향) 으로 회전되면,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제 1 걸림부 (142) 가 제 1 스프링 걸림홈 (125A) 에 있어서의 화살표 J 방향측의 측벽부 (K1) 에 맞닿음과 함께, 제 1 걸림부 (142) 의 종단 (142A) 이 제 1 스프링 걸림홈 (125A) 의 바닥벽부 (K3) 에 맞닿는다. 이로써, 제 1 걸림부 (142) 에는, 당해 제 1 걸림부 (142) 를 축장 (縮長) 시키는 방향으로의 압축 응력이 발생한다. 이로써, 제 1 걸림부 (142) 에 발생하는 굽힘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 2 클러치 (116) 의 일부를 구성하는 클러치 스프링 (140) 의 반복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클러치 스프링 (140) 의 권회부 (141) 의 외주부가 클러치 기어 (136) 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 있어서, 즉, 모터 (66) 에 의해 스풀 (20) 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웨빙 (28) 이 인출 방향으로 인장되거나 함으로써, 베이스 (118) 의 축선 둘레 일방 (화살표 J 방향) 으로의 회전력이 클러치 기어 (136) 에 입력되면, 클러치 기어 (136) 가 클러치 스프링 (140) 의 권회부 (141) 에 확경력 (擴徑力) 을 작용시켜, 제 1 걸림부 (142) 의 제 1 스프링 걸림홈 (125A) 의 측벽부 (K1) 및 바닥벽부 (K3) 측을 향한 탄성력이 증대된다. 즉, 당해 구성의 제 2 클러치 (116) 에서는, 클러치 스프링 (140) 에 있어서 제 1 스프링 걸림홈 (125A) 에 걸려 있는 제 1 걸림부 (142) 의 응력이 높아지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응력의 높아지기 쉬운 제 1 걸림부 (142) 의 종단 (142A) 이 제 1 스프링 걸림홈 (125A) 의 바닥벽부 (K3) 에 맞닿게 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1 걸림부 (142) 에 발생하는 굽힘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 2 클러치 (116) 의 일부를 구성하는 클러치 스프링 (140) 의 반복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클러치 스프링 (140) 의 권회부 (141) 의 외주부가 클러치 기어 (136) 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 있어서, 프리텐셔너측에 작용하였을 때, 클러치 기어 (136) 가 클러치 스프링 (140) 의 권회부 (141) 를 베이스 (118) 의 축선 둘레 일방 (화살표 I 방향) 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제 2 걸림부 (146) 가 제 2 스프링 걸림홈 (153A) 의 측벽부 (K5) 에 가압된다. 이로써, 레버 (148) 를 베이스 (118) 의 축선 둘레 일방 (화살표 I 방향) 으로 회동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여, 클러치 스프링 (140) 의 권회부 (141) 가 축경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기 때문에,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제 1 걸림부 (142) 를 축장시키는 방향으로의 압축 응력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리텐셔너측에 작용하였을 때에 있어서, 제 2 클러치 (116) 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과대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연 상태에 있어서의 클러치 스프링 (140) 의 권회부 (141) 의 내경 치수가 베이스 (118) 의 측벽부 (124) 의 외경 치수보다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권회부 (141) 가 베이스 (118) 의 측벽부 (124) 에 장착되었을 때, 당해 권회부 (141) 는, 스스로의 탄성력에 의해 축경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이로써, 클러치 스프링 (140) 에 전술한 리턴 스프링 (164) 을 어시스트하는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또, 클러치 스프링 (140) 의 권회부 (141) 의 내경 치수 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상기 리턴 스프링 (164) 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당해 구성에서는, 제 2 클러치 (116) 를 구성하는 부품의 점수를 줄일 수 있다.
(변형예에 관련된 클러치 스프링의 제 1 걸림부 및 제 1 스프링 걸림부)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클러치 스프링의 제 1 걸림부 및 제 1 스프링 걸림부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 및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의 (A) 및 (B)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클러치 스프링 (140) 은, 당해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일방측의 단부가, 권회부 (141) 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굴곡됨으로써 형성된 경사부 (145) 와, 당해 경사부 (145) 의 선단으로부터 권회부 (141) 의 축 방향 (로터 (128) (도 5 참조) 측과는 반대측) 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 1 걸림부 (147) 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변형예의 제 1 스프링 걸림부 (125) 에는, 로터 (128) 측이 개방되어 있음과 함께 베이스 (118) 의 축 방향에서 봤을 때에 내주 가장자리가 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스프링 걸림공 (125B)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걸림부 (147) 가 제 1 스프링 걸림공 (125B) 내에 배치됨으로써, 제 1 걸림부 (147) 가 제 1 스프링 걸림공 (125B) 에 걸려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변형예에 의하면, 레버 (148) 가 베이스 (118) 에 대하여 당해 베이스 (118) 의 축선 둘레 타방 (화살표 J 방향) 으로 회전되면,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제 1 걸림부 (147) 가 제 1 스프링 걸림공 (125B) 에 걸린 채로, 당해 제 1 걸림부 (147) 가 제 1 스프링 걸림공 (125B) 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로써, 클러치 스프링 (140) 의 경사부 (145) 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즉, 클러치 스프링 (140) 의 경사부 (145) 가 레버 (148) 의 작동시에 국소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제 2 클러치 (116) 의 일부를 구성하는 클러치 스프링 (140) 의 반복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클러치 스프링 (140) 의 반복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일방측의 단부측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술한 클러치 스프링 (140) 의 반복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클러치 스프링 (140) 의 일방측의 단부측 및 타방측의 단부측에 각각 적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빙 (28) 이 소정의 장력을 초과하여 인장되었을 때, 레버 (148) 가 회동되어, 스풀 (20) 과 모터 (66) 가 분리되도록 구성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웨빙 (28) 이 소정의 장력을 초과하여 인장되었을 때, 스풀 (20) 과 모터 (66) 가 분리되도록 구성할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제 2 클러치 (116) 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강도 등을 고려해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러치 웨이트 (170, 172) 를 베이스 (118) 에 경동 가능하게 지지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클러치 웨이트 (170, 172) 를 스페이서 (184) 에 경동 가능하게 지지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클러치 웨이트 (170, 172) 는, 베이스 (118) 와 일체 회전하는 부재에 경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웨빙 권취 장치
20 : 스풀
28 : 웨빙
116 : 제 2 클러치 (클러치)
118 : 베이스 (제 1 회전체)
125 : 제 1 스프링 걸림부
136 : 클러치 기어 (제 2 회전체)
140 : 클러치 스프링 (스프링)
141 : 권회부
142A : 종단
148 : 레버
153 : 제 2 스프링 걸림부

Claims (5)

  1.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이 권취되는 스풀과,
    제 1 스프링 걸림부를 갖는 제 1 회전체와,
    상기 스풀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이 전달됨으로써 회전되는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 사이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회전체의 외주부를 따라 환상으로 권회된 권회부를 가짐과 함께 일방측의 단부가 상기 제 1 스프링 걸림부에 걸린 스프링과,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스프링의 타방측의 단부가 걸리는 제 2 스프링 걸림부를 갖고,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동될 때에 상기 스프링의 타방측의 단부를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권회부를 확경시키고,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이 상기 권회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회전체에 맞닿게 되는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의 일방측의 단부 및 타방측의 단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의 종단이, 상기 제 1 스프링 걸림부 또는 상기 제 2 스프링 걸림부에 맞닿게 되는 웨빙 권취 장치.
  2.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이 권취되는 스풀과,
    제 1 스프링 걸림부를 갖는 제 1 회전체와,
    상기 스풀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이 전달됨으로써 회전되는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 사이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회전체의 외주부를 따라 환상으로 권회된 권회부를 가짐과 함께 일방측의 단부가 상기 제 1 스프링 걸림부에 걸린 스프링과,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스프링의 타방측의 단부가 걸리는 제 2 스프링 걸림부를 갖고,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동될 때에 상기 스프링의 타방측의 단부를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권회부를 확경시키고,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이 상기 권회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회전체에 맞닿게 되는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의 일방측의 단부 및 타방측의 단부 중 적어도 어느 단부가, 상기 제 1 스프링 걸림부 또는 상기 제 2 스프링 걸림부에 걸린 채로 상기 제 1 회전체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웨빙 권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의 일방측의 단부가, 상기 제 1 스프링 걸림부에 맞닿게 되는 웨빙 권취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의 일방측의 단부가, 상기 제 1 스프링 걸림부에 걸린 채로 상기 제 1 회전체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웨빙 권취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회부가 확경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웨빙이 소정의 장력을 초과하여 인장됨으로써, 상기 제 2 회전체가 상기 스프링의 상기 권회부 및 타방측의 단부를 통하여 상기 레버를 상기 제 1 회전체의 둘레 방향 타방측으로 회동시키는 웨빙 권취 장치.
KR1020160046065A 2015-04-24 2016-04-15 웨빙 권취 장치 KR101759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89194A JP6312626B2 (ja) 2015-04-24 2015-04-24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JP-P-2015-089194 2015-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872A KR20160126872A (ko) 2016-11-02
KR101759834B1 true KR101759834B1 (ko) 2017-07-19

Family

ID=5580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065A KR101759834B1 (ko) 2015-04-24 2016-04-15 웨빙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05424B2 (ko)
EP (1) EP3085586B1 (ko)
JP (1) JP6312626B2 (ko)
KR (1) KR101759834B1 (ko)
CN (1) CN10606460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659A (ko) 2021-03-22 2022-09-29 (유)삼송 락딥 방지 구조를 가지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클러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58127A1 (en) * 2014-08-28 2016-03-03 Boa Technology Inc. Devices and methods for enhancing the fit of boots and other footwear
JP6175099B2 (ja) * 2015-05-27 2017-08-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555951B2 (ja) * 2015-07-07 2019-08-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988458B2 (ja) * 2017-12-25 2022-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6984557B2 (ja) * 2018-07-18 2021-12-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制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362A (ja) 2001-08-08 2003-02-26 Suncall Corp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巻取り装置
JP2005324772A (ja) 2004-04-13 2005-11-24 Tokai Rika Co Ltd モータリトラ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4221B2 (ja) * 2002-08-12 2007-06-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6199116A (ja) * 2005-01-19 2006-08-03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137005B2 (ja) * 2007-08-28 2013-02-0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5872390B2 (ja) * 2012-06-21 2016-03-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20130143496A (ko) * 2012-06-21 2013-12-31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웨빙 권취 장치
JP5823355B2 (ja) * 2012-06-21 2015-11-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784563B2 (ja) * 2012-09-24 2015-09-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362A (ja) 2001-08-08 2003-02-26 Suncall Corp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巻取り装置
JP2005324772A (ja) 2004-04-13 2005-11-24 Tokai Rika Co Ltd モータリトラ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659A (ko) 2021-03-22 2022-09-29 (유)삼송 락딥 방지 구조를 가지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클러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11398A1 (en) 2016-10-27
CN106064606B (zh) 2018-09-07
EP3085586B1 (en) 2018-06-13
CN106064606A (zh) 2016-11-02
EP3085586A1 (en) 2016-10-26
KR20160126872A (ko) 2016-11-02
US10005424B2 (en) 2018-06-26
JP6312626B2 (ja) 2018-04-18
JP2016203846A (ja)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834B1 (ko) 웨빙 권취 장치
KR20130143496A (ko) 웨빙 권취 장치
JP4699725B2 (ja) モータリトラクタ
US6827308B2 (en) Controlling method of seat belt retractor
KR101759822B1 (ko) 웨빙 권취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
EP1524159B1 (en) Seat belt retractor
JP4630181B2 (ja) モータリトラクタ
JP5872390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20180215343A1 (en) Webbing take-up device
JP2006199116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4042776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20083147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20180006328A (ko) 웨빙 권취 장치
JP5823355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112964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4042775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5329826A (ja) クラッチ機構及び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8134920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211142B1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4084072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04042789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6585432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5955151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05329797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