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560B1 - 굴착용 비트 - Google Patents

굴착용 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560B1
KR101759560B1 KR1020150153237A KR20150153237A KR101759560B1 KR 101759560 B1 KR101759560 B1 KR 101759560B1 KR 1020150153237 A KR1020150153237 A KR 1020150153237A KR 20150153237 A KR20150153237 A KR 20150153237A KR 101759560 B1 KR101759560 B1 KR 101759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wing
shaft
wing bi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834A (ko
Inventor
계진태
김세현
Original Assignee
(주)씨엔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피텍 filed Critical (주)씨엔피텍
Priority to KR1020150153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5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26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26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 E21B10/32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62Drill bits characterised by parts, e.g. cutting elements, which are detachable or adjustable
    • E21B10/627Drill bits characterised by parts, e.g. cutting elements, which are detachable or adjustable with plural detachable cu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용 비트에 관한 것으로서, 첨단 굴착면이 형성되고, 외경면에 윙 비트 수용홈이 형성되며, 후단에 축부가 형성되는 비트 헤드부; 몸체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면에 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축돌기가 상기 비트 헤드부의 상기 윙 비트 수용홈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비트 헤드부의 첨단 굴착면 인근에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윙 비트; 및 일측에 상기 윙 비트와 밀착되게 접촉되는 밀착 접촉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윙 비트를 헐겁게 하는 여유홈부가 형성되는 외통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착용 비트{Drilling bit}
본 발명은 굴착용 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굴착용 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관 그라우팅 공법은 지반을 보강하면서 차수성을 향상시키는 지하 굴착보조 공법으로, 강관을 지반에 설치하고 그 강관의 내측으로 그라우트재를 주입함으로서 주입재에 의한 지반의 고결로 강관과 지반을 일체로 만들고 토질, 암반의 전단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주입을 강관속에서 수행하므로 시공성,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공법이다.
이러한 강관 그라우팅 공법은 그 효과를 인정받아 터널보강 공법의 일환으로 정착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관 그라우팅 공법은 지반을 천공하는 단계와, 천공된 천공홀에 스트레이너(그라우트재 주입부)가 설치된 강관을 삽입하는 단계와, 강관과 천공홀 사이에 실링재를 투입하는 단계와, 패커를 설치하면서 시멘트를 주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천공 후 강관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천공홀이 자연 유지되지 않는 연약한 토사지반에서는 천공홀의 무너짐 또는 이물질 혼합 등으로 강관의 삽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고 제10091962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접철이 가능한 윙 비트를 이용하여 강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굴착용 비트는, 파이프 형태의 강관이 비트 몸체에 의해 삽입되어져서 굴착 압력에 의해 윙 비트가 펼침된 상태로 상기 비트 몸체와 함께 굴착 진행 방향을 따라 진행되다가 굴착을 모두 마치고, 상기 비트 몸체를 들어 올리면 상기 윙 비트가 하중에 의해 자연 접힘되면서 상기 강관을 남겨두고 외부로 끌어 올려질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서, 굴착시 암반을 만나는 경우, 그 자리에 상기 강관만을 남겨 놓고 상기 비트 몸체만 빠져 나올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굴착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강관을 빼낼 수 없어서 강관을 그대로 남겨두어야 하는 등 낭비되는 강관이 많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강관 인출 장비를 동원해야 하는 등,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굴착시 필요에 따라서 비트와 강관을 함께 빼낼 수 있게 하는 굴착용 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굴착용 비트는, 첨단 굴착면이 형성되고, 외경면에 윙 비트 수용홈이 형성되며, 후단에 축부가 형성되는 비트 헤드부; 몸체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면에 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축돌기가 상기 비트 헤드부의 상기 윙 비트 수용홈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비트 헤드부의 첨단 굴착면 인근에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윙 비트; 및 상기 비트 헤드부의 상기 축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축부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비트 헤드부를 기준으로 제 1 각도 및 제 2 각도로 축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비트 헤드부를 기준으로 제 1 각도로 축회전할 경우, 상기 윙 비트가 상기 비트 헤드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펼침 상태를 유지하여 강관을 운반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윙 비트와 밀착되게 접촉되는 밀착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비트 헤드부를 기준으로 제 2 각도로 축회전할 경우, 상기 윙 비트가 접힘이 자유롭게 되어 상기 강관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타측에 상기 윙 비트를 헐겁게 하는 여유홈부가 형성되는 외통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트 헤드부의 상기 축부가 상기 외통 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외통 부재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축부의 목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핀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윙 비트 수용홈은 상기 비트 헤드부의 외경면에 형성되고, 각각 180도로 등각 배치되는 제 1 수용홈 및 제 2 수용홈이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 1 수용홈 및 상기 제 2 수용홈의 내측면에 입구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그 끝단부가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트 헤드부가 상기 외통 부재에 삽입되어 축회전시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축부의 외경면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외통 부재의 내경면에 T형 걸림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착 접촉부는 상기 외통 부재의 전면에 형성되는 평탄면이고, 상기 여유홈부는 상기 윙 비트가 헐거워질 수 있도록 상기 윙 비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사각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윙 비트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굴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의 전방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선단의 일측면에 일방향 곡면이 형성되며, 고, 상기 외통 부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외통 부재의 상기 여유홈부가 상기 윙 비트를 헐겁게 하여 축방향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후단에 둥근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비트가 강관을 들어 올릴 수 있어서 필요에 따라 강관의 운반, 재설치, 재활용 등을 가능하게 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강관의 낭비를 방지하여 천공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굴착용 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굴착용 비트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굴착용 비트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굴착용 비트의 외통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굴착용 비트의 강관 이송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굴착용 비트의 강관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굴착용 비트(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굴착용 비트(100)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굴착용 비트(100)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후방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굴착용 비트(100)는, 크게 비트 헤드부(10)와, 윙 비트(20) 및 외통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비트 헤드부(10)는 첨단 굴착면(11)이 형성되고, 외경면에 윙 비트 수용홈(H1)(H2)이 형성되며, 후단에 축부(12)가 형성되는 일종의 금속 블록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첨단 굴착면(11)에는 굴착이 용이하도록 반구 형상의 초경팁들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트 헤드부(10)는, 예컨대, 작동 유체 투입홀 또는 작동 유체 배출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굴착시 에어나 물 등의 작동 유체를 작동 유체 투입홀로 투입하여 마찰이나 충격을 감소시키고, 굴착된 이물질들은 상기 작동 유체 배출홈을 따라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작동 유체 투입홀 또는 상기 작동 유체 배출홈의 개수나 형상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윙 비트 수용홈(H1)(H2)은 상기 비트 헤드부(10)의 외경면에 형성되고, 각각 180도로 등각 배치되는 제 1 수용홈(H1) 및 제 2 수용홈(H2)이고, 상기 가이드홈(G)은, 상기 제 1 수용홈(H1) 및 상기 제 2 수용홈(H2)의 내측면에 입구부(Ga)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그 끝단부(Gb)가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돌기(22)가 상기 가이드홈(G)의 상기 입구부(Ga)로 삽입되어 상기 끝단부(Gb)에 도달되면 상기 윙 비트(20)가 펼침 및 접힘시 회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윙 비트(20)는, 몸체(21)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면에 축돌기(22)가 형성되며, 상기 축돌기(22)가 상기 비트 헤드부(10)의 상기 윙 비트 수용홈(H1)(H2)에 형성된 가이드홈(G)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비트 헤드부(10)의 첨단 굴착면(11) 인근에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2개의 날개 형상의 금속 블록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윙 비트(20)의 개수는 2개에 국한되지 않고, 적어도 1개 또는 3개, 4개, 5개, 6개 등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윙 비트(20)에는 윙 비트 굴착면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윙 비트 굴착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초경팁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윙 비트(20)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굴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21)의 전방에 경사면(F1)이 형성되고, 선단의 일측면에 일방향 곡면(F2)이 형성되며, 상기 외통 부재(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외통 부재(30)의 상기 여유홈부(32)가 상기 윙 비트(20)를 헐겁게 하여 축방향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후단에 둥근면(F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윙 비트(20)는 상기 비트 헤드부(10)로부터 펼침 결합되어 강관을 이송할 수 있고, 상기 비트 헤드부(10) 방향으로 접힘 결합되어 상기 강관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굴착용 비트(100)의 외통 부재(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통 부재(30)는, 상기 비트 헤드부(10)의 상기 축부(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축부 수용부(A)가 형성되고, 상기 비트 헤드부(10)를 기준으로 제 1 각도 및 제 2 각도로 축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비트 헤드부(10)를 기준으로 제 1 각도로 축회전할 경우, 상기 윙 비트(20)가 상기 비트 헤드부(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펼침 상태를 유지하여 강관을 운반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윙 비트(20)와 밀착되게 접촉되는 밀착 접촉부(31)가 형성되고, 상기 비트 헤드부(10)를 기준으로 제 2 각도로 축회전할 경우, 상기 윙 비트(20)가 접힘이 자유롭게 되어 상기 강관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타측에 상기 윙 비트(20)를 헐겁게 하는 여유홈부(32)가 형성되는 전체적으로 통형상인 금속 블록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통 부재(30)는 상대적으로 상기 비트 헤드부(10)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정회전 및 역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통 부재(30)의 상기 밀착 접촉부(31)은 상기 외통 부재(30)의 전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평탄면이고, 상기 여유홈부(32)는 상기 윙 비트(20)가 헐거워질 수 있도록 상기 윙 비트(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외통 부재(30)의 전면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사각홈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트 헤드부(10)를 기준으로 상기 외통 부재(30)가 정회전되면 상기 윙 비트(20)의 후단부가 상기 밀착 접촉부(31)와 밀착되게 접촉되어 상기 윙 비트(20)의 펼침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상기 비트 헤드부(10)를 기준으로 상기 외통 부재(30)가 역회전되면 상기 윙 비트(20)의 후단부가 상기 여유홈부(32)로 인해 헐거워져서 외력에 의한 상기 윙 비트(20)의 접힘 상태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헤드부(10)의 상기 축부(12)가 상기 외통 부재(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외통 부재(30)의 관통홀(H)을 관통하여 상기 축부(12)의 목부(13)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핀(P)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트 헤드부(10)는 상기 외통 부재(30)에 조립되고, 상기 걸림핀(P)이 상기 관통홀(H)에 체결되면, 상기 목부(13)가 상기 걸림핀(P)에 걸림 결합되어 상기 외통 부재(3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동시에 정회전 및 역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헤드부(10)가 상기 외통 부재(30)에 삽입되어 축회전시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축부(12)의 외경면에 걸림 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14)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외통 부재(30)의 내경면에 T형 걸림 홈부(T)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트 헤드부(10)의 상기 걸림 돌기(14)가 상기 T형 걸림 홈부(T)에 삽입되어 상기 T형 걸림 홈부(T)를 따라 일정한 각도, 상기 T형 걸림 홈부(T)가 형성되는 구역 안에서만, 예컨대 45도만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각도는 한정적이지 않고 매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굴착용 비트(100)의 강관(1) 이송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굴착용 비트(100)의 강관(1)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굴착용 비트(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통 부재(30)가 상기 비트 헤드부(10)를 기준으로 제 1 각도로 축회전할 경우, 상기 밀착 접촉부(31)가 상기 윙 비트(20)와 밀착되게 접촉되어 상기 윙 비트(20)가 상기 비트 헤드부(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펼침 상태를 유지하면서 강관을 견고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윙 비트(20)는 상기 밀착 접촉부(31)와 간섭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상기 외통 부재(30)와 견고하게 결속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상기 윙 비트(20)의 후단 평면과 상기 밀착 접촉부(31)가 밀착되게 접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외통 부재(30)가 상기 비트 헤드부(10)를 기준으로 제 2 각도로 축회전할 경우, 상기 여유홈부(32)가 상기 윙 비트(20)를 헐겁게 하여 상기 윙 비트(20)의 접힘이 자유롭게 되고, 상기 윙 비트(20)는 외력 또는 강관의 하중에 의해서 쉽게 접철될 수 있고, 상기 비트 헤드부(10)는 상기 강관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다.
이 때, 상기 윙 비트(20)는 상기 여유홈부(32)에 의해 헐거워져서 쉽게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외통 부재(30)와 이격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상기 윙 비트(20)의 후단 평면은 상기 여유홈부(32)에서 여유롭게 회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윙 비트를 선택적으로 결속시켜서 강관을 들어 올릴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강관의 운반, 재설치, 재활용 등을 가능하게 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강관의 낭비를 방지하여 천공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첨단 굴착면이 형성되고, 외경면에 윙 비트 수용홈이 형성되며, 후단에 축부가 형성되는 비트 헤드부;
    몸체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면에 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축돌기가 상기 비트 헤드부의 상기 윙 비트 수용홈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비트 헤드부의 첨단 굴착면 인근에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윙 비트; 및
    상기 비트 헤드부의 상기 축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축부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비트 헤드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각도 및 제 2 각도로 축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비트 헤드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각도로 축회전할 경우, 상기 윙 비트가 상기 비트 헤드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펼침 상태를 유지하여 강관을 운반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윙 비트와 밀착되게 접촉되는 밀착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비트 헤드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각도로 축회전할 경우, 상기 윙 비트가 접힘이 자유롭게 되어 상기 강관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타측에 상기 윙 비트를 헐겁게 하는 여유홈부가 형성되는 외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 접촉부는 상기 외통 부재의 전면에 형성되는 평탄면이고, 상기 여유홈부는 상기 윙 비트가 헐거워질 수 있도록 상기 윙 비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사각홈인, 굴착용 비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헤드부의 상기 축부가 상기 외통 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외통 부재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축부의 목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핀이 설치되는, 굴착용 비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윙 비트 수용홈은 상기 비트 헤드부의 외경면에 형성되고, 각각 180도로 등각 배치되는 제 1 수용홈 및 제 2 수용홈이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 1 수용홈 및 상기 제 2 수용홈의 내측면에 입구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그 끝단부가 둥글게 형성되는, 굴착용 비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헤드부가 상기 외통 부재에 삽입되어 축회전시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축부의 외경면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외통 부재의 내경면에 T형 걸림 홈부가 형성되는, 굴착용 비트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윙 비트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굴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의 전방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선단의 일측면에 일방향 곡면이 형성되며, 상기 외통 부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외통 부재의 상기 여유홈부가 상기 윙 비트를 헐겁게 하여 축방향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후단에 둥근면이 형성되는, 굴착용 비트.
KR1020150153237A 2015-11-02 2015-11-02 굴착용 비트 KR101759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237A KR101759560B1 (ko) 2015-11-02 2015-11-02 굴착용 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237A KR101759560B1 (ko) 2015-11-02 2015-11-02 굴착용 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834A KR20170051834A (ko) 2017-05-12
KR101759560B1 true KR101759560B1 (ko) 2017-07-21

Family

ID=5874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237A KR101759560B1 (ko) 2015-11-02 2015-11-02 굴착용 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558B1 (ko) * 2018-01-25 2019-11-25 (주)나다건설 지반 굴착용 회수형 해머비트 장치
CN109681123B (zh) * 2018-11-28 2023-09-29 山东唐口煤业有限公司 一种直径可调式钻头及分段扩孔方法
KR102613542B1 (ko) * 2021-10-22 2023-12-13 주식회사 이지지오텍 확공 오거 및 이를 이용한 확공말뚝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834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658B1 (ko) 굴착용 비트
KR101759560B1 (ko) 굴착용 비트
KR101664030B1 (ko) 굴착용 비트
US8753041B2 (en) Injection, sealing valving and passageway system
JP4288331B2 (ja) ロックボルト及びこれを用いた支保工法
KR101523298B1 (ko) 굴착용 비트
KR101927725B1 (ko) 그라우팅 주입관
US20190128087A1 (en) Wiper dart with reinforced drive element
KR101868086B1 (ko) 천공 및 그라우팅 로드장치
KR101705284B1 (ko) 굴착용 비트
KR101725392B1 (ko) 균열 또는 배면차수 보수용 멀티 패커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KR20090054192A (ko) 굴착 해머용 비트
JP6460777B2 (ja) 補強鋼管及び拡径治具のセット並びに補強鋼管を用いた掘削補助工法
KR20170107217A (ko) 강관 조립체
JP6895929B2 (ja) 削孔器具、棒状部材および削孔方法
KR20200079384A (ko) 동력 절약 및 부품 교환이 용이한 굴착용 링비트
JP2008190287A (ja) 掘削工具および掘削工法
KR102117245B1 (ko)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
JP2018062805A (ja) 芯材埋設工法
CN113474535A (zh) 树脂注入抵座
KR101648814B1 (ko) 역류방지용 분리형 강관구조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보강용 강관 그라우팅 공법
WO2017116001A1 (ko) 헤드 강화형 드릴 비트
KR20050078936A (ko) 다단주입이중관을 이용한 그라우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지반그라우트방법
KR102442294B1 (ko) 해머와 로드가 결합된 일체식 고압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JP3217995U (ja) パッカー用供給ホ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