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245B1 -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245B1
KR102117245B1 KR1020170076652A KR20170076652A KR102117245B1 KR 102117245 B1 KR102117245 B1 KR 102117245B1 KR 1020170076652 A KR1020170076652 A KR 1020170076652A KR 20170076652 A KR20170076652 A KR 20170076652A KR 102117245 B1 KR102117245 B1 KR 102117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tube
excavation
groove
fastening
fast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7239A (ko
Inventor
정인기
박주환
Original Assignee
정인기
박주환
주식회사 송정피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기, 박주환, 주식회사 송정피에스텍 filed Critical 정인기
Priority to KR1020170076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24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 및 건설 현장에서 지반 굴착시 동종 또는 이종 재질의 원통관을 함께 삽입함에 있어 굴착 깊이에 따라 원통관을 현장에서 직접 손쉽고 편리하게 연결 결합 가능하게 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 및 신속성을 도모하기 위한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굴착 장비(B)를 이용하여 지반 굴착시 상기 굴착 장비(B)의 외주부에 결합되어 굴착홀(H)의 심도 내에 관입되는 것으로 상하단면 사방에는 각각 결합홈(120)이 구비되어 있는 동종 또는 이종 재질의 원통관(10)과 띠 형상의 걸림부재(22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커플링(20)과 상기 결합홈(120)에는 상하로 연결되는 상기 원통관(10)의 회전을 일체로 가능하도록 체결핀(40)이 포함되며,
상기 원통관(10)의 외주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장공 형상의 삽입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110)의 내주면에는 제1 체결홈(1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20) 외주면 상하 양단 가까이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체결홈(100)과 대응 가능하도록 제2 체결홈(200)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띠 형상의 걸림부재(220) 외주면 사방에는 상기 결합홈(120)과 일치되도록 세로방향으로 형성된삽입홈(210)이 구비되어 상하로 연결되는 상기 원통관(10)의 회전을 일체로 가능하도록 상하로 2등분한 두개의 체결핀(40)이 삽입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220)의 상면 중앙에는 물유출공(22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10)을 통해 제1 체결홈(100)과 제2 체결홈(200)에 와이어(30)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와,
상기 와이어(30)는 하나 또는 두개 이상으로 나누어진 것을 포함하는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원통관의 연결시 용접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간단히 끼움 결합을 통해 보다 견고하고 강력한 체결력으로 연결 결합함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하고, 시공 기간이 단축되며, 우수한 체결력을 나타내고, 시공비와 생산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원통관의 해체가 용이하여 용접에 의한 절단작업 등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재사용률도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 {A homogeneous or heterogeneous cylindrical connection structure compatible with excavation construction}
본 발명은 토목 및 건설 현장에서 지반 굴착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을 함께 삽입함에 있어 굴착 깊이에 따라 원통관을 현장에서 직접 손쉽고 편리하게 연결 결합 가능하게 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 및 신속성을 도모하기 위한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사나 건축물 기초 공사 등을 위한 굴착 시공시 먼저 지반에 굴착 장비를 이용하여 굴착공을 뚫은 다음에 굴착공 내에 강관이나 철골과 함께 콘크리트를 채워서 지반에 매몰되는 기둥을 시공한다.
이와 같이 굴착 장비는 그 용도나 지층(지질)의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규격 다른 구조상의 장비를 상용하게 되는데, 그 종류는 크게 분류하여 두가지로 압축 설명할 수 있다.
그 중의 한 종류는 대체적으로 지층의 상태가 양호하거나 깊이 굴착하지 않을 경우는 강관을 사용하지 않고 굴착장비가 지층을 굴착하는 직접 굴착방식의 종류이며,
다른 한 종류의 굴착 장비는 굴착공에 강관을 매립하면서 굴착을 실시하는 방식에 사용되는 것으로, 굴착 장비를 강관 속으로 삽입하여 굴착 장비의 비트가 강관의 하단으로 노출되도록 한 후, 비트가 회전하면서 강관 지름보다 넓은 구멍을 뚫게 되며, 굴착이 종료되면 굴착 장비의 회수를 위해 다시 스틸관을 통하여 인양하는 간접 굴착방식의 종류가 있다.
전자의 직접 굴착방식은 문제되지 아니하나, 후자의 간접 굴착방식의 경우 강관이 동시에 박히게 되는 것으로서, 굴착 깊이에 따라 작업중 강관을 연결 결합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며 종래에는 이 상황에서는 강관과 강관을 용접하여 연결하였기 때문에 그 연결작업이 어려워 반드시 용접기술자가 필요하여 안전사고 및 인건비의 낭비가 뒤따르고, 또 재사용하기 위하여는 용접부위 혹은 강관 중간을 절단하여야 하는데 용접부분이나 강관의 강한 재질로 인하여 절단이 어렵고, 절단후 재사용하기 위하여 용접 연결하였을 경우 수직으로 굴착하는 직도의 유지가 어려우며 결국 원하는 굴착 깊이까지 강관을 매설치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터널보강 공법의 일환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강관 그라우팅 공법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관 그라우팅 공법은 지반을 천공하는 단계와, 천공된 천공홀에 스트레이너(그라우트재 주입부)가 설치된 강관을 삽입하는 단계와, 강관과 천공홀 사이에 실링재를 투입하는 단계와, 패커를 설치하면서 시멘트를 주입하는 단계로 이루어나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고 제10091962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접철이 가능한 윙비트를 이용하여 강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이 강관의 연결방식은 용접방식으로 일관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여전히 갖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 마이크로 파일 공법이나 기타 헬리컬 파일 공법에서도 상기와 같은 강관의 연결에 따른 문제점은 여전히 갖고 있는 것이다.
국내 특허등록 제10-0919628호 국내 특허공개 제10-2010-0024862호 국내 특허공개 제10-2010-0076386호 국내 특허공개 제10-2016-01080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반 굴착시 굴착되는 굴착홀에 동종 또는 이종 재질의 원통관을 함께 삽입함에 있어 굴착 깊이에 따라 원통관을 현장에서 직접 손쉽고 편리하게 연결 결합 가능하게 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 및 신속성을 도모하기 위함이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굴착 장비(B)를 이용하여 지반 굴착시 상기 굴착 장비(B)의 외주부에 결합되어 굴착홀(H)의 심도 내에 관입되는 것으로 상하단면 사방에는 각각 결합홈(120)이 구비되어 있는 동종 또는 이종 재질의 원통관(10)과 띠 형상의 걸림부재(22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커플링(20)과 상기 결합홈(120)에는 상하로 연결되는 상기 원통관(10)의 회전을 일체로 가능하도록 체결핀(40)이 포함되며,
상기 원통관(10)의 외주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장공 형상의 삽입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110)의 내주면에는 제1 체결홈(1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20) 외주면 상하 양단 가까이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체결홈(100)과 대응 가능하도록 제2 체결홈(200)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띠 형상의 걸림부재(220) 외주면 사방에는 상기 결합홈(120)과 일치되도록 세로방향으로 형성된삽입홈(210)이 구비되어 상하로 연결되는 상기 원통관(10)의 회전을 일체로 가능하도록 상하로 2등분한 두개의 체결핀(40)이 삽입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220)의 상면 중앙에는 물유출공(22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10)을 통해 제1 체결홈(100)과 제2 체결홈(200)에 와이어(30)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와,
상기 와이어(30)는 하나 또는 두개 이상으로 나누어진 것을 포함하는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원통관의 연결시 용접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간단히 끼움결합을 통해 보다 견고하고 강력한 체결력으로 연결 결합함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하고, 시공 기간이 단축되며, 우수한 체결력을 나타내고, 시공비와 생산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통관의 해체가 용이하여 용접에 의한 절단작업 등이 불필요할 뿐만아니라 재사용률도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커플링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삽입공을 통해 와이어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삽입공을 통해 와이어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와이어가 복수개 및 삽입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와이어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의 원통관을 채택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굴착 장비에 결합되어 굴착홀을 굴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커플링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삽입공을 통해 와이어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삽입공을 통해 와이어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도 7은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와이어가 복수개 및 삽입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와이어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의 원통관을 채택한 사시도이고,도 9는 본 발명인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굴착 장비에 결합되어 굴착홀을 굴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굴착 장비(B)를 이용하여 지반 굴착시 상기 굴착 장비(B)의 외주부에 결합되어 굴착홀(H)의 심도 내에 관입되는 동종 도는 이종재질의 원통관(1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시부호 10은 원통관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1,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종 또는 이종 재질의 원통관(10)은 상기 굴착홀(H)의 관입 심도에 대응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원통관(10)의 상하단으로 연결 결합하여 연장 가능되도록 상하단 가까이 내주면에는 각각 제1 체결홈(10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제1 체결홈(100)의 외주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삽입공(110)이 천공되어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공(110)은 장공 또는 단공으로 선택적으로 천공되어 있는 것으로서 장공일 경우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와이어(30)의 삽입이 용이하고, 단공일 경우에는 와이어(30)의 삽입은 상대적으로 용이치 아니하나 체결력이 향상되는 일장일단이 있는 것이다.
상기 삽입공(110)에 와이어(30)를 삽입하는 방식은 에어로 불어서 삽입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30)가 하나일 경우에는 삽입공(110)을 단수로 하여도 무방하고 이와 같이 단수일 경우에는 삽입이 상대적으로 어렵지만 체결력이 상대적으로 강하고,
반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가 두개 이상일 경우에는 삽입공(110)이 복수개 또는 그 이상이 되어야 하며 이와 같을 경우에는 와이어(3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삽입은 용이하나 체결력에서 하나의 와이어(30) 보다는 상대적으로 약한 일장일단이 있고 특히 와이어(30)을 해지시 삽입공(110)이 복수개 또는 그 이상일 경우 용이하게 해지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경우 모두가 적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더 나아가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관(10)의 상하단 면 사방에는 각각 결합홈(12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론, 굴착 장비(B)의 굴착에 의해 굴착홀(H)이 천공되며 천공된 굴착홀(H)을 따라 원통관(10)이 관입되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약지반의 경우 굴착홀(H) 내주부에 지반이 약한 관계로 흙등이 흘러내려 굴착홀(H)이 온전히 그 지름을 유지키 어려워 원통관(10)의 진입에 문제가 있거나 원통관(10) 삽입후 그라우팅 시공후 견고성과 내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관(10)의 외주면에는 굴착홀(H)의 심도 내로 관입이 용이하도록 스크류(13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크류(130)에 의해 재차 굴착홀(H)을 온전히 유지 가능하도록 함에 바람직하다.
다음 지시부호 20은 커플링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20)은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원통관(10) 상하단의 제1 체결홈(100)과 대응 가능하도록 상하 양단 가까이 외주면에 각각 제2 체결홈(200)이 구비되어 있고 외주면 사방 즉, 상기 결합홈(120)과 일치되도록 세로방향으로 삽입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10)을 기준으로 4등분된 띠 형상의 걸림부재(220)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재(220)의 상면 중앙에는 물유출공(221)이 천공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110)을 통해 상기 와이어(30)를 상기 제1 체결홈(100)과 제2 체결홈(200)에 체결함으로서 하단에 구비된 원통관(10)과 상단에 연결 결합된 원통관(10)의 내주면에 상기 커플링(20)으로 연결하여 상하 원통관(10)이 체결토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110)이 두개이상 천공되어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와이어(30)를 삽입하는 것 보다는 두개 이상의 삽입공(110)을 통해 분리된 와이어(30)를 삽입함이 작업의 효율성 측면에서 용이하므로 이점을 감안한 것이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220)은 상하 원통관(10)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20)을 통해 밀착 결합토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걸림부재(220)을 4등분으로 형성하고 사이마다 삽입홈(210)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홈(210)은 상기 원통관(10)의 결합홈(120)과 일치토록 하여 하기에서 설명하는 체결핀(40)을 우선, 결합홈(120)에 결합 체결한 후 상하의 원통관(10)의 상기 삽입홈(210)에 상기 체결핀(40)을 결합 체결한 다음에 상기 와이어(30)을 체결 결합함으로서 상기 와이어(30)는 상하 원통관(10)이 상하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체결핀(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착 장비(B)의 선택에 따라 헬리컬 파일 공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헬리컬 파일 공법의 경우 회전이 필수적이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원통관(10)과 원통관(10)의 결합부위가 커플링(20)으로는 상측 원통관(10)과 하측 결합된 원통관(10)이 함께 회전치 아니하므로 상기 상하 원통관(10)의 결합홈(120)과 일치되는 상기 커플링(20)의 삽입홈(210)에 체결핀(40)을 체결 결합 함으로서 상하 결합된 원통관(10)이 상기 체결핀(40)으로 서로 체결됨에 따라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굴착 장비(B) 다양성 및 호환성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220)의 상면 중앙에 구비된 물유출공(221)은 굴착시 발생 가능한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원통관(10)이 수직으로 관입됨으로서 토질속의 물이 상기 원통관(10)을 통해 유입될 경우 이를 배출키 위한 것이다.
다음 지시부호 30은 상기에서 언급한 와이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30)은 상기 삽입공(110)을 통해 상기 제1 체결홈(100)과 제2 체결홈(200)에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와이어(30)의 재질은 플렉시블한 철소재가 내장되고 합성수지로 피복된 와이어 또는 스프링 및 기타 다양한 재질을 적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한 재질은 강선스프링 볼베어링 PC강선인 것이다.
다음, 지시부호 40은 상기에서 언급한 체결핀(40)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홈(120)과 삽입홈(210)에 결합되어 상하로 연결되는 원통관(10)의 회전을 일체로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핀(4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하로 2등분하여 두개로도 형성이 가능한 것으로서 내구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일체로 또는 2등분하여 두개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설 공사나 건축물 기초 공사 등 또는 연약지반 등을 위한 굴착 시공시 먼저 지반에 굴착 장비(B)를 이용하여 굴착홀(H)을 굴착함에 있어 굴착 장비(B)의 외주부에 결합되어 굴착홀(H)의 심도 내에 관입되는 원통관(10)이 상기 굴착홀(H)의 관입심도에 대응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원통관(10)의 길이를 연장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종래의 원통관과 원통관을 용접하여 연결함에 따른 연결작업의 어려움, 용접기술자의 필요성 및 용접에 의한 안전사고 및 인건비의 낭비, 시공지연 등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 장비(B) 외주부에 원통관(10) 결합시 이미 굴착 장비(B)에 결합되어 관입된 원통관(10) 상단 결합홈(120)에 체결핀(40)을 결합 체결한 다음 상기 관입된 원통관(10)의 상단 내주부로 상기 커플링(20)을 끼우되 상기 체결핀(40)이 삽입홈(210)에 체결토록 하고 그 다음에 또 다른 연장을 위한 원통관(10)의 하단에 구비된 결합홈(120)에 상기 체결핀(40)을 일치시켜 결합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상하 원통관(10)의 제1 체결홈(100)과 상기 커플링(20)의 제2 체결홈(200)이 일치 결합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110)을 통해 와이어(30)을 결합하면 원통관(10)의 연장이 완료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굴착 시공하다가 원통관(10)의 연장이 필요시 상기와 같은 연장 방식을 통해 반복적으로 원통관(10)을 연장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계속적으로 시행함에 따라 원통관(10)의 연결 및 결합이 가능함으로서 결국 원통관(10)을 쉽고 편리하면서 간편하게 연장할 수 있어, 원통관(10)의 연결시 용접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간단히 끼움 결합을 통해 보다 견고하고 강력한 체결력으로 연결 결합함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하고, 시공 기간이 단축되며, 우수한 체결력을 나타내고, 시공비와 생산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으며 원통관(10)의 해체가 용이하여 용접에 의한 절단작업 등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재사용률도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원통관 20 : 커플링
30 : 와이어 40 : 체결핀
100 : 제1 체결홈 110 : 삽입공
120 : 결합홈 130 : 스크류
200 : 제2 체결홈 210 : 삽입홈
220 : 걸림부재 221 : 물유출공
B : 굴착 장비 H : 굴착홀

Claims (5)

  1. 굴착 장비(B)를 이용하여 지반 굴착시 상기 굴착 장비(B)의 외주부에 결합되어 굴착홀(H)의 심도 내에 관입되는 것으로 상하단면 사방에는 각각 결합홈(120)이 구비되어 있는 동종 또는 이종 재질의 원통관(10)과 띠 형상의 걸림부재(22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커플링(20)과 상기 결합홈(120)에는 상하로 연결되는 상기 원통관(10)의 회전을 일체로 가능하도록 체결핀(40)이 포함되며,
    상기 원통관(10)의 외주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장공 형상의 삽입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110)의 내주면에는 제1 체결홈(1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20) 외주면 상하 양단 가까이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체결홈(100)과 대응 가능하도록 제2 체결홈(200)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띠 형상의 걸림부재(220) 외주면 사방에는 상기 결합홈(120)과 일치되도록 세로방향으로 형성된삽입홈(210)이 구비되어 상하로 연결되는 상기 원통관(10)의 회전을 일체로 가능하도록 상하로 2등분한 두개의 체결핀(40)이 삽입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220)의 상면 중앙에는 물유출공(22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10)을 통해 제1 체결홈(100)과 제2 체결홈(200)에 와이어(30)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30)는 하나 또는 두개 이상으로 나누어진 것을 포함하는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



















  5. 삭제
KR1020170076652A 2017-06-16 2017-06-16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 KR102117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652A KR102117245B1 (ko) 2017-06-16 2017-06-16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652A KR102117245B1 (ko) 2017-06-16 2017-06-16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239A KR20180137239A (ko) 2018-12-27
KR102117245B1 true KR102117245B1 (ko) 2020-06-01

Family

ID=6495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652A KR102117245B1 (ko) 2017-06-16 2017-06-16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2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2535B (zh) * 2019-12-17 2021-07-27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钢管桩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7910A (ja) * 2003-09-24 2005-04-14 Daiwa House Ind Co Ltd 鋼管継手構造
JP2009035930A (ja) * 2007-08-01 2009-02-19 Kubota Corp 柱状体セットとその使用方法
JP2011032784A (ja) * 2009-08-04 2011-02-17 Kurimoto Ltd 杭継手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271B1 (ko) 2008-08-26 2011-06-17 (주)서림건설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 파이프 연결구
KR101066583B1 (ko) 2008-12-26 2011-09-2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플랜지용 강관 이음장치
KR100919628B1 (ko) 2009-03-23 2009-09-30 임사인 초경팁이 구비된 굴착면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직천공장치용 천공비트
KR20160108084A (ko) 2015-03-06 2016-09-19 이병갑 강관압입용 수평굴착장치의 파이프 및 그의 지지판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7910A (ja) * 2003-09-24 2005-04-14 Daiwa House Ind Co Ltd 鋼管継手構造
JP2009035930A (ja) * 2007-08-01 2009-02-19 Kubota Corp 柱状体セットとその使用方法
JP2011032784A (ja) * 2009-08-04 2011-02-17 Kurimoto Ltd 杭継手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239A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642B1 (ko) 사면보강공사용 앵커네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공법
KR101675884B1 (ko) 확장판이 제작된 헬리컬 파일 및 그 시공 방법
KR101766165B1 (ko) 착탈식 보조항을 이용한 역타 지지용 파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
KR101023477B1 (ko) 압력그라우팅 쏘일 네일 구조
KR200352267Y1 (ko) 배수와 보강기능을 동시에 갖는 소일네일링 사면보강구조
KR102117245B1 (ko)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
KR101871118B1 (ko) 무용접 케이싱 커플러를 적용한 다단 확공이 가능한 굴착용 비트를 이용하는 파일 두부 보강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방법
KR101633505B1 (ko) 지보재
KR101871311B1 (ko)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
KR101042271B1 (ko)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 파이프 연결구
KR200450097Y1 (ko) 비배수 비배토 어스앵커 천공드릴
KR20190109890A (ko) 차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흙막이 벽체용 합성 phc 파일
KR200480999Y1 (ko)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 및 인발용 커플러
KR101627410B1 (ko) 스크류 앵커 파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360614B1 (ko) 고강도 강관을 이용한 선단확장형 중굴 공법
AU2015349623A1 (en) Construction screw pile
KR20150105613A (ko) Phc 파일 길이 조정용 스마트 선단캡 및 이를 이용한 파일길이 조정방법
KR102123570B1 (ko) 다단 확장형 지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 시공방법
KR200481009Y1 (ko)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 및 인발용 커플러
KR102595611B1 (ko) 굴착시공시 동력 절약을 위한 메인강관과 케이싱슈의 연결구조
KR100869369B1 (ko) 다발강관을 이용한 그라우팅 방식의 지반보강장치 및 이를통한 지반보강공법
KR102595597B1 (ko) 다기능 확공비트를 이용한 두부가 보강된 무용접 강관파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U2016100944B4 (en) Construction Screw Pile
KR101738126B1 (ko) 강관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기초공법
KR102669178B1 (ko) 링비트와 강관 연결장치, 직천공 보강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