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298B1 - 굴착용 비트 - Google Patents

굴착용 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298B1
KR101523298B1 KR1020130058268A KR20130058268A KR101523298B1 KR 101523298 B1 KR101523298 B1 KR 101523298B1 KR 1020130058268 A KR1020130058268 A KR 1020130058268A KR 20130058268 A KR20130058268 A KR 20130058268A KR 101523298 B1 KR101523298 B1 KR 101523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guide groove
bit body
stopp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8397A (ko
Inventor
최우성
Original Assignee
(주)씨엔피텍
최우성
동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피텍, 최우성, 동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씨엔피텍
Priority to KR1020130058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298B1/ko
Publication of KR2014013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26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 E21B10/32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 E21B10/327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the cutter being pivoted about a longitudin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62Drill bits characterised by parts, e.g. cutting elements, which are detachable or adjustable
    • E21B10/627Drill bits characterised by parts, e.g. cutting elements, which are detachable or adjustable with plural detachable cutting elements
    • E21B10/633Drill bits characterised by parts, e.g. cutting elements, which are detachable or adjustable with plural detachable cutting elements independently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이 가능한 윙비트를 이용하여 강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굴착용 비트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굴착면이 형성되고, 타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비트 몸체; 상기 비트 몸체의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될 수 있는 축돌기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된 상기 축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비트 몸체와 조립되어 회동될 수 있는 윙비트; 및 상기 축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비트 몸체에 설치되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착용 비트{Drilling bit}
본 발명은 밀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철이 가능한 윙비트를 이용하여 강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굴착용 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관 그라우팅 공법은 지반을 보강하면서 차수성을 향상시키는 지하 굴착보조 공법으로, 강관을 지반에 설치하고 그 강관의 내측으로 그라우트재를 주입함으로서 주입재에 의한 지반의 고결로 강관과 지반을 일체로 만들고 토질, 암반의 전단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주입을 강관속에서 수행하므로 시공성,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공법이다.
이러한 강관 그라우팅 공법은 그 효과를 인정받아 터널보강 공법의 일환으로 정착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관 그라우팅 공법은 지반을 천공하는 단계와, 천공된 천공홀에 스트레이너(그라우트재 주입부)가 설치된 강관을 삽입하는 단계와, 강관과 천공홀 사이에 실링재를 투입하는 단계와, 패커를 설치하면서 시멘트를 주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천공 후 강관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천공홀이 자연 유지되지 않는 연약한 토사지반에서는 천공홀의 무너짐 또는 이물질 혼합 등으로 강관의 삽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고 제10091962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접철이 가능한 윙비트를 이용하여 강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접철식 윙비트는 비트 몸체와는 별도의 부품인 핀을 조립하여 윙비트를 비트 몸체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서, 윙비트와 핀이 서로 분리된 별도 부품이고, 서로 간의 허용 오차가 존재하여 서로 조립된 후, 굴착 과정에서 발생되는 엄청난 외력과 충격에 의해서 윙비트와 핀이 미세하게 서로 충돌하여 틈새가 벌어지거나 급기야 윙비트 또는 핀이 파손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핀은 비트 몸체를 관통하여 조립되기 때문에 핀의 일부분이 노출되는 것으로서, 굴착 과정에서 발생되는 엄청난 외력과 충격에 의해서 발생된 핀과 비트몸체의 틈새 사이로 각종 이물질들이 쉽게 침투하여 윙비트의 접철을 방해하거나 심지어 상기 핀이 비트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등 내구성이 매우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핀은 상기 비트 몸체에 억지 물림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윙비트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워서 장치를 관리하기가 매우 번거로웠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윙비트와 축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외력과 충격에 강하고, 축돌기가 비트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내설식이기 때문에 윙비트의 이탈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착탈이 가능한 스토퍼부재를 이용하여 윙비트의 수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굴착용 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굴착용 비트는, 일측에 굴착면이 형성되고, 타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비트 몸체; 상기 비트 몸체의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될 수 있는 축돌기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된 상기 축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비트 몸체와 조립되어 회동될 수 있는 윙비트; 및 상기 축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비트 몸체에 설치되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비트 몸체는, 일측에 상기 윙비트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윙비트 수용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스토퍼 부재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스토퍼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윙비트 수용홈의 내측 벽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굴착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축돌기 진입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홈은,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방향홈 및 상기 제 1 방향홈과 연결되고, 제 2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방향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홈은, 끝단이 둥근 내경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홈은, 입구에서 중간까지는 폭이 상대적으로 좁고, 끝단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확폭형 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윙비트는, 양측면에 각각 축돌기가 형성되고, 하면에 제 1 굴착면이 형성되며, 전면에 제 2 굴착면, 전면의 일부에 경사진 제 3 굴착면, 후면에 둥근 외경면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축돌기는, 상기 윙비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단면이 적어도 원형 축돌기, 링형 축돌기, 복수개의 조각으로 등각 분할된 분할 원형 축돌기, 복수개의 조각으로 등각으로 분할된 분할 링형 축돌기, 타원형 축돌기, 부분적으로 평평한 부분 원형 축돌기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비트 몸체의 나사부가 관통되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인 스토퍼 몸체; 및 상기 스토퍼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비트 몸체의 가이드홈 입구에 형성된 스토퍼 수용홈에 삽입되는 스토퍼암;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스토퍼암에 형성되고, 상기 축돌기의 일부와 접촉되도록 오목한 지지홈을 갖는 축돌기 지지 핑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굴착용 비트는, 상기 비트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를 관통하는 상기 비트 몸체의 나사부와 나사 체결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비트 몸체에 고정시키는 가이드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굴착시 발생되는 외력과 충격에 강하고, 윙비트의 이탈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장치의 정밀도와 신뢰성과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윙비트의 수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장치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굴착용 비트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품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이드홈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가이드홈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가이드홈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윙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5는 도 8의 다른 일례들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6은 도 2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굴착용 비트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스토퍼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굴착용 비트(100)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품 조립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가이드홈(10b)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굴착용 비트(100)는, 크게 비트 몸체(10)와, 윙비트(20) 및 스토퍼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 몸체(10)는, 일측에 초경팁(T)이 설치되는 굴착면(10a)이 형성되고, 타측에 가이드홈(10b)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상기 윙비트(20)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윙비트 수용홈(11)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스토퍼 부재(30)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스토퍼 수용홈(1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0b)은 상기 윙비트 수용홈(11)의 내측 벽면에 형성되는 일종의 금속 블록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10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착 진행 방향(F)을 기준으로 축돌기 진입각도(A)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0b)은, 일자 형상이고, 그 끝단이 둥근 내경면(10d)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윙비트(20)의 상기 축돌기(21)가 상기 가이드홈(10b)에 상기 축돌기 진입각도(A)로 경사지게 진입하여 상기 둥근 내경면(10d)까지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가이드홈(10b)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0e)은,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방향홈(10f) 및 상기 제 1 방향홈(10f)과 연결되고, 제 2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방향홈(10g)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윙비트(20)의 상기 축돌기(21)가 상기 제 1 방향홈(10f)에 먼저 진입한 다음, 상기 제 2 방향홈(10f)으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가이드홈(10b)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0h)은, 입구에서 중간까지는 폭(W1)이 상대적으로 좁고, 끝단의 폭(W2)이 상대적으로 넓은 확폭형 홈일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윙비트(20)의 상기 축돌기(28)가 특정 각도로 상대적으로 좁은 폭(W1)을 갖는 가이드홈(10h)의 입구를 지나서, 상대적으로 넓은 폭(W2)을 갖는 가이드홈(10h)의 끝단에 도달되어 자유로운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윙비트(20)는, 상기 비트 몸체(10)의 가이드홈(10b)을 따라 안내될 수 있는 축돌기(21)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0b)을 따라 안내된 상기 축돌기(21)를 기준으로 상기 비트 몸체(10)와 조립되어 회동될 수 있는 일종의 금속 블록일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윙비트(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VIII-VIII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5는 도 8의 다른 일례들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고, 도 16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윙비트(20)는, 양측면에 각각 축돌기(21)가 형성되고, 하면에 제 1 굴착면(20a)이 형성되며, 전면에 제 2 굴착면(20b), 전면의 일부에 경사진 제 3 굴착면(20c), 후면에 둥근 외경면(20d)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굴착면(20a), 제 2 굴착면(20b) 및 제 3 굴착면(20c)에는 굴착용 초경팁(T)들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돌기(21)는, 상기 윙비트(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비트 몸체(10b)의 가이드홈(10b)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원형인 축돌기(21)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축돌기(21)는 상기 가이드홈(10b)에 헐겁게 또는 억지로 삽입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 축돌기(22)일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조각으로 등각 분할된 분할 원형 축돌기(23)일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조각으로 등각 분할된 분할 원형 축돌기(24)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할 원형 축돌기(23)(24)는 2개 이상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돌기는, 2개의 조각으로 등각으로 분할된 분할 링형 축돌기(25)일 수 있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조각으로 등각으로 분할된 분할 링형 축돌기(26)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할 링형 축돌기(25)(26)는 2개 이상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돌기는, 타원형 축돌기(27)일 수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평평한 부분 원형 축돌기(28)일 수 있다.
이외에도, 이러한 상기 축돌기(21)는, 상기 비트 몸체(10)의 가이드홈(10b)에 삽입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형태의 축돌기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도 2의 저면도이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윙비트(20)는 상기 비트 몸체(10)의 좌우측면에 각각 1개씩 총 2개가 설치되어 상기 비트 몸체(10)로부터 돌출되어 굴착시 강관이 충분히 삽입될 수 있도록 넓은 면적으로 굴착할 수 있다.
여기서, 굴착시 에어나 물 등의 작동 유체를 작동 유체 투입홈(G1)으로 투입하고, 굴착된 이물질들은 작동 유체 배출홈(G2)을 따라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굴착을 마친 후, 도 2의 점선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윙비트(20)가 상기 축돌기(21)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비트 몸체(10) 방향으로 접철되어 상기 강관의 내경면으로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굴착용 비트(200)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윙비트(20)는 상기 비트 몸체(10)의 측면에 총 3개가 설치되어 상기 비트 몸체(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윙비트(20)는 상기 비트 몸체(10)에 4개 등 2개 이상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부재(30)는, 상기 비트 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축돌기(21)가 상기 가이드홈(10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홈(10b)의 입구(10c)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일종의 금속 블록일 수 있다.
도 18은 도 1의 스토퍼 부재(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부재(30)는, 상기 비트 몸체(10)의 나사부(13)가 관통되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인 스토퍼 몸체(31) 및 상기 스토퍼 몸체(31)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비트 몸체(10)의 가이드홈(10b) 입구(10c)에 형성된 스토퍼 수용홈(12)에 삽입되는 스토퍼암(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윙비트(20)의 상기 축돌기(21)가 상기 가이드홈(10b)에 상기 축돌기 진입각도(A)로 경사지게 진입하여 상기 둥근 내경면(10d)까지 완전히 삽입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부재(30)가 상기 비트 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10b) 입구(10c)를 폐쇄하면, 상기 윙비트(20)의 축돌기(21)가 상기 가이드홈(10b)의 둥근 내경면(10d)에 의해 축지지되어 상기 윙비트(20)가 상기 비트 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접철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윙비트(20)와 상기 축돌기(21)가 일체형인 단일 부품이므로 부품 간의 충돌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굴착 과정에서 발생되는 엄청난 외력과 충격에서도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윙비트(20)의 축돌기(21)가 상기 비트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가이드홈(10b)에 삽입되는 내설식이기 때문에 각종 이물질들의 침투를 차단하여 고장이나 오동작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 부재(30)를 분리하면 상기 윙비트(20)를 쉽게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관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9는 도 18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부재(30)는, 상기 스토퍼암(32)에 형성되고, 상기 축돌기(21)의 일부와 접촉되도록 오목한 지지홈(33a)을 갖는 축돌기 지지 핑거(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부재(30)의 지지홈(33a)에 상기 축돌기(21)의 일부가 접촉되어 보다 견고하게 회전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굴착용 비트(100)는, 상기 비트 몸체(10)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30)를 관통하는 상기 비트 몸체(10)의 나사부(13)와 나사 체결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30)를 상기 비트 몸체(10)에 고정시키는 가이드 디바이스(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사부(13)는 적은 회전 횟수로도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40)와 쉽게 체결될 수 있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윙비트(20)의 상기 축돌기(21)가 상기 가이드홈(10b)에 진입하여 상기 둥근 내경면(10d)까지 완전히 삽입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부재(30)가 상기 비트 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10b) 입구(10c)를 폐쇄하고, 상기 비트 몸체(10)가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40)에 견고하게 체결되면, 상기 윙비트(20)의 축돌기(21)가 상기 가이드홈(10b)의 둥근 내경면(10d)에 의해 축지지되어 상기 윙비트(20)가 상기 비트 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접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비트 몸체
10a: 굴착면
10b, 10e: 가이드홈
10c: 입구
10d: 둥근 내경면
10f:제 1 방향홈
10g: 제 2 방향홈
10h: 가이드홈
W1, W2: 폭
11: 윙비트 수용홈
12: 스토퍼 수용홈
13: 나사부
20: 윙비트
20a: 제 1 굴착면
20b: 제 2 굴착면
20c: 제 3 굴착면
20d: 둥근 외경면
21: 축돌기
22: 링형 축돌기
23, 24: 분할 원형 축돌기
25, 26: 분할 링형 축돌기
27: 타원형 축돌기
28: 부분 원형 축돌기
F: 굴착 진행 방향
A: 축돌기 진입각도
G1: 작동 유체 투입홈
G2: 작동 유체 배출홈
30: 스토퍼 부재
31: 스토퍼 몸체
32: 스토퍼암
33a: 지지홈
33: 축돌기 지지 핑거
40: 가이드 디바이스
100: 굴착용 비트

Claims (12)

  1. 일측에 굴착면이 형성되고, 타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비트 몸체;
    상기 비트 몸체의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될 수 있는 축돌기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된 상기 축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비트 몸체와 조립되어 회동될 수 있는 윙비트; 및
    상기 축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비트 몸체에 설치되는 스토퍼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몸체는, 일측에 상기 윙비트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윙비트 수용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스토퍼 부재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스토퍼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윙비트 수용홈의 내측 벽면에 형성되는 것인 굴착용 비트.
  2. 일측에 굴착면이 형성되고, 타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비트 몸체;
    상기 비트 몸체의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될 수 있는 축돌기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된 상기 축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비트 몸체와 조립되어 회동될 수 있는 윙비트;
    상기 축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비트 몸체에 설치되는 스토퍼 부재; 및
    상기 비트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를 관통하는 상기 비트 몸체의 나사부와 나사 체결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비트 몸체에 고정시키는 가이드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굴착용 비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굴착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축돌기 진입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인 굴착용 비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방향홈 및 상기 제 1 방향홈과 연결되고, 제 2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방향홈을 포함하는 것인 굴착용 비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끝단이 둥근 내경면을 갖는 것인 굴착용 비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입구에서 중간까지는 폭이 상대적으로 좁고, 끝단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확폭형 홈인 굴착용 비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윙비트는, 양측면에 각각 축돌기가 형성되고, 하면에 제 1 굴착면이 형성되며, 전면에 제 2 굴착면, 전면의 일부에 경사진 제 3 굴착면, 후면에 둥근 외경면이 형성되는 것인 굴착용 비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돌기는, 상기 윙비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단면이 적어도 원형 축돌기, 링형 축돌기, 복수개의 조각으로 등각 분할된 분할 원형 축돌기, 복수개의 조각으로 등각으로 분할된 분할 링형 축돌기, 타원형 축돌기, 부분적으로 평평한 부분 원형 축돌기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굴착용 비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비트 몸체의 나사부가 관통되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인 스토퍼 몸체; 및
    상기 스토퍼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비트 몸체의 가이드홈 입구에 형성된 스토퍼 수용홈에 삽입되는 스토퍼암;
    을 포함하는 굴착용 비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스토퍼암에 형성되고, 상기 축돌기의 일부와 접촉되도록 오목한 지지홈을 갖는 축돌기 지지 핑거;
    를 더 포함하는 굴착용 비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를 관통하는 상기 비트 몸체의 나사부와 나사 체결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비트 몸체에 고정시키는 가이드 디바이스;
    를 더 포함하는 굴착용 비트.
  12. 일측에 굴착면이 형성되고, 타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비트 몸체;
    상기 비트 몸체의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될 수 있는 축돌기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된 상기 축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비트 몸체와 조립되어 회동될 수 있는 윙비트; 및
    상기 축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비트 몸체에 설치되는 스토퍼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비트 몸체의 나사부가 관통되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인 스토퍼 몸체; 및
    상기 스토퍼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비트 몸체의 가이드홈 입구에 형성된 스토퍼 수용홈에 삽입되는 스토퍼암;
    을 포함하는 굴착용 비트.
KR1020130058268A 2013-05-23 2013-05-23 굴착용 비트 KR101523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268A KR101523298B1 (ko) 2013-05-23 2013-05-23 굴착용 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268A KR101523298B1 (ko) 2013-05-23 2013-05-23 굴착용 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397A KR20140138397A (ko) 2014-12-04
KR101523298B1 true KR101523298B1 (ko) 2015-05-28

Family

ID=52459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268A KR101523298B1 (ko) 2013-05-23 2013-05-23 굴착용 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444B1 (ko) * 2016-07-28 2019-05-10 (주)동우기계 토목공사용 확공 비트
WO2018088770A1 (ko) * 2016-11-10 2018-05-17 (주)씨엔피텍 굴착용 비트 및 굴착용 강관
CN109681123B (zh) * 2018-11-28 2023-09-29 山东唐口煤业有限公司 一种直径可调式钻头及分段扩孔方法
CN110671057B (zh) * 2019-10-25 2021-06-01 辽宁石油化工大学 一种具有抗冲击性能的防卡钻钻头
CN110607993B (zh) * 2019-10-26 2021-06-01 辽宁石油化工大学 一种内外翻转式防卡钻钻头
CN110725651B (zh) * 2019-10-26 2021-05-25 辽宁石油化工大学 一种壳式包裹防卡钻取心钻头
KR20210107329A (ko) * 2020-02-24 2021-09-01 김규상 원형관 중굴용 굴착장치
WO2021085915A1 (ko) * 2019-10-29 2021-05-06 김규상 원형관 중굴용 굴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5778A (ja) * 2001-03-26 2002-10-03 Ueruman:Kk 掘削装置
US20030111267A1 (en) * 2000-06-28 2003-06-19 Pia Giancarlo T. Drill bits
KR20120125589A (ko) * 2012-09-07 2012-11-16 이두영 지반 굴착 해머용 확경 비트 시스템
KR20130020648A (ko) * 2012-09-07 2013-02-27 계진태 지반 굴착 해머용 비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1267A1 (en) * 2000-06-28 2003-06-19 Pia Giancarlo T. Drill bits
JP2002285778A (ja) * 2001-03-26 2002-10-03 Ueruman:Kk 掘削装置
KR20120125589A (ko) * 2012-09-07 2012-11-16 이두영 지반 굴착 해머용 확경 비트 시스템
KR20130020648A (ko) * 2012-09-07 2013-02-27 계진태 지반 굴착 해머용 비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397A (ko)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298B1 (ko) 굴착용 비트
KR101665346B1 (ko) 굴착용 비트
KR101664030B1 (ko) 굴착용 비트
KR101658658B1 (ko) 굴착용 비트
RU2444630C2 (ru) Анкерный болт и анк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9163378B2 (en) Pin retainer for dragline pins
EP3184729B1 (en) Excavation tool
KR20090054192A (ko) 굴착 해머용 비트
KR101705284B1 (ko) 굴착용 비트
KR101636261B1 (ko) 가압이 가능한 돌기형 강지보재와 가이드빔을 이용한 강관다단 터널 구축 공법
ZA200505789B (en) Drill bit assembly, drill rod including the drill bit assembly and drill tip for a self drilling rock or roof bolt
KR20170051834A (ko) 굴착용 비트
KR101656438B1 (ko) 압축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확공 날개를 구비한 굴착 비트
KR10223132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용 팩커
US10060206B2 (en) Percussion rock drilling machine and drill rig
KR20220034714A (ko) 확공 오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공말뚝 시공 방법
KR101819369B1 (ko) 회수형 해머비트
KR102015467B1 (ko) 강관 다단 그라우팅용 강관구조체
JP3949019B2 (ja) オーガ
JP6238296B2 (ja) シールド掘進機
CA2948794A1 (en) Earth boring systems and methods with integral debris removal
KR20200109011A (ko) 회수형 천공비트
CN103221293A (zh) 盖部件
KR102333516B1 (ko) 보강용 파이프 핀 및 이를 이용한 보강 공법
KR20120025776A (ko) 직천공 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