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677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677B1
KR101758677B1 KR1020110122532A KR20110122532A KR101758677B1 KR 101758677 B1 KR101758677 B1 KR 101758677B1 KR 1020110122532 A KR1020110122532 A KR 1020110122532A KR 20110122532 A KR20110122532 A KR 20110122532A KR 101758677 B1 KR101758677 B1 KR 101758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roller
image forming
main body
paper feed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774A (ko
Inventor
장호진
배현욱
이승권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2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677B1/ko
Priority to US13/585,464 priority patent/US8781361B2/en
Priority to EP12188153.6A priority patent/EP2597526B1/en
Publication of KR20130056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9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paper trans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lasma & Fu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 롤러를 상담지체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와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대전 롤러가 상기 상담지체와 접촉하는 제1위치와 상기 대전 롤러가 상기 상담지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대전롤러를 이동시킬 수 있는 대전 롤러 이격 유닛,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 급지 카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급지 카세트가 접힌 상태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대전 롤러 이격 유닛에 의해 상기 대전 롤러는 상기 제2위치에 고정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전 롤러를 상담지체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유통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 화상 형성 장치는 상담지체에 소정의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그 후, 상담지체의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한 후, 현상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고, 현상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하여 인쇄를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대전 부재에 의해 외주면이 균일하게 대전되는 상담지체와 상담지체에 소정의 빛을 방출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 및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 잠상을 현상제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부재를 포함한다.
대전 부재가 상담지체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방법에는 코로나 방전 방식과 근접 대전 방식이 있다. 근접 대전 방식은 롤러나 블레이드를 상담지체에 접촉시키고 롤러나 블레이드와 상담지체 사이의 미소한 공극에서 방전을 일으켜 상담지체를 대전시키는 방식이다. 코로나 방전은 공기를 이온화시키는 과정에서 오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오존 발생이 적은 근접 대전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특히, 근접 대전 방식 중에서도 대전 롤러를 상담지체에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시켜 상담지체의 외주면을 대전시키는 롤러 접촉 대전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그런데, 대전 롤러와 상담지체를 일정한 가압력으로 장기간 접촉시키면 압축 변형(Compression Set)이나 마이그레이션(Migration) 등의 품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압축 변형이란 대전 롤러가 상담지체와의 장기간 접촉으로 인해 눌려 있던 접촉 부분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지 않는 현상을 가리키며, 마이그레이션이란 대전 롤러에 함유된 물질이 대전 롤러와 상담지체의 장기간 접촉에 의해 발생한 열과 압력을 받고 대전 롤러의 외부로 나와 상담지체에 전이되어 고착되는 것을 말한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인쇄물을 출력하였을 때 출력 화상에 대전 롤러의 회전 주기 또는 상담지체 외주면외 회전 주기로 가로 줄무늬가 생겨 화상 불량을 야기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조된 후, 판매를 위해 유통되는 중에는 대전 롤러와 상담지체가 서로 비접촉인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유통 중에 대전 롤러와 상담지체를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간지를 대전 롤러와 상담지체 사이에 삽입하여 비접촉 상태로 만든 후 유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를 구매한 후, 간지를 제거한 다음, 화상 형성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마이그레이션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압축 변형의 문제는 해결하기 힘들고, 사용자가 간지를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다른 방안으로는, 대전 롤러의 양단에 설치된 이격부재로 대전 롤러와 상담지체를 이격시킨 후, 상담지체가 구동되면 이격부재가 회전하여 자동으로 대전 롤러와 상담지체가 접촉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이격부재의 돌기가 상담지체를 향하도록 설치하기 위해 특별한 지그(JIG)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생산 공정이 복잡하고, 유통 중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이격부재가 스스로 회전하여 대전 롤러가 상담지체와 접촉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유통시 온도와 습도가 다른 다양한 환경 및 장기 방치로 인해 상담지체와 대전 롤러 사이의 접촉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대전 롤러가 상담지체에 접촉되어 유통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전 롤러를 상담지체와 이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상담지체; 상기 상담지체와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대전 롤러가 상기 상담지체와 접촉하는 제1위치와 상기 대전 롤러가 상기 상담지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대전롤러를 이동시킬 수 있는 대전 롤러 이격 유닛;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 급지 카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급지 카세트가 접힌 상태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대전 롤러 이격 유닛에 의해 상기 대전 롤러는 상기 제2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지 카세트가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거나, 연장된 상태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대전 롤러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 롤러 이격 유닛은, 상기 대전 롤러와 연결되는 링크 부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급지 카세트의 장착 및 분리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지 카세트에는 상기 레버 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레버 고정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지 카세트가 접혀진 상태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레버 고정부재가 상기 레버 부재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레버 부재가 급지 카세트에 수직인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급지 카세트가 연장된 상태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레버 고정부재는 상기 레버 부재를 지지하지 않아 상기 레버 부재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 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레버 부재의 상단에 걸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타단은 상기 대전 롤러의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대전 롤러의 샤프트의 일단에는 고정 캡이 설치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타단은 상기 고정 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 롤러의 양단을 지지하며, 상기 상담지체를 향하여 상기 대전 롤러를 가압하는 대전 롤러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 롤러 홀더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 프레임에는 상기 레버 부재의 일단이 통과하며, 상기 레버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링크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링크 안내 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대전 롤러는 화상 형성 카트리지에 설치되며, 상기 화상 형성 카트리지는 상기 본체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대전 롤러가 상담지체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링크 부재와 레버 부재의 관계를 보여 주기 위해 우측 프레임을 제거한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롤러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화상 형성 장치의 레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의 화상 형성 장치의 레버 부재의 상단에 걸린 링크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화상 형성 카트리지의 우측 벽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화상 형성 카트리지의 우측 벽에 설치된 대전 롤러 홀더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급지 카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급지 카세트를 연장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급지 카세트를 분리하였을 때, 링크 부재와 레버 부재의 관계를 보여 주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접혀진 급지 카세트를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한 경우에 레버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레버 부재의 상단에 링크 부재의 걸림부를 거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급지 카세트를 연장한 후, 급지 카세트를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롤러 이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롤러 접촉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대전 롤러가 상담지체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링크 부재와 레버 부재의 관계를 보여 주기 위해 우측 프레임을 제거한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1)의 내부에 설치된 레버 부재(70), 링크 부재(60), 레버 고정부재(25) 등의 동작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이 없는 화상 형성 장치(1)의 본체(10)에 설치되는 여려 종류의 커버, 정착유닛, 노광유닛 등을 제거하고,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본체(10)의 프레임과, 화상 형성 카트리지(30), 급지 카세트(20)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에서 화상 형성 카트리지(30)는 하우징(30a)의 우측 벽(39)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1)는 본체(10), 급지 카세트(20), 화상 형성 카트리지(30), 대전 롤러 이격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와 급지 카세트(20)를 수용 및 지지하며,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와 급지 카세트(20)는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체(10)는 좌측 프레임(12)과 우측 프레임(11)을 포함한다. 좌측 및 우측 프레임(12,11)은 상부 프레임(13)과 바닥 프레임(14)에 의해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어 있다. 바닥 프레임(14)의 하측에는 급지 카세트(20)가 삽입되는 카세트 공간(15)이 형성된다.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 프레임(12,11)에는 상담지체(31)와 대전 롤러(32)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카트리지(30)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16)가 마련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카트리지(30)를 카트리지 장착부(16)에 장착하면, 화상 형성 카트리지(30)는 본체(10) 내에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담지체(31)와 대전 롤러(32)가 본체(10)에서 분리 가능한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담지체(31)와 대전 롤러(32)는 본체(1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급지 카세트(20)는 일정 매수의 인쇄매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본체(10)의 바닥 프레임(14)의 하측의 카세트 공간(15)에 장착된다. 급지 카세트(20)는 화상 형성 장치(1)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일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9는 규격 사이즈의 인쇄매체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 공간(26)을 갖는 정상 상태의 급지 카세트(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 예로서, 도 9는 A4의 크기를 갖는 인쇄매체를 적재할 수 있는 급지 카세트(20)가 정상 상태로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9의 급지 카세트(20)는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급지 카세트(20)는 고정부(21)와 이동부(23)로 구성할 수 있다. 이동부(23)의 바닥면과 양 측벽은 고정부(21)의 바닥면과 양 측벽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9에서 급지 카세트(20)의 이동부(23)를 화살표 B방향으로 밀면 급지 카세트(20)의 길이가 줄어든다. 도 8은 길이가 줄어든 급지 카세트(20), 즉 접혀진 급지 카세트(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의 급지 카세트(20)의 이동부(23)를 화살표 C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급지 카세트(20)의 길이가 늘어나 도 9와 같이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지 카세트(20)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다. 도 9와 같이 급지 카세트(20)가 연장된 경우에는 급지 카세트(20)는 화상 형성 장치(1)에 인쇄매체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화상 형성 장치(1)를 인쇄를 위해 사용될 경우에는 급지 카세트(20)를 연장한 후, 화상 형성 장치(1)의 카세트 공간(15)에 장착한다. 한편, 도 8과 같이 급지 카세트(20)가 접혀진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1)가 유통 중일 때이다. 즉, 화상 형성 장치(1)를 제조할 때, 작업자는 급지 카세트(20)를 도 8과 같이 접혀진 상태로 하여 화상 형성 장치(1)에 장착한다. 그러면, 화상 형성 장치(1)는 그 크기를 최소로 할 수 있으므로, 유통시 포장비용 및 운송비용을 최소로 할 수 있다.
급지 카세트(20)의 고정부(21)의 일 측벽에는 레버 고정부재(25)가 설치된다. 레버 고정부재(25)는 후술하는 대전 롤러 이격 유닛(50)의 레버 부재(70)가 급지 카세트(20)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레버 부재(20)의 하단(72)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대전 롤러 이격 유닛(50)이 본체(10)의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급지 카세트(20)의 양 측벽에 레버 고정부재(25)가 각각 설치된다.
화상 형성 카트리지(30)는 상담지체(31)와 대전 롤러(32)를 포함하며, 노광유닛에서 방출되는 빛에 의해 상담지체(31)에 소정의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화상 형성 카트리지(30)는 상담지체(31)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롤러(미도시)와 현상롤러에 공급할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저장공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 롤러(32)는 상담지체(31)와 마주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샤프트(33)와 샤프트(33)의 외주에 형성되며 상담지체(31)와 접촉하는 롤러부(34)를 포함한다. 샤프트(33)의 양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전 롤러 홀더(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대전 롤러 홀더(40)의 상단에는 대전 롤러(32)의 샤프트(33)를 회전 지지할 수 있는 축 홈(41)이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대전 롤러(32)의 샤프트(33)를 상담지체(31)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43)가 설치된다. 가압부재(43)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가압부재(43)의 타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하우징(30a)의 일 측벽(39)에 고정된다. 따라서, 대전 롤러(32)는 가압부재(43)에 의해 항상 상담지체(31)로 향하는 힘을 받고 있다.
대전 롤러 홀더(40)는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하우징(30a)의 내측에 설치되며, 하우징(30a)의 일 측벽(39)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6은 도 1의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하우징(30a)의 우측 벽(39)을 화살표 A 방향, 즉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하우징(30a)의 내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하우징(30a)의 우측 벽(39)에 대전 롤러 홀더(4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의 하우징(30a)의 우측 벽(39)의 구멍(39a)에는 상담지체(31)의 샤프트가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하우징(30a)의 내측 벽(39)에는 대전 롤러 홀더(40)가 내측 벽(39)에 대해 슬라이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2개의 안내 부재(46)와 2개의 지지 부재(47)가 형성된다. 2개의 안내 부재(46)는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하우징(30a)의 내측 벽(39)에서 하우징(30a) 내측으로 돌출되며 대전 롤러 홀더(40)가 내측 벽(39)과 이격되어 슬라이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2개의 지지 부재(47)는 2개의 안내 부재(46)의 양측으로 하우징(30a)의 내측 벽(39)에 설치되며, 대전 롤러 홀더(40)의 전면의 양측(44,45)을 지지하여 대전 롤러 홀더(40)가 슬라이드 운동을 하는 동안 2개의 안내 부재(46)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즉, 대전 롤러 홀더(40)의 전면은 2개의 지지 부재(47)에 의해 지지되고 대전 롤러 홀더(40)의 후면은 2개의 안내 부재(46)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대전 롤러 홀더(40)는 2개의 안내 부재(46)와 2개의 지지 부재(47)에 의해 하우징(30a)의 내측 벽(39)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하우징(30a)의 내측 벽(39)에는 2개의 안내 부재(46)의 아래쪽으로 대전 롤러 홀더(40)의 가압부재(43)를 고정할 수 있는 가압부재 고정돌기(42)가 형성된다. 따라서, 대전 롤러 홀더(40)는 가압부재(43)에 의해 항상 상담지체(31) 쪽으로 가압력을 받고 있다.
대전 롤러 이격 유닛(50)은 본체(10)에 설치되며, 대전 롤러(32)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중 어느 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위치는 대전 롤러(32)가 상담지체(31)와 접촉하여 대전 닙(charging nip)을 형성하는 위치이고, 제2위치는 대전 롤러(32)가 상담지체(31)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이다.
이와 같은 대전 롤러 이격 유닛(50)은 링크 부재(60)와 레버 부재(7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부재(60)는 대전 롤러(32)에 일정한 힘을 인가하여 대전 롤러(32)가 상담지체(31)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굽혀질 수 있는 얇은 밴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링크 부재(60)의 일단(61)은 대전 롤러(32)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5를 참조하면, 대전 롤러(32)의 샤프트(33)의 일단에 고정 캡(64)을 고정하고, 링크 부재(60)의 일단(61)은 고정 캡(64)에 연결되도록 형성하였다. 이를 위해, 고정 캡(64)의 연장부(65)에는 걸림 돌기(66)를 형성하고, 링크 부재(60)의 일단(61)에는 걸림 돌기(66)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 구멍(61a)을 형성한다. 고정 캡(64)의 걸림 돌기(66)를 링크 부재(60)의 일단(61)에 형성된 고정 구멍(61a)에 삽입하면 고정 캡(64)이 링크 부재(60)의 일단(61)에 결합된다. 이때, 링크 부재(60)는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와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필름 또는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캡(64)에 연결된 링크 부재(60)는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하우징(30a)의 내측 벽(39)에 형성된 방향 전환 부재(48)와 링크 안내 부재(49)에 의해 이동이 안내된다. 방향 전환 부재(48)는 하우징(30a)의 내측 벽(39)에 2개의 안내 부재(46) 아래에 하우징(30a)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링크 부재(60)의 방향을 링크 안내 부재(49) 쪽으로 전환시킨다. 링크 안내 부재(49)는 하우징 (30a) 내측 벽(39)에 설치되며, 링크 부재(60)가 통과할 수 있는 일정 길이의 통로(49a)를 형성한다. 따라서, 링크 부재(60)의 일부는 링크 안내 부재(49)의 통로 선단을 통해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하우징(30a) 외측으로 노출된다. 외부로 노출된 링크 부재(60)의 일단(62)에는 걸림부(67)가 설치된다. 걸림부(67)는 후술하는 레버 부재(70)의 상단에 걸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걸림부(67)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걸림부(67)의 일단에는 걸림 돌기(68)를 형성하고, 링크 부재(60)의 타단(62)에는 걸림 돌기(68)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 구멍(62a)을 형성한다. 걸림부(67)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 돌기(68)를 링크 부재(60)의 타단(62)에 형성된 고정 구멍(62a)에 삽입하면, 걸림부(67)가 링크 부재(60)의 타단(62)에 연결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걸림부(67)가 설치된 링크 부재(60)의 타단(62)을 잡아당기면, 대전 롤러(32)의 샤프트(33)에 힘이 가해져 대전 롤러(32)가 상담지체(31)로부터 이격된다.
이상에서는 링크 부재(60)와 고정 캡(64) 및 걸림부(67)를 걸림 돌기(66,68)와 고정 구멍(61a,62a)으로 연결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링크 부재(60)는 고정 캡(64) 및/또는 걸림부(67)에 접착제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위의 실시예에서는 링크 부재(60)가 고정 캡(64)을 이용하여 대전 롤러(32)에 고정되었으나, 다른 예로서 링크 부재(60)를 대전 롤러(32)의 샤프트(33)에 직접 고정하거나 대전 롤러 홀더(40)에 고정할 수도 있다.
레버 부재(70)는 본체(10)의 한쪽의 측면 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급지 카세트(20)의 장착 및 탈착에 따라 선택적으로 링크 부재(6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우측 벽(11)에 설치된 링크 부재(60)를 걸 수 있도록 레버 부재(70)가 본체(10)의 우측 프레임(11)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다른 예로서, 레버 부재(70)는 본체(10)의 좌측 프레임(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링크 부재(60)는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하우징(30a)의 좌측 벽에 설치된다. 또한, 링크 부재(60)가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양측 벽(39)에 설치된 경우 레버 부재(70)도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 프레임(12,11) 모두에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레버 부재(70)의 대략 중앙에는 본체(10)의 우측 프레임(11)의 힌지 구멍(미도시)에 삽입되는 힌지 축(71)이 형성되고, 레버 부재(70)의 하단(72)에는 급지 카세트(20)의 레버 고정부재(2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작동부가 형성된다. 레버 부재(70)의 상단(73)은 링크 부재(60)의 걸림부(67)를 걸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레버 부재(70)는 레버 부재(70)의 하단(72)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즉, 레버 부재(70)의 하단(72)이 급지 카세트(20)의 레버 고정부재(25)와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는 레버 부재(70)가 힌지 축(71)을 중심으로 레버 부재(70)의 상단(73)이 대전 롤러(32) 쪽을 향해 회전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레버 부재(70)의 하단(72)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레버 부재(7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하였다. 따라서, 급지 카세트(20)의 레버 고정부재(25)가 레버 부재(70)의 하단(72)과 접촉하지 않으면, 레버 부재(70)의 상단(73)은 화상 형성 카트리지(30)를 향해 기울어진다.
또한, 레버 부재(70)는 우측 프레임(11)의 중간 격벽(17) 위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중간 격벽(17)에는 관통 구멍(18)이 형성된다. 관통 구멍(18)은 레버 부재(7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한다. 예를 들어, 급지 카세트(20)의 레버 고정부재(25)가 레버 부재(70)의 하단(72)을 지지하지 않는 경우, 레버 부재(7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의 회전 범위는 관통 구멍(18)의 길이에 의해 제한된다.
이와 같은 레버 부재(70)는 급지 카세트(20)를 화상 형성 장치(1)의 본체(10)에 탈착하는 것에 의해 회전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급지 카세트(20)가 접혀진 상태로 본체(10)에 장착되면, 급지 카세트(20)에 설치된 레버 고정부재(25)는 레버 부재(70)가 본체(10)의 우측 프레임(11)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즉, 접혀진 급지 카세트(20)가 본체(10)에 장착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20)의 레버 고정부재(25)와 레버 부재(70)의 하단(72)이 간섭되어 레버 부재(70)는 급지 카세트(20)에 대해 수직하게 고정된다. 한편, 급지 카세트(20)가 늘려진 상태, 즉 정상 크기로 복원된 상태로 본체(10)에 장착되면, 급지 카세트(20)의 레버 고정부재(25)가 레버 부재(70)의 하단(72)과 간섭되지 않으므로 레버 부재(70)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레버 부재(70)는 자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한다. 또한, 급지 카세트(20)가 본체(1)에서 분리된 경우에도, 급지 카세트(20)의 레버 고정부재(25)가 레버 부재(70)의 하단(72)과 간섭되지 않으므로 레버 부재(70)는 본체(10)의 우측 프레임(1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1)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대전 롤러(32)를 상담지체(31)로부터 이격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는 조립이 완료된 화상 형성 장치(1)의 테스트를 위해, 화상 형성 카트리지(30)를 화상 형성 장치(1)의 본체(10)에 삽입한 후, 소정의 시험 인쇄를 수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1)가 인쇄 시험을 통과하면, 작업자는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대전 롤러(32)를 상담지체(31)로부터 이격시킨다.
대전 롤러(32)를 상담지체(31)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화상 형성 장치(1)에서 급지 카세트(20)를 뺀 후, 급지 카세트(20)를 접는다(S10). 즉, 급지 카세트(20)의 이동부(23)를 고정부(21) 쪽으로 이동시키면 급지 카세트(20)가 접혀진다. 그 후, 접혀진 급지 카세트(20)를 본체(10)의 카세트 공간(15)에 삽입한다(S12). 그러면, 급지 카세트(20)의 일 측벽에 설치된 레버 고정부재(25)가 레버 부재(70)의 하단(72)을 밀기 시작한다. 급지 카세트(20)가 완전히 본체(10)에 삽입되면 레버 부재(70)는 도 11과 같이 수직인 상태로 고정된다(S14).
이어서, 작업자는 링크 부재(60)의 일단(62)에 결합된 걸림부(67)를 잡아당겨 걸림부(67)를 레버 부재(70)의 상단(73)에 건다(S16). 작업자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부재(60)의 걸림부(67)를 화살표 F 방향으로 당기면, 링크 부재(60)는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하우징(30a)의 우측 벽(39)에 설치된 링크 안내 부재(49)와 방향 전환 부재(48)에 의해 가이드되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링크 부재(60)에 걸리는 힘에 의해 고정 캡(64)이 힘을 받아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고정 캡(64)이 고정된 대전 롤러(32)의 샤프트(33)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대전 롤러(32)가 상담지체(31)로부터 이격되게 된다(S18). 그 후, 화상 형성 장치는 포장되어 시장에 유통된다.
이와 같이 링크 부재(60)의 걸림부(67)를 레버 부재(70)의 상단(73)에 걸면,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상담지체(31)와 대전 롤러(32)가 서로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압축 변형이나 마이그레이션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1)를 구입한 사용자가 구입한 화상 형성 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먼저, 인쇄매체를 적재하기 위해 급지 카세트(20)를 화상 형성 장치(1)의 본체(10)에서 분리한다(S20). 이때, 급지 카세트(20)는 접힌 상태이다. 도 10과 같이 급지 카세트(20)를 화상 형성 장치(1)의 본체(10)에서 분리하면, 급지 카세트(20)의 일 측벽에 설치된 레버 고정부재(25)가 좌측으로 이동한다. 레버 고정부재(25)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레버 부재(70)의 하단(72)에 인가되던 힘이 제거되므로 레버 부재(70)는 자중 및 링크 부재(6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S22). 그러면, 레버 부재(70)가 관통 구멍(18)의 일단까지 이동하여 링크 부재의 걸림부가 레버 부재의 상단에서 벗어난다(S24). 즉, 레버 부재(70)의 상단(73)에 걸린 걸림부(67)가 연결된 링크 부재(6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링크 부재(60)에 걸린 힘이 제거된다. 그러면, 대전 롤러 홀더(40)의 가압부재(43)의 가압력에 의해 대전 롤러 홀더(4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대전 롤러(32)가 상담지체(31)와 접촉하게 된다(S26).
그 후, 사용자는 빼낸 급지 카세트(20)를 연장하여 인쇄매체를 수용한다. 즉, 급지 카세트(20)의 고정부(21)를 잡고 도 8과 같이 이동부(23)를 화살표 C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급지 카세트(20)가 연장되어 정상 크기로 복원된다. 예를 들어, A4 크기의 인쇄매체를 적재할 수 있는 급지 카세트(20)인 경우에는 연장된 급지 카세트(20)에 A4 크기의 인쇄매체를 적재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인쇄매체를 적재한 급지 카세트(20)를 도 13과 같이 화상 형성 장치(1)의 본체(10)의 카세트 공간(15)에 삽입한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20)의 일 측벽에 설치된 레버 고정부재(25)는 레버 부재(70)의 하단(72)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레버 부재(70)는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대전 롤러(32)는 상담지체(31)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1)를 사용하여 원하는 인쇄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1)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1)의 생산 공정에서 작업자는 급지 카세트(20)를 접어 장착한 후, 링크 부재(60)의 걸림부(67)를 레버 부재(70)의 상단(73)에 걸면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대전 롤러(32)가 상담지체(31)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의 생산에서 대전 롤러(32)를 상담지체(31)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1)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1)를 구입한 사용자는 급지 카세트(20)에 인쇄매체를 채우는 것만으로 대전 롤러(32)가 화상 형성 카트리지(30)의 상담지체(31)와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급지 카세트(20)를 화상 형성 장치(1)의 본체(10)에서 분리하고, 급지 카세트(20)를 연장한 후에 인쇄매체를 급지 카세트(20)에 적재하고, 급지 카세트(20)를 화상 형성 장치(1)의 본체(10)에 완전히 장착하여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20)의 일 측벽에 설치된 레버 고정부재(25)가 레버 부재(70)와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전 롤러(32)가 상담지체(31)와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동작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다.
1; 화상 형성 장치 10; 본체
11; 우측 프레임 14; 바닥 프레임
15; 카세트 공간 17; 중간 격벽
18; 관통 구멍 20; 급지 카세트
21; 고정부 23; 이동부
25; 레버 고정부재 30; 화상 형성 카트리지
31; 상담지체 32; 대전 롤러
33; 대전 롤러 샤프트 39; 하우징 우측 벽
40; 대전 롤러 홀더 41; 축 홈
43; 가압부재 46; 안내부재
47; 지지부재 48; 방향 전환 부재
49; 링크 안내 부재 50; 대전 롤러 이격 유닛
60; 링크 부재 64; 고정 캡
67; 걸림부 66,68; 걸림 돌기
70; 레버 부재 71; 힌지 축

Claims (13)

  1.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담지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카트리지;
    상기 화상 형성 카트리지에 상기 상담지체와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대전 롤러가 상기 상담지체와 접촉하는 제1위치와 상기 대전 롤러가 상기 상담지체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대전 롤러를 이동시키는 대전 롤러 이격 유닛;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지 카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급지 카세트의 최초 장착시, 상기 대전 롤러 이격 유닛에 의해 상기 대전 롤러가 상기 제2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카세트가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거나 상기 대전 롤러 이격 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대전 롤러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 이격 유닛은,
    상기 대전 롤러와 연결되는 링크 부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급지 카세트의 장착 및 분리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카세트에는 상기 레버 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레버 고정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카세트는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급지 카세트가 접혀진 상태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레버 고정부재가 상기 레버 부재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레버 부재가 급지 카세트에 수직인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급지 카세트가 연장된 상태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레버 고정부재는 상기 레버 부재를 지지하지 않아 상기 레버 부재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레버 부재의 상단에 걸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타단은 상기 대전 롤러의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의 샤프트의 일단에는 고정 캡이 설치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타단은 상기 고정 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카트리지는 상기 대전 롤러의 양단을 지지하며, 상기 상담지체를 향하여 상기 대전 롤러를 가압하는 대전 롤러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러 홀더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 프레임에는 상기 레버 부재의 일단이 통과하며, 상기 레버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카트리지에는 상기 링크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카세트는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레버 고정 부재가 상기 레버 부재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급지 카세트에 수직인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10122532A 2011-11-22 2011-11-22 화상 형성 장치 KR101758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532A KR101758677B1 (ko) 2011-11-22 2011-11-22 화상 형성 장치
US13/585,464 US8781361B2 (en) 2011-11-22 2012-08-14 Image forming apparatus
EP12188153.6A EP2597526B1 (en) 2011-11-22 2012-10-11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532A KR101758677B1 (ko) 2011-11-22 2011-11-22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774A KR20130056774A (ko) 2013-05-30
KR101758677B1 true KR101758677B1 (ko) 2017-07-19

Family

ID=4701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532A KR101758677B1 (ko) 2011-11-22 2011-11-22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81361B2 (ko)
EP (1) EP2597526B1 (ko)
KR (1) KR101758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2865B2 (ja) * 2018-12-03 2023-01-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472580B2 (ja) 2020-03-24 2024-04-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497B1 (ko) 2005-09-06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 이격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7322873A (ja) 2006-06-02 2007-12-1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2404A (ja) * 1992-12-28 1994-07-22 Canon Inc 電極の保護機構を有した画像形成装置
US5666608A (en) * 1996-05-02 1997-09-09 Hewlett-Packard Company Charging member and image forming member spacer apparatus
KR20060116327A (ko) * 2005-05-09 2006-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11191427A (ja) * 2010-03-12 2011-09-29 Fuji Xerox Co Ltd 画像成形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497B1 (ko) 2005-09-06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 이격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7322873A (ja) 2006-06-02 2007-12-1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774A (ko) 2013-05-30
EP2597526A3 (en) 2016-10-05
US20130129381A1 (en) 2013-05-23
EP2597526B1 (en) 2020-03-18
EP2597526A2 (en) 2013-05-29
US8781361B2 (en) 201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486B1 (ko) 화상 형성 장치, 그에 장착 가능한 유닛 및 분리 부재
EP2515184B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41225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3267561A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処理装置
JP2013246366A (ja) 画像形成装置
JP7192063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0170201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13464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139774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8799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758677B1 (ko) 화상 형성 장치
US98577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upporting member for dismountably supporting one or more cartridges
EP294502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30164030A1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20183326A1 (en) Packaging arrangement for image formation apparatus accommodating process cartridge
KR101484040B1 (ko) 화상형성장치
JP7115006B2 (ja)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7463080B (zh) 图像形成装置
JP6190761B2 (ja) 画像形成装置
US10486921B2 (en) Sheet accommoda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614705B2 (en) Mounting/demounting structure, apparatus using mounting/demounting structure, and mountable/demountable object
JP7225453B2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56744A (ja) 現像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967174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cartridge and urging member
TW202113453A (zh) 卡匣及影像形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