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462B1 - 주름 개선용 옷걸이 - Google Patents

주름 개선용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462B1
KR101758462B1 KR1020150123835A KR20150123835A KR101758462B1 KR 101758462 B1 KR101758462 B1 KR 101758462B1 KR 1020150123835 A KR1020150123835 A KR 1020150123835A KR 20150123835 A KR20150123835 A KR 20150123835A KR 101758462 B1 KR101758462 B1 KR 101758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frame
rotary member
teeth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203A (ko
Inventor
주명원
정민우
Original Assignee
주명원
정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원, 정민우 filed Critical 주명원
Priority to KR1020150123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4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62Trouser or skirt stretchers or tensioners of the hanger type
    • A47G25/621Trouser or skirt stretchers or tensioners of the hanger type for stretching or tensioning trouser leg ends or the trouser skirt waistband comprising gripping members being urged apart
    • A47G25/626Trouser or skirt stretchers or tensioners of the hanger type for stretching or tensioning trouser leg ends or the trouser skirt waistband comprising gripping members being urged apart comprising resilient gripp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4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 A47G25/441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having adjustable width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 개선용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에 보조 프레임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바지 길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에 하나 이상의 보조 프레임을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름 개선용 옷걸이{Wrinkle hangers}
본 발명은 구김을 방지하는 동시에 주름을 유지할 수 있는 주름 개선용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집게형 바지걸이는 상단부에 걸고리부가 설치되고 양단부에 집게결합핀이 수평으로 각각 설치된 본체가 구비되며 본체의 집게결합핀에는 바지 등을 클램핑할 수 있는 집게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집게형 바지걸이는 본체의 집게결합핀에 각각 설치된 집게를 이용하여 하나의 물건만 클램핑한 상태로 걸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물건을 걸고자 할 경우에는 물건의 수와 동일한 수의 집게형 바지걸이를 구입한 후 그 집게형 바지걸이마다 물건을 하나씩 일일이 클램핑하여 걸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실용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일 예로 한국등록실용 제0287190호(2002.08.29. 공고)에는 바지용 옷걸이가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바지용 옷걸이는 다수의 하의를 걸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그 외의 구김 방지 및 주름 개선 등의 기능이 없어 주름 펴는 기구를 이용하여 구김을 펴고 주름을 잡는 작업을 따로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0668772호(2007.01.12. 공고)에는 집게, 행거 및 이를 채택한 스팀다리미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은 스팀이 추가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주름을 개선할 수 있지만, 소음, 전력소모가 발생할 수 있고 부피가 크므로 보관에도 용의 하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0287190호(2002.08.29.) 한국등록특허 제0668772호(2007.01.12.)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메인 프레임에 보조 프레임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바지 길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에 하나 이상의 보조 프레임을 부착할 수 있는 주름 개선용 옷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집게부가 메인 프레임 또는 보조 프레임에 자력으로 탈부착 됨으로써, 집게부를 메인 프레임 또는 보조 프레임 중 바지가 펴질 수 있는 위치에 부착하여 활동중에 생긴 바지의 주름을 보관하면서 펼 수 있는 주름 개선용 옷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회전부재에 의해 걸림부가 횡방향으로 길이 조절됨으로써, 걸림부에 걸린 바지의 상부에 접힘이 발생하지 않아 바지의 상부 주름을 방지할 수 있는 주름 개선용 옷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단에 걸이부가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부를 감싸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며 옷을 고정 시키는 집게를 포함하는 집게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에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옷걸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 연속적으로 하나 이상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집게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 또는 상기 보조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보조 프레임의 마주하는 면에는 자석이 각각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톱니부가 형성된 회전부재;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톱니부와 대응되는 톱니부가 형성되는 한쌍의 걸이대;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걸이대의 톱니부가 상기 회전부재의 톱니부와 맞물려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한쌍의 걸이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프레임에 보조 프레임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바지 길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에 하나 이상의 보조 프레임을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게부가 메인 프레임 또는 보조 프레임에 자력으로 탈부착 됨으로써, 집게부를 메인 프레임 또는 보조 프레임 중 바지가 펴질 수 있는 위치에 부착하여 활동중에 생긴 바지의 주름을 보관하면서 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부재에 의해 걸림부가 횡방향으로 길이 조절됨으로써, 걸림부에 걸린 바지의 상부에 접힘이 발생하지 않아 바지의 상부 주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 개선용 옷걸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 개선용 옷걸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 개선용 옷걸이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 개선용 옷걸이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 개선용 옷걸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 개선용 옷걸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 개선용 옷걸이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 개선용 옷걸이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 개선용 옷걸이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단에 걸이부(40)가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10); 메인 프레임(10)의 일부를 감싸며 메인 프레임(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15)와, 파지부(15)와 연결되며 옷을 고정 시키는 집게(20a)를 포함하는 집게부(20); 및 메인 프레임(10)의 양측에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옷걸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개선용 옷걸이는 메인 프레임(10), 집게부(20) 및 걸림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메인 프레임(10), 집게부(20) 및 걸림부(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메인 프레임(10)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단에 걸이부(40)가 구비된다.
즉, 메인 프레임(1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높이는 대략 20㎝이며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메인 프레임(10)의 하단에는 보조 프레임(10a)이 결합되며, 메인 프레임(10)과 보조 프레임(10a)에는 집게부(2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조 프레임(10a)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메인 프레임(10)의 하단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며, 바지의 길이에 따라 보조 프레임(10a)이 하나 이상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보조 프레임(10a)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높이는 대략 30cm이며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메인 프레임(10)과 보조 프레임(10a)은 자성체로 이루어져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고, 메인 프레임(10)과 보조 프레임(10a)의 마주하는 면에는 자석이 각각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메인 프레임(10)에 보조 프레임(10a)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메인 프레임(10)과 보조 프레임(10a)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바지 길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10)에 하나 이상의 보조 프레임(10a)을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집게부(20)는 메인 프레임(10)의 일부를 감싸며 메인 프레임(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15)와, 파지부(15)와 연결되며 옷을 고정 시키는 집게(20a)를 포함한다.
파지부(15)는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 프레임(10) 또는 보조 프레임(10a)의 일측에 끼워지거나 자력에 의해 결합 된다.
집게(20a)는 옷을 고정 시키는 것으로 파지부(15)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집게(20a)는 한쌍의 고정부(20b)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축(20c)에 설치되며, 한쌍의 고정부(20b)는 파지부(15)와 연결된 축(20c)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하단부가 서로 맞닿게 됨과 동시에 상단부가 멀어지게 되거나 또는, 반대로 하단부가 서로 멀어지게 됨과 동시에 상단부가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부(20b)의 상부 접촉부와 하부 접촉부는 자석이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한쌍의 고정부(20b) 사이에 바지를 끼워 고정시 자력에 의해 한쌍의 고정부(20b)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며 바지를 고정 시키게 되는 것이다.
걸림부(30)는 메인 프레임(10)의 양측에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부재(12) 및 걸이대(13)를 포함한다.
회전부재(12)는 메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톱니부(12a)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회전부재(12)의 톱니부(12a)에는 걸이대(13)의 톱니부(12b)가 맞물리게 되며 회전부재(12)가 회전함에 따라 한쌍의 걸이대(13)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걸이대(13)는 메인 프레임(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부재(12)의 톱니부(12a)와 대응되는 톱니부(12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걸이대(13)는 메인 프레임(10)의 양측에 한쌍을 이루며, 한쌍의 걸이대(13)의 톱니부(12b)가 회전부재(12)의 톱니부(12a)와 맞물려 회전부재(12)가 회전함에 따라 한쌍의 걸이대(13)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걸이대(13)의 메인 프레임(10)과 결합되는 반대편 양측 단부에는 바지가 걸렸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마찰부재(12c)가 구비된다.
마찰부재(12c)는 걸이대(13)에 걸린 옷감의 훼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걸이대(13)에 걸린 옷감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주름 개선용 옷걸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렘임(10)의 하단에 보조 프레임(10a)을 연속적으로 하나 이상 결합한다.
그리고, 걸림부(30)를 바지의 상단 내면에 끼우고 걸이대(13)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회전부재(12)를 회전하여 바지를 고정 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12)에 의해 걸림부(30)가 횡방향으로 길이 조절됨으로써, 걸림부(30)에 걸린 바지의 상부에 접힘이 발생하지 않아 바지의 상부 주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바지의 하단을 집게부(20)의 집게(20a)를 이용하여 파지한 후 바지의 길이에 맞게 집게부(20)의 파지부(15)를 메인 프레임(10) 또는 보조 프레임(10a)에 끼워 결합시킨다.
즉, 바지의 하단이 집게부(20)에 고정되고 상단이 걸림부(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장력이 발생되도록 집게부(20)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집게부(20)가 메인 프레임(10) 또는 보조 프레임(10a)에 자력으로 탈부착 됨으로써, 집게부(20)를 메인 프레임(10) 또는 보조 프레임(10b) 중 바지가 펴질 수 있는 위치에 부착하여 활동중에 생긴 바지의 주름을 보관하면서 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메인 프레임 10a : 보조 프레임
12 : 회전부재 12a, 12b : 톱니부
12c : 마찰부재 13 : 걸이대
20 : 집게부 20a : 집게
20b : 자석 20c : 축
30 : 걸림부 40 : 걸이부

Claims (4)

  1.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걸이부가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옷의 길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 연속적으로 하나 이상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
    (i) 상기 메인 프레임 또는 상기 보조 프레임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 또는 상기 보조 프레임에 탈부착가능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 또는 상기 보조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한 파지부와, (ii)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며 옷의 일측을 고정 시키는 집게를 포함하는, 집게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에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옷의 타측을 고정 시키는 걸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옷걸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보조 프레임의 마주하는 면에는 자석이 각각 구비되어 자석의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옷걸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톱니부가 형성된 회전부재;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톱니부와 대응되는 톱니부가 형성되는 한쌍의 걸이대;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걸이대의 톱니부가 상기 회전부재의 톱니부와 맞물려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한쌍의 걸이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옷걸이.
KR1020150123835A 2015-09-01 2015-09-01 주름 개선용 옷걸이 KR101758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835A KR101758462B1 (ko) 2015-09-01 2015-09-01 주름 개선용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835A KR101758462B1 (ko) 2015-09-01 2015-09-01 주름 개선용 옷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203A KR20170027203A (ko) 2017-03-09
KR101758462B1 true KR101758462B1 (ko) 2017-07-17

Family

ID=5840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835A KR101758462B1 (ko) 2015-09-01 2015-09-01 주름 개선용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4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305B1 (ko) * 2003-01-14 2004-11-17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회전형 자석 접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완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190B1 (ko) 1999-04-07 2001-04-16 윤종용 선택되는 메모리 모듈만을 데이터 라인에 연결하는 메모리 모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출력 방법
KR100751912B1 (ko) 2006-03-17 2007-08-23 한경희 행거 및 이를 채택한 스팀 다리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305B1 (ko) * 2003-01-14 2004-11-17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회전형 자석 접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203A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73408A (en) Clothes hanger
US20160143426A1 (en) Clip system for attaching an item to a belt or waistband
TWM436689U (en) Clothesline
KR101758462B1 (ko) 주름 개선용 옷걸이
US20150238035A1 (en) Garment Clip
KR101769372B1 (ko) 옷걸이 어셈블리
JP2006087787A (ja) ハンガー
KR200474590Y1 (ko) 바지주름잡는 옷걸이
KR101052483B1 (ko) 주름 제거 기능을 갖는 옷걸이 판
JP2015533586A5 (ja) 衣類キャリア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5221799B1 (ja) 傘装着具
KR101769373B1 (ko) 옷걸이 어셈블리
US20180184829A1 (en) Garment Hanger
US1438354A (en) Undergarment clasp
KR20170046547A (ko) 편리한 바지옷걸이
JP2004248953A (ja) ハンガー
JPH1176039A (ja) ハンガー
JP2012132116A (ja) ズボンずり落ち防止具
CN204919147U (zh) 衣架及挂烫机
CN203514061U (zh) 晒衣架定位夹
JP2006218278A (ja) 開閉式ハンガー
KR20150052541A (ko) 다림질이 필요없는 옷걸이
WO2021087578A1 (en) Wrinkle straightening device for a garment
US1348045A (en) Hose-supporter
KR20160123051A (ko) 다용도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