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590Y1 - 바지주름잡는 옷걸이 - Google Patents

바지주름잡는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590Y1
KR200474590Y1 KR2020120007900U KR20120007900U KR200474590Y1 KR 200474590 Y1 KR200474590 Y1 KR 200474590Y1 KR 2020120007900 U KR2020120007900 U KR 2020120007900U KR 20120007900 U KR20120007900 U KR 20120007900U KR 200474590 Y1 KR200474590 Y1 KR 200474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s
clothes
hanger
trousers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541U (ko
Inventor
김지혜
Original Assignee
김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혜 filed Critical 김지혜
Priority to KR2020120007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59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5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5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5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15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 A47G25/4023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collapsing downwardly away from the hook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62Trouser or skirt stretchers or tensioners of the hang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었던 바지를 걸어둘 경우에 바지의 잔주름을 펴지게 함은 물론 바지의 날선 바지 주름을 옷걸이에 걸어두기만 하여도 바지주름을 잡을 수 있도록 되는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바지걸이부가 양 끝단에 형성된 옷걸이대의 중앙에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기 옷걸이대 중앙 이면으로 옷걸이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탄성복원대를 위치시켜 걸이구로 옷걸이대와 탄성복원대를 결합시켜 고정하고 바지의 하단에는 하중에 의해 완전한 바지주름이 잡히도록 중량체를 착용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옷걸이에 걸어진 바지가 바지 하중에 의해 휘어진 상태로 되어 바지의 잔주름 및 바지주름을 잡고 바지를 탈착하면 탄성복원대의 복원에 의해 옷걸이가 수평인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지주름잡는 옷걸이{a trouser hanger}
본 고안은 입었던 바지를 걸어둘 경우에 바지의 잔주름을 펴지게 함은 물론 바지의 날선 바지 주름을 옷걸이에 걸어두기만 하여도 바지주름을 잡을 수 있도록 되는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옷걸이는 상의뿐만 아니라 하의인 바지도 함께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걸이바가 형성되거나 집게가 형성되어 바지를 걸이바에 접어서 걸어두거나 집게에 집어서 보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걸이바에 접어서 걸어두거나 집게를 집어 걸어둘 경우 바지가 접힘에 의한 잔주름이 발생되거나 집게가 집어진 자국이 남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입던 바지를 접어둘 경우에 접힘에 의한 잔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옷걸이에 걸어서 보관하는 것이 제공되었으며, 이러한 옷걸이는 바지의 하중에 의하여 잔주름은 잡히지 않으면서 바지주름이 접히지 않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바지를 걸어둔 옷걸이가 바지의 하중에 의해 휘어진 상태로 바지가 당겨지게 되면서 잔주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옷걸이가 여러번 사용하거나 오래 걸어둘 경우 플라스틱 재질의 특성상 옷걸이가 휘어진 상태로 변형이 발생되면서 차후에 다시 옷걸이로 사용이 불편하여 버리게 되는 것이었다.
등록특허 제 10-1237982호 등록특허 제 10-1227064호
따라서 본 고안은 옷걸이의 잔주름을 펴지게 함과 동시에 바지주름을 잡도록 하면서도 옷걸이가 사용 후에도 원상태로 완전히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여 옷걸이 형태를 유지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바지걸이부가 양 끝단에 형성된 옷걸이대의 중앙에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기 옷걸이대 중앙 이면으로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탄성복원대를 위치시켜 걸이구를 옷걸이대의 결합홀과 탄성복원대의 관통홀로 축결합시켜 고정토록 하고 바지의 하단에는 하중에 의해 완전한 바지주름이 잡히도록 중량체를 착용토록 함으로써 바지를 옷걸이에 걸 경우 옷걸이가 바지 하중과 중량체에 의해 휘어진 상태로 되었다가 바지를 탈거하면 이면의 탄성복원대에 의해 옷걸이가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복원대의 양측으로 탄성체를 결합하여 탄성체에 의하여 옷걸이의 복원력을 더욱 증강시켜 복원력이 우수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바지의 잔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바지주름을 명확하게 잡히도록 함과 동시에 옷걸이의 탄성복원력을 증강시켜 바지를 걸어서 사용한 후에도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하여 옷걸이의 변형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옷걸이대와 탄성복원대가 결합되는 결합도.
도2는 본 고안의 옷걸이대와 탄성복원대를 고정하는 걸이구의 결합상태도.
도3은 본 고안의 옷걸이대의 복원력을 나타낸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의 바지가 걸려진 상태의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중량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도6은 본 고안의 중량체가 바지단에 장착되는 상태도.
도7은 본 고안의 옷걸이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도.
도8은 본 고안의 옷걸이대에 복원력을 증강하는 탄성체가 결합된 이면도.
도9는 본 고안의 탄성복원대에 탄성체가 장착되는 상태도.
도10은 본 고안의 탄성체가 장착된 옷걸이대의 복원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옷걸이대의 원상태로 복원을 위한 탄성복원대가 장착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2는 옷걸이대와 탄성복원대를 고정하는 걸이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3은 탄성복원대에 의해 옷걸이대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4는 옷걸이대에 걸려진 바지가 잔주름은 발생되지 않고 바지주름만 잡히도록 걸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5 내지 도6은 바지단에 바지가 평평하게 펴지도록 중량체가 장착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7은 옷걸이대의 복원력을 더욱 용이토록 하기 위한 탄성체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8은 탄성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9는 탄성복원대에 탄성체가 이탈되지 않게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10은 탄성체에 의해 옷걸이대의 복원력이 더욱 우수하게 복원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옷걸이는 밸트고리(61)를 이용하여 바지(60)를 걸기 위한 바지걸이부(12)가 양 끝단에 형성된 옷걸이대(10)의 이면 중앙으로 옷걸이대(10)보다 길이가 짧아 옷걸이대(10)를 중간부를 지지하여 복원작용을 위한 탄성복원대(30)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옷걸이대(10)와 탄성복원대(30)를 고정하는 걸이구(20)가 축결합되고 상기 옷걸이대(10)에 걸려진 바지단에는 바지(60)를 평평하게 펴지도록 하는 중량체(50)가 장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옷걸이대(10)에 걸어진 바지가 바지 하중과 중량체(50)에 의해 평평하게 펴져 잔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바지주름을 명확하게 잡히도록 하고 바지를 탈거할 경우 옷걸이대(10)가 탄성복원대(30)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복원대(30)는 옷걸이대(1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즉, 탄성복원대(30)의 양 끝단이 옷걸이대(10)의 양 끝단 보다 짧게 형성하여 옷걸이대(10)의 중간부를 지지토록 하여 바지(60)를 옷걸이대(10)에 걸 경우 옷걸이대(10)가 바지(60)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고 옷걸이대(10)의 이면에 결합된 탄성복원대(30)에 의해 옷걸이대(10)가 휘어지는 중간부를 지지하게 되고, 옷걸이대(10)에서 바지(60)를 탈거하면 탄성복원대(30)에 의해 옷걸이대(10)가 원상태인 수평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옷걸이대(10)와 탄성복원대(30)의 결합을 위하여 옷걸이대(10)의 중앙에 결합홀(11)이 형성하고 상기 옷걸이대(10)의 결합홀(11)이 형성된 중앙 이면으로 중앙에 관통홀(31)이 형성된 탄성복원대(3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봉에 걸 수 있도록 하단에 결합돌부(21)가 형성된 고리형상의 걸이구(20)를 옷걸이대(10)의 결합홀(11)과 탄성복원대(30)의 관통홀(31)로 축결합하여 고정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이구(20)에 의해 옷걸이대(10)와 탄성복원대(30)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된 것이고, 상기 걸이구(20)는 축결합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여 걸이구(20)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옷걸이대(10)의 양측에 형성된 바지걸이부(12)는 양측방향으로 걸림구(12a)가 형성되어 바지(60)의 밸트가 끼워지는 전방에 위치된 밸트고리(61)와 후방에 위치된 밸트고리(61)가 걸려지게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옷걸이대(10)의 길이방향으로 바지(60)를 전방과 후방을 옷걸이대(10)에 걸게 됨으로써 바지(60) 전,후방에 형성된 바지주름이 잡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이구(20)가 옷걸이대(10)의 결합홀(11)과 탄성복원대(30)의 관통홀(31)에 원터치로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걸이구(2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돌부(21)는 중앙이 절개된 절개부(21a)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하측은 좁고 상측은 넓은 걸림턱(21b)을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절개부(21a)에 의해 결합돌부(21)가 탄성작용되어 옷걸이대(10)의 결합홀(11)과 탄성복원대(30)의 관통홀(31)에 원터치로 간단하게 끼임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절개부(21a)가 원상태로 벌어져 걸림턱(21b)이 탄성복원대30)의 관통홀(31) 이면에 걸려지게 되면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복원대(30)의 양측 선단에 탄성복원대의 복원력을 더욱 증강시키는 탄성체를 결합토록 한 것이다.
이러한 탄성체(50)의 결합은 옷걸이대(10)의 이면에 결합된 탄성복원대(30)의 복원력에 탄성력을 더함으로써 복원력을 더욱 증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복원대(30)에 탄성체(5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조는 탄성복원대(30)의 양 끝 선단은 중앙이 절개되어 외측으로 돌기(32a)가 형성된 빠짐방지부(32)를 형성하고 상기 빠짐방지부(32)에 코일형태의 탄성체(40)를 결합하여 탄성체(50)가 탄성복원대(30)의 빠짐방지부(32)에 결합될 때 중앙이 절개된 부분의 폭이 좁아져 용이하게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빠짐방지부(32)가 원상태로 복원되고 이때 외측에 형성된 돌기(32a)에 탄성체(50)가 걸려지게 되면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중량체(50)는 등분된 바형태로 되어 일측바(50a)에는 금속대(51)를 장착하고 타측바(50b)에는 자석(52)을 장착하여 자력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바지단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바지(60)를 옷걸이대(10)에 걸어둘 경우에 옷걸이대(10)가 바지(60) 하중과 중량체(50)에 의해 휘어진 상태로 되어 바지(60)가 팽팽하게 걸려져 바지(60)의 잔부름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바지주름만 잡히도록 하고 바지(60)를 옷걸이대(10)에서 탈거하면 옷걸이대(10) 이면에 위치된 탄성복원대(30)와 탄성체(40)에 의해 휘어진 상태로 있던 옷걸이대(10)가 수평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10: 옷걸이대 11: 결합홀
12: 바지걸이부
20: 걸이구 21: 결합돌부
30: 탄성복원대 31: 관통홀
32: 빠짐방지부
40: 탄성체
50: 중량체

Claims (6)

  1. 바지하중에 의해 옷걸이대가 휘어지면서 바지를 팽팽하게 펴지게 하여 바지의 잔주름을 제거하고 바지주름을 명확하게 잡히도록 된 옷걸이에 있어서,
    바지걸이부(12)가 양 끝단에 형성된 옷걸이대(10)와,
    상기 옷걸이대(10)의 이면 중앙으로 위치되는 옷걸이대(1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탄성복원대(30)와,
    상기 옷걸이대(10)와 탄성복원대(30)를 고정하는 걸이구(20)와,
    상기 옷걸이대(10)에 걸어진 바지하단에는 하중을 증강시켜 바지를 팽팽하게 펴지도록 하는 중량체(50)가 장착되어,
    옷걸이대(10)에 걸어진 바지가 바지 하중과 중량체(50)에 의해 평평하게 펴져 잔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바지주름을 명확하게 잡히도록 하고 바지를 탈거할 경우 옷걸이대(10)가 탄성복원대(30)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주름 잡는 옷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대(10)는 중앙에 결합홀(11)이 형성되고 양 끝단에 바지의 밸트고리에 걸림을 위한 바지걸이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옷걸이대(10) 중앙 이면으로 중앙에 관통홀(31)이 형성된 탄성복원대(30)를 위치시켜 봉에 걸 수 있도록 하단에 결합돌부(21)가 형성된 고리형상의 걸이구(20)를 옷걸이대(10)의 결합홀(11)과 탄성복원대(30)의 관통홀(31)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주름 잡는 옷걸이.
  3. 제 1항 내지 제 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대(10)의 양측에 형성된 바지걸이부(12)는 양측방향으로 걸림구(12a)가 형성되어 바지의 밸트가 끼워지는 바지의 전방의 밸트고리와 후방의 밸트고리가 걸려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주름 잡는 옷걸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2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돌부(21)는 중앙이 절개된 절개부(21a)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하측은 좁고 상측은 넓은 걸림턱(21b)이 형성되어 옷걸이대(10)의 결합홀(11)과 탄성복원대(30)의 관통홀(31)에 중앙이 절개된 절개부(21a)에 의해 결합돌부(21)가 탄성작용으로 끼임결합되고 완전히 결합되면 원상태로 복원되어 걸림턱(21b)이 걸려지게 되어 빠지지 않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주름 잡는 옷걸이.
  5. 제 1항 내지 제 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원대(30)의 양측 선단으로 탄성작용을 위하여 중앙이 절개되고 외측으로 돌기(32a)가 형성된 빠짐방지부(32)를 형성하고 상기 빠짐방지부(32)에 코일형태의 탄성체(40)를 결합하여 상기 탄성체(40)에 의하여 옷걸이대(10)의 휘어진 상태에서 복원력이 더욱 증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주름 잡는 옷걸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50)는 등분된 바형태로 되어 일측바(50a)에는 금속대(51)를 장착하고 타측바(50b)에는 자석(52)을 장착하여 자력에 의해 서로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주름 잡는 옷걸이.
KR2020120007900U 2012-09-05 2012-09-05 바지주름잡는 옷걸이 KR200474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900U KR200474590Y1 (ko) 2012-09-05 2012-09-05 바지주름잡는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900U KR200474590Y1 (ko) 2012-09-05 2012-09-05 바지주름잡는 옷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541U KR20140001541U (ko) 2014-03-13
KR200474590Y1 true KR200474590Y1 (ko) 2014-10-01

Family

ID=5200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900U KR200474590Y1 (ko) 2012-09-05 2012-09-05 바지주름잡는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5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98Y1 (ko) * 2019-03-29 2019-10-23 주식회사 좋은상자 지관형 옷걸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609A (ko) * 2016-12-09 2018-06-19 김병헌 부피 조절이 가능한 옷걸이
JP6993033B1 (ja) * 2021-02-19 2022-01-13 美琴 森 表返しハンガ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58U (ja) * 1992-06-02 1994-02-22 俊雄 木下 ズボン皺取り具
JPH1118899A (ja) * 1997-06-27 1999-01-26 Masaru Murata 衣服吊り具
KR20080114436A (ko) * 2007-06-27 2008-12-31 황보의 바지 주름펴는 도구
KR20120009287A (ko) * 2010-07-23 2012-02-01 박만식 옷걸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58U (ja) * 1992-06-02 1994-02-22 俊雄 木下 ズボン皺取り具
JPH1118899A (ja) * 1997-06-27 1999-01-26 Masaru Murata 衣服吊り具
KR20080114436A (ko) * 2007-06-27 2008-12-31 황보의 바지 주름펴는 도구
KR20120009287A (ko) * 2010-07-23 2012-02-01 박만식 옷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98Y1 (ko) * 2019-03-29 2019-10-23 주식회사 좋은상자 지관형 옷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541U (ko)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590Y1 (ko) 바지주름잡는 옷걸이
US8028868B2 (en) Garment arrangement system
US1720295A (en) Garment-display holder
KR101732229B1 (ko) 다기능 옷걸이
US1458552A (en) Garment hanger
KR20140005016U (ko) 바지주름잡는 옷걸이
KR101848305B1 (ko) 어깨부분 변형 방지 옷걸이
US1906058A (en) Garment hanger
JP5774167B1 (ja) 衣服ハンガー及び補助ハンガー具
US769694A (en) Trousers stretcher and hanger.
US20140034689A1 (en) Hanging system
JP6574948B1 (ja) X字型アーム式ハンガー
JPS62502385A (ja) ズボン用ハンガ−
US2163295A (en) Hanger for trousers
US201403120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thes hanger device
KR20110004673U (ko) 옷걸이
KR20190001913U (ko) 바지걸이와 넥타이걸이를 구비한 옷걸이
JP3192979U (ja) ネクタイ用ハンガー
US2720349A (en) Garment hanger
US1652870A (en) Garment hanger
US20180184829A1 (en) Garment Hanger
KR200487244Y1 (ko) 개량형 옷걸이
US2737323A (en) Clothes hanger
EP3020297A1 (en) Suspending device for trousers
KR200455631Y1 (ko) 롤형 집게를 구비하는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