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459B1 -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459B1
KR101758459B1 KR1020150112556A KR20150112556A KR101758459B1 KR 101758459 B1 KR101758459 B1 KR 101758459B1 KR 1020150112556 A KR1020150112556 A KR 1020150112556A KR 20150112556 A KR20150112556 A KR 20150112556A KR 101758459 B1 KR101758459 B1 KR 101758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dish
nozzle
cylinder
amorphous fiber
adjust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9014A (ko
Inventor
정원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12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4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1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a single casting wheel, e.g. for casting amorphous metal strips or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6Equipment for til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4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of the joint being open on two s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는 냉각휠로 용융물을 배출하는 노즐이 구비되는 턴디쉬, 상기 턴디쉬가 안착되는 턴디쉬카, 상기 턴디쉬카에 구비되며, 상기 노즐의 수평을 조정하도록 상기 턴디쉬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조정실린더 및 상기 턴디쉬와 상기 조정실린더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조정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턴디쉬를 기울일 때, 상기 턴디쉬의 자중(自重)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항력의 작용점이 상기 조정실린더 일단부의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가상의 축 상에 위치하게 상기 조정실린더와 상기 턴디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수직항력의 작용점과 상기 노즐의 측단부 사이의 수평 간격을 제어의 고정값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Amorphous fiber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융물을 배출하는 노즐의 수평을 조정하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비정질 합금은 통상적인 결정질 합금과는 달리 원자들이 불규칙하게 배열함으로써 결정성을 갖지 않는 액상과 유사한 구조를 지닌다. 따라서 비정질 합금은 결정질 합금의 특징인 결정입계(grain boundary), 전위(dislocation) 등과 같은 결정결함(crystalline imperfection)이 존재하지 않으며, 같은 조성의 결정질 금속에 비하여 우수한 연자성, 강인성, 내식성, 초전도성 등의 우수한 특성이 있다.
일례로 용선을 이용하여 비정질 파이버(fiber)를 만들면 내식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보강재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비정질 합금 제조 방법으로서는 멜트 스피닝법(melt spinning)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멜트 스피닝법은 용융된 합금이 수용되는 턴디쉬와, 턴디쉬의 하부에 장착되어 용융합금을 배출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의 하부에 근접 설치되어 회전하는 냉각휠로 구성된다.
여기서 비정질 합금은 상기 턴디쉬 내의 용융물이 노즐의 구멍을 통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냉각휠의 원주면에 배출되어 급속으로 냉각되면서 비정질 상태를 유지하는 리본(ribbon)이나 파이버(fiber)로 제조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상기 냉각휠과 노즐 사이의 간극은 수평하게 유지되어야만 균일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즉, 상기 노즐의 하단부가 수평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다.
기존에는 이러한 노즐의 수평을 조정하기 위해서, 턴디쉬카에 제공된 조정실린더가 상기 턴디쉬의 양측에 구비된 결합축에 장착되어 턴디쉬의 좌우 높이를 제어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상기 노즐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노즐의 양측단부가 움직이는 간격은 약 0.1mm 등으로 그 간격이 매우 미세하게 조절되는 것에서 발생하였다.
즉, 상기 조정실린더의 일단부가 상기 결합축을 밀어주어 상기 노즐의 수평을 조정하게 되는데, 상기 결합축과 상기 조정실린더의 일단부가 접하는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제어의 고정값이 변하게 되어, 상기 노즐의 미세한 수평 조정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여기서, 상기 턴디쉬의 자중(自重)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항력은 상기 결합축과 상기 조정실린더 일단부의 접촉점에 작용점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직항력의 작용점과 상기 노즐의 측단부 사이의 수평 간격이 상기 노즐의 수평을 조정하는 제어값으로 사용된다.
특히, 상기 접촉점은 상기 턴디쉬가 기울어지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조정실린더 일단부의 일측 모서리 또는 타측 모서리 등으로 상기 조정실린더 일단부의 폭만큼의 오차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정실린더 일단부의 폭은 약 50mm 등으로 제공되는데, 상기 노즐의 수평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약 0.1mm 등)과 비교하여 그 수치가 크기 때문에, 상기 노즐의 수평 조정에 큰 오차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의 수평을 조정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제어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는 냉각휠로 용융물을 배출하는 노즐이 구비되는 턴디쉬, 상기 턴디쉬가 안착되는 턴디쉬카, 상기 턴디쉬카에 구비되며, 상기 노즐의 수평을 조정하도록 상기 턴디쉬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조정실린더 및 상기 턴디쉬와 상기 조정실린더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조정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턴디쉬를 기울일 때, 상기 턴디쉬의 자중(自重)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항력의 작용점이 상기 조정실린더 일단부의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가상의 축 상에 위치하게 상기 조정실린더와 상기 턴디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조정실린더의 신축하는 신축기둥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턴디쉬에 결합되는 회전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상기 회전베어링은 내부면이 오목한 구면으로 형성된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턴디쉬에 결합되는 외부부재 및 상기 관통홀의 내부면에 대응하는 볼록한 외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회전되게 구비되며, 상기 신축기둥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내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상기 회전베어링은 상기 내부면으로 일부가 돌출되게 상기 외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부재와 접촉하는 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상기 내부부재는, 상기 신축기둥이 삽입되게 구비되는 기둥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상기 조정실린더는, 상기 턴디쉬의 양측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결합축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조정실린더의 신축하는 신축기둥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하단부재와, 상기 하단부재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턴디쉬의 결합축이 안착되는 상단부재를 구비하는 회전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상기 상단부재는, 상기 결합축이 안착되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수직항력의 작용점과 상기 노즐의 측단부 사이의 수평 간격을 제어의 고정값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는 턴디쉬의 자중(自重)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항력의 작용점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의해서, 노즐의 수평을 조정하는 제어값으로 이용되는 상기 수직항력의 작용점과 상기 노즐의 측단부 사이의 수평 간격을 일정한 고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어, 상기 노즐의 수평 조정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조되는 비정질 파이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종래의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에서 회전베어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에서 회전탭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는 용융물(f)을 배출하는 노즐(110)의 수평을 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턴디쉬(100)의 자중(自重)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항력의 작용점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노즐(110)의 수평을 조정하는 제어값으로 이용되는 상기 수직항력의 작용점과 상기 노즐(110)의 측단부 사이의 수평 간격을 일정한 고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어, 상기 노즐(110)의 수평 조정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일반적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종래의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 2는 종래의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에서 조정실린더(300)가 턴디쉬(100)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턴디쉬(100)에 구비된 노즐(110)의 수평을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2의 (a)에서는 노즐(110)의 일측단부 높이(h1)와 타측단부 높이(h2)가 다른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상기 노즐(110)의 위치를 수평하게 조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는 물론 본 발명의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도 턴디쉬(100)에 연결된 한 쌍의 조정실린더(300)를 신축하여, 노즐(110)의 수평을 조정하게 된다.
즉,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10)의 일측단부의 높이(h1)가 타측단부의 높이(h2)보다 높기 때문에, 노즐(110)의 수평을 위해서는 상기 노즐(110)의 타측단부의 높이(h2)를 더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도 2의 (b)에 노즐(110)의 일측단부 측에 구비된 제1조정실린더(300a)는 그대로 위치하고, 노즐(110)의 타측단부 측에 구비된 제2조정실린더(300b)가 신장되어 상기 턴디쉬(100)를 밀어주어 상기 노즐(110)의 타측단부를 일정 갭(g2)만큼 밀어주게 된다. 다만, 상기 제2조정실린더(300b)가 신장되면 상기 노즐(110)의 타측단부만이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노즐(110)의 일측단부도 일정갭(g1)만큼 이동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노즐(110)의 수평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노즐(110)의 일측단부 또는 타측단부 한 부분만의 높이 조절로는 수평을 조정할 수 없으며, 상기 노즐(110)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 두 부분이 높이가 연계되어 변화되는 경우도 고려하여 상기 조정실린더(300)를 제어하여야 한다.
이는 도 3에 제시되어 있다. 즉, 도 3에서는 노즐(11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가 서로 연계되어 갭이 조정되는 것을 고려하여 조정실린더(300)를 제어하기 위한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노즐(110)의 일측단부의 포인트인 제3기준점(p3)과 타측단부의 포인트인 제4기준점(p4)을 연결한 선분인 기준선에 의해서 상기 조정실린더(300)를 제어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제1조정실린더(300a)의 중앙부분을 가로지르는 선분이 교차하는 포인트인 제1기준점(p1) 및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제2조정실린더(300b)의 중앙부분을 가로지르는 선분이 교차하는 포인트인 제2기준점(p2)도 설정하게 된다. 이는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되는 결과값은 제1조정실린더(300a) 및 제2조정실린더(300b) 중 적어도 하나의 신축 길이(m1, m2)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조정실린더(300a) 및 제2조정실린더(300b)의 신축 길이(m1, m2)는 비례관계에 의해 도출되며, 이를 위해서, 상기 제1기준점과 제3기준점 사이의 폭(a)과 상기 제3기준점과 제4기준점 사이의 폭(b), 상기 제4기준점과 제2기준점 사이의 폭(c)이 고정값으로 고려된다. 즉, 아래와 같은 수학식 1의 관계에서 상기 제1조정실린더(300a)의 신축 길이(m1) 및 제2조정실린더(300b)의 신축 길이(m2)가 도출된다.
[수학식 1]
m1 = [(a+b)/b]×g1 + (-a/b)×g2
m2 = (-c/b)×g1 + [(b+c)/b]×g2
이러한 수학식 1이 도출되는 원리는, 도 3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준점(p1) 내지 제4기준점(p4)은 모두 상기 기준선 상에 위치하는 관계에 의한 것이다. 즉, 도 3의 (b)는 상기 노즐(110)이 수평을 유지할 때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c)는 상기 노즐(110)의 일측단부가 타측단부보다 더 높은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의 (d)는 상기 노즐(110)의 일측단부가 타측단부보다 더 낮은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제어의 오차는 상기 제1기준점(p1) 및 제2기준점(p2)을 설정할 때, 상기 조정실린더(300)의 중앙부분을 가로지르는 선분 상의 포인트를 기준으로 하는 것에서 발생되었다.
일례로, 제1기준점(p1)의 설정에 의한 오차를 확인해 보면, 제1조정실린더(300a)의 신축기둥(310)이 신장한 경우에는 상기 턴디쉬(100)와 상기 제1조정실린더(300a)의 신축기둥(310)이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제1조정실린더(300a)의 중앙부분을 가로지르는 선분 상의 포인트가 아니라, 상기 제1조정실린더(300a) 신축기둥(310)의 일측단부가 된다. 그리고, 제2조정실린더(300b)의 신축기둥(310)이 신장한 경우에 상기 턴디쉬(100)와 상기 제1조정실린더(300a)의 신축기둥(310)이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제1조정실린더(300a)의 중앙부분을 가로지르는 선분상의 포인트가 아니라, 상기 제1조정실린더(300a) 신축기둥(310)의 타측단부가 되는 것에서 오차가 발생한다.
즉, 제1조정실린더(300a)의 신축기둥(310)이 신장한 경우에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조정실린더(300a)의 신축기둥(310) 일측단부와 노즐(110) 일측단부 사이 수평 폭(a1)은 상기 신축기둥(310)의 중앙 부분을 가로지르는 선분과 일정 갭(err)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제2조정실린더(300b)의 신축기둥(310)이 신장한 경우에는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조정실린더(300a)의 신축기둥(310) 타측단부와 노즐(110) 일측단부 사이 수평 폭(a2)은 상기 신축기둥(310)의 중앙 부분을 가로지르는 선분과 일정 갭(err)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턴디쉬(100)가 상기 조정실린더(300)에 의해서 기울어질 때, 상기 턴디쉬(100)의 자중(自重)에 의해서 발생하는 수직항력의 작용점과 상기 노즐(110)의 일측단부 사이의 수평 간격이 제어의 고정값으로 사용되게 되는데, 이러한 값이 상기 조정실린더(300)의 신축기둥(310)의 폭 만급의 오차를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신축기둥(310)의 폭에 의한 오차까지 고려하는 것은, 상기 노즐(110)의 수평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이 일반적으로 약 0.1mm 등으로 매우 작은 값에 의해서도 비정질 파이버의 생산 품질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노즐(110)의 수평을 조정하는 간격은 약 0.1mm 등이며, 상기 신축기둥(310)의 폭은 약 50mm 등이고, 상기 신축기둥(310)의 폭(약 50mm)은 조정하려는 간격(약 0.1mm)에 비하여 매우 큰 값(약 500배)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턴디쉬(100)가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턴디쉬(100)의 자중(自重)에 의해서 발생하는 수직항력의 작용점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성을 제시하게 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는 냉각휠(cw)로 용융물(f)을 배출하는 노즐(110)이 구비되는 턴디쉬(100), 상기 턴디쉬(100)가 안착되는 턴디쉬카(200), 상기 턴디쉬카(200)에 구비되며, 상기 노즐(110)의 수평을 조정하도록 상기 턴디쉬(100)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조정실린더(300) 및 상기 턴디쉬(100)와 상기 조정실린더(3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조정실린더(300)에 의하여 상기 턴디쉬(100)를 기울일 때, 상기 턴디쉬(100)의 자중(自重)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항력의 작용점이 상기 조정실린더(300) 일단부의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가상의 축(O) 상에 위치하게 상기 조정실린더(300)와 상기 턴디쉬(1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턴디쉬(100)는 냉각휠(cw)로 용융물(f)을 제공하여 비정질 화이버를 생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턴디쉬(100)는 용융물(f)을 래들(l)로부터 전달받으며, 상기 턴디쉬(100)의 하부에 구비된 노즐(110)을 통하여 상기 용융물(f)을 상기 냉각휠(cw)로 분사하여, 상기 냉각휠(cw)에 의해 상기 용융물(f)을 냉각시키며 비정질 화이버를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턴디쉬(100)에는 상기 조정실린더(300)와 연계되는 결합축(120)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상기 조정실린더(300)는, 상기 턴디쉬(100)의 양측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결합축(120)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턴디쉬카(200)는 상기 턴디쉬(100)가 안착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써, 후술할 조정실린더(300)가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정실린더(300)는 상기 턴디쉬(100)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턴디쉬(10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노즐(110)의 수평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조정실린더(300)는 상기 턴디쉬카(200)에 결합되는 실린더몸체(320) 및 상기 실린더몸체(320)에서 신축하게 구비되는 신축기둥(31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정실린더(300)는 상기 턴디쉬(100)의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턴디쉬(100)의 일측에 구비된 제1조정실린더(300a)와 상기 턴디쉬(100)의 타측에 구비된 제2조정실린더(300b)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400)은 상기 조정실린더(300)와 상기 턴디쉬(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연결수단(400)은 상기 조정실린더(300)의 제어에 이용되는, 상기 턴디쉬(100)의 자중(自重)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항력의 작용점과 상기 노즐(110)의 측단부 사이의 수평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수단(400)은 상기 조정실린더(300)에 의하여 상기 턴디쉬(100)를 기울일 때에도, 상기 수직항력의 작용점이 상기 조정실린더(300) 일단부의 중앙부분을 관통하는 가상의 축(O) 상에 위치하게 상기 조정실린더(300)와 상기 턴디쉬(100)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은 회전베어링(410) 또는 회전탭(42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회전베어링(410)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며, 상기 회전탭(420)에 대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에서 회전베어링(410)을 도시한 정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상기 연결수단(400)은 상기 조정실린더(300)의 신축하는 신축기둥(310)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턴디쉬(100)에 결합되는 회전베어링(4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베이링은 상기 턴디쉬(100)의 자중에 의한 수직항력을 전달받아, 상기 조정실린더(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베어링(410)은 상기 신축기둥(310)과도 항상 동일한 부분이 접촉되고, 상기 턴디쉬(100)에도 항상 동일한 부분이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턴디쉬(100)의 수직항력에 의한 작용점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회전베어링(410)은 외부부재(411)와 내부부재(4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상기 회전베어링(410)은 내부면이 오목한 구면으로 형성된 관통홀(412)이 구비되며, 상기 턴디쉬(100)에 결합되는 외부부재(411) 및 상기 관통홀(412)의 내부면에 대응하는 볼록한 외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412)에 삽입되어 회전되게 구비되며, 상기 신축기둥(31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내부부재(413)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부부재(411)는 상기 내부부재(413)와 구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턴디쉬(100)가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턴디쉬(100)의 자중에 의한 수직항력 작용점을 상기 내부부재(413)의회전 중심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즉, 상기 외부부재(411)의 관통홀(412)의 내부면은 오목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내부부재(413)의 외부면은 상기 관통홀(412)의 오목면에 대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내부부재(413)는 상기 외부부재(411)의 관통홀(412) 내에서 항상 일정한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부재(411)는 상기 턴디쉬(100)가 상기 조정실린더(300)의 구동에 따라 기울어질 때, 상기 턴디쉬(100)와 접하는 부분의 회전 반경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서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턴디쉬(100)의 결합축(120) 등이 내측으로 삽입되고 단턱으로 걸리게 구비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내부부재(413)는 상기 신축기둥(31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서, 기둥결합홈(414)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상기 내부부재(413)는 상기 신축기둥(310)이 삽입되게 구비되는 기둥결합홈(4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둥결합홈(414)에 의해서 상기 신축기둥(310)이 상기 내부부재(413)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이유는, 상기 신축기둥(310)의 일단부가 상기 기둥결합홈(414)에 의해서 상기 내부부재(413)에 관통되지 않고 일정 길이만 끼워지기 때문이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상기 회전베어링(410)은 상기 내부면으로 일부가 돌출되게 상기 외부부재(411)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부재(413)와 접촉하는 볼부재(4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부재(411)와 내부부재(413)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볼부재(415)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에서 회전탭(420)을 도시한 정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상기 연결수단(400)은 상기 조정실린더(300)의 신축하는 신축기둥(31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하단부재(421)와, 상기 하단부재(421)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턴디쉬(100)의 결합축(120)이 안착되는 상단부재(422)를 구비하는 회전탭(4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탭(420)도 상기 신축기둥(310)과도 항상 동일한 부분이 접촉되고, 상기 턴디쉬(100)에도 항상 동일한 부분이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턴디쉬(100)의 수직항력에 의한 작용점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회전베어링(410)은 모든 방향의 회전에 대한 자유도를 확보하고 있으나, 상기 회전탭(420)은 일 방향의 회전에 대한 자유도만 확보하고 있는 차이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탭(420)은 상단부재(422)와 하단부재(4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단부재(422)와 하단부재(421)는 힌지결합되어 일 축 방향에 대한 회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상단부재(422)는 상기 턴디쉬(100)의 결합축(120)을 안정적으로 안착지지하기 위해서, "U"자 형의 내부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상기 상단부재(422)는 상기 결합축(120)이 안착되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는 상기 턴디쉬(100)의 자중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항력의 작용점과 상기 노즐(110)의 측단부 사이의 수평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사용되는 고정값인 상기 수직항력의 작용점과 상기 노즐(110)의 측단부 사이의 수평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으로, 제어에서 사용되는 값과 실제 장치에서의 값을 일치시킴으로써, 제어의 오차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수직항력의 작용점과 상기 노즐(110)의 측단부 사이의 수평 간격을 제어의 고정값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0: 턴디쉬 110: 노즐
120: 결합축 200: 턴디쉬카
300: 조정실린더 310: 신축기둥
320: 실린더몸체 400: 연결수단
410: 회전베어링 411: 외부부재
412: 관통홀 413: 내부부재
414: 기둥결합홈 413: 볼부재
420: 회전탭 421: 하단부재
422: 상단부재

Claims (9)

  1. 삭제
  2. 냉각휠로 용융물을 배출하는 노즐이 구비되는 턴디쉬;
    상기 턴디쉬가 안착되는 턴디쉬카;
    상기 턴디쉬카에 구비되며, 상기 노즐의 수평을 조정하도록 상기 턴디쉬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조정실린더; 및
    상기 턴디쉬와 상기 조정실린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정실린더와 상기 턴디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조정실린더의 신축하는 신축기둥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턴디쉬에 결합되는 회전베어링;
    을 포함하는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베어링은,
    내부면이 오목한 구면으로 형성된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턴디쉬에 결합되는 외부부재; 및
    상기 관통홀의 내부면에 대응하는 볼록한 외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회전되게 구비되며, 상기 신축기둥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내부부재;
    를 포함하는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베어링은,
    상기 내부면으로 일부가 돌출되게 상기 외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부재와 접촉하는 볼부재;
    를 더 포함하는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재는, 상기 신축기둥이 삽입되게 구비되는 기둥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
  6. 삭제
  7. 냉각휠로 용융물을 배출하는 노즐이 구비되는 턴디쉬;
    상기 턴디쉬가 안착되는 턴디쉬카;
    상기 턴디쉬카에 구비되며, 상기 노즐의 수평을 조정하도록 상기 턴디쉬의 양측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결합축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조정실린더; 및
    상기 턴디쉬와 상기 조정실린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정실린더와 상기 턴디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조정실린더의 신축하는 신축기둥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하단부재와, 상기 하단부재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턴디쉬의 결합축이 안착되는 상단부재를 구비하는 회전탭;
    을 포함하는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는, 상기 결합축이 안착되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
  9. 삭제
KR1020150112556A 2015-08-10 2015-08-10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 KR101758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556A KR101758459B1 (ko) 2015-08-10 2015-08-10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556A KR101758459B1 (ko) 2015-08-10 2015-08-10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014A KR20170019014A (ko) 2017-02-21
KR101758459B1 true KR101758459B1 (ko) 2017-07-17

Family

ID=5831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556A KR101758459B1 (ko) 2015-08-10 2015-08-10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8995A (zh) * 2018-11-29 2019-01-22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一种喷带包及纳米晶带材的制备方法
KR102026352B1 (ko) * 2019-02-01 2019-11-05 주식회사 유한정밀 턴디쉬 틸팅 및 드라이브 시스템 그리고 그 제어방법
KR102017856B1 (ko) * 2019-02-01 2019-10-22 주식회사 유한정밀 턴디쉬 틸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014A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459B1 (ko) 비정질 파이버 제조장치
DE69735819T2 (de) Brillengestell mit gelenkverbindungen
JP6422166B2 (ja) ガラス形成装置およびガラスリボンを形成する方法
WO2011132485A1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JP6553194B2 (ja) 単結晶インゴットの直径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5909000B1 (ja) 鋳型支持構造、鋳造機、鋳造物の製造方法および鋳型
US8567480B2 (en) Method and twin roll caster for the production of strip cast from a molten metal
CN207902074U (zh) 减振器组件、具有其的悬架系统和车辆
JPH0617034B2 (ja) ロールのニツプに対する保護装置
US20110048668A1 (en) Method and Twin Roll Caster for the Production of Strip Cast from a Molten Metal
JP4195535B2 (ja) 傾動可能な物品搭載装置
US20180156377A1 (en) System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an auxiliary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JP2023526620A (ja) 溜まり形成デバイス
JP3291265B2 (ja) 連続鋳造機の鋳型
CN107206477A (zh) 连铸用扇形段
JP5898348B1 (ja) 溶湯供給構造、鋳造機、および鋳造物の製造方法
JP5330170B2 (ja) 連続鋳造設備の鋳片圧下ロールスタンド
JP6097413B2 (ja) 溶湯供給構造、鋳造機、および鋳造物の製造方法
EP1669794B1 (de) Inklinationsanordnung für eine Brille
CA28511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molding of longitudinally slotted pipes
CN215213285U (zh) 一种折叠门及其门排收缩器
CN220367773U (zh) 可调节尺寸电缆成缆工序并线模
JP3649816B2 (ja) 調整機能付き手摺り支持具
CN210306240U (zh) 熔嘴电渣焊机的熔嘴微调机构
JP4389630B2 (ja) ニアアイ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