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240B1 -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240B1
KR101758240B1 KR1020170043011A KR20170043011A KR101758240B1 KR 101758240 B1 KR101758240 B1 KR 101758240B1 KR 1020170043011 A KR1020170043011 A KR 1020170043011A KR 20170043011 A KR20170043011 A KR 20170043011A KR 101758240 B1 KR101758240 B1 KR 101758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body frame
sliding plate
rai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옥
박병룡
조용우
안기형
박정규
김택수
Original Assignee
선진산업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산업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진산업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3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08B1/02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8Disc-shaped brush bodies
    • B08B1/0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2Rack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1/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 B61C11/04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tractive effort applied to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73Brush for cleaning specific unusual places not otherwise covered, e.g. gutters, golf clubs, tops of tin cans, co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루 상태의 시멘트를 저장하는 시멘트 사이로의 내부에 고착되는 고형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시멘트 사이로의 내부공간 내주에 시멘트 사이로의 내주에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에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를 구비하는 보조프레임이 장착된 바디프레임이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회전브러쉬로써 시멘트 사이로의 내부에 고착된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는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olids of cement silo}
본 발명은 가루 상태의 시멘트를 저장하는 시멘트 사이로의 내부에 고착되는 고형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시멘트 사이로의 내부공간 내주에 시멘트 사이로의 내주에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에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를 구비하는 보조프레임이 장착된 바디프레임이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회전브러쉬로써 시멘트 사이로의 내부에 고착된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는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가루상태의 시멘트는 일정의 높이와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는 깔때기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시멘트 사이로에 임시적으로 저장되고, 시멘트의 출고시에는 시멘트 사이로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 하부로 차량의 적재 탱크 또는 적재함을 위치시켜, 시멘트 사이로에 저장된 시멘트를 배출시키는 구성을 한다.
또한 대부분의 시멘트 사이로는 수십미터의 직경과 높이를 가지는 대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대량의 시멘트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시멘트의 특성상 대기중의 수분이 시멘트에 가해지게 되면, 가루상태의 시멘트가 응고되어 시멘트 사이로의 내부공간 내주에 고형물로써 고착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더불어 상기 고형물이 시멘트 사이로의 내주에 지속적으로 고착되게 되면, 시멘트 사이로의 내부공간은 고형물로 인하여 계속적으로 좁아지게 되고, 그 결과 시멘트 사이로의 저장용량이 점점 줄어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3-0004948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4-0007043호 등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시멘트 사이로의 내주에 고착된 고형물을 제거하였으나, 상기 장치들을 이용하여 고형물을 제거할 경우에는 시멘트 사이로의 손상을 야기하거나, 시멘트 사이로를 잦은 주기로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3-0004948호(1993.07.26.)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4-0007043호(1994.10.13.)
본 발명은 시멘트 사이로의 고정물 제거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시멘트 사이로의 내부에 고착된 고형물은 주기적인 제거가 어려워서 다량의 고형물이 시멘트 사이로의 내부공간에 쌓인 후 브레이커 또는 착암기와 같은 대형 장비를 이용하여 제거되거나 작업자가 직접 시멘트 사이로의 내부에 들어가 수작업으로 제거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상기와 같은 장비 또는 수작업으로 고형물의 제거가 어려워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 주기가 길어지기 때문에, 시멘트 사이로의 내부공간에 다량의 고형물이 고착되어 시멘트 사이로에 저장될 수 있는 시멘트의 양이 지속적으로 축소되는 우려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시멘트 사이로의 내주에 수직방향으로 나선형을 이루며 길이가 형성되며 구비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에 체결되고, 메인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가능한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를 구비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는 시멘트 사이로의 내주에 기장착된 레일을 따라 회전브러쉬가 구비된 보조프레임이 장착된 바디프레임이 이동하며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시멘트 사이로의 내부공간에 소량의 고착물이 고착되더라도 수시로 상기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브레이커 또는 착암기와 같은 대형 장비 또는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잦은 주기로 시멘트 사이로 내주의 고형물 제거가 용이하여, 시멘트 사이로 내부공간에는 항상 소량의 고착물만이 형성되기 때문에, 시멘트 사이로 내부공간의 축소없이 항상 일정한 양의 시멘트를 시멘트 사이로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시멘트 사이로의 내주에 고형물이 고착된 경우를 나타내는 시멘트 사이로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가 설치된 시멘트 사이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의 A-A부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의 B-B부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의 D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상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의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의 C-C부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의 바디프레임에 대한 보조프레임의 승하강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에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C-C부분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에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구비된 경우의 보조프레임의 승하강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에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지지대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C-C부분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에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지지대가 구비된 경우보조프레임의 승하강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에 탑승대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에 원동력 공급장치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에 영상촬영장치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와 보조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가 함께 시멘트 사이로에 투입된 경우를 나타내는 시멘트 사이로의 측단면도.
본 발명은 가루 상태의 시멘트를 저장하는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부에 고착되는 고형물(S)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 수직방향으로 나선형을 이루며 길이가 형성되며 구비되는 레일(10); 상기 레일(1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바디프레임(20); 상기 바디프레임(20)에 체결되고, 메인구동모터(31)에 의하여 회전가능한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를 구비하는 보조프레임(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는 도 2와 같이 가루 상태의 시멘트가 저장되는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부공간에 장착되어,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 고착된 시멘트 고형물(이하, '고형물(S)'이라 칭함.)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가 장착되는 시멘트 사이로(200)는 일정의 높이와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형태로 구성되고, 시멘트 사이로(200)의 하부는 깔때기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시멘트 사이로(200)의 하부 중앙에는 시멘트 사이로(200)에 저장된 시멘트를 차량의 적재 탱크 또는 적재함으로 공급하는 배출구(210)가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는 거시적으로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 구비되는 레일(10), 상기 레일(1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바디프레임(20)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프레임(20)에는 고형물(S)을 제거하는 회전브러쉬(32)를 구비하는 보조프레임(30)이 장착되는 구성을 한다.
즉, 상기 레일(10)은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 수직방향으로 나선형을 이루며 길이가 형성되며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하기 보조프레임(30)에 구비된 회전브러쉬(32)가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서 일정의 경사진 이동경로를 가지며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 상부에서 하부 또는 내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레일(10)은 도 2와 같이 외측은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면에 고정체결되어 시멘트 사이로(20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에 해당하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면에 외측이 고정체결되고 외측에서 폭이 연장된 내측은 시멘트 사이로(200)의 안쪽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레일(10)은 H빔 또는 I빔의 형태로 구성되고, 레일(10)의 타측에 해당하는 쪽에 상기 빔들의 단턱진 부분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하기 바디프레임(20)이 상기 빔들의 탄턱진 부분에 걸린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10)은 단수 개로 구성되어 단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2와 같이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기 바디프레임(20)의 상부와 하부가 견고하게 레일(10)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일(10)의 경사도는 시멘트 사이로(200)의 크기 및 바디프레임(20)에 장착되는 구동모터(하기의 전후진 구동모터(26))의 출력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10°범위 내의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바디프레임(20)은 상기 레일(1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하기의 보조프레임(30)을 상기 레일(10)에 이동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바디프레임(20)은 도 3과 같이 복수 개의 프레임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으로 좁은 폭을 가지고 높이 방향으로는 상기 폭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진도록 구성되는 것일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10)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레일(11, 12)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바디프레임(20)의 높이는 상기 한 쌍의 레일(11, 12) 간의 이격 간격과 동일하거나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바디프레임(20)의 상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11, 12) 중 어느 하나인 상부 레일(1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바디프레임(20)의 하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11, 12) 중 다른 하나인 하부 레일(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상기 바디프레임(20)이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된 경우, 상기 바디프레임(20)의 상부에 해당하는 상부 프레임(21)은 상기 상부 레일(1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바디프레임(20)의 하부에 해당하는 하부 프레임(22)은 상기 하부 레일(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이때, 상기 바디프레임(20)과 레일(10) 간의 슬라이딩 체결 구조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프레임(20)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23a, 23b)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롤러(23a, 23b)는 상기 레일(10)에 걸림 체결된 상태에서 구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롤러(23a, 23b)는 타측이 상기 바디프레임(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롤러(23a, 23b)의 일측은 레일(1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단턱에 구름 이동가능하도록 걸림 체결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23a, 23b)의 일측 또는 중앙 부분에는 상기 레일(10)의 단턱이 내입되어 걸림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25)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상기 레일(10)이 상부 레일(11)과 하부 레일(12)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23a, 23b)는 상기 바디프레임(20)의 상부 프레임(21)에 구비되는 상부 가이드롤러(23a) 복수 개와 하부 프레임(22)에 구비되는 하부 가이드롤러(23b)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 가이드롤러(23a)는 상기 상부 레일(11)의 타측 상부에 형성된 상부 단턱에 구름 이동가능하도록 걸림 체결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롤러(23b)는 상기 하부 레일(12)의 타측 하부에 형성된 하부 단턱에 구름 이동가능하도록 걸림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상부 가이드롤러(23a)가 상부 레일(11)의 상부 단턱에 걸림 체결되고, 하부 가이드롤러(23b)가 하부 레일(12)의 하부 단턱에 걸림 체결되는 구성을 하면(이때, 각각의 가이드롤러(23a, 23b)에 형성된 걸림홈(25)에는 각각의 단턱이 내입된 상태임.), 상부 가이드롤러(23a)와 하부 가이드롤러(23b)의 사이에 한 쌍의 레일(11, 12)이 배치되는 구성을 하여, 바디프레임(20)이 한 쌍의 레일(11, 12)에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의 경우, 상기 상부 가이드롤러(23a)에 형성된 걸림홈(25)에는 상부 단턱이 내입된 상태를 가지고, 상기 하부 가이드롤러(23b)에 형성된 걸림홈(25)에는 하부 단턱이 내입된 상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바디프레임(20)은 별도의 체결구 없이도 한 쌍의 레일(11, 12)에서 수평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상부 가이드롤러(23a)가 구비된 상부 프레임(21)에는 상부 가이드롤러(23a)의 하부임과 동시에 상기 상부 레일(11)의 하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보조 가이드롤러(24)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가이드롤러(24)는 상기 가이드롤러(23a, 23b)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롤러(23a)와 보조 가이드롤러(24) 사이에 상기 상부 레일(11)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상부 레일(11)에 바디프레임(20)의 상부 프레임(21)이 보다 견고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상기 바디프레임(20)은 작업자에 의한 인력 또는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력을 통하여 상기 레일(10)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프레임(20)에는 구동모터(이하, '전후진 구동모터(26)'라 칭함.)가 구비되고, 상기 전후진 구동모터(26)에 의한 구동력으로 상기 바디프레임(20)은 레일(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후진 구동모터(26)의 바디는 바디프레임(20)에 체결되고, 전후진 구동모터(26)의 구동축에는 기어 또는 원형의 외주를 가지는 휠(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레일(10)에 상기 기어가 치합되거나 상기 휠이 마찰되어 바디프레임(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도 6, 7, 8과 같이 상기 상부 레일(11) 또는 하부 레일(12)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는 랙 기어(13)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디프레임(20)에는 상기 기어와 랙 기어(13)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27)를 구비하는 전후진 구동모터(26)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랙 기어(13)는 상기 상부 레일(11) 또는 하부 레일(12)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기어홈과 기어산이 반복되어 길이를 형성하는 구성을 하고,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부공간에 저장되는 시멘트 입자들이 주로 쌓이는 레일(10)의 상부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상부 레일(11) 또는 하부 레일(12)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형성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전후진 구동모터(26)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7)와의 랙 기어(13) 간의 치합성이 시멘트 입자에 의하여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상기 전후진 구동모터(26)는 전기모터, 유압모터 또는 공압모터 등과 같은 종류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시멘트 사이로(200)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진 구동모터(26)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7)는 도 8과 같이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링크가 방사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링크는 기어산 역할을 하며 상기 랙 기어(13)의 기어홈에 치합되어 상기 랙 기어(13)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바디프레임(2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더불어 상기 피니언 기어(27)는 다른 종류의 기어와 다르게 상기 복수 개의 링크 사이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시멘트 입자가 기어에 쌓이지 않아 상기 랙 기어(13)와의 치합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프레임(30)은 상기 바디프레임(20)에 체결되고, 메인구동모터(31)에 의하여 회전가능한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 고착된 고형물(S)을 제거하는 회전브러쉬(32) 복수 개를 상기 바디프레임(20)에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보조프레임(30)은 단수 개 또는 복수 개의 프레임 간의 결합에 의하여 일정의 구조체 형태로 구성되고, 이하에서는 도 3, 4와 같이 단수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프레임(20)의 높이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더불어 상기 보조프레임(30)은 상기 바디프레임(20)의 전방, 후방, 측방 또는 상부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의 부분에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상기 바디프레임(20)의 상부에 보조프레임(30)이 체결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3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는 각각의 회전브러쉬(32)가 서로 다른 부분(일부 겹침 부분을 형성하여도 무방함.)의 시멘트 사이로(200) 내주면에서 회전하며 고형물(S)을 제거하는 구성이고, 메인구동모터(31)에 의하여 일괄적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메인구동모터(31)는 보조프레임(30)의 일정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구동모터(31)의 구동축은 상기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의 회전축과 기어, 밸트 또는 체인 등과 같은 구동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는 보조프레임(30)에 구비된 상태로 바디프레임(20)에 의하여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며 시멘트 사이로(200) 내주에 고착된 고형물(S)을 제거할 수 있으면 보조프레임(30)에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는 시멘트 사이로(200)의 높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며 상기 보조프레임(30)에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프레임(30)에는 상기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의 전방에 하나 이상의 보조 회전브러쉬(33)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조 회전브러쉬(33)는 상기 시멘트 사이로(200)의 높이 방향으로 일렬 배열된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 중 어느 하나의 회전 브러쉬와 인접된 다른 회전브러쉬(32)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는 도 4와 같이 바디프레임(20)의 높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보조프레임(30)의 길이방향인 시멘트 사이로(200)의 높이 방향으로 각각이 일렬로 배열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레일(10)이 상부 레일(11)과 하부 레일(12)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 중 상부 레일(11)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회전브러쉬(32)는 바닥면이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면에 맞닿을 수 있고, 측부가 상기 상부 레일(11)의 상부에 맞닿을 수 있는 구성을 하여, 상부 회전브러쉬(32)에 의하여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면에 고착된 고형물(S)이 제거됨과 동시에 상부 레일(11)의 상부에 쌓인 시멘트 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레일(10)이 상부 레일(11)과 하부 레일(12)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 중 하부 레일(12)의 상부에 위치되는 중간부 회전브러쉬(34)는 바닥면이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면에 맞닿을 수 있고, 측부가 상기 하부 레일(12)의 상부에 맞닿을 수 있는 구성을 하여, 중간부 회전브러쉬(34)에 의하여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면에 고착된 고형물(S)이 제거됨과 동시에 하부 레일(12)의 상부에 쌓인 시멘트 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회전브러쉬(33)는 일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보다 상기 보조프레임(30)의 전방에 위치되어, 일렬로 배치된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의 어느 하나의 회전브러쉬(32)와 인접된 다른 회전브러쉬(32) 사이에 해당하는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 고착된 고형물(S)을 제거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보조 회전브러쉬(33)는 상기 회전브러쉬(3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메인구동모터(31)와 기어, 밸트 또는 체인 등과 같은 구동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보조프레임(30)의 전방 일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거나, 보조프레임(30)의 전방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돌출프레임(35)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프레임(35)은 하나 이상의 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보조프레임(30)에 일측이 체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보조 회전브러쉬(33)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일측이 상기 보조프레임(30)에 고정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상기 보조프레임(30)에 일측이 일정각도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보조 회전브러쉬(33)가 상기 돌출프레임(35)의 일측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하며 고형물(S)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보조 프레임은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바디프레임(20)에 체결되는 구성을 하면, 위치 고정된 상태로 고정체결될 수도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상기 보조 회전브러쉬(33)를 포함함.)가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 닿거나 이격된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바디프레임(20)의 상부쪽(시멘트 사이로(200)의 안쪽)으로 승하강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보조프레임(30)와 바디프레임(20) 사이에는 승강실린더(40)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실린더(40)는 상기 바디프레임(20)에서 상기 보조프레임(30)을 시멘트 사이로(200) 내주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시켜, 상기 시멘트 사이로(200) 내주에 대한 상기 회전브러쉬(32)의 밀착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실린더(40)는 도 9과 같이 실린더 바디는 상기 보조프레임(30)에 고정체결되는 구성을 하고, 실린더 바디에서 인출 및 인입되는 실린더 로드는 상기 바디프레임(20)에 고정체결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 바디와 실린더 로드의 위치가 바뀌는 구성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승강실린더(40)는 시멘트 사이로(200)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고, 상기 승강실린더(40)의 실린더 로드가 실린더 바디에서 인출되면 상기 승강실린더(40)의 승강력에 의하여 상기 보조프레임(30)은 상기 바디프레임(20)에서 승강되며, 그 결과 상기 회전브러쉬(32)는 보조프레임(30)의 승강에 의하여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서 이격된다.
상기와 반대로, 상기 승강실린더(40)의 실린더 로드가 실린더 바디에 인입되면 상기 승강실린더(40)의 하강력에 의하여 상기 보조프레임(30)은 상기 바디프레임(20) 쪽으로 하강되며, 그 결과 상기 회전브러쉬(32)는 보조프레임(30)의 하강에 의하여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부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승강실린더(40)에 의하여 바디프레임(20)에서 승하강 이동하는 보조프레임(30)은 고형물(S)의 양에 따라 상기 회전브러쉬(32)를 승하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다른 경로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고형물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고형물(S) 제거를 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실린더(40)가 하강하여 회전브러쉬(32)가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며, 고형물 제거장치가 비작동 중일 때에는 상기 승강실린더(40)가 승강하여 회전브러쉬(32)가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서 이격된 상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실린더(40)는 단수 개 또는 복수 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승강실린더(40)에 의한 바디프레임(20)에 대한 보조프레임(30)의 부분적인 승하강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승강실린더(40)는 단수 개의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실린더(40)가 장착된 이외 부분의 바디프레임(20)과 보조프레임(30)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41)가 구비되어 바디프레임(20)에서 승하강 이동되는 보조프레임(30)의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가이드바(41)는 도 9와 같이 하단은 상기 바디프레임(20)의 상부 일정부분에 고정체결 또는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바(41)의 상부에는 상기 보조프레임(30)이 승하강 이동 또는 고정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41)의 상부 말단과 상기 보조프레임(30)의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42)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하여, 승강실린더(40)에 의하여 하강한 보조프레임(30)의 전체적인 부분이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면 쪽으로 더욱 안정적으로 하강되어 보조프레임(30)에 구비된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 전체가 시멘트 사이로(200) 내주에 더욱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승강실린더(40)에 의하여 바디프레임(20)에서 승하강 이동하는 보조프레임(30)의 승하강을 보조하거나 상기 승강실린더(40)를 대신하여 바디프레임(20)에서 보조프레임(30)을 승하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디프레임(20)에는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가 구비된 가압실린더(5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프레임(30)에는 상기 바디프레임(20)에 시멘트 사이로(200) 내주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승강봉(53)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봉(53)의 하단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경사면과 맞닿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압실린더(50)의 실리더 로드에 의하여 왕복이동하는 제1 슬라이딩 프레이트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가 시멘트 사이로(200) 내주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가압실린더(50),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 승강봉(53) 및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는 상기 바디프레임(20)과 보조프레임(30)의 사이에 구비되어 가압실린더(50)에 의한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가압력으로 상기 바디프레임(20)에서 보조프레임(30)을 승하강 이동시키는 구성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실린더(50)는 시멘트 사이로(200)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실린더 로드가 가압실린더(50) 바디에서 인입 및 인출되는 구성이고, 상기 바디프레임(20)에 가압실린더(50) 바디가 고정된 상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는 타측이 상기 가압실린더(50)의 실린더 로드 말단에 체결되는 구성을 하고, 일측에는 일정의 경사도를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두께는 바디프레임(20)에 대한 보조프레임(30)의 승하강 높이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는 가압실린더(50)의 실린더 로드의 인입 및 인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바디프레임(20) 상에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이동방향은 상기 바디프레임(20)에 대한 보조프레임(30)의 승하강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는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와 함께 상기 바디프레임(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타측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도 11과 같이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와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가 상호 일렬을 이루며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는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의 경사면과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경사면이 상호 동일한 위상을 가지며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도 12와 같이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가 타측에서 일측방향(도면 12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이 일측 경사면은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의 타측 경사면을 측방(바디프레임(20)에서 보조프레임(30)이 승강되는 방향)으로 엇갈리며 밀어올리게 된다.
이때, 도 12와 같이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에 의하여 밀어올려진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에 구비된 일정 길이의 승강봉(53)은 상기 보조프레임(30)을 바디프레임(20)에서 승강시키고, 상기 보조프레임(30)에 구비된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는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서 이격된다.
상기와 반대로,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와 엇갈리는 상태에 있던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가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에서 빠져나오도록 상기 가압실린더(50)가 작동되면,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는 보조프레임(30)이 바디프레임(20)에서 하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결과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에 구비된 상기 승강봉(53)은 보조프레임(30)이 바디프레임(20)에서 하강되는 방향으로 이동 보조프레임(30)을 하강시킨다.
더불어 상기 승강봉(53)의 하단은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가 고정체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보조프레임(30)이 체결된다.
이때, 상기 승강봉(53)의 상부는 도 11, 12와 같이 상기 보조프레임(30)에 고정된 상태를 가져,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의 이동에 의하여 바디프레임(20)에서 승하강되는 방향으로 보조프레임(30)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상기 승강봉(53)의 상부가 상기 보조프레임(30)과 직접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가지면,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의 이동성을 직접 보조프레임(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승강봉(53)의 상부가 보조프레임(30)에 고정된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된 경우, 도 13, 14와 같이 상기 승강봉(53)의 상부 일부분은 상기 보조프레임(30)을 관통하여 상부 일부분이 보조프레임(30)의 상부쪽에 돌출되고, 상기 보조프레임(30)의 상부와 승강봉(53)의 상단 사이에는 탄성체(54)가 끼워지는 구성을 하여, 바디프레임(20)에서 승강된 보조프레임(30)이 상기 탄성체(54)에 의한 탄성력으로 보다 용이하게 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54)는 하단이 상기 보조프레임(3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구성을 하고, 탄성체(54)의 상단은 하단은 상기 바디프레임(20)에 체결되고 상기 바디프레임(20)에서 보조프레임(30) 쪽으로 높이를 형성하며 길이 연장된 지지대(55)에 안착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55)의 상부와 보조프레임(30)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체(54)는 보조프레임(30)이 승강되면 압축되고,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가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의 하부에서 빠질 때 상기 탄성체(54)은 보조프레임(30)에 복원력을 가하여 보조프레임(30)이 보다 안정적으로 하강되어 보조프레임(30)에 구비된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가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 더욱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승강봉(53)은 상기 승강바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바디프레임(20)과 보조프레임(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승강바와 승강봉(53)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에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 승강봉(53) 및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 승강봉(53) 및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는 각각 복수 개의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는 연결바(56)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고, 어느 하나의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가 가압실린더(50)의 실린더 로드에 의하여 이동되면 다른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들이 일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연결바(56)는 도 12, 14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를 상호 연결시키는 구성을 하고, 상기 연결바(56)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복수 개의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 중 어느 하나의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가 상기 가압실린더(50)의 실린더 로드에 의하여 이동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이동은 나머지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에 전달되어 복수 개의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에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가 상기 복수 개의 승강복 각각을 승하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56)와 연동되어 일괄적으로 승하강 이동되는 복수 개의 승강봉(53)은 상기 보조프레임(30)을 전체적인 부분을 동시에 승하강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보조프레임(30)에 구비된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를 동시에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바디프레임(20)의 전방, 측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 에어 분사수단(60)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분사수단(60)은 시멘트 사이로(200)의 외부에서 공급받은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가지는 에어를 시멘트 사이로(200) 내주에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에어 분사수단(60)을 상기 바디프레임(20)의 일정부분에 관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관 형태의 에어 분사수단(60)에 구비된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에어는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 고착된 고형물(S)을 1차적으로 제거하거나, 상기 회전브러쉬(32)에 의하여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서 떨어진 후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 재부착된 고형물(S) 가루를 시멘트 사이로(200) 내주에서 완벽하게 떨어뜨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의 작동을 위하여 시멘트 사이로(200)의 외부에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로 공급되는 전기, 유압 또는 공압은 전선, 유압호스, 공압호스(이하, '공급라인(80)'이라 칭함)에 의하여 각각 공급될 수 있고, 상기 공급라인(80)은 시멘트 사이로(200)의 외부에 마련된 권양기(82, 윈치)에 의하여 풀리거나 감겨지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양기(82)는 상기 공급라인(80)을 각각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공급라인(80)을 일괄적으로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단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권양기(82)에 의하여 풀리거나 감기는 공급라인(80)은 시멘트 사이로(200)에 장착된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의 위치(시멘트 사이로(200)의 깊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풀거나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급라인(80)은 시멘트 사이로(200)의 상부(뚜껑)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부공간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에는 도 2의 부분 상세도와 같이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81)가 구비되어 개구부에 대한 공급라인(80)의 유연한 인입 및 인출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가 사각형 형태의 내주를 가지도록 구성되면, 상기 회전롤러(81)는 네 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회전롤러(81)는 개구부의 각 내주변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구성을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가 일반적으로 원형의 수평단면을 가지는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를 따라 하강 또는 승강하며 고형물(S)을 제거할 때, 상기 공급라인(80)이 개구부의 전체 내주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디프레임(20)에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대(70)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탑승대(70)는 도 15와 같이 일측은 상기 바디프레임(20)에 고정체결되고, 일측에서 길이연장된 타측은 상기 바디프레임(20)에서 시멘트 사이로(200)의 안쪽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이 연장되어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시킨다.
아울러 상기 탑승대(70)에 탑승한 작업자는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서 제거되는 고형물(S)의 상태를 살필 수도 있도 있고, 상기 레일(10) 또는 시멘트 사이로(200) 내주에 다량의 고형물(S)이 쌓여 상기 바디프레임(20)의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별도의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고형물(S)의 일부를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급라인(80)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기, 유압, 공압 등의 공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도 16과 같이 상기 바디프레임(20)의 일정부분 또는 상기 탑승대(70)의 일정부분에 상기 전기, 유압, 공압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원동력 공급장치(90)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원동력 공급장치(90)는 상기 전기, 유압 또는 공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이고, 상기 공급라인(80)에 상기 전기,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는 시멘트 사이로(200) 외부의 공급장치가 고장나거나 상기 공급라인(80)의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전기, 유압 또는 공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17과 같이 상기 바디프레임(20), 보조프레임(30) 또는 탑승대(7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 카메라와 같은 영상촬영장치(91)가 하나 이상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촬영장치(91)는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의 작동 상태, 고형물(S)의 제거 상황 등을 영상화하여 시멘트 사이로(200) 외부에 위치한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영상촬영장치(91)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시멘트 사이로(200)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도 18과 같이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부공간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가 작업 중에 고장으로 인하여 작동이 멈춘 경우, 고장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를 수리하거나 시멘트 사이로(200)의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보조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100)가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부공간으로 더 투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시멘트 사이로(200) 고형물 제거장치는 바디프레임(20) 및 회전브러쉬(32)가 구비된 보조프레임(30)을 주요 구성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200) 고형물 제거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전후진 구동모터(26)가 구비된 바디프레임(20)과 탑승대(70)만이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보조 시멘트 사이로(200) 고형물 제거장치가 바디프레임(20) 및 회전브러쉬(32)가 구비된 보조프레임(30)을 주요 구성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200) 고형물 제거장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투입된 보조 시멘트 사이로(200) 고형물 제거장치가 고형물(S)을 재차 제거하며 고장난 시멘트 사이로(200) 고형물 제거장치까지 레일(10)을 따라 이동한 후, 고장난 시멘트 사이로(200) 고형물 제거장치와 연결되어(기차의 객차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수단과 같은 공지의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음.) 후진 이동하여 고장난 시멘트 사이로(200) 고형물 제거장치를 시멘트 사이로(200)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보조 시멘트 사이로(200) 고형물 제거장치가 전후진 구동모터(26)가 구비된 바디프레임(20)과 탑승대(70)만이 구비된 것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시멘트 사이로(200) 고형물 제거장치에 작업자가 탑승한 후, 레일(10)을 따라 고장난 시멘트 사이로(200) 고형물 제거장치로 이동하여, 고장난 시멘트 사이로(200) 고형물 제거장치를 작업자가 수리하거나, 고장난 시멘트 사이로(200) 고형물 제거장치를 보조 시멘트 사이로(200) 고형물 제거장치와 연결시켜 시멘트 사이로(200)의 외부로 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과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시멘트 사이로(200)의 외부에 위치한 제어장비 또는 제어 단말기와 통신하며 자동적 또는 작업자에 의한 수동으로 제어 및 작동될 수 있다.
더불어 시멘트 사이로(200)의 고형물(S) 제거 작업을 완료한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는 레일(10)을 따라 시멘트 사이로(200)의 상부로 이동한 후, 시멘트 사이로(200)의 외부로 인출되어 유지보수되거나 재작업을 위한 대기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의 구성품 표면에는 시멘트 또는 고형물(S)로 인한 표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학성이 우수한 재질의 도금층이 더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레일 11 : 상부 레일
12 : 하부 레일 13 : 랙 기어
20 : 바디프레임 21 : 상부 프레임
22 : 하부 프레임 23a, 23b : 가이드롤러
24 : 보조 가이드롤러 25 : 걸림홈
25 : 전후진 구동모터 26 : 피니언 기어
30 : 보조프레임 31 : 메인구동모터
32 : 회전브러쉬 33 : 보조 회전브러쉬
34 : 중간부 회전브러쉬 35 : 돌출프레임
40 : 승강실린더 41 : 가이드바
42 : 탄성부재 50 : 가압실린더
51 :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 52 :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
53 : 승강봉 54 : 탄성체
55 : 지지대 56 : 연결바
60 : 에어 분사수단 70 : 탑승대
80 : 공급라인 81 : 회전롤러
82 : 권양기 90 : 원동력 공급장치
91 : 영상촬영장치
100 : 보조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200 : 시멘트 사이로 210 : 배출구
S : 고형물

Claims (9)

  1. 시멘트 사이로(200)의 내주에 수직방향으로 나선형을 이루며 길이가 형성되며 구비되는 레일(10);
    상기 레일(1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바디프레임(20);
    상기 바디프레임(20)에 체결되고, 메인구동모터(31)에 의하여 회전가능한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를 구비하는 보조프레임(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디프레임(20)에는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가 구비된 가압실린더(5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프레임(30)에는 상기 바디프레임(20)에 시멘트 사이로(200) 내주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승강봉(53)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봉(53)의 하단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의 경사면과 맞닿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압실린더(50)의 실리더 로드에 의하여 왕복이동하는 제1 슬라이딩 프레이트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가 시멘트 사이로(200) 내주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0)은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레일(11, 12)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프레임(20)의 상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11, 12) 중 어느 하나인 상부 레일(1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바디프레임(20)의 하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11, 12) 중 다른 하나인 하부 레일(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일(11) 또는 하부 레일(12)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는 랙 기어(13)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디프레임(20)에는 상기 기어와 랙 기어(13)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27)를 구비하는 전후진 구동모터(26)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는,
    시멘트 사이로(200)의 높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며 상기 보조프레임(30)에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프레임(30)에는 상기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의 전방에 하나 이상의 보조 회전브러쉬(33)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조 회전브러쉬(33)는,
    상기 시멘트 사이로(200)의 높이 방향으로 일렬 배열된 복수 개의 회전브러쉬(32) 중 어느 하나의 회전 브러쉬와 인접된 다른 회전브러쉬(32)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30)와 바디프레임(20) 사이에는 승강실린더(40)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실린더(40)는 상기 바디프레임(20)에서 상기 보조프레임(30)을 시멘트 사이로(200) 내주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시켜, 상기 시멘트 사이로(200) 내주에 대한 상기 회전브러쉬(32)의 밀착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 승강봉(53) 및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52)는 각각 복수 개의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는 연결바(56)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고, 어느 하나의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가 가압실린더(50)의 실린더 로드에 의하여 이동되면 다른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51)들이 일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20)은,
    전방, 측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 에어 분사수단(60)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20)에는,
    탑승대(70)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KR1020170043011A 2017-04-03 2017-04-03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KR101758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011A KR101758240B1 (ko) 2017-04-03 2017-04-03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011A KR101758240B1 (ko) 2017-04-03 2017-04-03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240B1 true KR101758240B1 (ko) 2017-07-14

Family

ID=5935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011A KR101758240B1 (ko) 2017-04-03 2017-04-03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2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3830A (zh) * 2018-07-23 2020-02-04 沈阳铝镁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调节电解铝导杆清刷力的装置
KR102235727B1 (ko) 2020-08-21 2021-04-05 성신양회 주식회사 사일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KR20220141645A (ko) 2021-04-13 2022-10-20 (주)하이포스 충격식 고착물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착물 제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816Y1 (ko) * 2013-09-16 2014-03-17 세방기술산업 주식회사 침전지 이끼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816Y1 (ko) * 2013-09-16 2014-03-17 세방기술산업 주식회사 침전지 이끼제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3830A (zh) * 2018-07-23 2020-02-04 沈阳铝镁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调节电解铝导杆清刷力的装置
CN110743830B (zh) * 2018-07-23 2021-12-14 沈阳铝镁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调节电解铝导杆清刷力的装置
KR102235727B1 (ko) 2020-08-21 2021-04-05 성신양회 주식회사 사일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KR20220141645A (ko) 2021-04-13 2022-10-20 (주)하이포스 충격식 고착물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착물 제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240B1 (ko) 시멘트 사이로의 고형물 제거장치
US11155414B2 (en) Rebar cage assembly machine
CN101475003B (zh) 铁路路基铺设抢险石料自卸列车
CN211945437U (zh) 一种建筑施工用砖块卸料装置
CN102312579B (zh) 混凝土布料机楼面自动内爬装置
KR100543579B1 (ko)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CN112340465A (zh) 一种散装物料袋码垛设备
DE2217405A1 (ko)
KR101235635B1 (ko) 이송 원료 평탄 장치
CN112478825B (zh) 一种方向可调的砖块输送架
CN114319044B (zh) 一种混凝土路面养护设备
CN213995801U (zh) 一种反应釜安装平台
CN214003359U (zh) 一种散装物料袋码垛设备
CN110206324B (zh) 建材越层处理系统及建材越层处理方法
CN104652869B (zh) 一种导轨伸缩式停车设备
CN107651625A (zh) 一种电力设备安装托举装置
CN108972894B (zh) 一种便于混凝土卸料的分层式中转设备
DE202020005527U1 (de) Anordnung zur Herstellung wenigstens eines dreidimensionalen Bauteils für die Bauindustrie
US2281595A (en) Apparatus for servicing railway running gears
CN113404274B (zh) 一种建筑施工用可折叠式升降操作台
CN211169679U (zh) 升降式送料装置
CN109733200A (zh) 一种受电弓碳滑板安装更换方法
CN220267245U (zh) 一种智能化建筑平台用物料传输机构
CN214615502U (zh) 一种建筑施工用卸料平台
JP2906134B2 (ja) 圧延ローラー成形機に用いる石膏型の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