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031B1 - 캐리어 레일 하우징 - Google Patents

캐리어 레일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031B1
KR101758031B1 KR1020167010040A KR20167010040A KR101758031B1 KR 101758031 B1 KR101758031 B1 KR 101758031B1 KR 1020167010040 A KR1020167010040 A KR 1020167010040A KR 20167010040 A KR20167010040 A KR 20167010040A KR 101758031 B1 KR101758031 B1 KR 101758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rail
latching
carrier
hous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377A (ko
Inventor
빅토르 믹크만
Original Assignee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73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1Side-by-side or stack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02B1/0523Mounting on rails locked into position by a sliding memb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08Fastening means for mounting on support rail or stri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02B1/0526Mounting on rails locking or releasing devices actuated from the front face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atch Board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이 설명되며, 이는 캐리어 레일(3)을 설치하기 위한 스냅결합 베이스(2)를 포함한다. 스냅결합 베이스(2)는 캐리어 레일(3)을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두 개의 스냅 결합 래치(4, 12)로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스냅결합 러그(6, 13)를 포함하고 스냅결합 러그는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캐리어 레일(3)과의 로킹을 위해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 내로 스냅결합 위치로 돌출하는, 스냅결합 래치; 및 결합 요소(10)로서, 두 개의 스냅결합 래치(4, 12)와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하나의 스냅 결합 래치(4)의 이동을 다른 스냅결합 래치(12)의 이동으로 전달하는 결합 요소를 포함한다. 스냅결합 베이스(2)는 개방 위치에서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 내로 돌출하는 정지부(18)를 갖는 로킹 아암(15)을 더 포함하며, 개방 위치에서, 스냅결합 러그(6, 13)는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캐리어 레일(3)의 측부 에지에서의 적용을 위해 캐리어 레일(3)로부터 로킹해제된다. 로킹 아암(15)은 스냅결합 래치(4, 12)가 정지부(18)의 적용에 의해 개방 위치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스냅결합 래치(4, 12)와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캐리어 레일 하우징 {CARRIER RAIL HOUSING}
본 발명은 캐리어 레일에 대한 부착을 위한 래칭 베이스를 갖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에 관한 것이며, 래칭 베이스는
- 캐리어 레일을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
- 두 개의 래칭 링크로서, 래칭된 위치에서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캐리어 레일과 래칭하도록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 내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러그를 각각 가지며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두 개의 래칭 링크, 및
- 두 개의 래칭 링크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며 하나의 래칭 링크의 이동을 다른 래칭 링크의 이동으로 전달하는 결합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캐리어 레일 하우징은 캐리어 레일 상으로 서로 인접하게 래칭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를 위해 사용되며, 캐리어 레일은 예로서, 스위치 캐비넷에서 조립체 벽에 체결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예로서, 센서, 작동기 및 다른 장치 같은 전기 또는 전자 구성요소의 배선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형의 캐리어 레일 하우징은 원론적으로 예로서, 모듈식 제어 장치에 대한 DE 44 02 002 B4로부터 알려져 있다.
EP 0 437 124 B1은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두 개의 래칭 링크를 갖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을 개시하며, 상기 래칭 링크의 래칭 러그는 캐리어 레일의 아래에 결합한다. 래칭 링크는 래칭 링크 중 하나에 인장력을 인가함으로써 작동된다. 래칭 링크는 인장력 작동 탄성 복원성 링크 상에 작용하는 스프링-부하식 로킹 핑거의 도움으로 개방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EP 2 003 754 B1은 캐리어 레일에 대한 고정적 클램핑을 위한 장치를 갖는 모듈식 전기 장치를 개시한다. 동시적 작동 메커니즘을 갖는 두 개의 이동가능한 슬라이더는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제공된다. 동시적 작동 메커니즘은 제1 슬라이더가 작동될 때 제2 슬라이더의 작동을 유발한다. 동시적 작동 메커니즘은 연장 위치로 제2 슬라이더를 활주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와, 회전 샤프트 둘레에서 회전하고 복원성 부재의 힘을 상쇄하여 제2 슬라이더를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가 되게 하도록 활주력을 작용하기 위한 회전 활주 부재를 포함한다. 연장 또는 후퇴 위치에서 슬라이더를 고정하기 위해 보유 리세스가 제공되며, 상기 보유 리세스는 보유 러그와 협력한다.
EP 1 742 315 A1은 서로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두 개의 로킹 슬라이더를 갖는 캐리어 레일 상으로의 래칭을 위한 모듈식 하우징을 개시하며, 상기 로킹 슬라이더는 복원성 요소에 의해 서로에 연결되고, 각각 캐리어 레일 에지(래칭 러그) 아래에 래칭되는 섹션을 포함한다. 스크류드라이버의 도움으로 회전될 수 있는 연장 핀이 두 개의 로킹 슬라이더를 통해 수직 방식으로 연장하고, 그래서, 연장 핀이 회전할 때 서로에 관한 로킹 슬라이더의 반대방향 이동이 유발되어 래칭 베이스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또한, EP 0 978 913 B1은 캐리어 레일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안내 배열을 포함하며 캐리어 레일 상에 조립될 수 있는 장치 하우징의 구성요소로서 클램핑 장치를 개시한다. 보유 러그는 하우징 안내 배열의 두 개의 측부 상에 제공되며, 폐쇄 위치에서, 상기 보유 러그는 상기 보유 러그가 포지티브-로킹 방식으로 캐리어 레일의 프로파일 에지 둘레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하우징 안내 배열체 내로 돌출한다. 공통 슬라이더에 의해, 장치 안내 배열체로부터 후퇴되는 개방 위치로 각 보유 러그를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보유 러그는 하나의 부품으로서 공통 슬라이더 상에 형성되고 탄성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슬라이더는 하우징 정지부 상의 래칭 레버에 의해 개방 위치에 래칭된다.
WO 2004/114466 A1은 캐리어 레일에 부착되는 래칭 베이스를 갖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을 개시하며, 각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래칭 러그를 갖는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두 개의 래칭 링크가 회전 결합 요소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이 회전 결합 요소는 하나의 래칭 링크의 이동이 다른 래칭 링크의 이동으로 변환되고 연계된 래칭 러그를 갖는 래칭 링크가 그에 의해 서로에 대해 이동되도록 캐리어 레일의 연장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WO 2013/054873 A1은 래칭 러그를 갖는 두 개의 래칭 링크를 갖는 래칭 베이스를 구비한 캐리어 레일 하우징을 개시하며, 상기 래칭 링크는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래칭 링크는 상기 래칭 링크를 래칭된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복원성 아암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로킹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래칭 링크 상에 제공되며, 상기 로킹 아암은 래칭된 위치와 개방 위치의 단부 위치에서 래칭 링크를 보유하기 위해 하우징과 협력한다.
래칭 링크는 요동 레버를 사용하여 작동되며, 이 요동 레버는 탄성 방식으로 래칭 링크 상에 형성되는 요동 아암에 의해 래칭 링크에 부착된다. 요동 레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래칭 링크는 장치 하우징과 래칭 링크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코일 스프링)의 도움으로 개방 상태에서 예비응력하에 배치된다.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어 레일에 대한 부착을 위한 래칭 베이스를 구비하는 개선된 캐리어 레일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며, 래칭 링크는 래칭 러그가 캐리어 레일로부터 래칭해제되는 개방 위치에 그 래칭 러그가 있게 되는 개방 위치에서 가능한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보유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설명되어 있다.
래칭 베이스는 또한 개방 위치에서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 내로 돌출하는 정지부를 갖는 로킹 아암을 더 포함하고, 이 개방 위치에서, 래칭 러그는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캐리어 레일의 측부 에지와 접촉하도록 캐리어 레일로부터 래칭해제되는 것이 제안된다. 로킹 아암은 래칭 링크가 정지부와의 접촉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 보유되는 방식으로 래칭 링크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추가적 로킹 아암은 개방 위치로의 래칭 링크의 상대 이동 이후, 특히 간단한 취급 동작과 함께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이 개방 위치에서 래칭 링크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로킹 아암의 정지부는 래칭 링크가 이러한 정지부의 도움으로 개방 위치에서 위치적으로 고정되도록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캐리어 레일의 하나의 측부 에지와 접촉한다. 캐리어 레일 하우징은 래칭 링크를 개방 위치에 다른 방식으로 강제로 보유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캐리어 레일로부터 쉽게 후속하여 제거될 수 있다.
캐리어 레일 하우징이 캐리어 레일로부터 제거된 이후, 로킹 아암의 정지부는 캐리어 레일로부터 분리되고 래칭 링크를 해제시킨다. 래칭 링크가 예로서, 복원성 요소에 의해 사전응력하에 있는 경우에 대하여, 래칭 링크는 래칭된 위치로 다시 활주한다. 그러나, 캐리어 레일 하우징이 캐리어 레일로부터 제거되는 상태에서 개방 위치가 더 이상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이는 더 이상 불리하지 않다.
로킹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탄성 복원성 방식으로 구현된다. 로킹 아암이 래칭 링크 중 하나 상에 일체형 방식의 것으로서, 달리 말하면, 하나의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이는 따라서 예로서 공간 절약적 방식으로 로킹 아암이 할당된 래칭 링크에 인접하게 또는 필요한 경우, 부분적으로 할당된 래칭 링크 위에서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래칭 링크를 갖는 로킹 아암의 일체형 실시예에 의해, 로킹 메커니즘이 추가적 공간 요건 없이, 그리고, 조립 절차를 위한 추가적 지출을 필요로 하지 않고, 래칭 링크의 사출 성형 공정과 함께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캐리어 레일 하우징 및 로킹 아암이 서로 협력되면서 하나가 나머지 상단에 놓여지는 안내 윤곽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두 개의 래칭 링크의 래칭 러그가 래칭된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안내 윤곽은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에 통합되는 캐리어 레일과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의 베이스 사이에 놓여지는 제1 영역으로부터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의 측벽과 캐리어 레일의 측부 에지 사이에 놓여지는 제2 위치로 정지부를 변위시키도록 구현된다.
정지부를 포함하는 로킹 아암의 섹션은 그에 의해 제2 영역으로 변위될 때 캐리어 레일의 측부 에지와의 접촉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 래칭 베이스를 보유하는 목적으로 개방 위치에서 사용된다. 대조적으로, 래칭된 위치에서, 정지부를 포함하는 로킹 아암의 영역은 캐리어 레일의 상부 면과 캐리어 레일 하우징 사이의 제1 영역 내로 변위된다.
정지부를 포함하는 로킹 아암의 단부 섹션의 대응 변위는 안내 윤곽에 의해 달성된다. 서로에 관해 래칭 링크가 상대 이동하는 경우,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의 로킹 윤곽의 도움으로 규정된 방식으로 로킹 아암의 단부 섹션이 결과적으로 변위된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결합 요소는 회전 디스크로서 구현되며, 회전 디스크는 캐리어 수용 개구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캐리어 레일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 샤프트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래칭 링크는 관절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회전 샤프트가 상기 래칭 링크 사이에 놓여지는 상태로 회전 디스크의 대향 측부들 상에 배치된다. 래칭 링크가 변위될 때, 그에 관절 방식으로 연결되는 회전 디스크가 결과적으로 회전 샤프트 둘레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다른 래칭 링크가 유사하게 작동된 래칭 링크에 대해 변위되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 래칭 링크는 특히 유리한 경우에도 회전 디스크의 대향 측부들 상에서, 달리 말하면, 정반대로 대향하여(180°오프셋) 서로 직접적으로 관절 방식으로 연결될 필요가 없다. 래칭 링크는 서로에 관해 180°를 초과하여 오프셋되지만 회전 샤프트에 대해 회전 디스크의 대향 측부들 상에서 회전 샤프트에 부착되는 것이 고려된다.
래칭 링크는 유리하게는 각 경우에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의 개방 평면에 관하여 예각으로 연장하는 경사진 표면을 갖는다.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의 개방 평면은 캐리어 레일이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 내로 그를 통해 안내되는 개방 평면이다. 이 경사진 표면의 도움으로, 또한, 캐리어 레일 하우징을 래칭 링크를 개방 위치로 미리 변위시킬 필요 없이 래칭 링크의 래칭된 위치로 캐리어 레일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캐리어 레일에 캐리어 레일 하우징을 부착할 때, 경사진 표면에 의해 래칭 링크 상으로 힘이 작용되며, 상기 힘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래칭 러그들이 개방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이격 구동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래칭 링크를 이동시킨다. 개방 위치가 단지 래칭 러그의 첨단형 단부들이 캐리어 레일의 측부 에지를 따라서만 활주할 수 있는 정도로 달성되기 때문에, 이 방식으로 캐리어 레일 하우징에 부착되는 경우의 로킹 아암의 정지부는 부착 절차 동안 개방 위치에서 래칭 링크를 보유하기 위해 캐리어 레일의 측부 에지와 자동으로 접촉하게 될 수 없다. 따라서, 임의의 방식으로 로킹 아암을 수동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 로킹 아암은 결과적으로, 래칭 링크를 래칭된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수동 개방할 때에만 기능하며, 또한, 따라서, 로킹 아암 자체를 수동으로 로킹할 필요가 없다.
캐리어 레일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 기판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회로 기판은 전자 시스템과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요소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요소는 전기 전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전도체 연결 접점을 갖고, 상기 플러그 요소는 회로 기판에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캐리어 레일 하우징이 모듈식 제어 장치의 전자 모듈 장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로서, 필드 버스 제어기로서 캐리어 레일 하우징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필드 버스 제어기는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유닛, 필드 버스 커플러 또는 필드 버스제어기나 이 유형의 필드 버스 커플러에 연결되는 I/O 모듈을 갖는다. 이 유형의 I/O 모듈은 예로서, 센서로부터 입력 신호를 포획하기 위한 입력 모듈, 예로서 연결된 작동기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모듈, 모터 제어 모듈, 인터페이스 모듈(예로서, RS232/RS434, USB 등) 또는 다른 모듈일 수 있다. 캐리어 레일 하우징을 캐리어 레일에 부착할 때 데이터 버스, 시스템 전압 공급부 및/또는 버스의 연결된 구성요소를 위한 전력 공급부를 자동으로 형성하기 위해 열들로 캐리어 레일 하우징을 배열할 때 순서대로 적어도 하나의 측부 에지 상에 플러그 접점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예시적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로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도 1은 래칭된 위치에서 래칭 베이스의 영역에서 캐리어 레일 하우징의 측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2는 개방 위치에서 래칭 베이스의 영역에서 도 1의 캐리어 레일 하우징의 측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3은 상기 래칭 베이스에 형성된 로킹 아암을 갖는 래칭 베이스의 제1 래칭 링크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4는 제2 래칭 링크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5는 회전 디스크로서 구현된 결합 요소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6은 힘으로 제1 래칭 링크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U-형 복원성 요소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7은 제1 래칭 링크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8은 제2 래칭 링크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9는 전체 캐리어 레일 하우징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1은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이 캐리어 레일(3)에 부착 및 래칭되는 래칭 베이스(2)의 섹션의 측면도로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래칭 베이스(2)는 제1 측부 에지(그림에서, 우측 에지)로부터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로 연장하는 제1 래칭 링크(4)를 포함한다. 제1 래칭 링크(4)는 캐리어 레일(3)의 측부 에지 상에 예시된 래칭된 위치에서 래칭하도록, 그리고, 캐리어 레일(3)의 절첩된 종방향 연장 연결 부재(7a) 아래에 결합하도록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 내로 유사하게 지향되는 래칭 러그(6)를 포함한다. 절연 재료로 구현되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1) 내에서 경사진 방식으로 연장하는 작동 개구(8)가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의 측벽 상에 제공되고, 제1 래칭 링크(4)는 상기 측벽의 외부로 돌출한다. 작동 도구, 예로서, 스크류드라이버는 그에 의해 작동 개구(8) 내로 삽입되고, 래칭 링크(4)의 자유 단부(9)와 작동식으로 연결되어 예시된 래칭된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래칭 링크(4)를 변위시킬 수 있다.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된 결합 요소(10)가 관절 방식으로 자유 작동 단부(9)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래칭 링크(4)의 자유 단부에 연결된다. 이 목적을 위해, 래칭 링크(4)로부터 시작하는 핑거가 결합 요소(10)의 대응 장착 개구에 결합한다. 결합 요소(10)는 회전 디스크로서 구현되며, 이 회전 디스크는 캐리어 레일(3)의 연장 방향(X)으로 연장하는 회전 샤프트(11) 둘레에 장착되며, 캐리어 레일 하우징(1) 또는 래칭 베이스(2) 상에 배열된다.
제2 래칭 링크(12)는 결합 요소(10)에 관절 방식으로 연결된다. 결합 요소(10)는 유사하게 제2 래칭 링크(12)에 관하여 횡단 방식으로 연장하는 핑거에 의해 결합 요소(10)의 장착 개구에 장착된다. 제2 래칭 링크(12)는 L 형상 방식으로 형성되고, 유사하게 캐리어 레일(3)의 제2 측부 에지(7b) 상에 래칭하기 위한 래칭 러그(13)를 그 자유 단부 상에 구비하며, 상기 측부 에지는 방향(X)으로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제1 및 제2 래칭 링크(4, 12)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래칭 링크(4)가 부분적으로 예시된 래칭된 위치로부터 도 2에 그려져 있는 개방 위치로 인출되는 경우 래칭 러그(6, 13)가 일정한 평면 상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개방 위치는 도 2에서 볼 수 있고, 상기 개방 위치에서, 제1 래칭 링크(4)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의 측벽의 외부로 부분적으로 그 자유 작동 단부(9)가 돌출한다. 결합 요소(10)는 회전 샤프트(11) 둘레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은 제1 래칭 링크(4)의 래칭 러그(6)로부터 그 래칭 러그(13)가 떨어지는 상태로 제2 래칭 링크(12)를 이동시킨다. 결과적으로, 래칭 러그(6, 13)는 서로 떨어지게 이동되며, 그래서, 상기 래칭 러그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부 연결 부재(7a, 7b) 또는 캐리어 레일(3)의 각각의 측부 에지로부터 분리된다. 래칭 베이스(2)는 그에 의해 래칭해제되고,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은 캐리어 레일(3)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복원성 요소(14)는 도 1 및 도 2에서 명백히 볼 수 있으며, 상기 복원성 요소는 제1 래칭 링크(4)의 L 형상 각진 영역과 절연 재료로 형성된 캐리어 레일 하우징(1) 사이에 배열된다. 도 1에 따른 래칭된 위치에서, 복원성 요소(14)는 이완되거나, 서로 대향 배치되는 U 형상 굴곡 판 스프링의 복원성 아암이 도 2에 따른 개방 위치에서보다 서로 더 많이 이격된다. 이 위치에서, 서로 함께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원성 아암을 가압함으로써 제1 래칭 링크(4)를 부분적으로 인출함으로써 복원성 요소(14)가 응력부여될 수 있다. 이는 제1 래칭 링크(4)를 해제할 때 복원성 요소(14)(판 스프링)의 힘 하에 래칭된 위치로 제1 래칭 링크(4)가 자동으로 다시 안내되게 한다.
도 2에 예시된 개방 위치에서 자동으로 래칭 베이스(2)를 보유하기 위해, 제1 래칭 링크(4)는 도 3에서 명백한 로킹 아암(15)을 포함한다. 이 로킹 아암(15)은 래칭 러그(6)를 지지하는 래칭 링크(4)의 연결 부재(16)에 인접하게 연장하며, 래칭 러그(6)를 향해 지향하는 연장 방향으로 제1 작동 단부(9)로부터 시작된다. 로킹 아암(15)은 예로서 합성 재료로 사출 성형 절차에 의해 하나의 부품으로서, 달리 말하면, 제1 래칭 링크(4)와 일체형 방식으로 구현되고, 결과적으로, 탄성 복원성 방식으로 거동하는 것이 명백하다. 로킹 아암(15)의 자유 단부는 정지부(18)를 형성하기 위한 단면에서 볼 때 L 형상 리세스를 갖는 대략 입방체형 헤드(17)를 갖는다. 제1 측부 연결 부재(7a)의 측부 에지와 결합될 때, 이 정지부(18)는 캐리어 레일(3)에 도달하며, 이 캐리어 레일은 도 2에 예시된 개방 위치가 달성되는 경우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 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래칭 링크(4), 그리고, 그에 의해, 또한 결합 요소(10)에 의해 그에 결합되는 제2 래칭 링크(12)는 제1 래칭 링크(4)가 해제되는 경우 도 1에 따른 래칭된 위치로 복원성 방식으로 다시 추진되는 것이 방지된다.
로킹 아암(15)은 로킹 아암(15)의 상부면 상에 경사진 표면(30)의 형태로 로킹 아암 측부 상에 안내 윤곽을 포함한다.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은 캐리어 레일 하우징(1)에 고정되어 배열된 핀(31) 형태의 하우징 측부 상에 할당된 안내 윤곽을 포함한다. 제1 래칭 링크(4)를 부분적으로 인출할 때, 로킹 아암 측부 상의 안내 윤곽(달리 말하면 경사진 표면(30))은 하우징 측부 상의(달리 말하면, 핀(31) 상의) 안내 윤곽 상에 배치된다. 로킹 아암(15)은 서로 조화된 이들 안내 윤곽에 의해 캐리어 레일(3)의 측부 에지와 래칭 러그(6)를 향한 방향으로 하향 가압된다. 캐리어 레일(3)로부터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을 제거한 이후, 래칭 베이스(2)의 이러한 로킹 배열체는 정지부(18)에 의해 분리되고, 제1 및 제2 래칭 링크(4, 12)는 그후 래칭된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판 스프링(14)의 힘 하에서 서로를 향한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어 레일 측부 상에 존재하는 고정된 핀(31)은 로킹 아암(15)의 상부 면 상에서 경사진 표면(30) 상에서 활주하며, 개방 위치를 위한 편향 이동으로 상기 로킹 아암을 추진한다. 헤드(17)가 캐리어 레일 에지와 접촉하게 되는 경우 로킹 아암(15)이 래칭 절차 동안 탄성 복원성 방식으로 사전 응력부여되고 상향 편향되는 한, 대안적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 래칭 링크(4, 12)의 개방 이동 동안, 충분히 넓은 개방 위치의 경우에 정지부(18)가 접촉될 수 있도록 로킹 아암(15)이 그후 다시 스냅결합된다.
래칭된 위치에 있는 래칭 베이스(2)에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을 부착할 때, 래칭 러그(6, 13)가 측부 연결 부재(7a, 7b)의 측부 에지 상에 배치되는 경우, 래칭 러그(6, 13)는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의 개방 평면에 관하여 또는 캐리어 레일(3)을 통해 연장하는 평면에 관하여 또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의 베이스를 통해 연장하는 평면에 관하여 예각으로 연장하는 경사진 표면을 갖는 그 테이퍼진 형상에 기인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을 캐리어 레일(3)에 부착할 때 개방 위치로 래칭 베이스(2)를 개방시키기 위한 작동 절차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도 3은 자유 작동 단부(9)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래칭 링크(4)의 자유 조인트 단부(20) 상의 마개(19)를 예시한다. 이 마개(19)는 자유 조인트 단부(20)를 향한 방향으로 래칭 베이스(6)로부터 연장하는 연결 부재(16)로부터 횡방향 방식으로 돌출한다.
또한, 작동 개구(21)는 자유 작동 단부(9) 상에 존재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캐리어 레일 하우징(1) 상에 스크류드라이버에 의해 제공되는 레버 힘에 의해 제1 래칭 링크(4)를 변위시키기 위해 이 작동 개구(21) 내로 스크류드라이버 또는 다른 적절한 작동 도구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L형 제2 래칭 링크(12)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경사진 방식으로 연장하는 래칭 러그(13)는 자유 단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래칭 러그는 다른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래칭 러그(13)는 L형 래칭 링크(12)의 짧은 아암 상에 배열된다. 횡방향 방식으로 돌출하는 핑거(22)는 유사하게 긴 아암의 자유 단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핑거는 결합 요소(10)의 대응 장착 개구에 삽입된다.
도 5는 결합 요소(10)의 일부 도면에서 a) 사시도 및 일부 도면에서 b) 측면도를 예시한다. 장착 개구(23a, 23b)는 회전 샤프트(11)의 두 측부 상에 존재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들 장착 개구(23a, 23b)는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서로 정반대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이들 장착 개구는 또한 서로 대향 배치된 회전 샤프트(11)의 측부 상에서 서로에 관하여 오프셋될 수 있다.
도 6은 U형 굴곡 판 스프링(14)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판 스프링(14)은 공통 복원성 굴곡부(24)로부터 연장하는 두 개의 복원성 아암(25a, 25b)을 포함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대안적으로, 이는 또한, 예로서, 코일 스프링 등의 형태의 압축 스프링이 제공될 수 있게 한다.
도 7은 제1 래칭 링크(4)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제1 연결 부재(26)를 갖는 제1 래칭 링크(4)가 작동 단부(9)로부터 연장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경사진 방식으로 연장하는 래칭 링크(6)는 제1 연결 부재(26)의 단부 상에 존재한다. 이에 평행하게, 헤드(17)가 제2 연결 부재(16) 아래에 정지부(18)를 갖는 로킹 아암(15)의 자유 단부 상에 배치되도록 로킹 아암(15)이 연장한다. 정지부(18)는 래칭 러그(6)의 첨단 단부보다 다소 더 많이 작동 단부(9)로부터 10으로 돌출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을 캐리어 레일(3)에 부착할 때, 정지부(18)는 그에 의해 캐리어 레일(3)의 측부 에지와 결합하는 것이 방지되고, 래칭 베이스(2)는 개방 위치에 보유된다. 래칭 러그(6)가 캐리어 레일(3)의 측부 연결 부재(7a)로부터 분리되는 정도로 제1 래칭 링크(4)를 개방 위치로 개방한 이후에만, 캐리어 레일(3)의 측부 연결 부재(7a)의 측부 에지를 지나쳐서 정지부(18)가 안내되고, 최종적으로, 개방 위치에서 래칭 베이스(2)를 보유하기 위해 측부 연결 부재(7a)의 측부 에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 부재(16)는 순차적으로 L형 방식으로 자유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각지게 되고, 추가적 L 형상 각도로 조인트 단부(20)로 전이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 8은 L 형상 방식으로 형성된 제2 로킹 링크(12)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기본적으로, 도 4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9는 래칭 베이스(2)를 갖는 단일 부품 절연 재료 하우징으로서 본 예시된 실시예에서 구현되어 있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의 측면도를 예시하며, 래칭 베이스는 절연 재료 하우징에 통합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래칭 베이스(2), 상기 절연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는 전자 모듈 및 연결 전기 전도체를 위한 플러그 접점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을 갖는 베이스 부품을 구비하는 다중 부품 절연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듈은 전자 모듈에 부착될 수 있다. 다수의 플러그 접점(27)이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의 측부 표면 상에 존재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면의 우측에 예시되어 있는 플러그 접점(27)의 도움으로, 캐리어 레일(3) 상에서 열로 복수의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을 배열할 때 시스템 전압 공급부와 데이터 버스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좌측에 예시된 플러그 접점(27)의 도움으로, 캐리어 레일 하우징(1)에 또는 그에 의해 형성된 전기 장치 상에 예로서, 작동기, 센서 등에 의해 연결된 버스 구성요소를 위한 전력 공급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의 결과적 루프형 전력 공급장을 사용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Claims (11)

  1. 캐리어 레일(3)에 부착되는 래칭 베이스(2)를 갖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1)으로서, 래칭 베이스(2)는
    - 캐리어 레일(3)을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
    - 래칭된 위치에서,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에 수용될 수 있는 캐리어 레일(3)과 래칭하도록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 내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러그(6, 13)를 각각 구비하는,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두 개의 래칭 링크(4, 12), 및
    - 두 개의 래칭 링크(4, 12)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결합 요소(10)로서, 하나의 래칭 링크(4)의 이동이 다른 래칭 링크(12)의 이동으로 전달되는, 결합 요소를 포함하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에 있어서,
    래칭 베이스(2)는 캐리어 레일(3)로부터 래칭 러그(6, 13)가 래칭 해제되는 개방 위치에서,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캐리어 레일(3)의 측부 에지와 접촉하도록 캐리어 레일 개구(5) 내로 돌출하는 정지부(18)를 갖는 로킹 아암(15)을 더 포함하고, 로킹 아암(15)은 접점을 형성하는 정지부(18)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 래칭 링크(4, 12)가 보유되는 방식으로 래칭 링크(4, 12)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로킹 아암(15)은 래칭 링크(4)와 함께 일체형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킹 아암(15)은 탄성 복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원성 요소(14)는 래칭된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개방 위치로부터 복원성 요소(14)의 복원력 하에 래칭 링크(4, 12)를 복귀시키기 위해 래칭 링크(4, 12) 중 적어도 하나와 캐리어 레일 하우징(1) 사이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캐리어 레일 하우징(1) 및 로킹 아암(15)은 안내 윤곽을 포함하고, 안내 윤곽은 서로 조화되고, 하나가 나머지 상단에 배치되며, 두 개의 래칭 링크(4, 12)의 래칭 러그(6, 13)가 래칭된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안내 윤곽은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 내로 도입되는 캐리어 레일(3)과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의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영역으로부터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의 측벽과 캐리어 레일(3)의 측부 에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영역으로 정지부(18)를 변위시키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1).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킹 아암(15)의 정지부(18)는 캐리어 레일(3)과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의 베이스 사이의 래칭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지지부(17)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1).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결합 요소(10)는 캐리어 수용 개구(5)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캐리어 레일(3)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 샤프트(11) 둘레로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회전 디스크이고, 래칭 링크(4, 12)는 서로 관절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 샤프트(11)가 상기 래칭 링크 사이에 배치되는 상태로 회전 디스크(10)의 대향 측부들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1).
  8. 제7항에 있어서, 래칭 링크(4, 12)는 회전 디스크(10)에 관절 방식으로 연결되고, 서로 정반대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1).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래칭 러그(6, 13) 각각은 캐리어 레일 수용 개구(5)의 개방 평면에 관하여 예각으로 연장하는 경사진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1).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로 기판과 전자 시스템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요소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요소는 전기 전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전도체 연결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요소는 회로 기판에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1).
  11. 제10항에 있어서, 캐리어 레일 하우징(1)은 모듈식 제어 장치의 장치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레일 하우징(1).
KR1020167010040A 2013-10-21 2014-10-16 캐리어 레일 하우징 KR101758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11551.9 2013-10-21
DE102013111551.9A DE102013111551B3 (de) 2013-10-21 2013-10-21 Tragschienengehäuse
PCT/EP2014/072231 WO2015059027A1 (de) 2013-10-21 2014-10-16 Tragschienengehä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377A KR20160073377A (ko) 2016-06-24
KR101758031B1 true KR101758031B1 (ko) 2017-07-13

Family

ID=51730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040A KR101758031B1 (ko) 2013-10-21 2014-10-16 캐리어 레일 하우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43538B2 (ko)
EP (1) EP3061168B1 (ko)
JP (1) JP6407272B2 (ko)
KR (1) KR101758031B1 (ko)
CN (1) CN105723581B (ko)
DE (1) DE102013111551B3 (ko)
WO (1) WO2015059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392729U (zh) * 2015-03-03 2015-06-10 高创(苏州)电子有限公司 线路板的固定装置及包含该固定装置的电子设备
DE202015009391U1 (de) * 2015-09-21 2017-05-24 Ellenberger & Poensgen Gmbh Schaltgerät
JP6668682B2 (ja) * 2015-10-28 2020-03-18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筐体の取付構造
DE102016107044B4 (de) 2016-04-15 2017-11-16 Rittal Gmbh & Co. Kg Elektronisches Gerät für den Einbau in einem Schaltschrank, das ein erstes und ein zweites Befestigungsmittel aufweist
US10411372B2 (en) * 2016-07-13 2019-09-10 Rockwell Automation Asia Pacific Business Ctr. Pte., Ltd. DIN latch mechanism
DE102017124706A1 (de) * 2017-10-23 2019-04-25 Pilz Gmbh & Co. Kg Tragschienengehäuse, Elektronikmodul mit einem Tragschienengehäuse und System, insbesondere Steuerungssystem, mit einer Mehrzahl von Elektronikmodulen
US10631426B1 (en) * 2018-09-28 2020-04-2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Electronics module mounting system
AR126060A1 (es) 2021-06-08 2023-09-06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Método para producir derivado de dihidropiridazin-3,5-dion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492B1 (ko) 1998-08-14 2002-06-26 이종수 차단기의이동유니트이송장치
JP2004173432A (ja) 2002-11-21 2004-06-17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引出形遮断器とその引き出し方法
WO2013054873A1 (ja) 2011-10-13 2013-04-18 オムロン株式会社 電気機器の筐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30773T3 (es) * 1988-01-30 1992-11-16 Weidmuller Interface Gmbh & Co. Pie de montaje para regletas de bornes.
JP2782213B2 (ja) * 1988-12-16 1998-07-30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FR2657200B1 (fr) * 1990-01-12 1992-05-15 Hager Electro Dispositif de clipsage pour appareils electriques modulaires a juxtaposer et appareil modulaire muni d'un tel dispositif.
US5602363A (en) * 1993-09-07 1997-02-11 Watlow/Winona, Inc. Din rail mounted enclosure
DE4402002B4 (de) 1994-01-18 2005-10-2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A-Module/ für einen Datenbus
JP2700444B2 (ja) * 1995-01-26 1998-01-21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電気機器設置用箱体の扉用ロック装置
ATE464685T1 (de) * 1998-08-04 2010-04-15 Siemens Ag Klemmvorrichtung
FR2835358B1 (fr) * 2002-01-25 2004-09-10 Schneider Automation Appareil electrique a fixer sur un profile chapeau
WO2004114466A1 (en) * 2003-06-25 2004-12-29 Crevis Co., Ltd. Signal processing module of industrial machines
FR2879833B1 (fr) * 2004-12-16 2008-06-13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e verrouillage d'un appareil electrique sur un rail de support
DE202005010601U1 (de) * 2005-07-06 2006-11-16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Modulgehäuse, insbesondere Modulsockelgehäuse, zum Aufrasten auf eine im Querschnitt hutförmige Tragschiene
ATE533214T1 (de) * 2007-06-14 2011-11-15 Bticino Spa Modulares elektrisches gerät mit vorrichtung zum festklammern an eine schiene
CN201171026Y (zh) * 2008-03-05 2008-12-24 江苏西蒙智控设备有限公司 小型漏电断路器导轨安装机构
CN202005103U (zh) * 2011-01-25 2011-10-05 上海诺雅克电气有限公司 一种在帽式安装轨上安装锁定电器的装置
US9653891B2 (en) * 2011-08-30 2017-05-16 Te Connectivity India Private Limited Electrical component for rail mount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492B1 (ko) 1998-08-14 2002-06-26 이종수 차단기의이동유니트이송장치
JP2004173432A (ja) 2002-11-21 2004-06-17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引出形遮断器とその引き出し方法
WO2013054873A1 (ja) 2011-10-13 2013-04-18 オムロン株式会社 電気機器の筐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377A (ko) 2016-06-24
EP3061168A1 (de) 2016-08-31
CN105723581B (zh) 2018-03-16
DE102013111551B3 (de) 2015-01-22
JP2017501666A (ja) 2017-01-12
US20160286666A1 (en) 2016-09-29
EP3061168B1 (de) 2018-12-12
CN105723581A (zh) 2016-06-29
WO2015059027A1 (de) 2015-04-30
US9743538B2 (en) 2017-08-22
JP6407272B2 (ja)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031B1 (ko) 캐리어 레일 하우징
CN214203998U (zh) 用于连接电导线的连接装置
EP2577809B1 (en) Connector assembly for a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electrical plug-in connector and manufactured electric cable
KR102071000B1 (ko) 포크-인 와이어 컨택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
US746518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ate-assist and a wire dress cover
US7780457B2 (en) Electric terminal for printed circuit boards
CN104779467B (zh) 带有端子位置保证的电连接器
CN108028489B (zh) 用于插拔连接器模块的具有板簧状的固定器件的保持框架
CN107069349B (zh) 电接插式连接装置和对此的释放元件
JP2006196448A (ja) ピンソケットタイプの電気コネクタ
US10581187B2 (en) Plug receiver with contact springs for a circuit board
KR20180048865A (ko) 예압 하의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용 파지 프레임
CN106575840B (zh) 用于插入电源线的针对电子装置的插头适配器以及由插头适配器和装置形成的系统
CN107750409B (zh) 用于附装壳体的保护帽
CN107004967B (zh) 导线端子装置
CN102438416B (zh) 用于固定外壳的滑动装置
CN109690874B (zh) 连接元件
KR101840955B1 (ko) 전자 장치
CN214849349U (zh) 用于连接电导线的连接装置
CN111108651A (zh) 用于连接电线的连接装置
CN111373606B (zh) 用于连接电线的连接装置
US20110226596A1 (en) Electric slide switch
CN110998966B (zh) 用于车辆的天线模块以及用于安装天线模块的方法
US10205278B2 (en) Connector connecting device
US9022795B2 (en) Plug arrangement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ductors with an electrica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