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860B1 - 비상 표지판 - Google Patents

비상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860B1
KR101756860B1 KR1020150122613A KR20150122613A KR101756860B1 KR 101756860 B1 KR101756860 B1 KR 101756860B1 KR 1020150122613 A KR1020150122613 A KR 1020150122613A KR 20150122613 A KR20150122613 A KR 20150122613A KR 101756860 B1 KR101756860 B1 KR 101756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oving
gas storage
ris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733A (ko
Inventor
정성균
성윤
신동규
Original Assignee
정성균
성윤
신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균, 성윤, 신동규 filed Critical 정성균
Priority to KR1020150122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8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등에 부착되어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상 표지판은 평상시에는 가스 저장부가 상승부와 분리되어 있고, 사용시에 본체부를 회전시켜 가스 저장부의 가스를 상승부에 주입하여 상승부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은 비상 상황을 표시하는 상승부가 사용시에만 가스가 주입되므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사용시 본체부가 이동하므로 상승부가 다른 장애물에 걸려 상승하지 못할 것을 우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용시에만 가스 저장부와 상승부를 연결함으로써, 보관 중에 가스 저장부와 상승부의 연결 부분에서 가스가 누출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 표지판 {Emergency Sign}
본 발명은 비상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등에 부착되어 비상 상황 발생시 본체부를 회전시켜 상승되는 상승부를 통해 비상 상황을 외부로 알리는 비상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비상 표지판은 사고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외부로 알려 도움을 받거나 추가 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장비이다. 예를 들어 차량용 비상 표지판은 차량 고장 또는 사고 발생시 추가로 발생될 수 있는 2차 사고의 예방을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기존의 차량용 비상 표지판은 비상등, 비상 삼각대 등이 있다. 이러한 비상 표지판은 제3자가 인식하기 쉽지 않아 차량이 많은 도로, 커브길, 고속도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비상 표지판은 설치하러 가는 도중 일어나는 추가 사고가 발생될 위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는 원격 배출이 가능하도록 트렁크에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한 비상 연락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플렉시블 기판이 트렁크에 보관되므로 트렁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의 무게 등으로 차량의 연비가 낮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특허문헌 1 : 미국등록특허 제740437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 표지판을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서만 비상 표지판의 형태를 갖추도록 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비상 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된 가스로 인한 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비상 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표지판은 본체부, 가스 저장부, 상승부, 연결부, 이동부를 포함한다. 가스 저장부는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가스를 저장한다. 상승부는 가스 저장부에 연결된다. 상승부는 가스가 주입되면 대기 중으로 떠올라 비상 상황을 표시한다. 연결부는 가스 저장부와 상승부를 연결한다. 이동부는 본체부를 이동시킨다. 본체부의 이동에 따라 상승부에 가스가 주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표지판은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상승부가 본체부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표지판은 안전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결합부는 본체부의 위치에 따라 가스 저장부와 상승부를 결합시거나 분리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표지판은 부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판은 본체부를 고정 대상물에 부착한다. 부착판에는 이동홈이 형성된다. 이동부에는 이동돌기와 추진부를 구비한다. 이동돌기는 이동홈 내에 위치한다. 추진부는 이동부의 움직임에 따라 가스 저장부를 밀어준다. 본체부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돌기가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동부가 움직이고, 따라서 추진부가 가스 저장부를 연결부에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표지판은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은 연결부의 내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비상 상황을 표시하는 상승부가 사용시에만 가스가 주입되므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상승부가 대기 중으로 떠오르므로 멀리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다. 따라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설치를 위해 사용자가 이동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사용시 본체부가 이동하므로, 상승부가 다른 장애물에 걸려 상승하지 못할 것을 우려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설치 위치에 대한 선택의 폭이 훨씬 넓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시에만 가스 저장부와 상승부를 연결함으로써, 보관 중에 가스 저장부와 상승부의 연결 부분에서 가스가 누출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가 본체부에 내장된 비상 표지판의 내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가 상승한 비상 표지판의 내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가 내장된 경우의 본체부, 이동부, 부착판의 결합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승부가 내장된 경우의 이동부와 부착판의 결합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가 상승된 경우의 본체부, 이동부, 부착판의 결합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상승부가 상승된 경우의 이동부와 부착판의 결합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와 부착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와 이동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진부와 가스 저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진부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가 내장된 비상 표지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가 상승한 비상 표지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가 본체부에 내장된 비상 표지판의 내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가 내장된 비상 표지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가 상승한 비상 표지판의 내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가 상승한 비상 표지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표지판(1000)은 본체부(1100), 가스 저장부(1200), 상승부(1300), 연결부(1400), 이동부(1500), 부착판(1600)을 포함한다. 가스 저장부(1200), 상승부(1300), 연결부(1400)는 본체부(1100)의 내부에 위치한다.
본체부(1100)는 부착판(1600)을 통해 고정 대상물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대상물은 자동차 트렁크 덮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상 표지판이 필요한 다양한 곳이 될 수 있다.
가스 저장부(1200)에는 가스가 저장된다. 가스 저장부(1200)에 저장된 가스는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로 예를 들어 헬륨 가스 등이 될 수 있다.
상승부(1300)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가벼운 재질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승부(1300)는 풍선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상승부(1300)는 평상시에 압축된 형태로 본체부(1100)의 내부에 위치한다. 비상 상황이 발행해서 상승부(1300) 내부로 가스 저장부(1200)에 저장된 가스가 주입되면, 상승부(1300)는 가스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펴지면서 대기 중으로 상승한다. 상승부(1300)가 완전히 펴지면, 비상 상황을 알리는 표지판의 형상이 된다.
상승부(130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본체부(1100)에는 지지부(111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10)는 상승부(1300)가 본체부(1100)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비상 표지판(1000)이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차량의 흔들림 등에 의해서 상승부(1300)가 움직여 사용시 제대로 상승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1400)는 가스 저장부(1200)와 상승부(1300)를 연결한다. 이를 위해 연결부(1400)는 가스가 이동하기 위한 파이프(1410)를 구비한다. 파이프(1410)는 일측이 가스 저장부(120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승부(1300)와 연결된다. 연결부(1400)는 가스 저장부(1200)와 연결되는 일측에 가스 저장부(1200)를 밀폐하기 위한 차단판(1420)을 구비한다. 차단판(1420)에 의해 가스 저장부(1200)에서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단판(1420)에 의해 가스 저장부(1200)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가 되며, 가스 저장부(120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1400)는 광원(1430)을 구비할 수 있다. 광원(1430)은 LED 등과 같은 조명으로, 파이프(1410)에 삽입될 수 있다. 상승부(1300)가 상승하여 펴진 경우, 광원(1430)이 상승부(1300)를 조명함으로써 야간에도 상승부(1300)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다.
이동부(1500)는 본체부(11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1500)는 본체부(1100)가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동부(1500)가 본체부(1100)를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체부(1100)가 이동함에 따라 가스 저정부(1200)가 연결부(1400)에 결합되고, 상승부(1300)에 가스가 주입된다. 이하 이동부의 구조와 동작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가 내장된 경우의 본체부, 이동부, 부착판의 결합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상승부가 내장된 경우의 이동부와 부착판의 결합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가 상승된 경우의 본체부, 이동부, 부착판의 결합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상승부가 상승된 경우의 이동부와 부착판의 결합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와 부착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와 이동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진부와 가스 저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진부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판(1600)에는 이동홈(161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부착판(1600)은 원판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홈(1610)은 일정한 길이와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동부(1500)는 이동 유도판(1510)과 추진부(1520)를 구비한다. 이동 유도판(1510)에는 이동돌기(1511)가 형성된다. 이동돌기(1511)는 이동홈(1610) 내에 위치하도록 이동 유도판(1510)과 부착판(1600)이 결합된다. 이동 유도판(1510)에는 본체 결합홈(1512)가 형성된다. 본체부(1100)에는 본체 돌기(1120)이 형성되며, 본체 돌기(1120)이 본체 결합홈(1512)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본체부(1100)와 이동부(1500)가 결합된다. 본체 결합홈(1512)은 본체 돌기(1120)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 결합홈(1512)와 본체 돌기(1120)의 수는 2개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동 유도판(1510)에는 고정홈(1513)이 형성된다. 고정홈(1513)에는 고정돌기(1530)가 삽입되며, 고정돌기(1530)는 일측이 본체부(1100)에 부착되고 타측이 부착판(1600)에 부착된다. 따라서 고정돌기(1530)에 의해 본체부(1100), 이동부(1500), 부착판(1600)이 결합된다. 고정홈(1513)은 고정돌기(1530)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동 유도판(1510)의 끝단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부(152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유도판(1510)에는 추진부 결합홈(1514)가 형성되고, 추진부(1520)의 일단에 추진부 결합홈(1514)에 끼워진다. 추진부(1520)는 가스 저장부(1200)의 후단에 위치한다. 가스 저장부(1200)를 교체하는 경우,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부(1520)를 펼치고 가스 저장부(1200)를 꺼내서 교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승부(1300)가 본체부(1100)에 내장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다. 이 경우 가스 저장부(1200)는 연결부(1400)와 결합되어 있지 않다. 추진부(1520)도 가스 저장부(1200)와 이격되어 있다.
상승부(1300)를 상승시켜 비상 상황을 알리고자 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본체부(1100)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 유도판(1510)도 회전하게 된다. 이동 유도판(1510)이 회전하면, 이동돌기(1511)가 이동홈(16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동홈(1610)이 일정한 길이와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므로, 이동돌기(1511)가 이동은 회전과 동시에 직선 운동이 된다. 따라서 이동 유도판(1510)이 직선 운동을 하게 되며, 이동 유도판(1510)과 결합된 추진부(1520)도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추진부(1520)의 직선 운동에 의해 추진부(1520)가 가스 저장부(1200)의 후단을 밀게 된다. 가스 저장부(1200)가 추진부(1520)에 의해 밀리면 가스 저장부(1200)는 연결부(140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스 저장부(1200)의 가스가 상승부(1300)로 주입된다. 이와 같이 가스 저장부(1200)가 사용시에만 연결부(1400)에 결합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가스 누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가 내장된 비상 표지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가 상승한 비상 표지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부(1300)가 본체부(1100)에 내장된 경우에는 본체부(110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고, 본체부(11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 상승부(1300)가 상승하여 비상 상황을 알린다. 이와 같이, 상승부(1300)가 상승시 본체부(1100)가 이동하므로, 상승부(1100)가 고정 대상물(예를 들어 자동차 트렁크 덮개)에 걸려 상승하지 못하는 위치라도 본체부(1100)의 이동을 고려하여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위치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상승부(1300)가 상승하여 본체부(1100)의 외부로 나오도록 하기 위해서, 본체부(1100)는 덮개(1130)을 구비한다. 상승부(1300)는 상승시 본체부(1100)의 덮개(1130)을 밀어 열고 외부로 나온다. 상승부(1300)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승부(1300)가 상승한 경우, 연결부(1400)에 구비된 광원(1430)이 상승부(1300)를 조명할 수 있다. 따라서 야간에도 상승부(1300)를 멀리에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비상 표지판 1100 : 본체부
1110 : 지지부 1120 : 본체 돌기
1130 : 덮개 1200 : 가스 저장부
1300 : 상승부 1400 : 연결부
1410 : 파이프 1420 : 차단판
1430 : 광원 1500 : 이동부
1510 : 이동 유도판 1511 : 이동돌기
1512 : 본체 결합홈 1513 : 고정홈
1520 : 추진부 1530 : 고정돌기
1600 : 부착판 1610 : 이동홈

Claims (5)

  1.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며 가스가 저장된 가스 저장부;
    상기 가스 저장부에 연결되며, 가스가 주입되면 대기 중으로 떠올라 비상 상황을 표시하는 상승부;
    상기 가스 저장부와 상기 상승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본체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 및
    상기 본체부를 고정 대상물에 부착하며, 이동홈이 형성된 부착판;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에는 상기 이동홈 내에 위치하는 이동돌기와, 상기 가스 저장부를 밀어주기 위한 추진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돌기가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동부가 움직이고, 상기 추진부가 상기 가스 저장부를 상기 연결부에 연결하여 상기 상승부에 가스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부가 상기 본체부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지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스 저장부와 상기 상승부를 결합시거나 분리시키는 안전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지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내에 위치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표지판.
KR1020150122613A 2015-08-31 2015-08-31 비상 표지판 KR101756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613A KR101756860B1 (ko) 2015-08-31 2015-08-31 비상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613A KR101756860B1 (ko) 2015-08-31 2015-08-31 비상 표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733A KR20170025733A (ko) 2017-03-08
KR101756860B1 true KR101756860B1 (ko) 2017-07-12

Family

ID=5840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613A KR101756860B1 (ko) 2015-08-31 2015-08-31 비상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86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2350A1 (en) 2002-11-20 2005-04-07 Aasgaard A. L.Pepper Emergency signal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733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113B1 (ko) 공기조형물을 이용한 작동형 안전유도로봇
KR10193295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8275B1 (ko) 차량 비치용 led 자동 안전삼각대
KR101660939B1 (ko) 경광등 겸용 우산형 안전삼각대
KR101668811B1 (ko) 안전 표시장치
KR101756860B1 (ko) 비상 표지판
KR20150113431A (ko) 차량용 경광등조립체
KR101832990B1 (ko) 차량용 삼각대 및 이를 이용한 신호봉
JP2019094039A (ja) 携帯型非常表示装置
KR102376485B1 (ko) 안전 삼각대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노티스 시스템
KR102036629B1 (ko) 캐리어형 비상표시장치
KR102515370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120025779A (ko) 원터치 안전 삼각대
KR102003464B1 (ko) 차량용 교통사고 알림장치
KR101816211B1 (ko) 표시장치
KR102527528B1 (ko) 원터치 삼각대
KR200480213Y1 (ko) 삼각대
KR101697441B1 (ko) 선택적 경고표시기능을 구비하는 경광봉
KR19980037300U (ko) 공기 튜브를 이용한 차량용 위험 표지판
KR101281500B1 (ko) 충격흡수 안전 표지병
KR102068695B1 (ko) 차량의 긴급상황 알림장치
US1707003A (en) Tail light for vehicles
CN220493078U (zh) 一种检测装置
KR102113864B1 (ko) 휴대용 비상표시장치
CN210597082U (zh) 一种动态城市交通引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