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830B1 - 음료 기계로부터의 디스펜싱에 관련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기계로부터의 디스펜싱에 관련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830B1
KR101756830B1 KR1020137015105A KR20137015105A KR101756830B1 KR 101756830 B1 KR101756830 B1 KR 101756830B1 KR 1020137015105 A KR1020137015105 A KR 1020137015105A KR 20137015105 A KR20137015105 A KR 20137015105A KR 101756830 B1 KR101756830 B1 KR 101756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machine
beverage
dispensing
heated water
c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114A (ko
Inventor
닉 앤드류 한센
마크 노튼
Original Assignee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filed Critical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Publication of KR2013010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89Reusable cartridges suitable to be opened for being filled with brewing material and to be closed to envelope the brewing material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2Means to read code provided on ingredient pod or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52Details of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55Means for influencing the liquid flow inside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58Coding means for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 리더를 구비하는 유형의 음료 기계와 사용되기에 적합한 디바이스로서, 음료 기계의 물 공급으로부터 가열된 물을 받기 위한 유입구와, 상기 가열된 물이 디스펜싱될 수 있는 배출구와, 음료 기계의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코드들을 구비하고, 음료 기계의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을 세팅하기 위해 디스펜싱 작동 중 사용자가 음료 기계의 코드 리더에 의해 읽힐 복수개의 코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configurable),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료 기계로부터의 디스펜싱에 관련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s relating to dispensation from beverage machines}
본 발명은 음료 기계로부터의 디스펜싱에 관련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음료 기계로부터 가열된 물 및 다른 음료의 디스펜싱이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 디바이스와 음료 기계의 조합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료를 디스펜싱하기 위한 기계는 잘 알려져 있다. 예컨대, 커피 필터 기계는 수년 동안 이용되어 왔는데, 이는 뜨거운 물과 분쇄된 커피콩을 섞어 커피 추출물을 생성하고 종이 필터를 통과시켜 유리병에 담는다. 미국 등록특허 US 3,987,717은 그러한 기계를 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온디맨드(on-demand) 음료 기계가 광고되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개별적인 기준에 따라 음료가 만들어지도록 한다. 그러한 기계의 예는 네슬레 에스.에이.(Nestle S.A.)의 NESPRESSO® 및 사라 리 주식회사(Sara Lee Corporation)의 SENSEO®라는 브랜드 네임으로 광고되고 있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개별적으로 실링된 캡슐 또는 플렉서블한 분쇄된 커피 백으로부터 개별적인 커피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더욱 최근에는, 다양한 음료 유형의 편리한 온디맨드 디스펜싱이 가능한 음료 기계들이 생산되고 있다. 그러한 시스템의 일 예는 크라프트 푸드(Kraft Foods, Inc.)의 TASSIMO®라는 브랜드 네임으로 광고되는 것이다. (유럽 특허 EP 1440639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이 시스템은 바코드 리더와 다양한 음료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음료 기계를 활용하는데, 각 음료 카트리지는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을 포함하며 바코드로 암호화되어 있다. 사용할 시, 음료 기계의 코드 리더는 음료 카트리지가 기계에 삽입된 후 음료 카트리지 상의 바코드를 스캔하고 리딩하며, 바코드로부터 복호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그 디스펜싱 사이클 용으로 음료 기계의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를 세팅한다. 각 음료 카트리지에 대해 생산자는 디스펜싱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제조 시점에 상응하는 바코드를 적용한다. 나아가, 각 음료 카트리지는 오직 1회만 사용될 수 있다.
일 관점에 따르면, 본원은 코드 리더를 구비하는 유형의 음료 기계에 사용하기 적합한 디바이스를 개시하는데, 이 디바이스는 음료 기계의 물 공급으로부터 가열된 물을 받기 위한 유입구와, 상기 가열된 물이 디스펜싱될 수 있는 배출구와, 음료 기계의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코드들을 구비하고, 음료 기계의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을 세팅하기 위해 디스펜싱 작동 중 사용자가 음료 기계의 코드 리더에 의해 읽힐 복수개의 코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configurable).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디스펜싱되는 물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제어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코드 리더를 가진 음료 기계가 가열된 물을 디스펜싱하는데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하다면 각 디스펜싱 작동을 위해 디바이스를 설정할 수 있어,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이한 특성을 갖는 가열된 물을 디스펜싱하는데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에 앞서 디바이스에는 음료 성분들이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는 가열된 물을 다양한 용기에 디스펜싱할 수 있다. 통상적인 티 백 또는 핫 초콜릿 파우더 봉지와 같은 아이템들을 이용하여 음료 기계 외부에서 음료를 만들기 위해 가열된 물이 필요할 시, (다른 음료 성분들의 첨가 없이) 음료 기계로부터만 가열된 물을 디스펜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디바이스를 이용해 디스펜싱된 가열된 물은, 감기나 독감 치료와 같은 의료상품의 가루 봉지로부터 의약품을 만들 경우뿐만 아니라 건조된 국수와 같은 건조된 식료품을 원상태로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본 디바이스는, 예컨대 세탁, 아이템들의 소독, 뜨거운 물병과 같은 아이템들을 채우는 경우 등을 포함하여 통상적으로 전기 주전자가 사용될 수 있는 경우라면 어떤 경우든지 가열된 물을 디스펜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코드들은 디바이스 상에 공간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코드 리더에 의해 읽힐 복수개의 코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일부분 또는 디바이스 전체가 음료 기계에 대해 복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음료 기계에 대한, 특히 코드 리더의 센서 또는 스캐너에 대한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물리적 위치 및/또는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코드 리더에 의해 읽힐 코드를 선택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물리적인 위치잡기는 음료 기계에 대한 디바이스 전체를 움직이거나 그 일부만을 움직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유입구와 배출구는 디바이스의 동일한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유입구 및 배출구는 사용할 시의 디바이스의 하부측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유로는 디바이스의 내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유로는 디바이스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도관일 수 있다.
디바이스의 가열된 물 공급 및/또는 음료 기계의 배출구와의 유체 커플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실링이 유입구 및/또는 개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실링은 고무 또는 폴리머 개스킷 또는 O-링일 수 있다.
디바이스는 두 개 이상의 코드들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는 네 개 이상의 코드들을 가질 수 있다. 일 관점의 경우, 디바이스는 네 개의 코드들을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코드들은 디바이스 상에 일련으로 배치되거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은, 디스펜싱될 가열된 물의 용량과, 디스펜싱될 가열된 물의 온도와, 가열된 물의 디스펜싱 타이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용량 파라미터는 용량을 150㎖, 200㎖, 400㎖ 또는 600㎖로 세팅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용량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온도 파라미터는 온도를 65℃, 80℃, 90℃ 또는 95℃로 세팅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온도가 사용될 수도 있다.
타이밍 파라미터는 디스펜싱의 유량을 세팅할 수 있는데, 예컨대 빠름 또는 느림, 그리고 또한 선택적으로, 가열된 물을 두 개 이상의 부분에 디스펜싱하기 위해 디스펜싱 중 한번 이상의 일시정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오직 한 개의 가변 파라미터를 갖는 코드들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네 개의 코드들을 가진 디바이스는 150㎖, 200㎖, 400㎖ 또는 600㎖로 디스펜싱 용량을 세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코드들은 또한 물의 디스펜싱 온도와 물의 유량에 대해 음료 기계에 지시를 내릴 수 있는데, 여기서 이 파라미터들은 네 개의 코드들 모두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유사하게, 네 개의 코드들을 가진 디바이스는 65℃, 80℃, 90℃ 또는 95℃로 디스펜싱 온도를 세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코드들은 또한 물의 디스펜싱 용량과 물의 유량에 대해 음료 기계에 지시를 내릴 수 있는데, 여기서 이 파라미터들은 네 개의 코드들 모두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가변하는 코드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네 개의 코드들을 갖는 디바이스가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가질 수 있다.
온도(℃) 용량(㎖) 유량
코드 1 95 400 빠름
코드 2 90 600 빠름
코드 3 65 200 빠름
코드 4 95 150 느림
물론 다른 파라미터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코드들은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에 직접 관련되지는 않은 데이터를 갖고 있을 수 있는데, 예컨대 품질 제어 데이터, 유효기간 데이터, 성분 추적 데이터 등을 갖고 있을 수 있다.
복수개의 코드들은 복수개의 바코드들이거나 또는 다른 광학적으로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데이터 표시들일 수 있다. 광학적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의 다른 예로는 QR코드를 들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필요하다면 암호화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라디오 주파수 인식(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코드들은 일 회의 디스펜싱 파라미터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회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코드들 각각의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과 관련된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에 의해 세팅된 파라미터가 디스펜싱될 가열된 물의 용량에 대한 것이라면, 디바이스는 각 코드와 관련된 용량을 나타내는 표시부를 가질 수 있다. 표시부는 글자와 숫자를 사용한 것이거나, 그래픽 기호이거나, 색상이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디바이스의 부분들의 각각은 복수개의 조각들이 상호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각들은 폴리프로필렌을 몰딩성형한 것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다른 공학 플라스틱 또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을 구비하는데, 제2부분은 복수개의 코드들을 포함하고 제1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를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두 부분들로 만듦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코드에 관계없이 디바이스의 일 부분이 음료 기계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남아 있도록 할 수 있다.
복수개의 코드들 중 하나를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제2부분에 대한 제1부분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해 사용자에게 촉감을 통한 피드백을 줄 수 있는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부분과 제2부분 중 하나는 멈춤쇠 또는 유사한 돌출부를 갖고, 제1부분과 제2부분 중 다른 하나는 제1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2부분이 움직임에 따라 멈춤쇠 또는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복수개의 리세스들을 갖는 레이스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레이스 내의 리세스들 각각은 제2부분의 복수개의 코드들 중 하나가 음료 기계의 코드 리더에 의해 읽힐 수 있는 올바른 위치에 위치하는 것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1부분에 대해 제2부분을 움직임으로써, 제2부분은 제1부분에 대해 상대적인 불연속적이고 의도된 위치에 노칭(notching)되는 경향을 가지며, 사용자는 제2부분을 인접한 위치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살짝 더 센 힘을 이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에 관련된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들은 제2부분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상호 상대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어떤 코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표시하는 포인터 또는 마커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부분은 제1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복수개의 코드들은 제2부분 상에 둘레를 따라 분포할 수 있다.
제1부분은 디스펜싱 작동 중 음료 기계의 코드 리더가 복수개의 코드들 중 하나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부분은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음료 기계의 가열된 물 공급에 디바이스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부분은 음료 기계에 대해 언제나 동일한 위치와 오리엔테이션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부분은 읽힐 코드를 선택하기 위해 움직이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부분은 음료 기계와의 유체 커플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유입구 및/또는 개구부 용의 하나 이상의 실링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부분은 유입구로부터 배출구로의 가열된 물을 이송하기 위한 통로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은 디바이스의 다양한 변형예들과 코드 리더를 구비하는 음료 기계의 조합물에 대한 것도 포함한다.
디바이스의 배출구는 음료 기계의 방출 배출구를 정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의 방출 배출구를 최종 방출 지점 또는 디스펜싱 경로 배출구로 이용하는 것이 음료 기계의 부분들에 존재할 수 있는 음료 성분 잔류물에 의해 가열된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교차 오염이 문제될 수 있는데, 특히 음료 기계가 로스팅되고 분쇄된 커피나 가루 초콜릿 또는 액체 형태의 낙농 기반의 성분과 같은 추출 가능한 또는 수용성 음료 성분으로 형성된 음료를 디스펜싱하는데 사용될 경우 문제될 수 있다. 디바이스 배출구를 음료 기계 배출구로 사용하는 것은 가열된 물이 일단 디바이스에 들어가면 음료 기계의 구성요소와 더 이상 컨택하지 않고 용기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음료 기계의 방출 스파우트 및/또는 카트리지 천공 유닛과 교환가능할 수 있다. 디바이스와 조합되어 사용될 음료 기계가 통상적으로 음료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는 카트리지를 천공하기 위한 방출 스파우트 및/또는 천공 유닛을 구비할 시, 디바이스는 천공 유닛 및/또는 방출 스파우트와 교체될 수 있다. 예컨대, (유럽 특허 EP 1440639에 개시된 것과 같은) Tassimo®는 브랜드 네임으로 광고되고 있는 음료 기계는 유입구 천공구와 배출구 천공구를 구비한다. Tassimo® 음료 기계의 배출구 천공구는 음료 기계의 방출 스파우트도 정의하거나 별도의 방출 스파우트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구 천공구 및 배출구 천공구는 단일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Tassimo® 음료 기계의 방출 스파우트, 유입구 천공구 및/또는 배출구 천공구와 교체될 수 있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가열된 물의 교차 오염 가능성이 더욱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또한 Tassimo® 음료 기계 이외의 음료 기계에 맞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음료 기계의 내부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수용될 수 있는 장착물(insert)일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는 음료 기계의 브루 챔버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의 배출구는 음료 기계의 외부로 연장되어 가열된 물의 최종적인 배출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그 일부분 또는 전체가 음료 기계의 외측에 존재하도록 음료 기계에 부착되는 부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개의 코드들을 구비하는 디바이스를 음료 기계와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음료 기계의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을 세팅하는 것을 포함하는, 코드 리더를 구비하는 유형의 음료 기계로부터 가열된 물을 디스펜싱하는 방법으로, a) 사용자에 의해 디바이스를 설정함으로써 음료 기계의 코드 리더에 의해 읽힐 복수개의 코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설정 단계와, b) 음료 기계를 작동하여 코드 리더가 디바이스의 선택된 코드를 읽음으로써 음료 기계의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을 세팅하는 작동 단계와, c) 디바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따라 가열된 물을 용기로 디스펜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은 디스펜싱될 가열된 물의 용량과, 디스펜싱될 가열된 물의 온도와, 가열된 물의 디스펜싱 타이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관점에 따르면, 음료 기계와 사용되기에 적합한 리필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음료 기계의 물 공급으로부터 가열된 물을 받기 위한 유입구와, 상기 가열된 물이 디스펜싱될 수 있는 배출구와, 복수개의 리필 가능한 음료 성분 챔버들을 구비하는, 리필 가능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리필 가능한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음료 성분들을 상이한 레서피로 섞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디바이스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개의 유체 흐름 경로들이 유입구로부터 배출구로 연장되며 복수개의 리필 가능한 음료 성분 챔버들은 유체 흐름 경로가 각각의 리필 가능한 음료 성분 챔버들을 통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유입구는 디바이스의 주변부 또는 주변부 근방에 위치하고, 배출구는 디바이스의 중심 또는 중심 근방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리필 가능한 음료 성분 챔버들은 배출구 주변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리필 가능한 음료 성분 챔버들 각각의 상류부(upstream) 끝단과 하류부(downstream) 끝단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 배리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리필 가능한 디바이스는 상호 분리되어 음료 성분들이 복수개의 리필 가능한 음료 성분 챔버들 내에 채워지도록 하고 이후 상호 결합되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리필 가능한 음료 성분 챔버들은 메인 음료 성분 챔버와 복수개의 보조 음료 성분 챔버들을 구비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부분들 각각은 복수개의 조각들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각들은 폴리프로필렌을 몰딩성형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다른 공학 플라스틱 또한 사용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들의 부분들과 상술한 것과 같은 리필 가능한 디바이스의 조합물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디바이스에 삽입될 수 있는 음료 성분들의 예는 커피, 커피 추출물, 초콜릿, 코코아 추출물, 우유, 커피 크림과 같은 다른 낙농 기반 성분들, 차, 차 추출물, 과일향 음료 믹스, 향료, 착색제, 감미료, 발표제 등을 포함한다.
특정 음료에 대해서는 하나 이상의 보조 음료 성분 챔버들이 성분들을 수용하거나 전혀 수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메인 챔버들과 보조 챔버들은 혼합물 또는 조성물 형태로 둘 이상의 성분들을 수용할 수 있다.
챔버들 내의 음료 성분들은 로스팅되어 분쇄된 성분 또는 수용성 분말 또는 덩어리와 같은 건조 형태일 수 있다. 건조 성분들은 챔버들에 느슨하게 패킹(packing)될 수도 있고 압축된 태블릿 형태일 수도 있다.
챔버들 내의 음료 성분들은 액체인 낙농 기반의 성분 또는 액체 차 또는 커피 추출물과 같은 액체 형태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 부분들은 백(bag), 래퍼(wrapper), 캡슐, 필름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각각 들어 있을 수 있다. 백(bag), 래퍼(wrapper), 캡슐, 필름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은 물에 녹는 수용성일 수 있다.
음료 기계와 상술한 것과 같은 리필 가능한 디바이스의 조합물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디바이스의 배출구는 음료 기계의 방출 배출구를 정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의 방출 배출구를 최종 방출 지점 또는 음료 기계로부터의 디스펜싱 경로의 배출구로 사용하는 것은, 음료 기계의 부분들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음료 성분 잔류물에 의한 음료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교차 오염이 문제될 수 있는데, 특히 음료 기계가 로스팅되고 분쇄된 커피나 가루 초콜릿 또는 액체 형태의 낙농 기반의 성분과 같은 추출 가능한 또는 수용성 음료 성분으로 형성된 음료를 디스펜싱하는데 사용될 경우 문제될 수 있다. 디바이스 배출구를 음료 기계 배출구로 사용하는 것은 음료가 일단 만들어지면 음료 기계의 구성요소와 더 이상 컨택하지 않고 용기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음료 기계의 방출 스파우트 및/또는 카트리지 천공구 유닛과 교체가능할 수 있다. 디바이스와 조합되어 사용될 음료 기계가 일반적으로 음료 성분들을 갖고 있는 카트리지를 천공하기 위한 방출 스파우트 및/또는 천공 유닛을 구비할 경우, 디바이스는 천공 유닛 및/또는 방출 스파우트와 교체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유럽 특허 EP 1440639에 개시된) Tassimo®라는 브랜드네임으로 광고되고 있는 음료 기계들은 유입구 천공구 및 배출구 천공구를 구비한다. Tassimo® 음료 기계의 배출구 천공구는 음료 기계의 방출 스파우트도 정의하거나 별도의 방출 스파우트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구 천공구 및 배출구 천공구는 단일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Tassimo® 음료 기계의 방출 스파우트, 유입구 천공구 및/또는 배출구 천공구와 교체될 수 있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음료의 교차 오염 가능성이 더욱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또한 Tassimo® 음료 기계 이외의 음료 기계에 맞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음료 기계의 내부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수용될 수 있는 장착물(insert)일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는 음료 기계의 브루 챔버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의 배출구는 음료 기계의 외부로 연장되어 가열된 물의 최종적인 배출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그 주요 부분 또는 전체가 음료 기계의 외측에 존재하도록 음료 기계에 부착되는 부착물일 수 있다.
음료 기계의 물 공급으로부터 물을 수용하는 유입구와 유체가 디스펜싱될 수 있는 배출구와 복수개의 리필 가능한 음료 성분 챔버들을 구비하는 리필 가능한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료 기계로부터 음료를 디스펜싱하는 방법으로, a) 디바이스를 여는 단계와, b)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 부분들로 복수개의 리필 가능한 음료 성분들의 하나 이상을 채우는 단계와, c) 디바이스를 닫는 단계와, d) 디바이스를 음료 기계에 삽입하는 단계와, e) 복수개의 리필 가능한 음료 성분 챔버들을 통해 물이 디스펜싱되어 디바이스의 배출구를 통해 용기로 배출되도록 음료 기계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코드 리더를 구비하는 유형의 음료 기계와 사용되기에 적합한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디바이스의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디바이스의 다른 각도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디바이스와 음료 기계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복수개의 성분들이 들어있는 도 7의 디바이스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첫 번째 디바이스(1)를 도시하는데, 디바이스(1)는 상부 부분(10)과 하부 부분(30)을 구비한다.
상부 부분(10)은 중심 관통 개구(12)를 둘러싸는 중심에 위치한 내부 실린더형 연장부(21)를 갖는 환형 쉘(11)을 구비한다. 쉘(11)은 상대적으로 얇으며 일반적으로 컵 형상 또는 돔(dome) 형상의 환형 형상을 형성한다. 쉘(11)은 구불구불한 형상을 가져 쉘(11)의 외주부 주변으로 복수개의 오목한 곳들과 돌출된 핑거그립(15)들을 가짐으로써, 디바이스(1)의 사용자가 상부 부분(10)을 더욱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명확하게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부분(10)의 상부면(16)은 중앙 개구(12) 주위 둘레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네 개의 표시부(20)들을 갖는다. 각각의 표시부(20)는 디바이스(1)의 용량 세팅을 그림을 이용하여 나타내는데, 각각 1/4이 채워진 컨테이너, 1/2이 채워진 컨테이너, 3/4이 채워진 컨테이너 및 완전히 채워진 컨테이너를 나타낸다. 표시부(20)들은 상부 부분의 원주 둘레에 균등하게 배치되어 상호 90°의 각도로 오프셋되어 위치한다.
도 3에 명확하게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부분(10)의 하부면(17) 또한 구불구불한 형상을 가지며, 특히 네 개의 바코드(19)들이 배치되는 네 개의 랜드(18)들을 갖는다. 표시부(20)들과 유사하게, 바코드(19)들은 상부 부분(10) 주위로 원주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서로에 대해 90°의 각도로 오프셋된다.
바코드(19)들은 용량, 온도 또는 유동률과 같은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암호화된다. 도시된 것과 같은 디바이스(1)의 경우, 바코드(19)들은 각각 150㎖, 200㎖, 400㎖ 및 600㎖의 디스펜싱 용량으로 암호화된다. 바코드(19)들은 통일 상품 코드(UPC, Universal Product Code)나 유럽 상품 코드-13(EAN-13, European Article Number-13)과 같은 표준 상징기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전매 암호화 상징기호(proprietary encoding symbology)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 실린더형 연장부(21)는 상부 부분(10)의 상부측 근방에, 내부 실린더형 연장부(21)의 전체 둘레 주위로 연장된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채널(channel) 형태인, 원주형 레이스(13, circumferential race)를 갖는다. 나아가, 레이스(13)는 레이스(13) 주위로 균등하게 분포하며 상호 90°의 각도로 오프셋된 네 개의 핍(pip) 형상 리세스(14)들을 갖는다. 핍 리세스(14)들과 레이스(13)의 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부 부분(10)은 틀을 이용해 만들어진 구성요소로 형성되거나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열성형될 수 있다. 다른 공학 플라스틱 또한 사용 가능하다.
하부 부분(3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부재(31)와 유입구/배출구 부재(32)를 구비하는데, 이들은 상호작용하는 스냅핏(snap-fit) 형성부(33)를 이용해 상호 결합된다.
베이스 부재(31)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36)를 구비하는데, 이 플레이트(36)는 플레이트(36)의 둘레 주위의 일 지점에서 연장되는 하나의 로브 부분(37, lobe portion)을 제외하고는 형상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원형이다. 플레이트(36)에는 사각형의 윈도우(38)가 구비되는데, 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부재(31)는 또한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며 상부로 연장되는 중심 보스(34, central boss)를 구비한다. 중심 보스(34)의 상부면 근방에 핍(45, pip)이 위치한다. 중심 보스(34)의 상부면은 화살 표시부(35)를 구비하는데, 그 사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유입구/배출구 부재(32)는 유입 개구(40)를 갖는 바디 부분(39)과 이로부터 연장된 방출 스파우트(42, discharge spout)를 구비한다. 방출 스파우트(42)는 바디 부분(39)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스냅-핏 형성부를 이용하여 바디 부분(39)과 결합되는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유입 개구(40)는 바디 부분(39) 내에 홀(hole)로 형성되며, 도 1에 명확히 도시된 것과 같이 바디 부분(39)의 면의 잔여부분으로부터 돌출된 환형의 주변 링 형성부(41)를 구비한다.
방출 스파우트(42)는 형상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절단된 원뿔형이며 그 하부 끝단에서 배출구 개구(43)를 갖는다.
고무로 처리되거나 폴리머인 O-링 개스킷과 같은 하나 이상의 실링 부재가 유입 개구(40) 주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부분(10)과 하부 부분(30)은 틀을 이용해 만들어진 구성요소로 형성되거나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공학 플라스틱 또한 사용 가능하다.
디바이스(1)는 유입구/배출구 부재(32)를 베이스 부재(31)에 스냅피팅(snap-fitting)하여 하부 부분(30)을 형성함으로써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입구/배출구 부재(32)와 베이스 부재(31)는 그 사이에, 디바이스(1) 내부를 통해 유입 개구(40)로부터 배출구 개구(43)로 연장되는 도관(conduit)의 형태로 유동 통로(44)를 정의한다.
상부 부재(10)는 이후 내부 실린더형 연장부(21)를 중심 보스(34) 상으로 삽입함으로써 하부 부분(30)에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심 보스(34)와 내부 실린더형 연장부(21)의 상대적인 크기는, 하부 부분(30)과 상부 부분(1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하부 부분(30)과 상부 부분(10)의 끼워맞춤(close fit)의 결과를 가져온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심 보스(34)의 핍(45)은 상부 부분(10)의 레이스(13) 내에 수용된다. 핍(45)의 크기는 레이스(13)의 핍 리세스(14)와 맞춤 피팅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부 부분(10)은 핍(45)과 레이스(13)의 상호작용에 의해 하부 부분(30) 상에 유지된다. 또는 선택적으로, 상부 부분(10)과 하부 부분(30) 상의 다른 상호 체결 형성부들이 그 두 구성요소들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함에 있어서, 디바이스(1)의 사용자는 베이스 부재(31)를 잡고 핑거그립(15)으로 상부 부분(10)을 잡아 상부 부분(10)을 하부 부분(3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부 부분(10)에 인가된 회전력은 중심 보스(34)의 핍(45)이 상부 부분(10)의 레이스(13) 내에서 움직이면서 하부 부분(30)에 대해 상부 부분(10)이 회전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핍(45)이 움직여 핍 리세스(14)에 정렬되면, 상부 부분(10)은 하부 부분(30)에 대해 상대적으로 노칭(notching)되어 상기 정렬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핍(45)이 그것이 수용된 핍 리세스(14)로부터 이탈하여 움직여 레이스(13)를 더 돌도록 하기 위해서는 살짝 증가된 회전력이 인가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정렬을 통해, 사용자는 핍(45)이 네 개의 핍 리세스(14)들 중 하나와 올바르게 정렬되었음에 대한 촉감을 통한 피드백을 받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심 보스(34) 상에서의 핍(45)과 레이스(13) 내의 핍 리세스(14)의 상대적인 포지셔닝은, 핍(45)이 핍 리세스(14)들 중 하나에 수용될 때 상부 부분(10)의 네 개의 바코드(19)들 중 하나가 베이스 부재(31)의 윈도우(38)와 정렬되어 윈도우(38)를 통해 관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디바이스(1)는 가열된 물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음료 기계와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디자인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디바이스(1)의 디자인은 유럽 특허 EP 1440639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Tassimo®라는 브랜드 네임으로 광고되고 있는 시스템의 다양한 음료 기계들 중 하나와 결합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는데, 상기 유럽 특허의 내용은 본원의 참조로서 포함된다. 그러한 음료 기계는 브루 헤드(brew head)의 물 유입구로 유동적으로(fluidly) 연결되는 물 저장통을 구비하는데, 브루 헤드는, 고정된 하부 부분과, 열려서 음료 카트리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중심축이 되는 상부 부분을 구비한다. 브루 헤드는 하부 부분에 배출구를 갖는데, 이를 통해 음료가 디스펜싱된다. 브루 헤드는 특정 방향으로 음료 카트리지가 수용되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물은, 물 저장통 내의 수중 히터를 제공하거나 저항성 유동 히터 또는 써모블록을 통해 물을 펌핑함으로써, 가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가 구비되어 디스펜싱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용량 제어는 유량계를 사용하거나 용적형 펌프의 펌프 사이클 회수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음료 기계는 히터, 펌프, 유량계, 온도 센서, 그리고 브루 헤드의 바코드 리더에 연결된 마이크로프로세서 조정부를 구비한다. 브루 헤드는 물 유입구에 결합된 유입구 천공구(inlet piercer)와 브루 헤드의 배출구에 결합된 배출구 천공구를 구비한다. 천공구들의 이용에 의해 브루 헤드에 삽입된 사전 실링된 음료 카트리지에 유입구와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입구 천공구와 배출구 천공구는 단일의 교체가능한 천공구 유닛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음료 기계(50)에서 디바이스(1)를 사용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먼저 음료 기계(50)의 교체가능한 유입구/배출구 천공구 유닛(52)을 제거하여 브루 헤드(51)의 하부 부분의 물 유입구와 브루 헤드 배출구를 노출시킨다. 그 후 사용자는 전술한 것과 같이 상부 부분(10)을 하부 부분(30)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펜싱될 가열된 물의 소망된 용량을 세팅하기 위해 디바이스(1)를 구성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가열된 물의 소망된 디스펜싱 용량에 대응하는 바코드(19)가 윈도우(38)에 대해 정렬된다. 동시에, 도 2에 명확히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 보스(34) 상의 화살 표시부(35)가 선택된 가열된 물의 용량에 대응하는 상부 부분(10) 상의 표시부(20)와 정렬되어, 사용자가 용량 세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디바이스(1)는 이후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료 기계의 브루 헤드(51)에 삽입되어 유입구/배출구 부재(32)의 유입구 개구(40)가 브루 헤드의 물 유입구와 정렬되고 방출 스파우트(42)가 브루 헤드의 배출구 개구를 통해 하부로 연장되도록 한다. 나아가, 하부 부분(30)의 윈도우(38)가 브루 헤드의 바코드 스캐너(53)와 정렬된다. 하부 부분(30)의 로브(37)를 브루 헤드의 대응하는 리세스로 오리엔팅시킴으로써 디바이스(1)의 정확한 정렬을 담보할 수 있다.
음료 기계(50)의 브루 헤드(51)의 상부 부분은 이후 닫혀져 디바이스(1)가 올바르게 위치하도록 잡는다. 디바이스(1)에 인가되는 압축력은 유입구/배출구 부재(32)와 브루 챔버의 고정된 하부 부분 사이의 유체 기밀식 실링(fluid tight seal)을 담보하는데, 이러한 실링은 환형의 주변 링(41), 그리고 선택적으로 O-링과 같이 하나 이상의 압축 가능하거나 탄성이 있는 실링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브루 헤드의 물 유입구는 디바이스(1)의 유입구 개구(40)와 유체적으로(fluidly) 결합된다.
음료 기계(50)는 이후 스타트 스위치(54)를 누름으로써 표준적인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는 음료 기계의 바코드 리더(53)가 하부 부분(30)의 윈도우(38)를 통해 바코드(19)를 스캔하는 것을 작동시키도록 한다. 바코드(19)는 음료 기계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게 유효한 지시를 제공하여 필요한 디스펜싱 파라미터를 세팅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1)가 디스펜싱될 가열된 물의 용량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도록 하는 경우에 있어서, 바코드(19)에 의해 세팅된 주 파라미터는 디스펜싱되는 물의 용량이다. 그러나 바코드(19)는 디스펜싱될 물의 온도나 유동량과 같은 디스펜싱 사이클의 하나 이상의 다른 파라미터도 세팅할 수도 있다.
음료 기계의 바코드 리더의 지시를 따라, 음료 기계(50)는 히터를 이용하여 저장통으로부터의 물을 소망된 온도까지 가열하고 가열된 물을 브루 헤드의 물 유입구로부터 유입구 개구(40)를 통해 하부 부분(30)으로 펌핑함으로써 디바이스(1)를 통해 가열된 물을 펌핑하며, 그 후 하부 부분(30) 내의 유동 통로(44)를 통해 최종적으로 방출 스파우트942)를 통해 배출구 개구(43) 밖의 음료 기계의 컵 스탠드(55) 상에 위치한 용기로 배출되도록 한다. 디스펜싱되는 물의 용량은 음료 기계의 유량계 및/또는 용적형 펌프에 의해 결정되며, 프로세서가 디스펜싱된 물의 용량이 바코드(19)에 의해 세팅된 소망된 용량을 충족한다고 결정하면 디스펜싱은 중단된다.
가열된 물의 디스펜싱의 디스펜싱 사이클을 따라, 디바이스(1)는 음료 기계 내에 남겨져 가열된 물을 더 디스펜싱하도록 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사전 패키징된 음료 성분들을 이용하는 음료를 디스펜싱하기 위해 음료 기계의 유입구/배출구 천공구 유닛을 제거하기 위해 제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디바이스(101)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상부 부분(110)과 하부 부분(130)을 구비한다.
상부 부분(110)은 디바이스(101)의 뚜껑 또는 캡을 형성하며 상부 부분(110)을 홀딩하기 위한 핸들로서 사용될 수 있는 중심부에 위치한 돌출된 실린더형 연장부(121)를 갖는 환형 쉘(111)을 구비한다. 쉘(111, shell)은 상대적으로 얇으며, 상대적으로 평편한 바디(115)와 부속된 원주방향 월(116, wall)을 갖는 전체적으로 디스크 형상인 구성을 형성할 수 있다. 월(116)의 내측면은 나사의 날 형성부(screw thread formation,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가질 수 있는데, 이에 의해 상부 부분(110)은 하부 부분(130) 상에 나사고정될 수 있다. 월(116)의 외측면은 상부 부분(110)을 고정하거나 풀 때 상부 부분(110)을 수동으로 잡거나 트위스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일련의 자국(indentation)을 갖는다.
상부 부분(110)은 틀을 이용해 만들어진 구성요소로 형성되거나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열성형될 수 있다. 다른 공학 플라스틱 또한 사용 가능하다.
하부 부분(130)은 유입구 개구(140)와 방출 스파우트(142)를 갖는 바디(131)를 구비한다. 방출 스파우트(142)는 형상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절단된 원뿔형이며 그 하부 끝단에서 배출구 개구(143)를 갖는다.
바디(131)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136)를 구비하는데, 이 플레이트(136)는 플레이트(136)의 둘레 주위의 일 지점에서 연장되는 하나의 로브 부분(137, lobe portion)을 제외하고는 형상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원형이다.
바디(131)는 플레이트(136)의 상부면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복수개의 돌출된 형성물들을 구비한다.
외측 월(160)은 바디(131) 주변을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플레이트(136)의 가장자리 근방에 위치한다. 외측 월(160)의 외측면은 상부 부분(110)의 벽(116)의 나사의 날 형성부와 짝이 맞는 나사의 날 형성부(161)를 가져, 상부 부분(110)과 하부 부분(130)의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외측 월(160)은 어떤 관통 개구들도 없이 단단할 수 있다.
내부 월(162)은 바디(131) 주변을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플레이트(136)의 중심 근방에 위치할 수 있다. 내부 월(162)은 외부 월(160)보다 높다. 내부 월(162)은 내부 월(162)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복수개의 슬롯(163)들을 가져, 내부 월(162)을 가로질러 방출 스파우트(142)로 유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중간 월(164)은 바디(131) 주변을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외측 월(160)과 내측 월(162) 사이에 위치한다. 중간 월(164)은 외측 월(160)과 같은 높이를 갖는다. 중간 월(164)은 중간 월(164)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복수개의 슬롯(165)들을 가져, 중간 월(164)을 가로질러 유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중간 월(164)은 중간 월(164) 외측에 위치하는 매니폴드 존(171)으로부터 중간 월(164) 내측에 위치하는 음료 성분 존(170)의 경계를 표시한다.
도 10에 명확히 도시된 것과 같이, 유입구 개구(140)는 하부 부분(130)의 매니폴드 존(171)으로 열려 있다.
음료 성분 존(170)은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월들에 의해 복수개의 챔버들로 구획된다. 월들은 얇은 월(172a)들이거나 두꺼운 월(172b)들(또는 단단한 부분(solid segment)들)의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는, 한 개의 메인 음료 성분 챔버(180)와 세 개의 보조 음료 성분 챔버(181)들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월(164)의 슬롯(165)들은 매니폴드 존(171)에서 챔버들(180, 181) 각각으로의 유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도 8에 명백히 도시된 것과 같이, 유입구 개구(140)는 플레이트(136)에서 홀(hole)로 형성되며 매니폴드 존(170)으로 열려 있다. 유입구 개구(140)는 플레이트(136)의 면의 잔여부분으로부터 돌출된 환형의 주변 링 형성부(141)를 구비한다.
고무로 처리되거나 폴리머인 O-링 개스킷과 같은 하나 이상의 실링 부재가 유입 개구(140) 주위에 위치할 수 있다.
방출 스파우트(142)는 플레이트(136)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다.
바코드(119)는 플레이트(136)의 하부측에 위치하는데, 그 사용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바코드(119)는 용량, 온도 또는 유량과 같은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암호화된다. 바코드(119)는 전매 암호화 상징기호(proprietary encoding symbology)를 사용할 수도 있고, 통일 상품 코드(UPC, Universal Product Code)나 유럽 상품 코드-13(EAN-13, European Article Number-13)과 같은 표준 상징기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부 부분(130)은 틀을 이용해 만들어진 폴리프로필렌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공학 플라스틱 또한 사용 가능하다. 하부 부분은 단일의 몰딩으로 형성되거나, 함께 결합될 수 있는 다중 구성요소들로 형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1)는 상부 부분(110) 또는 두껑을 하부 부분(130) 상에 각 부분의 나사의 날 형성부를 이용해 회전시켜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부분(110)과 후부 부분(130)이 완전히 나사결합되면, 상부 부분(110)의 바디(115)는 월들(172a, 172b)뿐만 아니라 중간 월(164)과 외측 월(160)의 상부로 유체 기밀식 실링(fluid tight sealing)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실린더형 연장부(121)의 내측면은 내측 월(162)의 상부와 함께 유체 기밀식 실링을 형성한다.
디바이스(101)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상부 부분 또는 뚜껑을 회전시켜 풀어 상부 부분(110)을 하부 부분(13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들이 도 10에 명확히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 챔버들(180, 181)에 삽입된다. 메인 음료 성분 챔버(180)는 보조 음료 성분 챔버(181)들보다 크며 음료의 메인 성분이 될 음료 성분(190)을 수용하게 된다. 챔버(180)는 두개 이상의 성분들을 혼합물 또는 조성물로 수용할 수 있다.
메인 음료 성분 챔버(180)에 삽입될 수 있는 음료 성분들의 예는 커피, 초콜릿, 우유, 차 및 과일향 드링크 믹스를 포함한다.
보조 음료 성분 챔버(181)들은 더 작으며, 향료, 색소, 감미료, 발포제 등과 같은 2차 성분들(191, 192, 193)을 수용한다. 특정 음료에 대해, 하나 이상의 보조 음료 성분 챔버(181)들이 성분들을 수용하기도 하고, 전혀 수용하지 않기도 한다. 각각의 보조 챔버(181)는 두 개 이상의 성분들을 혼합물 또는 조성물로 수용할 수 있다.
보조 음료 성분 챔버(181)들에 삽입될 수 있는 보조 성분들의 예는 커피 추출물, 차 추출물, 코코아 추출물, 크림을 포함하는 낙농 기반의 성분들, 발포제, 오렌지, 생강, 아마레또, 박하, 초콜릿 트뤼플 등을 포함하는 향료, 그리고 색소를 포함한다.
챔버들(180, 181) 내의 음료 성분들은 로스팅되고 분쇄된 성분과 같은 건조형일 수도 있고, 녹을 수 있는 파우더 또는 복합체일 수 있다. 예컨대, 커피 성분은 로스팅되고 분쇄된 커피 또는 동결 건조되거나 스프레이 건조된 녹을 수 있는 커피일 수 있다. 건조 성분은 챔버들(180, 181)에 느슨하게 패킹되거나 압축된 태블릿 형태일 수 있다.
챔버들(180, 181) 내의 음료 성분들은 액상 낙농 기반의 성분 또는 액상 차 또는 커피 추출물과 같은 액상 형태일 수 있다.
음료 성분들, 특히 액상 형태일 경우의 음료 성분들은, 디스펜싱할 때까지 각각의 챔버 내에서 성분을 보유할 수 있도록 챔버들(180, 181) 내에 서용될 수 있는 형상과 사이즈를 갖는 캡슐 또는 컨테이너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캡슐들은 물 및/또는 가열된 유체와 컨택하면 녹아 성분들을 방출하는, 수용성 또는 감열성(heat sensitive)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는 물에 녹을 수 있는 다당류(polysaccharide) 필름을 들 수 있다.
사용자는 이후 상부 부분(110)과 하부 부분(130)을 함께 나사결합하여 음료 성분들을 디바이스(101) 내에서 실링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디바이스(101)의 디자인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디바이스(1)와 관련하여 (유럽 특허 EP 1440639에서의 내용을 포함하는) 전술한 것과 같은 유형의 가열된 물을 디스펜싱하는 음료 기계와 결합하여 사용되도록 디자인된다. 음료 기계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그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음료 기계(50)에서 디바이스(101)로부터 음료를 디스펜싱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먼저 음료 기계(50)의 교체가능한 유입구/배출구 천공구 유닛(52)을 제거하여 브루 헤드(51)의 하부 부분의 물 유입구와 브루 헤드 배출구를 노출시킨다. 그 후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료 기계의 브루 헤드(51)에 디바이스(101)를 삽입하여 유입구 개구(140)가 브루 헤드의 물 유입구와 정렬되고 방출 스파우트(142)가 브루 헤드의 배출구 개구를 통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나아가, 바코드(119)가 브루 헤드의 바코드 스캐너(53)와 정렬된다. 하부 부분(130)의 로브(137)를 브루 헤드의 대응하는 리세스로 오리엔팅시킴으로써 디바이스(101)의 정확한 정렬을 담보할 수 있다.
음료 기계(50)의 브루 헤드(51)의 상부 부분은 이후 닫혀져 디바이스(101)가 올바르게 위치하도록 잡는다. 디바이스(101)에 인가되는 압축력은 브루 챔버의 고정된 하부 부분과 하부 부분(130) 사이의 유체 기밀식 실링(fluid tight seal)을 담보하는데, 이러한 실링은 환형의 주변 링(141), 그리고 선택적으로 O-링과 같이 하나 이상의 압축 가능하거나 탄성이 있는 실링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브루 헤드의 물 유입구는 디바이스(101)의 유입구 개구(140)와 유체적으로(fluidly) 결합된다.
음료 기계(50)는 이후 스타트 스위치(54)를 누름으로써 표준적인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는 음료 기계의 바코드 리더(53)가 하부 부분(30)의 윈도우(38)를 통해 바코드(19)를 스캔하는 것을 작동시키도록 한다. 바코드(19)는 음료 기계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게 유효한 지시를 제공하여 필요한 디스펜싱 파라미터를 세팅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디스펜싱될 물의 운도와 유량, 디스펜싱될 물의 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기계의 바코드 리더의 지시를 따라, 음료 기계(50)는 (가열된 물이 필요하다면) 히터를 이용하여 저장통으로부터의 물을 소망된 온도까지 가열하고 가열된 물을 브루 헤드의 물 유입구로부터 유입구 개구(140)를 통해 매니폴드 존(171)으로 펌핑함으로써 디바이스(101)를 통해 가열된 물을 펌핑한다. 물은 매니폴드 존(171) 내에서 순환할 수 있으며 그것으로부터 중간 월(164) 내의 슬롯(165)들을 통해 음료 성분 챔버들(180, 181)로 진입한다. (성분 포장재, 캡슐, 필름 등 존재하는 것을 녹인 후) 챔버들(180,181) 내에서 일단 물이 음료 성분들과 상호작용하게 되면, 음료 성분들은 브루잉(brewing)되거나 녹아 음료 유체를 형성한다. 결과적인 음료 유체는 내측 벽(162)의 슬롯(163)들을 통해 방출 스파우트(142)의 상부로 흘러나간다. 방출 스파우트에서 음료 유체가 섞이고 배출구 개구(143)로부터 디스펜싱되어 음료 기계의 컵 스탠드(55) 상에 위치한 용기로 배출된다.
디스펜싱 사이클에 따라, 디바이스(101)는 제거되거나,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음료 성분 챔버들(180, 181)을 리필함으로써 재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방출 스파우트를 갖는 디바이스들(1, 101)과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와 달리 디바이스들은 음료 기계의 채널 또는 방출 스파우트로 물이나 다른 음료를 출력해낼 수 있다.
지금까지 Tassimo®음료 기계와 관련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디바이스들(1, 101)은 다른 음료 기계와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 디바이스 10: 상부 부분
11: 쉘 12: 중심 관통 개구
15: 핑거그립 16: 상부면
17: 하부면 19: 바코드
20: 표시부 21: 내부 실린더형 연장부
30: 하부 부분

Claims (29)

  1. 코드 리더를 구비하는 유형의 음료 기계와 사용되기에 적합한 디바이스로서,
    음료 기계의 물 공급으로부터 가열된 물을 받기 위한 유입구;
    상기 가열된 물이 디스펜싱될 수 있는 배출구; 및
    음료 기계의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코드들;
    을 구비하고, 음료 기계의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을 세팅하기 위해 디스펜싱 작동 중 사용자가 음료 기계의 코드 리더에 의해 읽힐 복수개의 코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configurable),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에 앞서 디바이스에는 음료 성분들이 없는,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코드들은 디바이스 상에 공간적으로 분포된, 디바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코드 리더에 의해 읽힐 복수개의 코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일부분 또는 디바이스 전체가 음료 기계에 대해 복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는, 디바이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을 구비하며, 제2부분은 복수개의 코드들을 포함하고 제1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제2부분은 제1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코드들은 제2부분 상에 둘레를 따라 분포된, 디바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제1부분이, 디스펜싱 작동 중 음료 기계의 코드 리더가 복수개의 코드들 중 하나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8. 제5항에 있어서,
    제1부분이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9. 제5항에 있어서,
    제1부분이 유입구로부터 배출구로 가열된 물을 이송할 수 있는 통로를 더 구비하는, 디바이스.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은,
    디스펜싱될 가열된 물의 용량;
    디스펜싱될 가열된 물의 온도; 및
    가열된 물의 디스펜싱 타이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코드들은 복수개의 바코드들인, 디바이스.
  12. 코드 리더를 구비하는 음료 기계와 제1항 또는 제2항의 디바이스의 조합물.
  13. 제12항에 있어서,
    디바이스의 배출구는 음료 기계의 방출 배출구를 정의하는, 조합물.
  14. 제12항에 있어서,
    디바이스가 음료 기계의 방출 스파우트 또는 카트리지 천공 유닛과 교환가능한, 조합물.
  15. 복수개의 코드들을 구비하는 디바이스를 음료 기계와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음료 기계의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을 세팅하는 것을 포함하는, 코드 리더를 구비하는 유형의 음료 기계로부터 가열된 물을 디스펜싱하는 방법으로,
    a) 사용자에 의해 디바이스를 설정함으로써 음료 기계의 코드 리더에 의해 읽힐 복수개의 코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설정 단계;
    b) 음료 기계를 작동하여 코드 리더가 디바이스의 선택된 코드를 읽음으로써 음료 기계의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을 세팅하는 작동 단계;
    c) 디바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따라 가열된 물을 용기로 디스펜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파라미터들은
    디스펜싱될 가열된 물의 용량;
    디스펜싱될 가열된 물의 온도; 및
    가열된 물의 디스펜싱 타이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137015105A 2010-11-18 2011-11-11 음료 기계로부터의 디스펜싱에 관련된 장치 및 방법 KR101756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019587.3 2010-11-18
GB1019587.3A GB2485575B (en) 2010-11-18 2010-11-18 Apparatus and methods relating to dispensation from beverage machines
PCT/GB2011/052208 WO2012066313A2 (en) 2010-11-18 2011-11-11 Apparatus and methods relating to dispensation from beverage machin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265A Division KR101882924B1 (ko) 2010-11-18 2011-11-11 음료 기계로부터의 디스펜싱에 관련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114A KR20130101114A (ko) 2013-09-12
KR101756830B1 true KR101756830B1 (ko) 2017-07-11

Family

ID=434316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105A KR101756830B1 (ko) 2010-11-18 2011-11-11 음료 기계로부터의 디스펜싱에 관련된 장치 및 방법
KR1020177018265A KR101882924B1 (ko) 2010-11-18 2011-11-11 음료 기계로부터의 디스펜싱에 관련된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265A KR101882924B1 (ko) 2010-11-18 2011-11-11 음료 기계로부터의 디스펜싱에 관련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30230627A1 (ko)
EP (2) EP2781175B1 (ko)
JP (2) JP5723019B2 (ko)
KR (2) KR101756830B1 (ko)
CN (2) CN105380523B (ko)
BR (1) BR112013012069B1 (ko)
CA (1) CA2818309C (ko)
ES (2) ES2558079T3 (ko)
GB (1) GB2485575B (ko)
HK (2) HK1186941A1 (ko)
PL (1) PL2781175T3 (ko)
RU (2) RU2709779C2 (ko)
UA (1) UA110500C2 (ko)
WO (1) WO201206631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2755B2 (en) * 2007-07-13 2023-12-05 Adrian Rivera Brewing material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US10722066B2 (en) * 2010-12-04 2020-07-28 Adrian Rivera Windowed single serving brewing material holder
KR20190100427A (ko) 2010-07-22 2019-08-28 카-페 시스템 게엠베하 음료수 제조를 위한 1인용 캡슐
RU2587060C2 (ru) * 2010-11-11 2016-06-10 Нестек С.А. Капсула, аппарат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одукта питания
US10080459B2 (en) 2011-11-09 2018-09-25 La Vit Technology Llc Capsule-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US10034570B2 (en) 2011-11-09 2018-07-31 LaVit Technology LLC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GB2499201B (en) 2012-02-07 2014-07-02 Kraft Foods R & D Inc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 coded insert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2869739B1 (en) * 2012-07-06 2016-04-06 Unilever PLC Method and device for brewing a beverage
GB2499496B (en) * 2012-12-19 2014-11-19 Kraft Foods R & D Inc A method of dispensing a beverage,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a system
GB2509081B (en) * 2012-12-19 2014-11-19 Kraft Foods R & D Inc A method of dispensing a beverage,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a system
US8960078B2 (en) * 2013-03-14 2015-02-24 Keurig Green Mountain, Inc. Reusable beverage cartridge
JP6386529B2 (ja) 2013-03-21 2018-09-05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カプセル
USD732387S1 (en) 2013-03-21 2015-06-23 Conopco, Inc. Capsule
JP6306165B2 (ja) * 2013-06-24 2018-04-04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食用組成物調製用カプセル
US9320382B2 (en) 2013-07-15 2016-04-26 La Vit Technology Llc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US20150257586A1 (en) * 2014-03-11 2015-09-17 Starbucks Corporation Dba Starbucks Coffee Company Single-serve beverage production machine
US9836742B2 (en) 2014-03-17 2017-12-05 Starbucks Corporation Offline access of a network based application
US8960999B1 (en) 2014-03-28 2015-02-24 Gudpod Holdings, Llc System for mixing beverages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GB2529662B (en) * 2014-08-28 2016-07-13 Kraft Foods R&D Inc Improvements in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 and liquid food products
FI3261957T4 (en) 2015-02-27 2023-01-13 Capsule with a sealed filter element
CN104840103A (zh) * 2015-04-28 2015-08-19 周林斌 一种磨豆咖啡壶的流水装置
US10478010B2 (en) 2015-04-30 2019-11-19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ode arrangement and container of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stuff
CA2982008A1 (en) 2015-04-30 2016-11-03 Nestec S.A. Code and container of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stuff
CA2983872C (en) * 2015-05-07 2023-06-20 Smart Wave Technologies Corp. Signal and detection system for pairing products
JP6580714B2 (ja) 2015-06-10 2019-09-25 ケイ‐フィー システム ゲーエムベーハー 3層不織布を用いたポーションカプセル
US10737876B2 (en) 2015-07-13 2020-08-11 K-Fee System Gmbh Filter element having a cut-out
ES2727488T3 (es) * 2015-08-25 2019-10-16 Nestle Sa Cápsula para la preparación de una bebida a partir de líquido suministrado por un dispositivo
CN107920681B (zh) * 2015-08-25 2020-10-13 雀巢产品有限公司 用由机器供应至包装件的液体制备饮料的设备和方法
SG11201801893RA (en) 2015-09-18 2018-04-27 K Fee System Gmbh Adapter for a single serve capsule
BR112018012945A2 (pt) * 2016-01-18 2018-12-11 Nestec Sa embalagem para preparo de produtos de alimentos ou bebidas
CN105686661A (zh) * 2016-04-22 2016-06-22 周林斌 全自动进水磨豆咖啡机的工作方法
ITUA20163400A1 (it) 2016-05-12 2017-11-12 Alberto Rolla Sistema di riconoscimento ottico di capsule per la produzione di bevande calde
ES2757877T5 (es) 2016-07-19 2023-06-12 Delica Ag Cápsula
WO2018089460A1 (en) 2016-11-09 2018-05-17 Pepsico, Inc. Carbonated beverage makers, methods, and systems
DE102016122617A1 (de) * 2016-11-23 2018-05-24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Heißgetränkeautomat mit Brühkammer-Erkennungsmitteln
ES2803348T3 (es) 2017-03-10 2021-01-26 Delica Ag Adaptador para el uso en la preparación de una bebida
WO2018185316A1 (de) * 2017-04-07 2018-10-11 K-Fee System Gmbh Adapter zur verwendung in einer portionskapselmaschine und system
WO2019083521A1 (en) * 2017-10-25 2019-05-02 Siemens Mobility, Inc. DEVICE CONFIGURATION USING A QR OR OTHER MACHINE READABLE CODES
GB2569623A (en) * 2017-12-21 2019-06-26 Douwe Egberts Bv Beverage cartridge for use with a selectable barcode
IT201800003502A1 (it) 2018-03-13 2019-09-13 Ali Group Srl Carpigiani Macchina e sistema per la realizzazione di prodotti alimentari liquidi o semiliquidi.
GB2576378B (en) * 2018-08-17 2021-11-17 Lavazza Professional Uk Ltd Beverage-ingredient container
WO2020084615A1 (en) * 2018-10-23 2020-04-30 Barak Roi A set-up for preparing enhanced beverages
US11624680B2 (en) 2020-09-10 2023-04-11 Exfo Inc. Optical fiber endface inspection microscope having adapter tip detection and autoconfiguration
US11805934B1 (en) * 2020-10-21 2023-11-07 Adrian Rivera Brewing material lid and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9806A1 (en) 2009-03-06 2010-09-10 Brasilia S.P.A. System of edible-product making machine and load element and process for control of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7717A (en) 1974-07-19 1976-10-26 Melitta, Inc. Automatic coffee brewing machine
IT1215627B (it) * 1983-01-14 1990-02-22 Arnaldo Giacomini Caffettiera.
FR2610502B1 (fr) * 1987-02-11 1991-02-08 Levi Mario Un dispositif de detection et d'affichage pour machine a cafe express a service automatique
JPH069489U (ja) * 1992-07-09 1994-02-08 秀樹 鶴間 茶類にコ−ヒ−等を添加した飲食物
EP1367924B1 (en) * 2001-03-16 2007-07-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verage brewing devices for preparing creamy beverages
PL205052B1 (pl) * 2003-01-24 2010-03-31 Kraft Foods R&D Nabój do wytwarzania napojów i sposób wytwarzania naboju
GB2397503B (en) 2003-01-24 2005-03-02 Kraft Foods R & 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533604B2 (en) * 2003-01-24 2009-05-19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system
GB2397509B (en) * 2003-01-24 2005-11-23 Kraft Foods R & D Inc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097074B2 (en) * 2003-01-24 2006-08-29 Kraft Foods R&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JP4227170B2 (ja) * 2003-01-24 2009-02-18 クラフト・フーヅ・リサーチ・アンド・ディベロップメン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カートリッジおよび方法
EP1495702A1 (fr) * 2003-07-10 2005-01-12 Nestec S.A. Dispositif pour l'extraction d'une capsule
US7361866B2 (en) * 2003-07-22 2008-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using barcode
US20050034605A1 (en) * 2003-08-15 2005-02-17 Webster Joseph P. Clamshell coffee and tea packet beverage brewer
US7594525B2 (en) * 2004-02-13 2009-09-29 Intelligent Coffee Company, Llc Replaceable concentrate/extract cartridge for a liquid concentrate/extract beverage dispenser
GB2411105B (en) * 2004-02-17 2006-08-30 Kraft Foods R & D Inc An insert and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GB2413480B (en) * 2004-02-17 2006-08-30 Kraft Foods R & D Inc An insert and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EP1586534A1 (en) * 2004-02-18 2005-10-19 MDS Global Holding Ltd. Dispensing of a substance
US7591218B2 (en) * 2004-04-07 2009-09-22 Bunn-O-Matic Corporation Loose coffe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050236323A1 (en) * 2004-04-27 2005-10-27 John Oliver Water filter for hot beverage brew baskets
ATE356570T1 (de) * 2004-05-04 2007-04-15 Datalogic Spa Vorrichtung zur zubereitung von einem getränk aus einer kartusche, mit aktivierung nach lesung eines optischen code auf der kartusche
DE602006006419D1 (de) * 2005-02-07 2009-06-04 Nestec Sa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aus einer kapsel durch injektion einer druckflüssigkeit und dafür entwickelter kapselhalter
EP1704803A1 (en) * 2005-03-22 2006-09-27 Tuttoespresso S.p.a. Beverage cartridge and system
EP1749464A1 (en) * 2005-08-01 2007-02-07 Saeco IPR Limited Control panel for an automatic machine for preparing hot beverages and automatic machine comprising such a control panel
CN200977070Y (zh) * 2006-11-07 2007-11-21 深圳市宝安区西乡镇臣田唐锋电器厂 二合一咖啡机
US7863546B2 (en) * 2006-12-27 2011-01-04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Automated preparation of infant formula and children's beverages
US20080184895A1 (en) * 2007-02-01 2008-08-07 Ting-Chen Hsu Coffee Maker
EP1974638A1 (de) * 2007-03-29 2008-10-01 Tchibo GmbH System mit einer Getränkemaschine und mit Portionskapseln
GB2449213B (en) * 2007-05-18 2011-06-29 Kraft Foods R & D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and beverage cartridges
DE102007032287A1 (de) * 2007-07-11 2009-01-1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bleseverfahren für Strichcodes in einer Getränkemaschine und Vorrichtung dafür
US20110168026A1 (en) * 2008-10-03 2011-07-14 Nestec S.A. User friendly interface for a beverage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9806A1 (en) 2009-03-06 2010-09-10 Brasilia S.P.A. System of edible-product making machine and load element and process for control of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85575A (en) 2012-05-23
WO2012066313A3 (en) 2012-07-12
PL2781175T3 (pl) 2016-03-31
EP2640232A2 (en) 2013-09-25
KR20170081746A (ko) 2017-07-12
RU2566909C2 (ru) 2015-10-27
JP2014504900A (ja) 2014-02-27
RU2013127164A (ru) 2014-12-27
ES2558079T3 (es) 2016-02-01
KR101882924B1 (ko) 2018-07-27
JP2015006604A (ja) 2015-01-15
HK1198688A1 (zh) 2015-05-29
EP2781175A1 (en) 2014-09-24
JP5723019B2 (ja) 2015-05-27
CA2818309A1 (en) 2012-05-24
RU2015140271A3 (ko) 2019-04-17
EP2640232B1 (en) 2014-09-17
BR112013012069B1 (pt) 2020-04-14
US20130230627A1 (en) 2013-09-05
HK1186941A1 (en) 2014-03-28
EP2781175B1 (en) 2015-10-07
CN103237482B (zh) 2016-08-10
UA110500C2 (ru) 2016-01-12
GB2485575B (en) 2013-05-15
KR20130101114A (ko) 2013-09-12
ES2514767T3 (es) 2014-10-28
CA2818309C (en) 2017-06-13
RU2709779C2 (ru) 2019-12-20
WO2012066313A2 (en) 2012-05-24
CN105380523B (zh) 2018-11-27
GB201019587D0 (en) 2010-12-29
RU2015140271A (ru) 2018-12-26
CN103237482A (zh) 2013-08-07
CN105380523A (zh) 2016-03-09
BR112013012069A2 (pt)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830B1 (ko) 음료 기계로부터의 디스펜싱에 관련된 장치 및 방법
EP3420499B1 (en) Recipcode and container of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stuff
AU2016247046A1 (en) System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KR20180115686A (ko) 음료 또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의 코드 및 용기
CN111278336A (zh) 用于自一个或多个容器制备食物或饮料的食物或饮料分配设备和方法
EP3420497B1 (en) Code and container of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stuff
KR20240035410A (ko)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
CA3220610A1 (en)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KR20240035761A (ko) 용기, 음료 또는 식품 제조 시스템, 상기 용기의 용도, 및 용기 형성 방법
GB2497434A (en) Refillable device for use with Beverage Machines
WO2023187183A1 (en) Container for use with a machine for preparing a beverage and/or foodstuff, system, use, and methods of encoding and reading preparation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