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822B1 -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822B1
KR101756822B1 KR1020150169461A KR20150169461A KR101756822B1 KR 101756822 B1 KR101756822 B1 KR 101756822B1 KR 1020150169461 A KR1020150169461 A KR 1020150169461A KR 20150169461 A KR20150169461 A KR 20150169461A KR 101756822 B1 KR101756822 B1 KR 101756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isplay
foreign matter
unit
inflow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157A (ko
Inventor
김학현
박용훈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riority to KR1020150169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8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광선의 조사로 디스플레이부에 접촉되는 물체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와, 센서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센서부를 디스플레이부의 외측에 고정시키는 센서지지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향한 센서지지부의 입구부에 설치되며 이물의 흘러내림을 유도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센서부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하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SENSOR PROTECTION TYP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기로부터 센서를 보호하며, 센서를 향한 이물의 유입으로 센서의 오작동이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는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를 둘러싼 형상으로 설치되는 베젤(Bezel)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정용 디스플레이와 산업용 디스플레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베젤에는 별도의 센서가 설치되어 디스플레이에 접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한다.
종래에는 센서가 외측으로 노출되므로 외부의 정전기로부터 센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센서를 향하여 유입된 이물질이 센서의 전면에 적층되어 센서의 정상작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5-0033787호(1995.12.26 공개, 발명의 명칭: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그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기로부터 센서를 보호하며, 센서를 향한 이물의 유입으로 센서의 오작동이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는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광선의 조사로 디스플레이부에 접촉되는 물체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와, 센서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센서부를 디스플레이부의 외측에 고정시키는 센서지지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향한 센서지지부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며 센서부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하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서부는,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지지부는,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장착부재 및 장착부재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 전면에 위치하며 이물유입방지커버부를 향한 일측으로 입구부가 형성되며 입구부와 마주하는 내측에는 센서부가 위치하는 내측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물유입방지커버부는, 센서지지부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몸체 및 걸림몸체에 연결되어 입구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경사면을 구비하며 광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성형되는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물유입방지커버부는, 광투과부에서 센서지지부를 향한 내측으로 굽어져서 연장되며, 디스플레이부와 마주하는 안전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물유입방지커버부는, 센서부와 광투과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센서부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하는 정전기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전기방지부는, 센서부와 광투과부의 사이에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공기가 충진되는 에어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전기방지부는, 센서부와 광투과부 사이에 설치되어 센서부의 절연거리를 확보하며, 광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성형되는 내측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투과부는, 디스플레이부와 이격되어 걸림몸체에 연결되며 입구부의 전방에서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이물의 흘러내림을 안내하는 이탈촉진부 및 이탈촉진부에서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며 센서부에서 조사되거나 센서부로 입사되는 광선의 통과가 이루어지는 광투과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표면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이탈촉진부가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보다 광투과커버가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모서리에 위치하며, 서로 교차하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를 연결하는 커버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연결부는, 일측에 위치하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물유입방지커버부를 지지하는 제1연장부재와, 타측에 위치하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물유입방지커버부를 지지하는 제2연장부재 및 서로 직교하는 제1연장부재와 제2연장부재를 연결하며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이물유입방지커버부의 측면에 접하여 걸리는 돌출돌기를 구비하는 연결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서부의 전방에 정전기방지부를 구비하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가 설치되어 외부 정전기로부터 센서부를 보호하므로 센서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이물이 이물유입방지커버부에 막혀서 센서부로 유입됨이 차단되며, 이물유입방지커버부의 외측에 있는 이물이 이물유입방지커버부를 따라 흘러내려 센서부의 오동작을 방지하므로 센서부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유입방지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유입방지커버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서리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연결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연결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연결부가 이물유입방지커버부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가 광투과부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재가 이물유입방지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유입방지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유입방지커버부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서리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연결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연결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연결부가 이물유입방지커버부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부가 광투과부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재가 이물유입방지커버부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0)와, 디스플레이부(1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광선의 조사로 디스플레이부(10)에 접촉되는 물체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20)와, 센서부(2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센서부(20)를 디스플레이부(10)의 외측에 고정시키는 센서지지부(30) 및 디스플레이부(10)의 전면을 향한 센서지지부(30)의 입구부(36)에 설치되며 이물(100)의 흘러내림을 유도하는 경사면(42)을 구비하며 센서부(20)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하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영상을 출력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영상출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는 평면형으로 판 형상으로 설치된다. 디스플레이부(10)의 하측에는 패널부(120)가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10)로 영상을 전달한다.
디스플레이부(10)의 테두리를 따라 센서부(20)가 설치되며, 광선의 조사로 디스플레이부(10)에 접촉되는 물체의 위치를 센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0)는,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며, 디스플레이부(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적외선 센서는 IR센서라고도 하며 발광부와 수신부를 구비한다. 센서부(20)는 사용자의 손이 디스플레이부(10)에 접하는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2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20)는 디스플레이의 테두리 전면(도 2기준 상측)에 위치한다. 센서부(20)는 복수 개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를 따라 나란히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지지부(30)는 센서부(2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센서부(20)를 디스플레이부(10)의 외측에 고정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지지부(30)는, 장착부재(32)와 내측케이스(34)를 포함한다.
장착부재(32)는 디스플레이부(1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110)에 고정된다. 프레임부(110)는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는 베젤부(112)와, 베젤부(112)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장착부재(32)를 고정시키는 보스부재(114) 및 패널부(120)를 지지하는 내측프레임(116)을 포함한다. 장착부재(32)가 보스부재(114)에 걸려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내측케이스(34)는 장착부재(32)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10)의 테두리 전면에 위치한다. 내측케이스(34)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를 향한 일측으로 입구부(36)가 형성되며, 입구부(36)와 마주하는 내측에는 센서부(20)가 위치한다. 내측케이스(34)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0)의 테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내측케이스(34)의 입구부(36)에는 별도의 내측커버(38)가 추가로 설치되며, 이로 인하여 센서부(20)로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100)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내측커버(38)는 디스플레이부(10)의 표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이물(100)의 흘러내림을 유도하여 이물(100)에 의한 센서부(20)의 오작동을 감소시킨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는 디스플레이부(10)의 전면을 향한 센서지지부(30)의 입구부(36)에 설치되며, 이물(100)의 흘러내림을 유도하는 경사면(42)을 구비하는 한편 센서부(20)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한다.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는 센서부(20)의 광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성형되며, 압출이나 사출을 이용해 제작된다.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1)가 실외에 설치되거나 이물(100)이나 먼지 유입이 많은 환경에 설치되는 경우, 센서부(20)의 전방에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가 설치되므로 센서지지부(30)의 내측으로 이물(100)이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는, 걸림몸체(50)와 광투과부(60)와 안전지지부(70)와 광가이드부(75)와 정전기방지부(80)를 포함한다.
센서지지부(30)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몸체(50)는 광투과부(60)의 상측(도 2기준)에 위치하며, 광투과부(60)의 상측에서 내측케이스(34)를 따라 연장된다. 걸림몸체(50)는 내측케이스(34)의 상부와 베젤부(112)의 사이에 위치하며, 베젤부(112)의 굽혀진 부분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홈 형상인 걸림홈형성부(52)를 구비한다. 걸림몸체(50)는 베젤부(112)의 단부가 삽입되는 걸림홈형성부(52)를 상측에 형성하므로 센서부(20)를 향한 내측으로 이물(100)이 유입됨을 차단한다.
광투과부(60)는 걸림몸체(50)에 연결되어 입구부(36)의 전방에 위치하며, 경사면(42)을 구비하며 광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성형되며 센서부(20)의 전방에 위치한다. 광투과부(60)는 경사면(42)을 구비하며 이물(100)의 흘러내림을 유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부(60)는 이탈촉진부(62)와 광투과커버(64)를 포함한다. 이탈촉진부(62)의 외측 경사면(42)을 제1경사면(44)이라 하며, 광투과커버(64)의 외측 경사면(42)을 제2경사면(46)이라 한다.
이탈촉진부(62)는 디스플레이부(10)와 이격되어 걸림몸체(50)에 연결되며, 입구부(36)의 전방에서 디스플레이부(1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이물(100)의 흘러내림을 안내한다. 제1경사면(44)의 하측은 센서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제1경사면(44)을 따라 담배, 맥주, 먼지 등의 이물(100)이 하측으로 흘러내린다.
이탈촉진부(62)와 연결된 광투과커버(64)는, 이탈촉진부(62)에서 디스플레이부(10)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며, 센서부(20)에서 조사되거나 센서부(20)로 입사되는 광선의 통과가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부(10)의 표면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선(V)을 기준으로, 이탈촉진부(62)가 수직선(V)과 이루는 각도보다 광투과커버(64)가 수직선(V)과 이루는 각도가 더 작게 형성된다. 즉 이탈촉진부(62)의 제1경사면(44)이 수직선(V)과 이루는 각도를 제1각도(A1)라 하며, 광투과커버(64)의 제2경사면(46)이 수직선(V)과 이루는 각도를 제2각도(A2)라 할 때, 제1각도(A1)는 제2각도(A2)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광투과부(60)의 표면에는 센서부(20)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방수코팅과 정전기방지 코팅을 할 수 있다.
안전지지부(70)는 광투과부(60)에서 센서지지부(30)를 향한 내측으로 굽어져서 연장되며, 디스플레이부(10)와 마주하며 설치된다. 광투과부(60)의 하측에 연결된 안전지지부(70)는 디스플레이부(10)를 따라 수평방향(도 3기준)으로 연장된다. 안전지지부(70)가 광투과부(60)의 하측에서 내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므로, 광투과부(60)의 외측에 있는 담배꽁초를 포함한 이물(100)이 센서부(20)를 향한 내측으로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과부(60)의 내측에 연결된 광가이드부(75)는 센서부(20)를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된다. 광가이드부(75)는 센서부(20)에서 광투과부(60)를 통해 외측으로 조사되는 광선과, 광투과부(60)를 통해 외측에서 유입되는 광선이 센서부(20)를 향하도록 광선을 안내한다. 광가이드부(75)는 센서부(20)에서 송수신되는 광선의 산란을 방지하며 광선의 직전을 안내한다.
정전기방지부(80)는 센서부(20)와 광투과부(60)의 사이에 위치하며, 센서부(20)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기방지부(80)는 센서부(20)와 광투과부(60)의 사이에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공기가 충진되는 에어갭(82)이 사용된다.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기방지부(80) 센서부(20)와 광투과부(60) 사이에 설치되어 센서부(20)의 절연거리를 확보하며, 광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성형되는 내측부재(84)가 사용된다.
정전기방지부(80)는 센서부(20)의 수발광이 가능하며, 외부 정전기로부터 센서부(20)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설정된 절연거리를 갖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20)와 광투과부(60)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충진되는 에어갭(82)을 사용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20)의 수발광이 가능하며, 외부 정전기로부터 센서부(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재질로 충진되는 내측부재(84)가 사용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연결부(90)는 디스플레이부(10)의 모서리에 위치하며, 서로 교차하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를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연결부(90)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며, 사출을 통해 제작이 이루어진다. 커버연결부(90)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와 이웃한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가 연결되는 구조의 내측으로 외부 이물(100)이 유입됨을 방지한다. 디스플레이부(10)의 각 모서리 부근에 설치되는 커버연결부(90)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를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연결부(90)는 제1연장부재(92)와 제2연장부재(94)와 연결몸체(96)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재(92)는 일측에 위치하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를 지지한다. 제1연장부재(92)는 광투과부(60)의 내측과 걸림몸체(50)의 내측 및 안전지지부(70)의 내측 형상을 따라 돌출된 돌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연장부재(92)가 마주하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와 연결되며,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의 내측으로 이물(100)이 유입됨을 차단한다.
제2연장부재(94)는 타측에 위치하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를 지지한다. 제2연장부재(94)는 제1연장부재(9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제2연장부재(94)의 형상도 제1연장부재(9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연결몸체(96)는 서로 직교하는 제1연장부재(92)와 제2연장부재(94)를 연결하며,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의 측면에 접하여 걸리는 돌출돌기(98)를 구비한다. 제1연장부재(92)의 주변에 설치된 돌출돌기(98)는, 연결몸체(96)와 제1연장부재(92)가 접하는 경계부를 따라 단차를 형성하므로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의 측면이 돌출돌기(98)에 접하여 이동이 구속된다. 제2연장부재(94)의 주변에 설치된 돌출돌기(98)는, 연결몸체(96)와 제2연장부재(94)가 접하는 경계부를 따라 단차를 형성하므로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의 측면이 돌출돌기(98)에 접하여 이동이 구속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카지노나 실외 등에 설치되는 산업용 디스플레이장치로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1)가 사용된다.
외부의 이물(100)은 광투과부(60)의 외측에 형성된 제1경사면(44)과 제2경사면(46)을 따라 흘러내림이 유도되므로, 먼지와 같은 이물(100)이 광투과부(60)의 외측에 쌓이는 현상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센서부(20)의 수발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센서부(20)의 동작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가이드부(75)를 통해 센서부(20)의 수발광이 안내되므로 빛의 직진성이 더욱 향상되어 센서부(20)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서로 직교하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의 사이에 커버연결부(90)가 설치되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를 지지하는 한편,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의 내측으로 이물(100)이 유입됨을 방지하므로, 이물(100)의 유입으로 센서부(20)가 오동작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부(20)의 전방에 정전기방지부(80)를 구비하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가 설치되어 외부 정전기로부터 센서부(20)를 보호하므로 센서부(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이물(100)이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에 막혀서 센서부(20)로 유입됨이 차단되며,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의 외측에 있는 이물(100)이 이물유입방지커버부(40)를 따라 흘러내려 센서부(20)의 오동작을 방지하므로 센서부(20)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부 20: 센서부
30: 센서지지부 32: 장착부재 34: 내측케이스 36: 입구부 38: 내측커버
40: 이물유입방지커버부 42: 경사면 44: 제1경사면 46: 제2경사면 50: 걸림몸체 52: 걸림홈형성부 60: 광투과부 62: 이탈촉진부 64: 광투과커버 70: 안전지지부 75: 광가이드부 80: 정전기방지부 82: 에어갭 84: 내측부재
90: 커버연결부 92: 제1연장부재 94: 제2연장부재 96: 연결몸체 98: 돌출돌기
100: 이물 110: 프레임부 112: 베젤부 114: 보스부재 116: 내측프레임 120: 패널부
V: 수직선 A1: 제1각도 A2: 제2각도

Claims (12)

  1.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광선의 조사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접촉되는 물체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측에 고정시키는 센서지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향한 상기 센서지지부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센서부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하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유입방지커버부는, 상기 센서지지부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몸체;
    상기 걸림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입구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경사면을 구비하며 광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성형되는 광투과부; 및
    상기 센서부와 상기 광투과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부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하는 정전기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전기방지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광투과부의 사이에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공기가 충진되는 에어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2.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광선의 조사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접촉되는 물체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측에 고정시키는 센서지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향한 상기 센서지지부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센서부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하는 이물유입방지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유입방지커버부는, 상기 센서지지부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몸체;
    상기 걸림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입구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경사면을 구비하며 광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성형되는 광투과부; 및
    상기 센서부와 상기 광투과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부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하는 정전기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전기방지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광투과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의 절연거리를 확보하며, 광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성형되는 내측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이물유입방지커버부를 향한 일측으로 상기 입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와 마주하는 내측에는 상기 센서부가 위치하는 내측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유입방지커버부는, 상기 광투과부에서 상기 센서지지부를 향한 내측으로 굽어져서 연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마주하는 안전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이격되어 상기 걸림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입구부의 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이물의 흘러내림을 안내하는 이탈촉진부; 및
    상기 이탈촉진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센서부에서 조사되거나 상기 센서부로 입사되는 광선의 통과가 이루어지는 광투과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면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이탈촉진부가 상기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보다 상기 광투과커버가 상기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모서리에 위치하며, 서로 교차하는 상기 이물유입방지커버부를 연결하는 커버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연결부는,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이물유입방지커버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이물유입방지커버부를 지지하는 제1연장부재;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이물유입방지커버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이물유입방지커버부를 지지하는 제2연장부재; 및
    서로 직교하는 상기 제1연장부재와 상기 제2연장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이물유입방지커버부의 측면에 접하여 걸리는 돌출돌기를 구비하는 연결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69461A 2015-11-30 2015-11-30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56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461A KR101756822B1 (ko) 2015-11-30 2015-11-30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461A KR101756822B1 (ko) 2015-11-30 2015-11-30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157A KR20170064157A (ko) 2017-06-09
KR101756822B1 true KR101756822B1 (ko) 2017-07-13

Family

ID=5922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461A KR101756822B1 (ko) 2015-11-30 2015-11-30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461B1 (ko) * 2017-11-03 2022-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1307A (ja) 2002-03-14 2003-09-2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画面入力装置
JP2004318258A (ja) * 2003-04-11 2004-11-11 Smk Corp 光学式タッチパネ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1307A (ja) 2002-03-14 2003-09-2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画面入力装置
JP2004318258A (ja) * 2003-04-11 2004-11-11 Smk Corp 光学式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157A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6063B2 (ja) 座標入力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866348B2 (ja) 光電式煙感知器
JP3139491U (ja) 移動感知モジュール
US20090009348A1 (en) Photoelectric smoke sensor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756822B1 (ko) 센서 보호형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217280A1 (ja) 光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488243B (zh) 用于激光雷达传感器的清洁器
US7545360B2 (en) Optical pointing device
JP2020113030A (ja) 火災検出装置
EP3051320B1 (en) Cascading of optical units of a light curtain
JP6527608B2 (ja) 座標入力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H1186698A (ja) 光学式タッチパネル
JP7337548B2 (ja) 防災機器
US20230221185A1 (en) Disaster prevention apparatus
JP2019063750A (ja) エアパージユニット
JP2022041609A (ja) 熱感知器
JP7208731B2 (ja) 火災検出装置
KR101358781B1 (ko) 전반사 산란을 이용한 광학 터치스크린 장치
KR20180090069A (ko) 수위 감지장치
KR102429414B1 (ko) 반사바를 이용한 비접촉 적외선 터치센서
JP2023015367A (ja) 開閉装置
CN116337762A (zh) 能见度检测系统
US20130063713A1 (en) Vehicle Provided with a Device for Detecting External Laser Measuring Equipment and Method for Mounting Such a Device
US20200191920A1 (en) Optical proximity sensor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JP6170713B2 (ja) 反射型光電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