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220B1 -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220B1
KR101756220B1 KR1020150130920A KR20150130920A KR101756220B1 KR 101756220 B1 KR101756220 B1 KR 101756220B1 KR 1020150130920 A KR1020150130920 A KR 1020150130920A KR 20150130920 A KR20150130920 A KR 20150130920A KR 101756220 B1 KR101756220 B1 KR 101756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broadcast
broadcasting
receiving termina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071A (ko
Inventor
김덕우
Original Assignee
김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우 filed Critical 김덕우
Priority to KR1020150130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220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광고의 선택 및 표출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 및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시점을 인지하고, 광고 시청 모드에 따라 방송사로부터 방송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방송 광고 및 광고 서버로부터 데이터통신망을 통하여 제공 받은 광고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광고 시간 대에 표출하는 방송수신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ING ADVERTISEMENT}
본 발명은 TV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방송 광고의 선택 및 표출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또는 케이블을 통한 방송 시청 시 프로그램의 앞뒤로 광고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광고는 같은 시간, 같은 채널을 보는 모든 시청자에게 획일적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A라는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제1프로그램(뉴스) 및 제2 프로그램(드라마) 사이의 시간대에는 광고가 편성되는데, 어떠한 시청자가 보던지 무관하게 방송국의 편성에 따라 획일적이고 일방적인 광고 송출이 이루어진다.
즉, 같은 광고를 방송 프로그램을 보듯이 모든 시청자가 동일하게 시청하게 되는데, 다양한 시청자의 관심도를 감안하면 광고 시간은 광고의 효과 없이 무용하게 흘러가며, 또한 그 광고의 효과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제작하는 방법은 제안되어 왔으나, 구체적으로 언제, 어떠한 방식으로 방송국에서 편성표에 따라 송출되는 광고 또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것인지에 대하여는 그 방법이 제안되지 못하여, 개인화된 광고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광고 시간 대에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시점을 인지함으로써, 방송수신단말은 해당 광고 시간 대에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되어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광고를 차단하고, 기설정된 바에 따라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광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시청자에게 보여주며, 해당 광고 시간대가 종료되면 설정에 따라 자동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의 표출로 복귀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 및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시점을 인지하고, 광고 시청 모드에 따라 방송사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광고를 차단하고 및 광고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광고 콘텐츠를 광고 시간 대에 표출하는 방송수신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를 인식하는 단계 및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되어 방송망을 통해 송출되는 방송 광고를 차단하고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별도로 스케줄링된 광고 콘텐츠를 광고 시청 모드에 따라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단말은 방송사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수신부와, 광고 서버와 연결되어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는 데이터통신부와,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를 인지하고 설정 상태에 따라 방송망을 통해 방송사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광고를 차단하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광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표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동되어 광고 콘텐츠의 제공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방송 프로그램, 방송 광고 및 광고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획일적으로 제공되는 방송 광고 이외에, 사용자 정보 및 시청 패턴에 따라 분류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방송 프로그램 사이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은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정보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분자를 통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또는 시작을 인지하고, 광고 시간대에 방송망을 통한 방송 광고 제공 모드 및 인터넷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콘텐츠 제공 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의 제공 시점을 인지하고 이에 따라 높은 광고 효과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즉, 방송수신단말은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시점을 인지하여, 해당 광고 시간 대에 방송망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광고를 차단하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광고 서버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줌으로써, 방송사에서 모든 시청자에게 획일적으로 제공하는 방송 광고의 표출을 차단시키고 시청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광고 콘텐츠를 선별하여 제공하여, 광고 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정 광고의 노출 횟수에 따라 기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노출된 경우, 다른 광고를 제공하게 되어 광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연작 광고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청 여부에 따른 히스토리 정보를 활용하여, 후속편 제공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 제공의 효율성을 보다 더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방송 스케줄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200) 및 방송사(30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광고 및 광고 서버(200)로부터 제공 받은 광고 콘텐츠를 광고 시청 모드에 따라 표출하는 방송수신단말(100)을 포함한다.
방송수신단말(100)은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시점을 인지하고, 광고 시청 모드에 따라 방송사(30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광고의 표출 및 인터넷망을 통하여 광고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의 표출을 선택적으로 전환한다.
이 때, 방송수신단말(100)은 설정 모드가 사용자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시청하는 모드인 경우, 해당 광고 시간 대에 방송망을 통해 방송사(30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광고를 차단한다.
즉, 방송수신단말(100)은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까지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되, 그 종료 시점부터는 방송망을 차단하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광고 서버(200)와 접속되어, 광고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해당 광고 시간 대에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광고 서버(200)는 광고 콘텐츠를 방송수신단말(100)로 제공하는 서버로서, 이하에서는 광고 서버(200)가 스케줄링된 광고 콘텐츠를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에 따라 방송수신단말(100)로 제공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서술하기로 한다.
단, 이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광고 콘텐츠의 제공 시점을 실시간으로 하는 것을 서술하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송수신단말(100)이 광고 서버(200)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제공받아 별도의 스토리지(storage)에 저장하여 두고,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에 따라 스토리지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호출하여 표출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단말(100)의 세부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방송사(30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수신부(110)와, 광고 서버(200)와 연결되어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는 데이터통신부(120)와,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를 인지함에 따라, 방송망을 통해 제공되는 부가 광고 및 광고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를 광고 시청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와 연동되어 광고 콘텐츠의 제공을 제어하는 제어부(140) 및 방송 프로그램, 부가 광고 및 광고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160)는 리모콘을 통하여 시청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후술하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 및 구매 서비스 제공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버(200)는 시청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에 해당되는 광고 콘텐츠를 선별하고, 선별된 광고 콘텐츠를 방송수신단말(100)로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이 때, 방송수신단말(100)은 기존의 방송망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광고를 차단하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광고 서버(200)와 연결되어, 선별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즉, 방송수신단말(100)은 방송망을 통해 획일적으로 제공되는 방송 광고를 광고 시간 대 시작(방송 프로그램 종료)과 동시에 차단하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히스토리 정보에 따라 선별된 시청자의 관심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광고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가 증대된다.
해당 광고 시간대가 종료되면, 방송수신단말(100)은 광고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하고, 방송망을 통한 방송 프로그램 수신으로 복귀한다.
이 때, 시청자가 방송 프로그램 수신보다 광고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보길 원할 수도 있으므로, 방송수신단말(100)은 시청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 수신으로 복귀하거나, 광고 콘텐츠의 제공을 지속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광고 콘텐츠는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에 따라 방송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방송 광고가 차단되고, 데이터통신망을 통하여 광고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것으로, 그 형식 또는 제공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일례로, 광고 콘텐츠는 방송수신단말(100)에 상영되는 영상 광고인 것이 기본 실시예이나, 인터넷쇼핑몰의 상품 소개 페이지와 같은 형태로 제작되어 방송수신단말(100)에 표출되고, 사용자가 리모콘 등으로 페이지를 이동하는 방식으로 시청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또한, 광고 콘텐츠는 일반 방송 광고처럼 일방적으로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나, 홈쇼핑광고와 같이 구매 수단을 포함하여 시청자로 하여금 구매를 직접 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PIP(Picture-In-Picture) 방식으로 방송수신단말(100)을 통하여 복수의 제품 광고가 표출되고, 시청자가 스마트 기기, 리모콘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그 중 특정 제품의 광고를 선택하면, 해당 광고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광고 콘텐츠 화면이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광고 콘텐츠는 시청자의 거주지역, 나이, 성별, 선호 채널, 소비 패턴 등을 포함하는 시청 정보에 따라 해당 시청자의 관심도가 높은 상품에 대한 광고 콘텐츠가 선별된 것으로, 동일한 시청자라 하더라도 현재 TV를 시청하는 요일, 시간대에 따라 카테고리화되어 세부 분류 기준에 따라 선별되어 제공된다.
광고 콘텐츠의 선별 기준에 있어서 가중치를 두게 되는데, 시청자가 광고 콘텐츠를 끝까지 시청하는 경우, 채널 변경에도 불구하고 광고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시청할 것을 요청한 경우, 해당 광고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요청하거나 실제 구매 서비스를 통해 구매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해당 상품에 대한 시청자의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선별 기준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 컨텐츠는, 방송수신단말(100)이 제공하는 메뉴 중 시청자가 관심 있는 분야를 선택하거나, 시청자가 방송수신단말(100)에 직접 관심분야의 키워드를 입력하는 등의 방식으로, 시청자의 관심분야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아, 보다 효율적으로 분류되어 제공된다.
즉, 방송수신단말(100)은 스마트폰, 리모콘 등의 기기를 통하여 시청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데, 이러한 시청자 입력 신호는 메뉴 중 기분류된 카테고리(예: 의류, 자동차, 전자기기, 화장품, 식품 등)에 대한 시청자의 선택 신호(예: 자동차 카테고리에 대한 클릭 신호)이거나, 입력창(텍스트를 입력하는 창)을 통한 사용자의 키워드 입력(키보드 등을 이용한 문자 입력 또는 시청자의 발화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전환하는 음성 인식)이다.
이를 통하여 시청자의 관심 분야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며, 광고 콘텐츠는 이에 따라 시청자의 관심 분야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분류 및 제공된다.
즉, 일례로 방송수신단말(100)을 통하여 입력된 이와 같은 시청자의 관심 분야에 대한 정보는 광고 서버(200)로 전송되어, 광고 서버(200)는 이러한 피드백을 통하여 해당 시청자가 관심 있어하는 광고 콘텐츠를 분류 및 제공함으로써, 시청자의 광고에 대한 만족도가 올라가고 광고 효과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예는 시청자가 본인의 관심 분야에 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이라면, 추가적인 실시예로 방송수신단말(100)은 시청자에게 다른 시청자들이 관심 있어하는 분야 또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부수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시청자의 광고 선택 비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일례로 자동차를 관심 분야로 등록한 사용자 A에게 캠핑을 관심 분야로 등록한 사용자 B의 관심 분야에 대한 정보를 부수적으로 제공하면, 사용자 A는 캠핑에 관한 광고 콘텐츠 정보 또는 키워드 정보를 부수적으로 제공받게 된다.
이 때, 시청자 A에게 부수적으로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 그 자체 또는 광고 콘텐츠 목록은, 시청자 A가 관심 분야로 등록한 분야(예: 차량)와 연관성이 있다고 기분류된 타인의 관심 분야(예: 캠핑)에 따른 광고 콘텐츠 정보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시청자가 입력한 관심 분야와 관련도가 적은 광고 콘텐츠의 경우에도, 많은 시청자들이 선택하고 관심 있어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 콘텐츠의 경우(예: 여름을 앞둔 에어컨 광고, 겨울을 앞둔 보일러 광고), 실시간 인기 광고 콘텐츠의 메뉴를 통하여 시청자에게 부수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시청자는 광고 시간 대에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본인에게 최적화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실시간 인기 검색어와 같이 타인이 많은 관심을 가지는 인기 광고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부수적으로 제공 받게 되어, 광고선택 비율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단말(100)은 설정된 광고 시청 선택 모드에 따라, 방송망을 통한 광고 시청 모드의 경우에는 방송 프로그램 사이에 방영되는 방송 광고를 그대로 표출하고, 사용자 맞춤형 광고 시청 모드의 경우에는 방송 프로그램 사이의 광고 시간 대에 방송망을 통한 방송 광고의 제공을 차단하고, 광고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를 표출하도록 제어한다.
즉, 기존의 방식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 사이에 스케줄링되어 사용자 별로 그 제공의 변경의 여지가 없이 획일적으로 방송 광고가 제공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한 광고 시청 선택 모드(방송망을 통한 광고 시청 모드, 사용자 맞춤형 광고 모드)에 따라 광고를 제공하게 된다.
사용자 맞춤형 광고 모드의 경우, 방송수신단말(100)은 광고 콘텐츠의 제공에 앞서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를 인지하여야 할 것인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수신단말(100)은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에 포함되는 구분자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및 시작을 인지하고, 광고 콘텐츠를 표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분자는 데이터통신망을 통하여 기존 방송 시스템과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경우 광고 서버(200)는 외부로부터 방송프로그램의 종료와 시작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이를 방송수신단말(100)에 제공하고, 방송수신단말(100)은 이러한 구분자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및 시작을 인지하고 설정된 모드에 따라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구분자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을 인지하는 것은, TV를 시청하는 시청자가 광고 콘텐츠의 시청에 따라 후속 방송 프로그램 시청에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광고 콘텐츠에 대한 시청 여부에 대한 선택권을 시청자에게 주기 위함이다.
즉, 방송수신단말(100)은 후속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이 인지된 경우 이를 알림 메시지(예: "후속 방송 프로그램인 9시 뉴스의 시작이 30초 남았습니다"라는 메시지)로 알리고, 광고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시청이 요청되는 경우에는 후속 방송 프로그램의 표출을 보류한다.
반면, 이러한 알림 메시지에 대하여 별도의 지속적인 시청 요청이 없는 경우, 방송수신단말(100)은 현재 제공 중인 광고 콘텐츠의 표출을 중단하고, 후속 방송 프로그램을 표출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프로그램의 편성에 따라 제1 방송 프로그램(뉴스)이 종료되고 제2 방송 프로그램(영화)이 시작되는 경우에 따른 것으로, 이하에서는 단일 방송 프로그램이 그 방영 사이 사이에 광고 시간대를 두고 분할되어 방송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는 케이블 방송에서의 드라마 방영과 같이, 기설정된 시간 간격 사이에 광고 시간대가 편성되는 경우 및 야구 중계와 같이 랜덤한 광고 시간대가 편성되는 경우 모두를 포괄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구분자는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으로, 단일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 사이에 발생하는 광고 시간대의 시작 및 종료를 알리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분자는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고, 방송수신단말(100)이 데이터통신망을 통하여 기존 방송 시스템과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수신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예컨대, 방송 프로그램이 프로야구 경기의 생중계인 경우(3시간 짜리 방송 프로그램 편성), 이닝의 종료 또는 공수 전환 시 광고 시간대가 편성된다.
방송수신단말(100)은 광고 시간이 시작되는 시점 및 종료되는 시점을 구분자를 이용하여 인식한다.
사용자 맞춤형 광고 모드의 경우, 방송수신단말(100)은 구분자를 이용하여 광고 시간이 시작되는 시점을 인지하고, 광고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콘텐츠를 표출한다.
또한, 방송수신단말(100)은 광고 시간이 종료되는 시점(방송 프로그램이 재개되는 시점)을 인지한 경우, 특별한 알림 메시지 없이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을 재개하거나, 방송 프로그램 방영의 재개를 알림 메시지(예: "현재 시청 중인 '프로야구 생중계, LG 대 두산' 프로그램 방영의 재개가 30초 남았습니다."라는 메시지, 또는 프로그램 방영의 재개까지 남은 시간을 알리는 카운트다운 시계가 디스플레이되는 메시지)로 알리고, 광고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시청이 요청되는 경우에는 방송 프로그램의 표출을 보류하고, 별도의 지속적인 시청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 재개와 동시에 광고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하고, 방송 프로그램을 표출한다.
방송수신단말(100)은 채널 변경에 따라 채널 별로 스케줄링된 상기 광고 콘텐츠를 변경하여 제공한다.
일례로, 방송 채널 역시 뉴스, 영화, 스포츠, 뷰티 채널로 세분화되어 있는 바, 사용자의 관심도를 판단한 결과가 스포츠 용품, 화장품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TV 채널이 스포츠, 뷰티로 변경됨에 따라 기설정된 스포츠 용품(예: 등산용품) 또는 화장품(예: 안티에이징 제품)에 대한 광고 콘텐츠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시청자는 TV 채널은 변경을 하더라도 현재 시청 중인 광고 콘텐츠를 끝까지 보고 싶어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방송수신단말(100)은 채널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에도 현재 시청 중인 광고 콘텐츠의 제공이 완료될 때까지 채널의 변경을 보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단말(100)은 광고 콘텐츠에 대한 시청 완료 여부를 기록하여, 연작 콘텐츠인 광고 콘텐츠에 대한 후속편 제공의 여부를 결정한다.
즉, 30초씩 6부작으로 제작된 3분짜리 광고 콘텐츠를 가정하면, 시청자가 1편에서 2편까지 시청을 완료한 것으로 기록되는 경우(예: 연작 광고 콘텐츠의 2편까지 제공함에 있어서 시청자가 채널을 변경하지 않았다면 시청을 완료한 것으로 기록함), 방송수신단말(100)은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를 인지하면 해당 광고 콘텐츠의 3편을 표출함으로써, 드라마 형태의 긴 광고를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단말(100)은 시청자의 고유 정보(나이, 거주지역, 성별) 및 시청 패턴(선호 채널, 광고 콘텐츠를 끝까지 시청한 케이스)를 파악하여, 시청자의 관심도가 높은 상품에 대한 광고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선별하여 제공할 뿐 아니라, 광고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의 반응을 피드백 정보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개인화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증대하고 시청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2를 참조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송출시간표 및 그에 따른 광고 콘텐츠 제공을 설명하기로 한다.
방송 프로그램의 송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시 정각에서 10시30분00초(뉴스), 10시33분00초에서 10시33분30초(주말연속극 너를 사랑한 시간 타이틀), 10시36분00초에서 11시30분00초(주말연속극 너를 사랑한 시간 제7화)이다.
방송 프로그램 사이의 광고 시간대는 10시30분00초에서 10시33분00초(뉴스광고 시간대), 10시33분30초에서 10시36분00초(연속극 시작 전 광고 시간대), 11시30분00초에서 11시33분00초(연속극 종료 후 광고 시간대)이다.
연속극 시작 전 광고 시간대는 30초짜리 광고 5개(방송망을 통하여 제공되기로 스케줄링된 전광고 1 내지 전광고 5), 연속극 종료 후 광고 시간대는 30초짜리 광고 6개(방송망을 통하여 제공되기로 스케줄링된 후광고 1 내지 후광고 6)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단말(100)은 시간대 별로 광고 시청 모드(방송망을 통한 광고 시청 모드 및 사용자 맞춤형 광고 모드)가 설정되거나, 해당 광고 시간대 내에서도 시청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일례로, 뉴스광고 시간대의 광고 시청 모드가 방송망을 통한 광고 시청 모드인 경우, 방송수신단말(100)은 방송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방송 광고를 그대로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연속극 시작 전 광고 시간대의 광고 시청모드가 사용자 맞춤형 광고 모드인 경우, 방송수신단말(100)은 방송망을 통한 방송 광고 수신을 완전히 차단하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광고 서버(200)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또한, 연속극 종료 후 광고 시간대에서 광고 시청 모드가 전환되는 예(사용자 맞춤형 광고 모드에서 방송망을 통한 광고 시청모드로 전환되는 예)를 설명하면, 방송수신단말(100)은 11시30분00초에서 11시31분30초까지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모드로 설정되어, 광고 서버(200)로부터 광고 a, 광고 b, 광고 c를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이어서, 방송수신단말(100)은 11시31분30초에서 11시33분00초까지는 방송망을 통한 광고 시청모드로 전환되어, 이전 시간 대의 방송망 차단을 해제하고, 방송망을 통하여 방송 광고(후광고 4, 후광고 5, 후광고 6)를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즉, 방송수신단말(100)은 광고 시청 모드의 전환에 따라 방송망을 통하여 방송사와 연결되어 방송 광고를 제공하거나, 방송망을 차단하는 경우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광고 서버(200)와 연결되어 광고 콘텐츠를 시청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기호에 맞춘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를 인식하는 단계(S100) 및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에 따라 부가되는 방송 광고 및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별도 스케줄링된 광고 콘텐츠를 광고 시청 모드에 따라 표출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S100 단계는 방송사(30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를 인지하는 단계로,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에 포함되는 구분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라 함은 제1 방송 프로그램(예: 뉴스)의 종료에 따라 제2 방송 프로그램(예: 드라마)이 후속 편성 프로그램으로서 방영됨을 뜻하는 종료의 의미 뿐 아니라, 단일 방송 프로그램이 그 방영 사이 사이에 광고 시간대를 두고 분할 방영되는 경우, 해당 단일 방송 프로그램의 송출이 일시적으로 정지됨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S200 단계는 광고 콘텐츠를 표출함에 있어, 시청 정보(사용자 고유 정보, 시청 패턴 정보, 구매 내역 정보, 광고 시청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선별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받아 표출한다.
S200 단계는 설정된 광고 시청 선택 모드(전술한 방송망을 통한 광고 시청 모드 또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모드)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에 기본적으로 부가되어 있는 방송 광고를 그대로 표출하거나,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및 후속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사이에 광고 서버(200)로부터 제공 받은 광고 콘텐츠를 표출한다.
S200 단계는 후속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이 인지된 경우에도, 시청자로부터 광고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시청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후속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을 보류하고, 광고 콘텐츠의 표출을 지속시킨다.
또한, S200 단계는 광고 콘텐츠를 표출함에 있어서 채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채널 별로 스케줄링된 광고 콘텐츠를 변경하여 표출한다.
이때, S200 단계는 광고 콘텐츠를 표출하는 중 채널 변경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시청 중인 광고 콘텐츠의 제공이 완료될 때까지 채널의 변경을 보류한다.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가 연작 콘텐츠(예: 30초짜리 6부작으로 구성된 3분짜리 광고)인 경우, S200 단계는 해당 연작 광고 콘텐츠에 대한 시청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후속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200 단계 이후, 표출된 광고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상세 정보를 표출하고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S300 단계를 통하여 시청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상세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고, 이에 대하여 구매를 원하는 경우 별도의 결제 서버와 연결하여 상품의 구매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방송수신단말 110: 방송수신부
120: 데이터통신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제어부 150: 사용자인터페이스부
200: 광고 서버 300: 방송사

Claims (24)

  1.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 및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시점을 인지하고, 광고 시청 모드에 따라 방송사로부터 방송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방송 광고 및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데이터통신망을 통하여 제공 받은 광고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방송 광고 시간 대에 표출하는 방송수신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수신단말은 설정된 광고 시청 선택 모드에 따라, 방송망을 통한 광고 시청 모드의 경우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광고를 그대로 표출하고, 사용자 맞춤형 광고 시청 모드의 경우 상기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방송 프로그램 사이의 광고 시간 대에 표출하며,
    광고 시청 선택 모드에 따라, 광고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시청이 요청되는 경우 후속 방송 프로그램의 표출을 보류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를 계속 표출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의 지속적인 시청에 대한 별도 요청이 없는 경우 현재 제공 중인 광고 콘텐츠의 표출을 중단하고 후속 방송 프로그램을 표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는 시청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에 해당되는 광고 콘텐츠를 선별하고, 선별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방송수신단말로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것
    인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정보는 시청자의 고유 정보, 상기 시청자의 시청 패턴 정보 및 상기 방송수신단말을 통하여 시청자로부터 입력 받은 관심 분야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시청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시청자의 관심도가 높은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것
    인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수신단말은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외부로부터 독립적으로 수신한 구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및 시작을 인지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를 표출하는 것
    인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수신단말은 후속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이 인지되거나, 현재 방영 중인 방송 프로그램이 해당 광고 시간 대를 지나 그 방송이 재개되는 것을 인지한 경우, 이를 알림 메시지로 알리는 것
    인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수신단말은 채널 변경에 따라 채널 별로 스케줄링된 상기 광고 콘텐츠를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
    인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수신단말은 채널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현재 시청 중인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공이 완료될 때까지 채널의 변경을 보류하는 것
    인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콘텐츠에 대한 시청 완료 여부가 기록되어, 연작 콘텐츠인 상기 광고 콘텐츠에 대한 후속편 제공의 여부가 결정되는 것
    인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방송사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수신부;
    광고 서버와 연결되어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는 데이터통신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를 인지함에 따라, 방송사로부터 방송망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광고 및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를 광고 시청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동되어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공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 방송 광고 및 광고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 시청 모드에 따라 상기 방송망을 통한 광고 시청 모드의 경우 방송사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광고를 그대로 표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맞춤형 광고 시청 모드의 경우 상기 방송 광고의 제공을 차단하고 상기 데이터통신망을 통한 광고 콘텐츠의 제공으로 전환하며, 상기 광고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시청이 요청되는 경우 후속 방송 프로그램의 표출을 보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맞춤형 광고 시청 모드의 경우, 상기 광고 서버가 시청자의 고유 정보, 시청자의 시청 패턴 정보 및 시청자로부터 입력 받은 관심 분야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청 정보를 활용하여 선별한, 시청자의 관심도가 높은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제공 받아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공을 제어하는 것
    인 방송수신단말.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후속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이 인지되거나, 현재 방영 중인 방송 프로그램이 해당 광고 시간 대를 지나 그 방송이 재개되는 것을 인지한 경우, 이를 알림 메시지로 알리고, 채널 변경에 따라 채널 별로 스케줄링된 상기 광고 콘텐츠를 변경하여 제공하되, 채널 변경 보류 요청이 있는 경우 현재 시청 중인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공이 완료될 때까지 채널의 변경을 보류하는 것
    인 방송 수신 단말.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되는 상품 소개 페이지의 이동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것
    인 방송 수신 단말.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되는 구매 프로세스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것
    인 방송 수신 단말.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PIP 방식으로 복수의 제품 광고를 포함하는 상기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품 광고 중 어느 하나의 광고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광고의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
    인 방송 수신 단말.
KR1020150130920A 2015-09-16 2015-09-16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56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920A KR101756220B1 (ko) 2015-09-16 2015-09-16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920A KR101756220B1 (ko) 2015-09-16 2015-09-16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071A KR20170033071A (ko) 2017-03-24
KR101756220B1 true KR101756220B1 (ko) 2017-07-26

Family

ID=5850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920A KR101756220B1 (ko) 2015-09-16 2015-09-16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2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612A1 (ko) * 2020-06-24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20028499A (ko) * 2020-08-28 2022-03-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포츠채널의 개인 맞춤형 광고 노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포츠채널의 개인 맞춤형 광고 노출 방법
US11546671B2 (en) 2017-11-21 2023-01-03 Kt Corporation Providing promotion channel
KR102559946B1 (ko) 2023-03-20 2023-07-26 그린브릭스컴퍼니 주식회사 빅데이터 기반 시간별 광고 정보 표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255A (ko) 2017-11-06 201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1016255A1 (en) * 2019-07-22 2021-01-28 The Nielsen Company (Us), Llc Content-modification system with broadcast schedule utilization feature
KR20210090972A (ko) * 2020-01-13 2021-07-21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개인화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
WO2021221213A1 (ko) * 2020-04-29 202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2764A (ja) * 2004-03-05 2005-09-15 Orion Denki Kk 視聴予約機能を備えた放送受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2764A (ja) * 2004-03-05 2005-09-15 Orion Denki Kk 視聴予約機能を備えた放送受信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6671B2 (en) 2017-11-21 2023-01-03 Kt Corporation Providing promotion channel
WO2021261612A1 (ko) * 2020-06-24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20028499A (ko) * 2020-08-28 2022-03-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포츠채널의 개인 맞춤형 광고 노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포츠채널의 개인 맞춤형 광고 노출 방법
KR102435990B1 (ko) * 2020-08-28 2022-08-2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포츠채널의 개인 맞춤형 광고 노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포츠채널의 개인 맞춤형 광고 노출 방법
KR102559946B1 (ko) 2023-03-20 2023-07-26 그린브릭스컴퍼니 주식회사 빅데이터 기반 시간별 광고 정보 표출 시스템
KR102574847B1 (ko) 2023-03-20 2023-09-06 그린브릭스컴퍼니 주식회사 메인 배너광고 데이터 제공 시스템
KR102574852B1 (ko) 2023-03-20 2023-09-06 그린브릭스컴퍼니 주식회사 광고 데이터 수집 및 검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071A (ko)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220B1 (ko) 방송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U2013378211B2 (en)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9435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personalized television program recommendation to viewers
US201301671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ustom movie lists
JP4436138B2 (ja) 個人向けコマーシャルチャネルを生成する方法及び装置
EP2357744A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dvertisements for output by a television receiver
US20080263581A1 (en) Recorded commercial optimization method and system
KR101906487B1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298978B2 (en) Interest prediction
JP2011155695A (ja) サーチ結果を提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3531511A5 (ko)
JP4742952B2 (ja) 受信機、およびプログラム
JP5462200B2 (ja) 番組表配信装置、番組配信装置、番組表受信端末、番組表送受信システム、番組表配信方法、番組表受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1683564B2 (en) Network-connected television devices with knowledge-based media content recommendations and unified user interfaces
JP2009514315A (ja) Mhpアプリケーションによるカスタム化コマーシャル
US2019034964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gram channel status information and/or for controlling channel switching
KR101646217B1 (ko) 사용자 시청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광고 적시 제공 방법
US20210289261A1 (en) Mixing of Media Content Items for Display on a Focus Area of A Network-Connected Television Device
JP2003179822A (ja) 個人化無線テレビ番組編成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無線ハンドヘルド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TWI659646B (zh) 顯示裝置、電視接收機、顯示控制方法、控制裝置、控制方法以及記錄媒體
WO2007073078A1 (en) Interactive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vision of interactive advertisement using the same
US11973998B2 (en) Media content casting in network-connected television devices
US20190045245A1 (en) Video display system
US200401117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a content
KR101754735B1 (ko) 텔레비전 광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