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991B1 -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991B1
KR101755991B1 KR1020160027763A KR20160027763A KR101755991B1 KR 101755991 B1 KR101755991 B1 KR 101755991B1 KR 1020160027763 A KR1020160027763 A KR 1020160027763A KR 20160027763 A KR20160027763 A KR 20160027763A KR 101755991 B1 KR101755991 B1 KR 101755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button
correction value
inclination angle
vehicl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우
이승호
박대로
박지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7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39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 F16H2059/0243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with push buttons, e.g. shift buttons arranged on steering wheel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속 및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P단 버튼의 작동시간 및 눌림양에 변화를 주고, 변화된 P단 버튼의 작동시간 및 눌림양을 만족해야만 변속단이 D단 또는 R단에서 N단으로 변속이 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변속단이 D단 또는 R단에서 N단으로 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HIFT OF BUTTON TYPE ELECTRONIC SHIFT LEVER SYSTEM}
본 발명은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 중 P단 버튼이 작동된 경우 차속과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P단 버튼의 작동시간 및 눌림양을 고려해서 변속단의 변경을 제어하도록 된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은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변속 범위 안에서 유압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목표 변속단 레인지의 변속기어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자동변속기는 변속을 수행하기 위해서 유압회로, 유성기어 및 마찰요소들을 사용하여 기어비를 만들어내며, 이러한 구성부품들의 제어는 변속제어기(Transmission Control Unit; TCU)에서 담당한다.
차량용 전자식 변속시스템인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 By Wire, 이하 SBW라 한다) 시스템은 기존의 기계식 변속시스템과는 달리 변속기와 변속레버간에 케이블과 같은 기계적인 연결구조가 없는 전자식 변속시스템으로, 전자식 변속레버 또는 변속버튼의 조작시 발생된 센서값이 변속제어기(TCU)에 전달되면, TCU에서 명령된 전자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또는 전기모터가 동작하고, 솔레노이드 또는 전기모터의 동작에 의해 각 변속단별 유압회로에 유압이 인가되거나 차단됨으로써, 전자적으로 변속 제어가 수행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SBW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변속기는 전자식 변속레버 또는 변속버튼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운전자의 변속의지를 TCU에 전기신호로 전달함으로써 전진(D) 및 후진(R), 중립(N) 및 파킹(P) 레인지 등으로의 변속조작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되는 장점이 있고, 또한 변속레버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자식 변속시스템에서 변속조작을 레버로 행하는 레버 타입은 변속레버의 조작방식이 기계식의 변속레버와 유사하여 기계식 대비 큰 장점이 없고, 콘솔을 차지하는 공간이 여전히 커서 컵홀더 등과 같은 주변부품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돌출된 레버에 의해 사고 발생시 승객의 신체가 접촉함에 따라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변속조작을 버튼으로 행하는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은 레버 타입에 비해 변속조작이 용이하고, 콘솔 이외의 다른 위치로 설치위치(센타페시아)의 변경이 가능함에 따라 콘솔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사고 발생시 승객의 신체와의 접촉을 없앨 수 있어서 승객의 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은 일정 차속 이상으로 주행 중에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발생하면, TCU의 제어에 의해 자동변속기의 변속단은 D단에서 N단으로 변속이 된다.
즉, 차량이 일정 차속 이상으로 주행하는 과정에서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운전자의 가속의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D단 또는 R단 이외의 다른 변속단으로 변속이 진행되는데, 이때 변속버튼의 입력신호대로 P단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면 변속기의 변속기구 및 파킹 액추에이터 등의 작동기구가 손상될 우려가 있고, 특히 차량이 급감속하거나 또는 급정지를 하게 됨에 따라 승객이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는 바, 이를 예방하기 위해 D단 또는 R단에서 N단으로 변속이 진행되는 것이다.
그런데, 고속 주행 중에 운전자가 P단 버튼을 오조작하거나 또는 물건이 떨어져서 P단 버튼이 작동되는 경우, 운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변속단이 D단 또는 R단에서 N단으로 바로 변속됨에 따라 운전자가 당황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경사도가 심한 등판로를 주행할 때에 운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변속단이 D단 또는 R단에서 N단으로 바로 변속되면, 차량의 후방 밀림에 의해 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0-0123150호
본 발명은, 차속 및 경사도에 따라 P단 버튼의 작동시간 및 눌림양에 변화를 주고, 변화된 P단 버튼의 작동시간 및 눌림양을 만족해야만 변속단이 D단 또는 R단에서 N단으로 변속이 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변속단이 D단에서 N단으로 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은, 주행 상태에서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차속정보를 기초로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에 대한 1차 결과값(M1)을 산출하는 단계; 차속이 기준차속 이상인 경우 도로의 경사각 정보를 추가로 이용해서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에 대한 2차 결과값(M2)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1차 결과값 및 2차 결과값에 기인하여 P단 버튼의 누름시간과 누름양의 만족여부에 따라 현재의 변속단을 N단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현재의 변속단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결과값(M1)은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과 누름양이 기준 시간 및 기준 양으로 특정된 기준값(A)이거나 또는 기준값(A)보다 증가된 1차 보정값(B)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행 상태에서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발생하고 차속이 기준차속 이하인 경우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은 기준값(A)으로 유지되고; 차속이 기준차속 이상인 경우에는 1차 보정값(B)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보정값(B)은 차속이 기준차속 이상인 상황에서 계속 증가하는 경우 차속의 증가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기준값(A)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기준값(A)을 만족하면 현재의 변속단은 N단으로 변속이 진행되고, 기준값(A)을 만족하지 못하면 현재의 변속단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결과값(M2)은 도로의 경사각 정보에 따라 1차 보정값(B)이 되거나 또는 1차 보정값(B)보다 증가된 2차 보정값(C)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보정값(B)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도로의 경사각이 기준경사각 이하인 경우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은 1차 보정값(B)으로 유지되고; 도로의 경사각이 기준경사각 이상인 경우에는 1차 보정값(B)보다 증가된 2차 보정값(C)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보정값(C)은 도로의 경사각이 기준경사각 이상인 상황에서 계속 증가하는 경우 경사각의 증가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1차 보정값(B)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1차 보정값(B)을 만족하면 현재의 변속단은 N단으로 변속이 진행되고, 1차 보정값(B)을 만족하지 못하면 현재의 변속단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2차 보정값(C)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2차 보정값(C)을 만족하면 현재의 변속단은 N단으로 변속이 진행되고, 2차 보정값(C)을 만족하지 못하면 현재의 변속단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행 상태는 D단 또는 R단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 상태이고; 상기 D단 또는 R단의 변속단 상태에서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현재의 변속단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속 및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P단 버튼의 작동시간 및 눌림양에 변화를 주고, 변화된 P단 버튼의 작동시간 및 눌림양을 만족해야만 변속단이 D단 또는 R단에서 N단으로 변속이 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변속단이 D단 또는 R단에서 N단으로 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차속정보를 기초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에 대한 1차 결과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차속정보에 도로의 경사각 정보를 추가로 이용해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에 대한 2차 결과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차량용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버튼(1)의 조작시 발생된 신호값이 TCU(2)에 전달되면, TCU(2)에서 명령된 전자신호에 의해 액추에이터(3)가 동작하고, 액추에이터(3)의 동작에 의해 자동변속기에 구비된 변속기구(4)가 동작함에 따라 전자적으로 변속 제어가 수행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변속버튼(1)은 P단 버튼, R단 버튼, N단 버튼, D단 버튼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액추에이터(3)는 솔레노이드 또는 전기모터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에서 변속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를 위해 차속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차속센서(5) 및 도로의 경사각을 검출하기 위한 경사각센서(6)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사각센서(6)로는 G센서(Gravity Sensor) 또는 요레이트센서(Yaw Rate Sensor)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종G센서 또는 종요레이트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이 주행 상태에서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이때 TCU(2)는 차속센서(5) 및 경사각센서(6)로부터 검출된 차속정보와 도로의 경사각정보를 추가로 전달받아서 현재의 변속단을 N단으로 변경할 것이지 또는 현재의 변속단으로 유지할 것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액추에이터(3)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인 것이다.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은 일정 차속 이상으로 주행 중에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발생하면, TCU의 제어에 의해 자동변속기의 변속단은 D단 또는 R단에서 N단으로 변속이 된다.
즉, 차량이 일정 차속 이상으로 주행하는 과정에서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운전자의 가속의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D단 또는 R단 이외의 다른 변속단으로 변속이 진행되는데, 이때 변속버튼의 입력신호대로 P단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면 변속기의 변속기구 및 파킹 액추에이터 등의 작동기구가 손상될 우려가 있고, 특히 차량이 급감속하거나 또는 급정지를 하게 됨에 따라 승객이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는 바, 이를 예방하기 위해 D단 또는 R단에서 N단으로 변속이 진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주행 중인 상태에서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차속정보를 기초로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t) 및 누름양(mm)에 대한 1차 결과값(M1)을 산출하는 단계; 차속이 기준차속 이상인 경우 도로의 경사각 정보를 추가로 이용해서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에 대한 2차 결과값(M2)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1차 결과값 및 2차 결과값에 기인하여 P단 버튼의 누름시간과 누름양의 만족여부에 따라 현재의 변속단을 N단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현재의 변속단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차 결과값(M1)은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과 누름양이 기준 시간 및 기준 양으로 특정된 기준값(A)이거나 또는 기준값(A)보다 증가된 1차 보정값(B)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시간(t)은 P단 버튼이 지속적으로 눌려진 시간의 총 합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누름양은 P단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초기 상태를 기준으로 눌려졌을 때 P단 버튼이 이동한 거리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기준값(A)과 1차 보정값(B) 및 후술하는 2차 보정값(C)들은 튜닝이 가능한 설계인자로 특정된 시간 및 특정된 거리로서 일률적으로 정의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주행 상태에서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발생하고 차속이 기준차속 이하인 경우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은 기준값(A)으로 유지되고, 차속이 기준차속 이상인 경우에는 1차 보정값(B)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차속은 20Km/h를 기준으로 정하거나 또는 다른 속도를 기준속도로 정할 수 있다.
여기서, 1차 보정값(B)은 차속이 기준차속 이상인 상황에서 계속 증가하는 경우 차속의 증가에 따라 함께 증가되는 특성을 갖는다.
1차 보정값(B)이 증가한다는 의미는 P단 버튼의 누름시간과 누름양이 동시에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기준값(A)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기준값(A)을 만족하면 현재의 변속단은 N단으로 변속이 진행되고, 기준값(A)을 만족하지 못하면 현재의 변속단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 결과값(M2)은 도로의 경사각 정보에 따라 1차 보정값(B)이 되거나 또는 1차 보정값(B)보다 증가된 2차 보정값(C)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각 정보는 도로가 평지인 상태를 기준으로 오르막 또는 내리막의 경사각을 백분율(%)로서 환산한 정보이다
상기와 같이 1차 보정값(B)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도로의 경사각이 기준경사각 이하인 경우에는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은 1차 보정값(B)으로 유지되고, 도로의 경사각이 기준경사각 이상인 경우에는 1차 보정값(B)보다 증가된 2차 보정값(C)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2차 보정값(C)은 도로의 경사각이 기준경사각 이상인 상황에서 계속 증가하는 경우 경사각의 증가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것을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1차 보정값(B)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1차 보정값(B)을 만족하면 현재의 변속단은 N단으로 변속이 진행되고, 1차 보정값(B)을 만족하지 못하면 현재의 변속단으로 유지된다.
또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2차 보정값(C)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2차 보정값(C)을 만족하면 현재의 변속단은 N단으로 변속이 진행되고, 2차 보정값(C)을 만족하지 못하면 현재의 변속단으로 유지된다.
한편, 차량의 주행 상태는 D단 또는 R단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 상태이고, 상기 D단 또는 R단의 변속단 상태에서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현재의 변속단을 유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차량의 현재 변속단이 D단 또는 R단인지를 판단하고(단계 S1), D단 또는 R단인 상황으로 주행중에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2),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이면 TCU(2)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변속단은 현재의 변속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고(단계 S3),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발생한 상황이면 차속정보를 이용해서 현재의 차속이 기준차속 이상인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4)
상기 단계 S4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의 차속이 기준차속 이하로 판별되면,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은 특정된 기준값(A)으로 유지되고(단계 S5), 이때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기준값(A)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서(단계 S6),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기준값(A)을 만족한 상황으로 판별되면 현재의 변속단은 N단으로 변속이 진행되고(단계 S7), 반대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기준값(A)을 만족하지 못한 상황으로 판별되면 현재의 변속단으로 유지된다.(단계 S3)
즉, 현재 차속이 기준차속 이하이면 차량이 아주 느리게 주행하는 상황으로, 이때에는 D단 또는 R단에서 N단으로 변속을 진행해도 차속에 따른 사고발생의 우려가 낮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P단 버튼의 누름시간을 짧게 설정하고 동시에 누름양도 짧은 거리로 설정해서 기준값(A)을 정하면 변속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기준값(A)을 만족하지 못한 상황이라면 현재의 변속단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데, 이는 운전자가 P단 버튼을 오조작하거나 또는 물건이 떨어져서 P단 버튼이 작동되는 경우라 할 수 있고, 이때에 운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변속단이 D단 또는 R단에서 N단으로 변속이 되면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바, 본 발명은 운전자의 오조작 또는 물건에 의한 변속진행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서 불의의 사고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계 S4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의 차속이 기준차속 이상으로 판별되면,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은 1차 보정값(B)으로 변경이 되는데(단계 S8), 상기 1차 보정값(B)은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기준값(A)보다 증가된 값이 된다.
상기와 같이 현재 차속이 기준차속 이상인 상황 즉 고속 주행중인 상황에서는 D단 또는 R단에서 N단으로 변속이 진행될 때에 급격하게 변속단이 바뀌게 되면, 차량이 급감속하거나 또는 급정지를 하게 됨에 따라 승객이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게 되는 바,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예방하기 위해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을 기준값(A)보다 증가된 1차 보정값(B)으로 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차속이 기준차속 이상인 상황에서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기준값(A)보다 증가된 1차 보정값(B)으로 설정되면, 운전자의 오조작 또는 물건에 의한 N단 변속진행의 예방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1차 보정값(B)으로 변경된 후에는 도로의 경삭가정보를 이용해서 현재 주행중인 도로의 경사각이 기준경사각이 기준경사각인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9)
상기 단계 S9에서의 판단 결과 도로의 경사각이 기준경사각 이하로 판별되면,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은 1차 보정값(B)으로 유지되고(단계 S10), 이때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1차 보정값(B)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서(단계 S11), 만족하면 현재의 변속단은 N단으로 변속이 진행되고(단계 S7), 반대로 만족하지 못하면 현재의 변속단으로 유지된다.(단계 S3)
또한, 상기 단계 S9에서의 판단 결과 도로의 경사각이 기준경사각 이상으로 판별되면,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은 1차 보정값(B)보다 증가된 2차 보정값(C)으로 변경되고(단계 S12), 이때에도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2차 보정값(C)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바(단계 S13), 만족하게 되면 현재의 변속단은 N단으로 변속이 진행되고(단계 S7), 반대로 만족하지 못하면 현재의 변속단으로 유지된다.(단계 S3)
상기와 같이 현재 차속이 기준차속 이상인 상황이고 또한 도로의 경사각이 기준경사각 이상인 상황에서 운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변속단이 D단 또는 R단에서 N단으로 바로 변속이 되면, 차량의 후방 또는 전방 밀림에 의해 불의의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한 차량이 급감속하거나 또는 급정지를 하게 됨에 따라 승객이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게 되는 바, 따라서 본 발명은 경사로의 밀림에 의한 사고 또는 승객의 상해를 예방하기 위해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을 1차 보정값(B)보다 증가된 2차 보정값(C)으로 한 것이다.
또한, 차속이 기준차속 이상인 상황이면서 도로의 경사각이 기준경사각 이상인 상황에서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1차 보정값(B)보다 증가된 2차 보정값(C)으로 설정되면, 운전자의 오조작 또는 물건에 의한 N단 변속진행의 예방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차속 및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P단 버튼의 작동시간 및 눌림양에 변화를 주고, 변화된 P단 버튼의 작동시간 및 눌림양을 만족해야만 변속단이 D단 또는 R단에서 N단으로 변속이 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변속단이 D단 또는 R단에서 N단으로 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변속버튼 2 - 변속제어기(TCU)
3 - 액추에이터 4 - 자동변속기 변속기구
5 - 차속센서 6 - 경사각센서

Claims (11)

  1. 주행 상태에서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차속정보를 기초로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에 대한 1차 결과값(M1)을 산출하는 단계;
    차속이 기준차속 이상인 경우 도로의 경사각 정보를 추가로 이용해서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에 대한 2차 결과값(M2)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1차 결과값 및 2차 결과값에 기인하여 P단 버튼의 누름시간과 누름양의 만족여부에 따라 현재의 변속단을 N단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현재의 변속단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결과값(M1)은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과 누름양이 기준 시간 및 기준 양으로 특정된 기준값(A)이거나 또는 기준값(A)보다 증가된 1차 보정값(B)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주행 상태에서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발생하고 차속이 기준차속 이하인 경우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은 기준값(A)으로 유지되고;
    차속이 기준차속 이상인 경우에는 1차 보정값(B)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1차 보정값(B)은 차속이 기준차속 이상인 상황에서 계속 증가하는 경우 차속의 증가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기준값(A)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기준값(A)을 만족하면 현재의 변속단은 N단으로 변속이 진행되고, 기준값(A)을 만족하지 못하면 현재의 변속단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2차 결과값(M2)은 도로의 경사각 정보에 따라 1차 보정값(B)이 되거나 또는 1차 보정값(B)보다 증가된 2차 보정값(C)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1차 보정값(B)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도로의 경사각이 기준경사각 이하인 경우 N단으로의 변경에 필요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은 1차 보정값(B)으로 유지되고;
    도로의 경사각이 기준경사각 이상인 경우에는 1차 보정값(B)보다 증가된 2차 보정값(C)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2차 보정값(C)은 도로의 경사각이 기준경사각 이상인 상황에서 계속 증가하는 경우 경사각의 증가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1차 보정값(B)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1차 보정값(B)을 만족하면 현재의 변속단은 N단으로 변속이 진행되고, 1차 보정값(B)을 만족하지 못하면 현재의 변속단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2차 보정값(C)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P단 버튼의 누름시간 및 누름양이 2차 보정값(C)을 만족하면 현재의 변속단은 N단으로 변속이 진행되고, 2차 보정값(C)을 만족하지 못하면 현재의 변속단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주행 상태는 D단 또는 R단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 상태이고;
    상기 D단 또는 R단의 변속단 상태에서 P단 버튼의 입력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현재의 변속단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KR1020160027763A 2016-03-08 2016-03-08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KR101755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763A KR101755991B1 (ko) 2016-03-08 2016-03-08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763A KR101755991B1 (ko) 2016-03-08 2016-03-08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991B1 true KR101755991B1 (ko) 2017-07-10

Family

ID=5935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763A KR101755991B1 (ko) 2016-03-08 2016-03-08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9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6113A (ja) 2011-04-01 2012-11-08 Tokai Rika Co Ltd シフト操作用スイッチ装置
WO2013183513A1 (ja) 2012-06-08 2013-1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6113A (ja) 2011-04-01 2012-11-08 Tokai Rika Co Ltd シフト操作用スイッチ装置
WO2013183513A1 (ja) 2012-06-08 2013-1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4186B1 (en) Gear-change system for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vehicle automatic gearbox
KR101575414B1 (ko) 차량의 변속 장치
KR101795181B1 (ko) 차량의 변속레버 오조작 방지 방법 및 시스템
JP4873503B2 (ja) 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制御方法
JP4281832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79622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al-mode shifting using voice commands in automobile transmissions
US8744701B2 (en) Method to control a motor vehicle power train
JP4312592B2 (ja) 車両の自動変速機用シフト装置
US20170299052A1 (en)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70145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in a vehicle
US8065063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shift-by-speech for semi-manual transmissions with intelligent shifting algorithm
JP2009203995A (ja) 自動変速機搭載車のシフトバイワイヤ故障時制御装置
KR101684102B1 (ko) 전자식 변속레버의 변속제어방법
US6692408B2 (en) Shift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1789576B1 (ko) 자동 변속기 및 그 유압 제어 방법
CN111868417B (zh) 无级变速器的控制装置以及控制方法
US7608014B2 (en) Deceleration control device for vehicle
RU2531787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трансмиссией
US20200116254A1 (en) Shifter abnormality diagnosis device and shifter abnormality diagnosis method
US7490527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gearbox
KR101755991B1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 제어방법
KR101459960B1 (ko) 차량의 변속레버 장치
KR20200002098A (ko) 전자식 변속시스템의 변속신호 송출방법
CN109203987B (zh) 车辆的控制装置
JP6164254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