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025B1 -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025B1
KR101755025B1 KR1020150069410A KR20150069410A KR101755025B1 KR 101755025 B1 KR101755025 B1 KR 101755025B1 KR 1020150069410 A KR1020150069410 A KR 1020150069410A KR 20150069410 A KR20150069410 A KR 20150069410A KR 101755025 B1 KR101755025 B1 KR 101755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sensor unit
fuselage
moving
mo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5925A (ko
Inventor
김홍전
Original Assignee
김홍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전 filed Critical 김홍전
Priority to KR1020150069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025B1/ko
Publication of KR20160135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에 있어서,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100) 및 상기 센서부(100)에 의한 감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침입자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보안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100)는 대상공간에 설치되어 대상공간 내측과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PIR 센서부(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110)와, 대상공간으로의 진입 움직임(IN count)과 대상공간으로부터의 진출 움직임(OUT count)을 감지하는 카운트 센서부(count sensor)(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 {Moving body sensing system for recognition direction of identifying right and left}
본 발명은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체의 진입과 진출을 감지하는 카운트 센서와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를 이용하여, 대상공간에 진입 및 진출하는 사용자의 방향을 정확히 판단하여 방향 인식 오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의 무단 침입을 신속하게 판단하여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운트 센서의 경우, 동체 이동의 최종 신호가 진입 움직임(IN count)인지 진출 움직임(OUT count)인지 구별하기 위하여, 마지막 동체의 진입, 진출 여부를 판단하여 리셋을 통한 카운팅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동체의 동작 패턴에 따라 잘못 인식하거나, 동체의 움직임에 대한 방향 인식의 문제점에 의한, 오류로 인해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과 공간 내의 동체의 유, 무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어 많은 불편함이 있다.
또한 카운트 센서를 통해 방범 기능을 수행할 경우, 방범 설정을 해제하지 않고 창문을 개방 시 동체의 움직임에 대한 방향 정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침입자고 오인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거나, 침입자가 아닌 단순 행인 또는 동물 등의 이동으로 인한 오류 감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는 PIR 센서를 이용하여 동체의 움직임에 대한 방향 정보를 먼저 획득한 후, 카운트 센서를 이용하여 진출 및 진입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여 대상공간으로의 동체의 수를 명확하게 인식함으로써, 동체의 움직임에 대한 방향 정보의 부재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10-1093215호("정확도가 개선된 인체감지장치")에서는 각각의 센서부들에 의해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인체의 이동방향이 확정 입실 및 퇴실인지, 미확정 입실 및 퇴실인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태를 다양하게 분류함으로써, 감지영역에서의 인간이 행할 수 있는 다양한 돌발행동까지 감지하여 재실인원수 산출 정확도 및 보정률이 우수한 정확도가 개선된 인체감지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093215호(등록일자 2011.12.0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체의 진입과 진출을 감지하는 카운트 센서와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를 이용하여, 대상공간에 진입 및 진출하는 사용자의 방향을 정확히 판단하여 방향 인식 오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의 무단 침입을 신속하게 판단하여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는,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에 있어서,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100) 및 상기 센서부(100)에 의한 감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침입자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보안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100)는 대상공간에 설치되어 대상공간 내측과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PIR 센서부(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110)와, 대상공간으로의 진입 움직임(IN count)과 대상공간으로부터의 진출 움직임(OUT count)을 감지하는 카운트 센서부(count sensor)(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PIR 센서부(110)는 하나의 PIR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공간 내측 감지 신호값과 대상공간 외측 감지 신호값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대상공간 내측과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복수의 PIR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고,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신부(300)에 의한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제어부(200)에서의 침입자 발생 판단 정보와 보안 설정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된 후, 상기 카운트 센서부(120)로부터 동체 감지된 후,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단순 동체 진입으로 판단하여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고, 보안 설정을 오프(OFF)하며,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움직임이 감지된 후, 상기 카운트 센서부(120)로부터 동체 감지된 후,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단순 동체 진출로 판단하여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고, 동체의 수가 0이 될 경우, 보안 설정을 온(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카운트 센서부(120)로부터 동체 감지되지 않고,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외측 또는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단순 동체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보안 설정을 기설정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후, 상기 카운트 센서부(120)로부터 동체 감지되고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침입자 발생 상태로 판단하여 보안 설정을 온(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제어부(200)는 동체의 수가 0이 된 후,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침입자 발생 상태로 판단하여 보안 설정을 온(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PIR 센서부(110)에서의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 또는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소정 시간 유지될 경우, 유효한 동체 움직임 감지 정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PIR 센서부(110)에서의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침입자 발생 상태로 판단하여 보안 설정을 온(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는 동체의 진입과 진출을 감지하는 카운트 센서와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를 이용하여, 대상공간에 진입 및 진출하는 사용자의 방향을 정확히 판단하여 방향 인식 오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의 무단 침입을 신속하게 판단하여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대상공간의 내측과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 정보를 활용하여 대상공간으로의 진입 움직임과 진출 움직임을 명확히 함으로써, 대상공간 재실 인원수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재해 발생 시 인명구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의 PIR 센서가 하나일 경우의 대상공간 외측과 내측의 움직임 감지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의 PIR 센서가 복수일 경우의 대상공간 외측과 내측의 움직임 감지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는 동체의 진입과 진출을 감지하는 카운트 센서와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를 이용하여, 대상공간에 진입 및 진출하는 사용자의 방향을 정확히 판단하여 대상공간 재실 인원을 명확히 함과 동시에, 외부에서의 무단 침입에 따른 보안/방범 설정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의 PIR 센서 이용 개수에 따른 대상공간 외측과 내측의 움직임 감지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0)는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센서부(100)에 의한 감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침입자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대상공간의 보안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센서부(100)는 PIR 센서부(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110)와 카운트 센서부(count sensor)(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PIR 센서부(110)는 대상공간의 어느 한 측에 설치되어 대상공간 외측과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카운트 센서부(120)는 대상공간의 어느 한 측에 설치되어 대상공간으로의 진입 움직임(IN count)와 대상공간으로부터의 진출 움직임(OUT count)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IR 센서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PIR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공간 내측 감지 신호값과 대상공간 외측 감지 신호값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대상공간 내측과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PIR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고,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도 2와 도 3은 특정 출입문에 한정하여 예시되어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창문이나 침입자 감시, 방범, 보안 등이 필요한 모든 출입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00)는 상기 통신부(300)에 의한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제어부(200)에서 판단한 침입자 발생 판단 정보와 보안 설정 제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정보들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외부의 요청, 즉, 단말기로부터 정보 요청이 있을 경우,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예(단순 동체 움직임)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된 후, 상기 카운트 센서부(120)로부터 동체 감지된 후,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단순 동체 진입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대상공간 내실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보안 설정을 자동 오프(OFF)하여 사용자의 대상공간 진입이 수월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움직임 정보가 감지된 후, 상기 카운트 센서부(120)로부터 동체 감지된 후,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단순 동체 진출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대상공간 내실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대상공간 내실 동체의 수가 0이 될 경우, 보안 설정을 자동 온(ON)하여 신속하게 보안/방범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200)는 순간 스쳐지나가는 동체의 움직임으로 인한 동체 카운트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각각의 움직임 정보가 소정시간 유지될 경우에만 유효한 동체 움직임 감지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전달받은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 감지 정보 및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 감지 정보가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 유지될 경우에만 실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유효 동체 움직임 감지 정보로 판단하여, 진입 또는 진출 움직임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PIR 센서만 감지)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카운트 센서부(120)로부터 동체 감지되지 않고,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외측 또는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단순 동체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보안 설정을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침입자 발생 상태로 판단하여 보안 설정을 자동 온(ON)하여 신속하게 보안/방범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제어부(2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 정보가 발생할 경우, 침입자로 인식하여 보안 설정을 제어함으로써, 대상공간에 대한 보안/방범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침입자 판단 정보와 보안 설정 정보를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서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달하여 원거리에서도 대상공간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카운트 센서, 내측 움직임 감지)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카운트 센서부(120)로부터 동체 감지되고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침입자 발생 상태로 판단하여 보안 설정을 자동 온(ON)하여 신속하게 보안/방범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볼 수 없으므로, 침입자로 인식하여 보안 설정을 제어함으로써, 대상공간에 대한 보안/방범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침입자 판단 정보와 보안 설정 정보를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서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달하여 원거리에서도 대상공간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내측 움직임 감지)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움직임 정보가 감지된 후, 상기 카운트 센서부(120)로부터 동체 감지된 후,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단순 동체 진출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대상공간 내실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0)는 대상공간 내실 동체의 수가 0이 된 이 후, 상기 PIR 센서부(110)로부터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경우, 침입자 발생 상태로 판단하여 보안 설정을 자동 온(ON)하여 신속하게 보안/방범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볼 수 없으므로, 침입자로 인식하여 보안 설정을 제어함으로써, 대상공간에 대한 보안/방범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침입자 판단 정보와 보안 설정 정보를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서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달하여 원거리에서도 대상공간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는 PIR 센서와 카운트 센서를 이용하여 단순히 대상공간의 진출, 진입 움직임 정보를 판단하여 내실 인원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공간의 진출, 진입 움직임 정보에 대한 방향 정보를 정확히 판단하여 진출, 진입 움직임 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뿐 아니라,
일반적인 사용자의 움직임과 상이한 움직임 정보를 침입자로 인식하여 대상공간의 보안 설정을 자동 제어함으로써, 대상공간에 대한 보안/방범 기능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센서부
110 : PIR 센서부(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
120 : 카운트 센서부(count sensor)
200 : 제어부
300 : 통신부

Claims (9)

  1.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에 있어서,
    대상공간에 설치되어 대상공간 내측과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PIR 센서부(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110)와,
    대상공간으로의 진입 움직임(IN count)과 대상공간으로부터의 진출 움직임(OUT count)을 감지하는 카운트 센서부(count sensor)(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100); 및
    상기 센서부(100)에 의한 감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침입자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보안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PIR 센서부(110)에 의해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된 후, 상기 카운트 센서부(120)로부터 동체가 감지되고, 이 후, 상기 PIR 센서부(110)에 의해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단순 동체 진입으로 판단하여 대상공간 내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고, 보안 설정을 오프(OFF)하며,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후, 상기 카운트 센서부(120)로부터 동체가 감지되고, 이 후,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침입자 발생 상태로 판단하여 보안 설정을 온(ON)하며,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된 후, 상기 카운트 센서부(120)로부터 동체가 감지되고, 이 후,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단순 동체 진출로 판단하여 대상공간 내 동체의 카운트를 -1 하여 동체의 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동체의 수가 0이 될 경우, 보안 설정을 온(ON)하며,
    산출한 동체의 수가 0이 된 후,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침입자 발생 상태로 판단하여, 보안 설정을 온(ON)하며,
    상기 카운트 센서부(120)로부터 동체가 감지되지 않고, 대상공간 외측 또는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단순 동체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보안 설정을 기설정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IR 센서부(110)는
    하나의 PIR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공간 내측 감지 신호값과 대상공간 외측 감지 신호값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대상공간 내측과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복수의 PIR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고,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신부(300)에 의한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제어부(200)에서의 침입자 발생 판단 정보와 보안 설정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PIR 센서부(110)에서의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 또는 대상공간 내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소정 시간 유지될 경우, 유효한 동체 움직임 감지 정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PIR 센서부(110)에서의 대상공간 외측에 대한 동체 움직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침입자 발생 상태로 판단하여 보안 설정을 온(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
KR1020150069410A 2015-05-19 2015-05-19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 KR101755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410A KR101755025B1 (ko) 2015-05-19 2015-05-19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410A KR101755025B1 (ko) 2015-05-19 2015-05-19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925A KR20160135925A (ko) 2016-11-29
KR101755025B1 true KR101755025B1 (ko) 2017-07-07

Family

ID=5770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410A KR101755025B1 (ko) 2015-05-19 2015-05-19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7989C1 (ru) * 2021-05-14 2022-03-2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лининградский пограничный институт Федеральной службы безопасност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границ и размеров участка зоны обнаружения пассивного инфракрасного средства обнаружения, применяемог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и распознавания типа нарушител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540B1 (ko) 2011-01-13 2012-07-16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가경계 자동 수행기능이 구비된 사설 경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20412B1 (ko) * 2012-11-23 2013-10-23 (주)커누스 출입 카운트 정보를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24077B1 (ko) * 2013-09-27 2014-08-13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540B1 (ko) 2011-01-13 2012-07-16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가경계 자동 수행기능이 구비된 사설 경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20412B1 (ko) * 2012-11-23 2013-10-23 (주)커누스 출입 카운트 정보를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24077B1 (ko) * 2013-09-27 2014-08-13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925A (ko)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077B1 (ko)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US20160217663A1 (en) System for movable gate between closed and opened positions
CN109114411B (zh) 用于预防安全事故的出入感测系统
EP1693544A1 (en) Sensor for use with automatic doors
CN105283909B (zh) 用于监控到要监控的建筑物的入口的入侵盗窃传感器
RU2012136149A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к лифту
JP2016139169A5 (ko)
KR101786209B1 (ko) 지능형 카메라 및 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문 개폐 시스템
TW201824084A (zh) 擋門控制系統及擋門控制方法
KR101755025B1 (ko)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
EP3089130B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detector and camera outputs
KR101626452B1 (ko) 침입감지를 위한 자기장 신호분리 및 제어 방법
US109709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ating a security action responsive to proximal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a wireless device
KR102291323B1 (ko) 출입 관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260789B1 (ko) 다중 센서를 이용한 대상물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9314859B (zh) 用于安全控制的方法、装置和系统
US20180172505A1 (en) Lens for pet rejecting passive infrared sensor
KR101403914B1 (ko) 자동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57460B1 (ko)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KR101609731B1 (ko) 방범 기능을 갖는 인터폰 및 그 작동 방법
US105864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rusion detection using selective masking
KR20220137485A (ko) 침입 감지 기능을 갖는 자동문 장치
CN117253311A (zh) 用于实验室的身份检测方法及其系统和设备
KR100955888B1 (ko) 이동체의 방향성 감지장치
HK1251402A2 (zh) 智能門禁報警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