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914B1 - 자동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914B1
KR101403914B1 KR1020120158051A KR20120158051A KR101403914B1 KR 101403914 B1 KR101403914 B1 KR 101403914B1 KR 1020120158051 A KR1020120158051 A KR 1020120158051A KR 20120158051 A KR20120158051 A KR 20120158051A KR 101403914 B1 KR101403914 B1 KR 101403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automatic door
sensing
unit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래
조병관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58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photoelectric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6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determination of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 G01P3/6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determination of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using optical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9/00Safety arrangements
    • G05B9/02Safety arrangements electr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문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동문으로부터 제1 설정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 상기 제1 설정거리보다 작은 제2 설정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부; 및 상기 속도감지부가 감지한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설정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속도 미만인 경우 상기 물체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하는 연산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체의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여 물체가 설정속도 이상으로 다가오면 자동문을 신속히 열어 물체가 자동문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물체가 빠른 속도로 움직이더라도 자동문을 신속히 통과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ontrol system of automatic do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딩 자동문(이하, 자동문)은 대형 유통매장, 병원, 음식점, 관공서 등의 각종 건물에서는 고객을 위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 출입문으로 이용하고, 공동주택에서는 출입문 및 외부 출입을 통제하는 방범의 편리성 등의 이유로 도어 시설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자동문이 열손실도 방지하므로 결과적으로 에너지 절약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해내고 있다. 그러나, 자동문을 이용하는 중 문에 충돌하거나 끼임 등으로 인하여 얼굴이나 손발에 부상을 입는 등 안전사고를 당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자동문에 사고를 당한 경위를 살펴보면 자동문이 닫히면서 손이나 발이 끼여 다치는 경우, 자동문이 열린 상태에서 다른 사람을 따라 들어가다 문이 닫히면서 부딪혀 다치는 경우로 이 두 가지 유형이 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안전사고로 인하여 설치된 자동문 시스템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가진다. 즉, 자동문 시스템은 자동문 양옆의 도어 주행부위나 자동문 상단 중앙부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감지하고 있다. 이러한 감지센서로는 적외선 센서, 열전도 센서 및 초음파 센서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은 자동문 구동장치 및 자동문에 관한 것인데, 그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에서는 자동문 앞의 물체(출입자, 보행자, 정지자 등)의 운동을 센서부가 감지하고, 그 운동을 조절부가 분석/판단하여 구동부에 명령하고, 그에 따라 자동문이 작동하도록 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1.5m 폭의 출입자가 좌우 자동문 중심축에서 2/3 좌측에 치우쳐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간다면, 자동문의 근접위치에 있는 센서는 출입자의 방향과 폭을 감지하여 조절부에 보내고, 조절부에서는 신호를 분석하여 출입자의 방향과 폭을 판단하고 구동부에 명령하여, 자동문의 좌측문은 1m의 폭으로, 우측문은 50cm의 폭으로 비대칭적으로 열리도록 하고, 일정시간 후 또는 출입자가 지나간 후를 판단하여 좌우 자동문이 닫히도록 한다.
또한, 자동문 쪽으로 들어가지 않고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지나가는 보행자에 대해서, 센서는 보행자의 방향 변화와 속도를 감지하고, 조절부는 이것을 분석 판단한 후 구동부로 작동을 명령하지 않으며, 일정 시간 자동문 앞에서 정지하고 있는 정지자에 대해서도 센서는 정지자의 방향 변화와 속도를 감지하고, 조절부에서는 이것을 분석 판단한 후 구동부로 명령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자동문이 작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자동문 구동장치 및 자동문에서는 자동문 제어와 관련한 점을 제시하고 있지만, 물체의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여 물체가 설정속도 이상으로 다가오면 자동문을 신속히 열어 물체가 자동문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점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1061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물체의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여 물체가 설정속도 이상으로 다가오면 자동문을 신속히 열어 물체가 자동문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제어시스템은, 자동문으로부터 제1 설정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 상기 제1 설정거리보다 작은 제2 설정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부; 및 상기 속도감지부가 감지한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설정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속도 미만인 경우 상기 물체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하는 연산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물체감지부는 적외선 센서이다.
또한, 상기 물체가 인체인 경우, 상기 물체감지부는 초전센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제어방법은, 속도감지부에서 자동문으로부터 제1 설정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연산제어부에서 상기 속도감지부가 감지한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인 것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제어부에서 상기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제어방법은, 속도감지부에서 자동문으로부터 제1 설정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연산제어부에서 상기 속도감지부가 감지한 속도가 설정속도 미만인 것을 판단하는 단계; 물체감지부에서 상기 제1 설정거리보다 작은 제2 설정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제어부에서 상기 물체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체의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여 물체가 설정속도 이상으로 다가오면 자동문을 신속히 열어 물체가 자동문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물체가 빠른 속도로 움직이더라도 자동문을 신속히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체의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여 물체가 설정속도 이상으로 다가오면 자동문을 신속히 열어 물체가 자동문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물체가 빠른 속도로 움직이더라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제어시스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제어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좌측 및 우측의 자동문이 설치되어 있고, 자동문 근처에는 물체의 이동에 따라 자동문을 제어하는 자동문 제어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자동문이 열릴 때, 좌측의 자동문은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우측의 자동문은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제1 설정거리, 제2 설정거리는 각각 A, B로 표시되었고, A는 B보다 자동문으로부터 거리가 멀다. 또한, 물체가 A에서 B 방향으로 움직일 때 자동문이 열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제어시스템은, 속도감지부(100), 물체감지부(200) 및 연산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속도감지부(100)는 자동문으로부터 제1 설정거리(A)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제1 설정거리(A)는 4m로 설정될 수 있으며, 물체가 빠르게 이동할 때 자동문이 열릴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라면 4m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거리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체감지부(200)는 제1 설정거리(A)보다 작은 제2 설정거리(B)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한다. 물체감지부(200)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을 이용한 센서인데, 외부 물질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이 적외선 센서 내의 자발 분극을 갖는 물질의 분극을 변화시켜 외부 자유 전하를 발생시킴으로써 물질을 감지한다. 자동문 제어를 위해 적외선 센서가 이용될 경우, 자동문 앞으로 적외선을 쏘아 물체에 부딪혀 반사되어 돌아오는 빛을 감지하여 물체를 감지한다. 물체가 인체인 경우, 물체감지부(200)는 초전센서일 수 있다. 초전센서는 인체(사람)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감지하여 인체를 감지한다.
연산제어부(300)는 속도감지부(100)가 감지한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설정속도 이상인 경우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하고, 설정속도 미만인 경우 물체감지부(2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한다. 즉, 물체가 A에서 B 방향으로 움직일 때, 물체가 제1 설정거리(A)에 있는 경우 연산제어부(300)는 물체의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설정속도 이상이면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물체의 속도가 설정속도 미만이면 물체가 제1 설정거리를 지나 제2 설정거리에 있는 경우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설정속도는 1.04m/s로 설정될 수 있고, 1.04m/s에 한정되지 않고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제어방법은 S100 내지 S420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속도감지부(100)에서 자동문으로부터 제1 설정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를 감지한다(S100). 예를 들면, 제1 설정거리(A)는 4m로 설정될 수 있으며, 물체가 빠르게 이동할 때 자동문이 열릴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라면 4m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거리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S100 단계 이후, 연산제어부(300)에서 속도감지부(100)가 감지한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00).
S200 단계 이후, 속도감지부(100)가 감지한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인 경우, 연산제어부(300)에서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한다(S300).
그러나, S200 단계 이후, 속도감지부(100)가 감지한 속도가 설정속도 미만인 경우, 물체감지부(200)에서 제1 설정거리보다 작은 제2 설정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였는지를 판단한다(S410).
S410 단계 이후, 물체감지부(200)에서 제1 설정거리보다 작은 제2 설정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한 경우, 연산제어부(300)에서 물체감지부(2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한다(S420). 그러나, 물체감지부(200)에서 제2 설정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S410 단계를 수행한다.
즉, S1O0 내지 S420 단계를 통해, 물체가 A에서 B 방향으로 움직일 때, 물체가 제1 설정거리(A)에 있는 경우 연산제어부(300)에서 물체의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설정속도 이상이면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물체의 속도가 설정속도 미만이면 물체가 제1 설정거리를 지나 제2 설정거리에 있는 경우 연산제어부(300)에서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설정속도는 1.04m/s로 설정될 수 있고, 1.04m/s에 한정되지 않고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는 별도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2 설정거리보다 큰 제1 설정거리에서의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인식센서로 인체의 동작을 감지하여 자동문이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즉, 사람이 동작인식센서를 향해 손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는 경우 자동문이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제1 설정거리에서 동작인식이 없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설정거리에서 물체를 감지한 경우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하는 것은 동일하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제어시스템과 관련하여, 종래에도 자동문 제어와 관련한 자동문 제어방식을 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물체의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여 물체가 설정속도 이상으로 다가오면 자동문을 신속히 열어 물체가 자동문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 차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물체의 움직임 속도를 감지하여 물체가 설정속도 이상으로 다가오면 자동문을 신속히 열어 물체가 자동문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물체가 빠른 속도로 움직이더라도 자동문을 신속히 통과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 내에서 당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속도감지부
200 : 물체감지부
300 : 연산제어부

Claims (5)

  1. 자동문으로부터 제1 설정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
    상기 제1 설정거리보다 작은 제2 설정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감지부; 및
    상기 속도감지부가 감지한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설정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속도 미만인 경우 상기 물체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하는 연산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체감지부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물체가 인체인 경우, 상기 물체감지부는 초전센서로 이루어지는,
    자동문 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속도감지부에서 자동문으로부터 제1 설정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연산제어부에서 상기 속도감지부가 감지한 속도가 설정속도 미만인 것을 판단하는 단계;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물체가 인체인 경우, 초전센서로 이루어지는 물체감지부에서 상기 제1 설정거리보다 작은 제2 설정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제어부에서 상기 물체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하되, 상기 속도감지부가 감지한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이면 상기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하고, 설정속도 미만이면 상기 물체가 제2 설정거리에 있는 경우에 상기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문 제어방법.
KR1020120158051A 2012-12-31 2012-12-31 자동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03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051A KR101403914B1 (ko) 2012-12-31 2012-12-31 자동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051A KR101403914B1 (ko) 2012-12-31 2012-12-31 자동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914B1 true KR101403914B1 (ko) 2014-06-09

Family

ID=51131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051A KR101403914B1 (ko) 2012-12-31 2012-12-31 자동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9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672B1 (ko) * 2019-10-25 2020-02-20 김혁환 자동출입문용 개방스위치 장치
CN112650071A (zh) * 2020-12-21 2021-04-13 四川奇力韦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智能决策系统与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800B1 (ko) * 2005-11-17 2006-12-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무선방식의 자동문 제어 시스템
KR20100081500A (ko) * 2009-01-06 2010-07-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자동문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센싱 방법
KR20100110618A (ko) * 2009-04-03 2010-10-13 김두림 에너지 절약형 자동문 구동장치 및 그 자동문
KR20130096924A (ko) * 2012-02-23 2013-09-0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창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800B1 (ko) * 2005-11-17 2006-12-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무선방식의 자동문 제어 시스템
KR20100081500A (ko) * 2009-01-06 2010-07-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자동문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센싱 방법
KR20100110618A (ko) * 2009-04-03 2010-10-13 김두림 에너지 절약형 자동문 구동장치 및 그 자동문
KR20130096924A (ko) * 2012-02-23 2013-09-0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창문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672B1 (ko) * 2019-10-25 2020-02-20 김혁환 자동출입문용 개방스위치 장치
CN112650071A (zh) * 2020-12-21 2021-04-13 四川奇力韦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智能决策系统与方法
CN112650071B (zh) * 2020-12-21 2023-01-13 道亿科技医疗健康(海南)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智能决策系统与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5556B2 (en) Sensor for use with automatic doors
KR101118984B1 (ko) 도어 개폐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도어 개폐 송신장치
ES2767301T3 (es)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una disposición de puerta así como disposición de puerta de este tipo y un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la misma
KR20170069212A (ko) 객실의 비접촉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장치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US9785842B2 (en) Safety alarm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KR101484202B1 (ko) 제스쳐 인식 시스템을 갖는 차량
KR101403914B1 (ko) 자동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536509B2 (en) Scanner arrangement
KR20170052285A (ko) 지능형 카메라 및 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문 개폐 시스템
GB2410588A (en) Human recognition system
KR101638860B1 (ko) 휴대용 운전자 인식장치와 연동하는 터치방식 차량용 윈도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00110618A (ko) 에너지 절약형 자동문 구동장치 및 그 자동문
JP4907243B2 (ja) 通行管理装置
KR102619956B1 (ko) ToF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3335484A (ja) ドアの引込み防止装置
JP5572175B2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KR102252037B1 (ko)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755025B1 (ko) 좌우 식별을 통한 출입 방향 인식이 가능한 동체 감지 장치
JP2003027835A (ja) 自動ドア用安全装置
KR20210151009A (ko) ToF 센서를 이용한 자동문 개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07114B1 (ko) 차량제어장치 및 차량제어방법
KR20120129594A (ko) 차량용 사이드 도어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645381B1 (ko) 로드킬 방지 시스템
JP7403600B2 (ja) 自動ドアの制御変更装置及び自動ドア装置
KR20120005404U (ko) 물체 및 사람 감지를 이용한 충돌 방지 출입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