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827B1 - 농산물 판매 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산물 판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827B1
KR101754827B1 KR1020160040848A KR20160040848A KR101754827B1 KR 101754827 B1 KR101754827 B1 KR 101754827B1 KR 1020160040848 A KR1020160040848 A KR 1020160040848A KR 20160040848 A KR20160040848 A KR 20160040848A KR 101754827 B1 KR101754827 B1 KR 101754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portable terminal
server
agricultural product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창
Original Assignee
박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창 filed Critical 박노창
Priority to KR1020160040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7/3078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의 생장과 온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이용하여 농산물을 판매하는 시스템으로, 농산물이 재배되는 온도, 습도, 일사량 또는 대기상태를 포함하는 생장환경정보를 검출하고, 영상을 촬영하는 센싱부로부터 입력되는 생장환경데이터를 저장하고, 생장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온실을 제어하며, 촬영된 영상을 이동체의 위치와 매칭시켜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와 무선통신을 통해서 연결되어 농산물의 생장환경정보 또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 받는 휴대용 단말을 포함하는 농산물 판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시스템 및 방법은 농가에서 마케팅을 하기 힘든 부분이 있어 직거래장터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케팅공간을 제공하고, 정보공유를 통해 공급자와 소비자간의 거리를 좁힐 수 있다.

Description

농산물 판매 시스템 {SALE SYSTEM OF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농산물정보공유 판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온실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의 생장을 모니터링 하여 자동으로 재배환경을 설정하고, 촬영된 농산물의 상태를 휴대용 단말에 제공하고 농가의 직거래장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농장과 소비자를 연결, 농작물 재배환경을 보여 줌으로써, 농작물구매를 도울 수 있는 농산물 판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실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은 온도, 습도, 일사량 및 대기 상태 등에 영향을 받아 농산물의 크기, 성장속도, 수확량 및 맛 등을 포함하는 농산물의 생장 상태 및 생장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습도, 일사량 및 대기상태 등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 및 농산물의 생장 상태 정보를 통해 수확량을 예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생장과 생장 속도 등을 관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람의 육안에 의존하는 계측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기상 변화에 따른 농산물 생장 관측 및 수확량 예측을 보다 정확히 하기 위하여 산간오지의 농산물 생장 등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매 순간마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없으며, 사람이 매번 일일이 관측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기 때문에, 정확한 농산물 생장 자료를 관측 및 저장하는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35794호(센서 이동형 농산물생장환경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는 농산물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동형 적외선 센서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35794호의 경우 농산물의 생장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또한, 판매될 농산물의 재배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온실 내의 농산물 생장을 촬영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농산물 판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온실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이 생장과 온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이용하여 농산물을 판매하는 시스템으로, 농산물이 재배되는 온도, 습도, 일사량 또는 대기상태를 포함하는 생장환경정보를 검출하고, 영상을 촬영하되, 이동체에 탑재되어 상기 온실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입력되는 생장환경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생장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온실을 제어하며,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이동체의 위치와 매칭시켜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와 무선통신을 통해서 연결되어 농산물의 생장환경정보 또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휴대용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센싱부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받는 통신인터페이스; 상기 센서모듈에서 센싱된 생장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온도, 습도, 입사광의 광도 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환경제어부; 상기 영상데이터를 통해 생장이상이 발생한 농산물을 판정하며, 상기 영상데이터를 농산물 별로 분류하는 영상테이터처리부; 및 상기 농산물 별로 분류된 영상데이터를 통해 판매될 농산물의 메뉴를 생성하는 메뉴 생성부; 및 상기 메뉴에 상응하여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휴대용 단말로 상기 메뉴를 제공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메뉴에 매치되는 영상 요청 시 요청된 영상을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를 포함하는 농산물 판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영상데이터처리부는 상기 영상데이터로부터 농산물의 잎, 과실의 외형 및 상기 이동체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농산물의 종류별로 영상테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농산물 판매 시스템은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동을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온실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이 생장과 온실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도록 이동체에 탑재된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휴대용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의 농산물 판매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센싱부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영상데이터에서 농산물의 잎 또는 과실의 외형을 독출하는 단계; (c) 상기 농산물의 잎 또는 과실의 외형을 이용하여 농산물의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생성된 메뉴에 상응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메뉴에 매치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e)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을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농산물 판매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계 (e)는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동을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시스템 및 방법은 센싱부가 이동체에 설치되어 온실 내부를 이동하면서 농산물생장환경을 수신하여 이에 적절한 동작들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시스템 및 방법은 원격으로 센싱부를 이동시키고, 원하는 농산물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휴대용 단말에 제공하여 직거래장터 공유 플랫폼을 통해 농장과 소비자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농산물 판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농산물을 판매 하기 위한 방법으로 직거래장터 정보공유 플랫폼을 통해 농장과 소비자를 연결 할 수 있고, 농장주에게는 마케팅과 판매의 공간을 제공하며, 소비자에게는 정보공유를 통해 농장을 평가, 시장가격정보제공으로 가격비교 및 모니터링하여 우수농가 및 농산물을 선별, 리뷰를 통해 농가와 커뮤니케이션하여 안전하고 합리적인 구매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으로 간접적인 농장체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
도 2 및 도 3은 휴대용 단말에 제공된 모바일 웹페이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들.
도 4 내지 도 10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된 휴대용 단말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
도 11는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판매 시스템의 센싱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센싱부가 탑재된 이동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14은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모니터링을 통한 판매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시스템 및 방법의 기능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시스템 및 방법은 온실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의 생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농산물이 재배되는 온실 내부의 온도, 습도, 일사량, 대기상태, 농산물생장영상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생장환경 정보를 검출하여 온실 내부 환경을 자동 제어하거나, 필요시 상기 정보를 휴대용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농산물 판매 시스템은 센싱부(100), 서버(200) 및 휴대용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00)는 농산물이 재배되는 온도, 습도, 일사량 또는 대기상태를 포함하는 생장환경정보를 검출하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센싱부(100)는 이동체에 탑재되어 온실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다시 하기로 한다.
휴대용 단말(300)은 스마트폰,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망을 사용하거나, WiFi모듈 등의 데이터 통신모듈이 구비된 휴대가 가능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300)은 서버(200)와 무선통신을 통해서 연결되어 농산물의 생장환경정보 또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 받을 수 있다. 휴대용 단말(300)은 서버(200)로 영상데이터 전송 요청을 할 수 있으며, 센싱부(1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요청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용 단말(300)은 온실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을 구매하거나 열람하기 위한 고객 또는 사용자의 단말로 정의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도 포함될 수 있다.
서버(200)는 센싱부(1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를 이용하여 온실을 제어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센싱부(100)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의 촬영위치와 촬영영상을 매칭시켜 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센싱부(1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폐기(a), 관수펌프(b), 양액기(c)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센싱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가 설정된 온도와 맞지 않는 경우에 개폐기(a)를 통해 창을 여/닫거나, 냉/온팬을 가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하여 주변장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센싱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가 설정된 습도와 맞지 않는 경우 관수펌프(b)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생성하여 가동시킬 수 있다.
서버(200)는 센싱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입사광의 광도와 설정된 광도를 비교하여 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차광막을 가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는 등의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센싱부(100)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변환하여 휴대용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와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농산물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휴대용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서 잎 또는 과실의 외형을 독출하고, 각 영상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이때, 분류기준은 판매될 농산물, 과일 또는 채소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실 내에 재배되는 농산물은 잎 또는 과실의 외형(모양)에 따라 구분이 용이하다. 따라서, 촬영된 영상데이터에서 농산물의 잎 또는 과실의 외형을 독출하고, 미리 저장된 정보에 매치하여 어떤 농산물인지 식별할 수 있다.
서버(200)는 식별된 농산물에 대한 메뉴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뉴를 휴대용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메뉴에 맞도록 촬영된 영상을 분류하고 저장한다.
서버(200)는 도 2와 같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휴대용 단말(300)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즉, 휴대용 단말(300)의 표시영역에 농산물의 생장환경을 열람할 수 있도록 모바일 웹페이지 형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들의 사용후기, 각 상품의 가격 정보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기재하면, 이를 저장하고, 모바일 웹페이지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에게는 정보공유를 통해 농장을 평가, 시장가격정보제공으로 가격비교 및 모니터링하여 우수농가 및 농산물을 선별, 리뷰를 통해 농가와 커뮤니케이션하여 안전하고 합리적인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서버(200)는 도 2의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영상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면, 이에 상응하는 영상데이터를 휴대용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도 3과 같이 휴대용 단말(300)에 이동체(도 12의 430) 또는 카메라 모듈(도 11의 120)을 제어하도록 버튼 또는 키가 설정된 모바일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300)에서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 서버(200)는 이에 대응하여 센싱부(100)를 탑재하는 이동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시스템 은 농산물생장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영상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의 상태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농산물의 종류에 맞도록 분류하고, 이를 저장하며, 휴대용 단말의 요청시 해당 영상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인 구매자가 농산물 구매시 농산물의 생장환경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판매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된 휴대용 단말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서버(200)에 접속할 경우 휴대용 단말(300)의 화면에 도 4에 표시된 농산물의 종류 또는 도 5에 도시된 농장의 종류가 메뉴처럼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농산물 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를 터치 또는 클릭할 경우 해당 농산물의 재배자(판매자) 정보가 나열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농장을 선택할 수 있는 재배자(판매자) 정보들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터치 또는 클릭하면 도 6과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농장의 종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터치 또는 클릭할 경우, 해당 농장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종류가 나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6에서와 같이 농장의 상태를 촬영된 영상을 통해 열람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카메라를 조작하여 촬영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 하단에 농장의 관리자가 기재한 멘션 등을 열람할 수 있다. 여기서, 농장 관리자가 개시한 멘션은 예를 들면, 농작물 재배 환경을 매일 개시한 농장일기의 형태로 표시되거나, 또는 농작물의 상세한 효능, 효과 등의 정보를 개시한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과 같이, 휴대용 단말(300)로 제공되는 화면에는 구매, 평가 농장실시간보기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농장 실시간 보기 메뉴가 선택될 경우, 서버(200)는 도 7과 같이 농장의 온실 내부를 실시간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웹페이지를 휴대용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6과 같이,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300)로 모바일 웹페이지 하단에 농가상품, 농가정보, 리뷰 등의 메뉴가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300)에서 농가상품이 선택되면, 서버(200)는 도 8과 같이 해당 농가에서 재배하여 판매하는 농작물의 종류가 모바일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300)에서 도 6에 개시된 농가정보가 선택되면 서버(200)는 도 9와 같이 농장일기 등의 관리자가 등록한 멘션 등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300)에서 도 6에 개시된 리뷰 메뉴가 선택되면 서버(200)는 도 10과 같이 사용자들이 등록한 메시지 등의 리뷰 내용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은 서버(200)에서 제공하며, 서버(200)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들에게 동일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간접적인 농장체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버(200)에서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모바일 웹페이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으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에서는 서버에 접속하여 다양한 영상들을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10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매할 농산물, 과일, 채소 등을 결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결제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각 구성부들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센싱부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생장환경측정 센서모듈(110), 카메라모듈(120), 무선통신모듈(130) 및 마이크로컨트롤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장환경측정 센서모듈(110)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광도센서, 이산화탄소 측정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장환경측정 센서모듈(110)은 농산물생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 중 온도, 습도, 일사량, 이산화탄소농도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열전쌍, 온도측정 저항체, 서미스터, 금속식 온도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온도센서는 NQR(핵4중극공명), 초음파, 광섬유를 사용한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습도센서는 공기 중의 수분에 관련된 여러 가지 현상(물리/화학현상)을 이용하여 습도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센서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습도센서는 다공질 세라믹스나 고분자막으로 흡수됨으로써 일어나는 전기저항이나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하는 센서 또는, 진동자에 설치한 흡수 물질의 중량변화에 의한 진동자의 공진주파수의 변화를 이용하여 습도를 센싱하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습도센서는 건습구 습도계, 모발 습도계, 염화 리튬 습도센서, 전해 습도센서 (P2O5 습도센서), 고분자막 습도 센서, 수정진동식 습도센서, 산화알루미늄 습도센서, 세라믹 습도센서, 서미스터 습도센서, 마이크로파 습도센서, 결로센서, 노점센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도센서는 유입되는 빛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로, 광도센서는 빛이 입사하면 전기가 흐르는 광도전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측정센서는 공기 중에 이산화탄소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이산화탄소 측정센서를 통해 농산물의 광합성이 원활히 일어날 수 있는 최적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120)은 재배환경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모듈(120)은 PTZ(Pan & Tilt & Zoom) 카메라 일 수 있으며, 좌우, 상하, 줌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전방향 감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유닛(140)은 특정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를 의미하며, 센싱부(100)의 두뇌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생장환경측정 센서모듈(110)을 통해서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가공하거나 변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마이크로컨트롤유닛(140)은 카메라 모듈(120)의 촬영위치와 촬영영상을 조합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카메라 모듈(120)의 촬영위치는 아래 설명할 온실 내부의 레일에 설치되어 있는 식별센서 또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센싱부(100)는 생장환경정보 또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서버(200)에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130)을 포함하며, 무선통신모듈(130)로는 Wifi통신모듈, 3G, 4G통신모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00)는 이동체(430)에 탑재된다. 즉 이동체(430)에는 센서모듈(110), 카메라모듈(120) 및 마이크로컨트롤유닛(140)이 탑재될 수 있다.
이동체(430)는 온실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440)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레일(440)은 'I'자 형태의 긴 프레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동체(430)의 이동로로 사용된다. 레일(440)은 온실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거나, 복수의 레일이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체(430)는 센서 수용부(432), 동력수용부(434), 이송용 바퀴(436) 및 거치용 바퀴(438)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 수용부(432)는 상기 센서모듈(110), 카메라모듈(120) 및 마이크로컨트롤유닛(140) 등의 센싱부(100)를 탑재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수용부(432)는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동력수용부(434)는 이송용 바퀴(436) 또는 거치용 바퀴(438)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모터 등의 동력수단이 수용될 수 있다. 동력수용부(434)는 상부면에 이송용 바퀴(436) 및 거치용 바퀴(438)가 설치될 수 있다.
이송용 바퀴(436)는 2개의 바퀴가 동력수용부(434)의 상부면과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I'형 레일(440)의 세로 부분의 양측에 밀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송용 바퀴(436)는동력수용부(434)에 설치된 모터 등이 동력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함으로써 이동체(430)가 레일(44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거치용 바퀴(438)는 전단에 2개 후단에 2개가 설치되며, 'I'형 레일(440)의 하단 가로 부분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이송용 바퀴(436)는 이동체(430)의 이동시 레일(4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레일(440)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체(430)의 움직임은 서버(200)에서 제어된다. 보다 자세하게, 서버(200)는 유무선으로 모터를 제어하거나 이동체(430) 내부의 동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레일(4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센서(460)가 설치될 수 있다. 식별센서(460)는 이동체(430)의 거치용 바퀴(438)가 밟고 지나가면 이동체(430)는 식별센서(46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갔음을 알 수 있고 개략적인 이동체(430)의 위치추정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통신인터페이스부(210), 환경제어부(220), 영상데이터처리부(230), 저장부(240), 카메라 조작부(250), 메뉴 생성부(260) 및 영상 제공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인터페이스부(210)는 실시간으로 센싱부(100)에서 전송되는 생장환경정보와 영상데이터정보를 전송받는다. 유선통신도 가능하나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무선통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환경제어부(220)는 센서모듈(110)에서 센싱된 생장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온도, 습도, 입사광의 광도 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 장치에 전송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살펴보면, 서버(200)와 연결되어 있는 개폐기(a), 관수펌프(b), 양액기(c) 등을 제어하는 신호를 환경제어부(220)에서 생성한다.
예를 들어,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와 맞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기(a)를 통해 창을 여/닫거나 냉/온팬을 가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하여 주변장치를 조절한다. 또한, 습도가 맞지 않은 경우에도 관수펌프(b)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생성하여 가동시키거나 입사하는 광도가 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차광막을 가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는 등의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영상데이터처리부(230)는 생장이상이 발생한 농산물을 판정한다. 농산물의 생장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잎사귀 표면의 색이 변색 되거나 탈색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잎사귀의 형태가 급격하게 바뀌거나 쪼그라드는 등의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이상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영상데이터처리부(230)는 이미 축적되어 있는 영상데이터와 현재 촬영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색깔의 변화가 생겼는지 잎사귀의 형태가 급격하게 변화했는지를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부(230)는 영상데이터로부터 농산물의 잎, 과실의 외형 및 이동체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농산물의 종류별로 영상테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부(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센싱부(100)에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들에서 농산물의 잎 또는 과실의 외형을 이용하여 농산물의 종류별로 영상데이터를 분류한다.
저장부(240)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온도, 습도, 광도 또는 이산화탄소 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영상데이터를 저장한다.
농산물을 재배할 때, 재배를 위한 최적의 온도, 습도, 광도 또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입력하면 저장부(240)에 저장되고, 센싱부(100)에서 입력되는 실시간 생장환경정보가 서버(200)로 전송되면 서버(200)는 생장환경정보가 저장부(240)에 저장된 최적의 온도, 습도, 광도 또는 이산화탄소 농도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게 된다.
저장부(24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는 영상데이터처리부(230)에서 비정상적인 성장형태를 보이는 농산물을 찾기 위한 비교자료(reference data)로 활용하기 위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240)는 메뉴 생성을 위하여 농산물의 종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240)는 농산물별 특징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농산물의 잎, 과실의 외형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뉴 생성부(260)는 영상데이터에서 독출된 농산물의 잎 또는 과실의 외형을 통해 판매할 농산물 또는 과실의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메뉴 생성시 미리 저장된 농산물의 잎 또는 과실의 외형과 독출된 농산물의 잎 또는 과실의 외형을 비교한다. 메뉴 생성부(26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농산물의 잎 또는 과실의 외형과 독출된 농산물의 잎 도는 과실의 외형이 일치하는 것을 메뉴로 설정하고 이를 웹페이지에 표시한다.
카메라 조작부(250)는 상태호전 등의 변화된 상황을 보다 자세히 촬영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센싱부(100)에 있는 카메라 모듈(120)을 제어하여 줌 인, 줌 아웃영상을 선택적으로 촬영하도록 한다. 동시에 카메라 조작부(250)에 의해서 카메라 모듈(120)이 탑재되어 있는 이동체(430)의 움직임이 제어될 수 있다.
영상 제공부(270)는 휴대용 단말(300)에 저장부(240)에 저장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제공부(270)는 휴대용 단말(300)에서 요청이 있을 경우 저장된 영상을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시스템은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메뉴를 자동을 생성하여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의 휴대용 단말에서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여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판매 방법은 영상 수신 단계(S100), 영상 주요부 독출 단계(S200), 메뉴 생성 단계(S300), 영상 분류 및 저장 단계(S400), 메뉴 선택 단계(S500), 저장된 영상 제공 단계(S600), 카메라 제어 단계(S700) 및 실시간 영상 제공 단계(S8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수신 단계(S100)는 센싱부(10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서버(200)에서 수신한다. 영상 수신 단계(S100)에서 서버(200)는 카메라 모듈(120)에서 촬영시 이동체(430)의 위치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주요부 독출 단계(S200)는 수신된 영상데이터에서 농산물의 잎 또는 과실의 외형을 독출한다. 이때, 영상 주요부 독출 단계(S200)에서는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특정 프레임을 선정하여 외부 배경과 대상물체의 외형을 분리하여 농산물의 잎 또는 과실의 외형을 독출할 수 있다.
메뉴 생성 단계(S300)는 영상데이터에서 독출된 농산물의 잎 또는 과실의 외형을 통해 판매할 농산물 또는 과실의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메뉴 생성시 미리 저장된 농산물의 잎 또는 과실의 외형과 독출된 농산물의 잎 또는 과실의 외형을 비교한다.
메뉴 생성 단계(S300)에서 생성된 메뉴들은 서버(200)에 저장되며, 휴대용 단말(300)에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페이지로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영상 분류 및 저장 단계(S400)는 상기 생성된 메뉴에 상응하여 영상이 분류되며, 분류된 영상데이터는 저장부에 저장된다. 이때, 저장되는 영상데이터들은 메뉴에 매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메뉴 선택 단계(S500)는 휴대용 단말(300)에서전송된 메뉴 선택 신호를 서버(200)에서 수신한다.
저장된 영상 제공 단계(S600)는 서버(200)에서 상기 메뉴 선택 신호에 상응하여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휴대용 단말(30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300)로 농산물 또는 과실 구매 이전에 각 농산물의 재배 상태 또는 과실의 상태를 미리 열람하도록 하여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카메라 제어 단계(S700)는 휴대용 단말(300)에 제공된 카메라 제어용 페이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300)의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여 농산물의 생장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명령(키 입력 또는 터치)을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한다. 카메라 제어 단계(S700)는 휴대용 단말(300)에서 전송된 명령(키 입력 또는 터치)에 따라 이동체를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체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120)의 줌인/줌아웃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간 영상 제공 단계(S800)는 휴대용 단말(300)에서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동안 촬영되는 영상을 휴대용 단말(300)에서 수신한다. 휴대용 단말(300)은 촬영중인 상태에서 이동체 및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도록 하여, 구매자가 용이하게 농산물의 생장환경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시스템 및 방법은 센싱부가 이동체에 설치되어 온실 내부를 이동하면서 농산물생장환경을 수신하여 이에 적절한 동작들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판매 시스템 및 방법은 구매자 또는 관리자가 원격으로 센싱부를 이동시키고, 원하는 농산물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100: 센싱부
110: 생장환경측정 센서모듈
120: 카메라 모듈
130: 무선통신모듈
140: 마이크로컨트롤유닛
200: 서버
210: 통신인터페이스부
220: 환경제어부
230: 영상데이터처리부
240: 저장부
250: 카메라 조작부
260: 메뉴 생성부
270: 영상 제공부
430: 이동체
432: 센서 수용부
434: 동력수용부
436: 이송용 바퀴
438: 거치용 바퀴
440: 레일
460: 식별센서

Claims (5)

  1. 온실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의 생장과 온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이용하여 농산물을 판매하는 시스템으로,
    농산물이 재배되는 온도, 습도, 일사량 또는 대기상태를 포함하는 생장환경정보를 검출하고, 영상을 촬영하되, 이동체에 탑재되어 상기 온실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입력되는 생장환경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생장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온실을 제어하며,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이동체의 위치와 매칭시켜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와 무선통신을 통해서 연결되어 농산물의 생장환경정보 또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 받는 휴대용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센싱부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받는 통신인터페이스;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생장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온도, 습도, 입사광의 광도 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환경제어부;
    상기 영상데이터를 통해 생장이상이 발생한 농산물을 판정하며, 상기 영상데이터를 농산물 별로 분류하는 영상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농산물 별로 분류된 영상데이터를 통해 판매될 농산물의 메뉴를 생성하는 메뉴 생성부; 및
    상기 메뉴에 상응하여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휴대용 단말로 상기 메뉴를 제공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메뉴에 매치되는 영상 요청시 요청된 영상을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처리부는
    상기 영상데이터로부터 농산물의 잎, 과실의 외형 및 상기 이동체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농산물의 종류별로 영상테이터를 분류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폐기, 관수펌프, 양액기를 제어하고,
    상기 센싱부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가 설정된 온도와 맞지 않는 경우에 개폐기를 통해 창을 여/닫거나, 냉/온팬을 가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하여 주변장치를 조절하고,
    입력되는 습도가 설정된 습도와 맞지 않는 경우 관수펌프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생성하여 가동시키고,
    입력되는 입사광의 광도와 설정된 광도를 비교하여 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차광막을 가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체는 센서 수용부, 동력수용부, 이송용 바퀴 및 거치용 바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수용부는 상기 센싱부를 탑재하도록 반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동력수용부는 상부면에 이송용 바퀴 또는 거치용 바퀴가 설치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가 수용되고,
    상기 이송용 바퀴는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상기 이동체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거치용 바퀴는 전단에 2개 후단에 2개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의 하단 가로 부분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이송용 바퀴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기 레일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판매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카메라 모듈의 이동을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판매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40848A 2016-04-04 2016-04-04 농산물 판매 시스템 KR101754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848A KR101754827B1 (ko) 2016-04-04 2016-04-04 농산물 판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848A KR101754827B1 (ko) 2016-04-04 2016-04-04 농산물 판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827B1 true KR101754827B1 (ko) 2017-07-06

Family

ID=5935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848A KR101754827B1 (ko) 2016-04-04 2016-04-04 농산물 판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8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758B1 (ko) 2018-02-28 2019-10-21 주식회사 크레펀 소셜 플랫폼 기반하에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농축수산 가공물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
WO2022059514A1 (ja) * 2020-09-16 2022-03-24 株式会社きもと 農作物販売システム及び区画選択受付方法
JP2022079021A (ja) * 2020-11-16 2022-05-26 株式会社トーヨーホールディングス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458320B1 (ko) 2022-06-15 2022-10-24 주식회사 식품의즐거움 사용자 맞춤형 농축산물 매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758B1 (ko) 2018-02-28 2019-10-21 주식회사 크레펀 소셜 플랫폼 기반하에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농축수산 가공물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
WO2022059514A1 (ja) * 2020-09-16 2022-03-24 株式会社きもと 農作物販売システム及び区画選択受付方法
JP2022079021A (ja) * 2020-11-16 2022-05-26 株式会社トーヨーホールディングス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458320B1 (ko) 2022-06-15 2022-10-24 주식회사 식품의즐거움 사용자 맞춤형 농축산물 매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827B1 (ko) 농산물 판매 시스템
KR101801460B1 (ko) 온실 모니터링 시스템
Aubrecht et al. Continuous, long-term, high-frequency thermal imaging of vegetation: Uncertainties and recommended best practices
WO2019144762A1 (zh) 基于云服务器的鼠患智能监控系统和方法
TWI622011B (zh) 表面狀態攝影顯示系統及表面狀態攝影顯示方法
KR101682066B1 (ko) IoT 기술을 활용한 하우스 운영 관리 시스템
JP4586182B2 (ja) 自立稼動制御システム
US8282274B2 (en) Remote temperature sensing device
US10732123B2 (en) Inspection routing systems and methods
US2014016841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micro farming
KR101888623B1 (ko) 식물생장 모니터링 시스템
CA3042990C (en) A device and method for thermal imaging of a living mammal body section.
WO2021002279A1 (en) Multi-spatial resolution measurements for generation of vegetation states
US11164441B2 (en) Rapid thermal dynamic image capture devices with increased recognition and monitoring capacity
JP2023103219A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等
KR102532651B1 (ko) 온실 작물 관리 시스템
EP2282526A2 (en) Video scanner system and method
CA2712202A1 (en) Video scanner system and method
CN112134944A (zh) 一种手持式智能残留农药检测仪及检测方法
RU188020U1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й холодильник
KR102549367B1 (ko) 작물의 증산량 측정을 위한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KR101325506B1 (ko) 맞춤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ES2795499B2 (es) Método y sistema mejorados para la determinación de características de frutos mediante imágenes hiperespectrales
JP7326657B2 (ja) 商品販売システム、商品販売プログラム、商品販売方法
JP2010062962A (ja) 映像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