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499B1 -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499B1
KR101754499B1 KR1020150170145A KR20150170145A KR101754499B1 KR 101754499 B1 KR101754499 B1 KR 101754499B1 KR 1020150170145 A KR1020150170145 A KR 1020150170145A KR 20150170145 A KR20150170145 A KR 20150170145A KR 101754499 B1 KR101754499 B1 KR 101754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ead terminal
relay terminal
lead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384A (ko
Inventor
황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5017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4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21/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변속기의 입력축이나 출력축의 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 센서부에 연장되어 구비되는 리드 단자, 및 리드 단자의 단부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구비되고 용접부에 의해 리드 단자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릴레이 터미널을 포함하여, 통전검사를 통해 두 단자 부품간의 용접 불량 유무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A SPEED SENSOR ASSEMBLY FOR A C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기에 장착되어 입력축이나 출력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변속기의 스피드센서는 변속기의 입력값인 엔진 회전속도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TCU에 전달한다. TCU는 스피드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서신호를 토대로 변속단을 제어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에 장착된 스피드센서 조립체(100)는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결합되어 입력축이나 출력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타겟기어(또는 타겟휠)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검출한다.
1쌍의 스피드센서 조립체(100)가 케이싱(210)의 양단에 구비되고, 케이싱(210)에 케이블부(220)가 커넥터(230)로 연결되어 있으며, 커넥터(230)는 TCU측과 연결된다. 각 스피드센서 조립체(100)는 스피드센서와, 리드 단자, 릴레이 터미널을 포함하고 있다. 케이싱(210)의 내부에는 외부터미널이 구비되어 있고 케이블부(220)의 내부에는 케이블이 구비되어 있다.
스피드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는 리드 단자와 릴레이 터미널, 외부터미널, 케이블, 커넥터(230)의 순으로 TCU측에 전달되고, 외부전원이 역순으로 스피드센서로 공급된다. 이러한 다양한 부품들의 접속을 통해 검출신호를 전달하고 전원을 공급받게 되므로 각 부품들의 조립시 부품들간의 접속을 위한 구조가 중요하다.
여기서, 스피드센서 조립체(100)의 릴레이 터미널과 리드 단자는 두 부품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용접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용접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릴레이 터미널과 리드 단자가 용접 전에 서로 접촉된 상태이므로 용접 전후에 통전검사를 하더라도 여전히 통전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통전검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JP2008-209198A(선행문헌)에 개시된 회전 검출 센서에서 센서IC의 리드 단자와 릴레이 터미널 사이의 용접 구조를 보면, 선행문헌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단자 또는 릴레이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에 접점돌기를 구비하여 양자의 접점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두 단자를 용접과 무관하게 항상 접촉시키는 구조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통전검사를 통해 두 단자 부품간의 용접 불량 유무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는, 변속기의 입력축이나 출력축의 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연장되어 구비되는 리드 단자, 및 상기 리드 단자의 단부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구비되고 용접부에 의해 상기 리드 단자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릴레이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터미널은 제1수직부와 수평부 및 제2수직부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부가 상기 리드 단자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는 터미널홀더에 매립되고, 상기 수평부는 터미널홀더의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홀IC이고, 상기 홀IC의 동작을 위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을 구비한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터미널과 리드 단자가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상기 터미널홀더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터미널홀더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된 상기 릴레이 터미널과 리드 단자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릴레이 터미널을 인서트하여 상기 터미널홀더를 사출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터미널홀더에 상기 릴레이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와 리드 단자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접단계에서 용접된 릴레이 터미널과 리드 단자의 통전여부를 검사하여 용접불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검사단계에서는 상기 릴레이 터미널과 리드 단자가 통전되지 않는 경우 용접불량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에 의하면, 변속기 스피드센서의 리드 단자와 릴레이 터미널을 용접시 두 부품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용접한 후 통전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용접 불량 유무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제조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피드센서와 터미널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는, 변속기의 입력축이나 출력축의 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11), 상기 센서부(11)에 연장되어 구비되는 리드 단자(12), 상기 리드 단자(12)의 단부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구비되는 릴레이 터미널(20), 및 상기 리드 단자(12)와 릴레이 터미널(20)이 고정결합되는 터미널홀더(4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1)는 홀IC로 3개의 홀 프로브를 가지고 변속기의 입력축이나 출력축의 타겟기어의 속도와 방향을 감지한다. 상기 홀IC의 동작을 위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15)이 센서부(11)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11)는 리드 단자(12)를 통해 릴레이 터미널(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릴레이 터미널(20)은 외부터미널(도면미도시)과 케이블 및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센서부(11)로부터 검출되는 센서신호를 제어유닛(ECU 또는 TCU)으로 송출한다.
상기 리드 단자(12)는 상기 센서부(11)로부터 연장되고 그 단부가 릴레이 터미널(20)과 인접하게 된다. 상기 릴레이 터미널(20)은 용접부(30)에 의해 상기 리드 단자(12)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릴레이 터미널(20)의 단부는 제1수직부(21)와 수평부(22) 및 제2수직부(23)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제1수직부(21)와 제2수직부(23)는 터미널홀더(40)에 매립된다. 상기 수평부(22)는 터미널홀더(40)의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리드 단자(12)와 평행하게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홀더(40)는 상기 센서부(11)와 리드 단자(12) 및 릴레이 터미널(20)을 고정하되, 상기 리드 단자(12)와 릴레이 터미널(20)의 수평부(22)가 소정의 간극(d)을 두고 이격되게 고정지지한다.
상기 릴레이 터미널(20)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터미널홀더(40)에 매립되어 고정되고, 상기 센서부(11)와 리드 단자(12)는 상기 터미널홀더(4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홀더(40)는 상기 센서부(11)를 수용하는 센서결합홈(41)을 구비하고 상기 리드 단자(12)를 고정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돌기(42)와 고정돌기(4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드 단자(12)는 상기 센서부(11)에 엘보우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절곡부에 상기 터미널홀더(40)의 결합돌기(42)가 끼워지는 단자결합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홀더(40)에 릴레이 터미널(20)이 매립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11)가 센서결합홈(41)에 삽입되고 상기 터미널홀더(40)의 결합돌기(42)가 단자결합홈(13)에 끼워지는 한편 상기 리드 단자(12)기 고정돌기(43)들의 사이에 안착되도록 상기 센서부(11)와 리드 단자(12)가 터미널홀더(40)에 결합되면 상기 릴레이 터미널(20)의 수평부(22)와 리드 단자(12)의 단부 사이에 소정의 간극(d)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부(22)와 리드 단자(12)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 상태에서 용접을 하게 되면 상기 수평부(22)와 리드 단자(12)의 간극(d)에 용접부(30)가 형성되고, 용접부(30)에 의해 두 부품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용접부(30)가 상기 수평부(22)와 리드 단자(12)를 서로 접속되게 제대로 용접된 경우에는 두 부품이 통전되고, 만약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상기 수평부(22)와 리드 단자(12)가 서로 통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릴레이 터미널과 리드 단자(12)간의 통전검사를 통해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제조방법은, 상기 릴레이 터미널(20)을 인서트하여 상기 터미널홀더(40)를 사출성형하는 단계(S10), 상기 센서부(11)와 리드 단자(12)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단계(S20), 상기 릴레이 터미널(20)과 리드 단자(12)를 용접하는 단계(S30), 및 상기 용접단계(S30)에서 용접된 릴레이 터미널(20)과 리드 단자(12)의 용접불량을 판단하는 검사단계(S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센서부(11)와 리드 단자(12)를 제조하고 상기 릴레이 터미널(20)을 별개로 제조한 후 사출성형을 수행한다.
상기 사출성형단계(S10)에서는 기 제조된 릴레이 터미널(20)을 사출금형에 삽입하여 사출성형한다.
상기 사출성형단계(S10)에서 터미널홀더(40)를 사출성형한 후에는, 상기 센서부(11)와 리드 단자(12)를 터미널홀더(40)에 결합한다(S20). 이때 상기 센서부(11)가 센서결합홈(41)에 삽입되고 상기 터미널홀더(40)의 결합돌기(42)가 단자결합홈(13)에 끼워지는 한편 상기 리드 단자(12)기 고정돌기(43)들의 사이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부(11)와 리드 단자(12)가 터미널홀더(40)에 결합되면 상기 리드 단자(12)의 단부와 릴레이 터미널(20)의 수평부(22)가 소정의 간극(d)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릴레이 터미널(20)만 인서트하여 터미널홀더(40)를 사출성형하고 상기 센서부(11)와 리드 단자(12)를 별도로 조립하고 있으나, 상기 센서부(11)나 리드 단자(12)의 일부를 릴레이 터미널(20)과 함께 터미널홀더(40)에 인서트 사출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 결합단계(S20)를 통해 상기 릴레이 터미널(20)과 리드 단자(12)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결합되면 두 부품을 용접하여 통전시킨다(S30).
상기 용접단계(S30)에서는 상기 릴레이 터미널(20)과 리드 단자(12)의 간극(d)에 용접부(30)를 형성함으로써 두 부품이 서로 통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접단계(S30)에서는 용접방법으로 레이저 용접을 채택할 수 있고 이외에도 두 단자를 용접할 수 있는 용접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용접공정(S30)이 완료되면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검사하게 된다(S40).
상기 검사단계(S40)에서는 상기 릴레이 터미널(20)과 리드 단자(12)의 통전여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상기 릴레이 터미널(20)과 리드 단자(12)가 통전되지 않는 경우 용접불량인 것으로 판단하고, 두 부품이 통전되면 용접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상기 릴레이 터미널(20)과 리드 단자(12) 사이의 간극(d)을 인위적으로 만든 후 용접을 함으로써 두 부품간의 간단한 통전검사만으로 용접불량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제조시의 부품하자를 조기에 찾아내어부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 : 센서부
12 : 리드 단자
13 : 단자결합홈
15 : 마그넷
20 : 릴레이 터미널
21 : 제1수직부
22 : 수평부
23 : 제2수직부
30 : 용접부
40 : 터미널홀더
41 : 센서결합홈
42 : 결합돌기
43 : 고정돌기

Claims (9)

  1. 변속기의 입력축이나 출력축의 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연장되어 구비되는 리드 단자;
    상기 리드 단자의 단부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구비되고, 용접부에 의해 상기 리드 단자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릴레이 터미널;
    상기 리드 단자와 릴레이 터미널을 고정지지하는 터미널홀더;
    상기 릴레이 터미널은 상기 리드 단자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홀더의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터미널홀더에 매립되도록 구비된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홀IC이고, 상기 홀IC의 동작을 위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5. 제1항의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터미널과 리드 단자가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상기 터미널홀더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터미널홀더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된 상기 릴레이 터미널과 리드 단자를 용접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홀더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된 상기 릴레이 터미널과 리드 단자를 용접하는 단계에서 용접된 릴레이 터미널과 리드 단자의 통전여부를 검사하여 용접불량을 판단하는 단계; 및
    용접된 릴레이 터미널과 리드 단자의 통전여부를 검사하여 용접불량을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릴레이 터미널과 리드 단자가 통전되지 않는 경우 용접불량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터미널과 리드 단자가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상기 터미널홀더에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릴레이 터미널을 인서트하여 상기 터미널홀더를 사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터미널과 리드 단자가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상기 터미널홀더에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터미널홀더에 상기 릴레이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와 리드 단자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50170145A 2015-12-01 2015-12-01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54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145A KR101754499B1 (ko) 2015-12-01 2015-12-01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145A KR101754499B1 (ko) 2015-12-01 2015-12-01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384A KR20170064384A (ko) 2017-06-09
KR101754499B1 true KR101754499B1 (ko) 2017-07-05

Family

ID=5921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145A KR101754499B1 (ko) 2015-12-01 2015-12-01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4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795B1 (ko) 2017-09-21 2017-12-08 김찬회 단자대 불량방지용 서브프레스와 연동식 절연 검사기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 시스템
KR102318599B1 (ko) * 2020-11-27 2021-10-28 주식회사 케이엠에프 휠 베어링 센서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587A (ja) * 2001-03-01 2002-09-11 Calsonic Kansei Corp 回転センサ
JP2012002242A (ja) * 2010-06-14 2012-01-05 Denso Corp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587A (ja) * 2001-03-01 2002-09-11 Calsonic Kansei Corp 回転センサ
JP2012002242A (ja) * 2010-06-14 2012-01-05 Denso Corp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795B1 (ko) 2017-09-21 2017-12-08 김찬회 단자대 불량방지용 서브프레스와 연동식 절연 검사기가 구비된 인서트 사출 시스템
KR102318599B1 (ko) * 2020-11-27 2021-10-28 주식회사 케이엠에프 휠 베어링 센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384A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499B1 (ko)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H1152001A (ja) コネクタ検査装置の検査部
KR102059633B1 (ko) 특수 차량용 와이어링 하네스의 불량 검사 장치 및 방법
CN102288205B (zh) 旋转传感器
CN104792785A (zh) 用于焊接部的图像检查装置和图像检查方法
KR101996451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검사 장치
US10447118B2 (en) Motor apparatus
JP4539530B2 (ja) モータ絶縁検査装置
KR102021084B1 (ko) 피검사체의 단자부 테스트 장치
JP3804432B2 (ja) 検査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検査装置
US200701089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failure of fuel level sensors
JP2009012140A (ja) 組立体検査装置及び組立体検査方法
KR20120124378A (ko) 전자기기용 하네스 케이블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JP5531970B2 (ja) シールプレート検査方法
JP4069321B2 (ja) 端子の挿入量検査装置
CN111578805B (zh) 一种音叉端子检测装置
JP2007192624A (ja) コイル検査システムおよびコイル検査方法
KR101636292B1 (ko) 검사장치
CN208569060U (zh) O型圈检测装置
KR20120047581A (ko) 탭 단자 형태의 테스트 핀부재를 구비한 자동차용 정션박스
JP6882334B2 (ja) プラグ接触子組立体の係合検査用のプラグ接触子組立体及び方法
US20160059800A1 (en) Air Set Device
KR102187079B1 (ko) 단자 삽입 검사지그
JP2008273034A (ja) 樹脂溶着品の製造方法
WO2017203978A1 (ja) 端子検査装置及び端子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