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485B1 - 자전거 거치대 - Google Patents

자전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485B1
KR101754485B1 KR1020150138863A KR20150138863A KR101754485B1 KR 101754485 B1 KR101754485 B1 KR 101754485B1 KR 1020150138863 A KR1020150138863 A KR 1020150138863A KR 20150138863 A KR20150138863 A KR 20150138863A KR 101754485 B1 KR101754485 B1 KR 101754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wheel
frame
lower frame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399A (ko
Inventor
김문길
Original Assignee
김문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길 filed Critical 김문길
Priority to KR1020150138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485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2Hanging-up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자전거를 적재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한 차량용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하부바퀴안착고리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과 직교되게 결합되고 복수개의 상부바퀴안착고리가 구비된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된 승하강부재; 그리고, 상기 바퀴안착고리에 구비된 고무패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승하강부재를 이용하여 하부 프레임이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자전거 거치대를 상승시킴으로써 적재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거치대 {Bike Holder}
본 발명은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자전거를 적재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한 차량용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환경문제나 교통문제 및 건강등의 이유로 인하여 자전거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활동을 하는 동호회가 생겨나고 도시의 광역화, 확산화로 인하여 원정라이딩을 즐기는 목적으로 동호회 및 일반인 대상의 라이딩 대회 혹은 해외로 원정을 나가는 원정 라이딩 동호회까지 그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자전거의 증가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자전거와 조립시부터 정밀한 교정을 요하는 자전거가 등장하면서 자전거를 운송할 때 분해와 조립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장거리 이동을 요하는 동호회 및 대회참가를 위해서 많은 량의 자전거를 트럭으로 운송할 경우 자전거의 파손 및 교정불량이 발생한다.
종래에 사용되는 자전거 거치장치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거치대들을 자전거가 각각 거치되도록 구성된다.
거치대를 늘릴수록 거치할 수 있는 자전거의 수는 늘어나지만 거치대의 간격이 좁아져 거치대에 거치되는 자전거들은 서로 인접한 핸들이나 패달에 의해 이동간 충격이 발생하여 잔기스가 발생된다.
또한, 자전거의 승차순서와 반대로 자전거를 하차시켜야 하므로 중간에 위치한 자전거를 하차시키기 위한 불편함과 트럭의 적재공간 활용성 면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 실용실안 제 045529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하부프레임에 구비된 바퀴안착고리를 이용하여 자전거가 나란히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자전거를 손상없이 적재 및 운반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하강부재를 이용하여 하부 프레임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자전거 거치대를 상승시켜 적재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하부바퀴안착고리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평행되게 결합되고 복수개의 상부바퀴안착고리가 구비된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된 승하강부재; 그리고,
상기 바퀴안착고리에 구비된 고무패드;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복수개의 높이조절공이 구비된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높이조절공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양쪽 내부에 구비된 걸린편과 상기 상부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편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바퀴안착고리는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각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재는 유압실린더 또는 승강자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패드는 상부 및 하부 바퀴안착고리에 걸림되도록 복수개의 바퀴고정공이 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용 자전거 거치대는 자전거를 프레임에 안착시켜 자전거를 적재할 수 있어 1대의 트럭으로 이동하는 자전거의 수가 늘어남으로써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바퀴안착고리에 구비된 고무패드가 체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송간충격으로 인한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의 상하부프레임을 보인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의 상하부프레임을 보인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보인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는 하부프레임(100)과 상부프레임(200), 승하강부재(300), 고무패드(400)로 구성된다.
하부프레임(100)은 복수개의 각형 또는 원형 파이프 선단부를 용접 등을 통해 연결하여 사각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100)에는 복수개의 하부바퀴안착고리(110)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부프레임(200)은 하부프레임(100)과 평행되게 결합되고 상부프레임(200) 양측면에는 상부바퀴안착고리(210)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부프레임(200)에 이격 설치되는 상부바퀴안착고리(210)는 상부프레임(200)을 기준으로 측에 교번되게 설치된다.
이때, 하부프레임(100) 및 상부프레임(200)에 설치된 바퀴안착고리(110,210)는 자전거 타이어가 안착되도록 곡선형 안착부를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바퀴안착고리(110,210)는 하부프레임을 중심으로 수직축선상에 서로 다른 방향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부바퀴안착고리(210)와 하부바퀴안착고리(110)에 거치된 자전거 바퀴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게 된다.
이는 다수의 자전거를 일자형으로 거치할 경우 발생되는 자전거 핸들이 다른 자전거 핸들과 밀착되어 거치 및 해제시 발생하는 자전거 핸들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핸들에는 기어를 제어하기 위한 기어선과 제동을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선이 구비된다.
또한, 일자형으로 다수의 자전거를 거치하는 자전거 거치대의 경우 밀착된 다른 자전거 핸들이 한쪽으로 중첩되어 자전거를 거치하거나 해제할 때 다른 자전거 핸들에 구비된 기어선이나 브레이크선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부바퀴안착고리(210)와 하부바퀴안착고리(110)에 안착된 자전거 바퀴는 일정한 각도를 가짐으로써 자전거 핸들 중첩에 따른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프레임(200)에는 걸림편(201)과 복수개의 높이조절공이 구비된 높이조절부(220)가 구비된다.
걸림편(201)은 상부프레임(200) 양끝단에 설치되며 높이조절부(220)에 구비된 높이조절공과 결합 및 해제되어 상부프레임(2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걸림편(201)에는 높이조절부(220)와 결합 및 해제되도록 걸림편(20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02)이 구비된다.
이는 거치된 자전거 바퀴사이즈 차이에 따른 높이를 조절하여 거치된 자전거 바퀴를 고정시킴으로써 운송간 발생하는 자전거 바퀴의 휨현상과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승하강부재(300)는 하부프레임(100)의 양쪽 단에 결합된다.
이때, 승하강부재(300)는 자전거 거치가 완료된 자전거 거치대의 하부프레임(100)을 상승 및 하강시킨다.
이는 협소한 적재 칸에 승하강부재(300)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적재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트럭 적재 칸에 적재되는 자전거 거치대는 상부프레임(200)을 중심으로 양쪽에 교번되게 거치된다.
이로인해 양측에 거치된 자전거는 불필요한 길이를 가지게 되어 적재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승하강부재(300)를 구비하여 거치대의 상승에 따른 불필요한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승하강부재(300)는 유압실린더 또는 승강자키로 구비될 수 있다.
고무패드(400)는 상부 및 하부바퀴안착고리(210,110)의 일면에 구비된다.
이때, 고무패드(400)는 복수개의 바퀴고정공(410)이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바퀴안착고리(210,110)에 안착된 자전거 바퀴의 휠을 관통하여 상부 및 하부바퀴안착고리(210,110)의 반대면에 걸림되게 된다.
고무패드(400)는 탄성력을 가진 부재로 일반적인 고무소재로 사용되며, 고정력을 갖기 위한 고무패드(400)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걸림된 고무패드(400)는 탄성력에 의해 상부 및 하부바퀴안착고리(210,110)에 안착된 걸림되어 자전거 바퀴를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재용 자전거 거치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전거들을 차량의 적재칸에 승차시키는 경우, 작업자는 자전거 바퀴를 하부프레임(100)에 구비된 하부바퀴안착고리(110)의 안착부에 안착시킨다.
이때, 하부바퀴안착고리(110)의 일면에 구비된 고무패드(400)는 안착된 자전거 바퀴의 휠사이로 관통되어 하부바퀴안착고리(110)의 반대면에 걸림된다.
이후, 하부프레임(100)에 설치된 두번째 하부바퀴안착고리(110)에 다른 자전거 바퀴를 안착시킨다.
이때, 두번째 하부바퀴안착고리(110)에 거치되는 자전거는 여유있게 이격된 상태이므로 자전거 핸들의 중첩없이 자전거를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나머지 하부바퀴안착고리(110)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자전거를 거치시킨다.
이후, 하부바퀴안착고리(110)에 자전거의 거치가 완료되면 상부프레임(200)에 구비된 걸림편(201)을 제거하여 상부바퀴안착고리(210)가 하부프레임(100)에 고정된 바퀴상단에 상부프레임(200)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부프레임(200)에 안착된 자전거 바퀴를 확인하고 상부프레임(200)에 구비된 걸림편(201)을 높이조절부(220)에 결합시킨다.
이후 상부바퀴안착고리(210)의 일면에 구비된 고무패드(400)를 이용한 하부바퀴안착고리 고정방법과 동일하게 자전거 바퀴를 고정시킨다.
이후 거치가 완료된 자전거는 하부프레임(100)에 결합된 승하강부재(300)에 의해 상승시켜 높이 상승에 따른 자전거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게 되어 적재공간의 효율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운송이 완료된 자전거 거치대는 승하강부재(300)의 하강부터 작용의 역순으로 진행하여 거치를 해제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는 1대의 트럭으로 이동하는 자전거의 수가 늘어남으로써 적재공간 확보 및 그에 따른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바퀴안착고리에 구비된 고무패드가 체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송간충격으로 인한 자전거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자전거 거치대
100 : 하부프레임
110 : 하부바퀴안착고리
200 : 상부프레임
201 : 걸림편
202 : 스프링
210 : 상부바퀴안착고리
220 : 높이조절부
300 : 승하강부재
400 : 고무패드

Claims (6)

  1. 복수개의 하부바퀴안착고리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과 평행되게 결합되고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상부바퀴안착고리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하되 상부프레임(200)을 기준으로 양측에 교번되게 설치된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된 유압실린더 또는 승강자키 중 어느 하나인 승하강부재; 그리고,
    상부 및 하부 바퀴안착고리에 걸림되도록 복수개의 바퀴고정공이 천공되어 상기 바퀴안착고리에 구비된 고무패드; 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복수개의 높이조절공이 구비된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높이조절공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양쪽 내부에 구비된 걸림편과 상기 상부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편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바퀴안착고리는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각을 갖도록 설치되는 적재용 자전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38863A 2015-10-02 2015-10-02 자전거 거치대 KR101754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863A KR101754485B1 (ko) 2015-10-02 2015-10-02 자전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863A KR101754485B1 (ko) 2015-10-02 2015-10-02 자전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399A KR20170040399A (ko) 2017-04-13
KR101754485B1 true KR101754485B1 (ko) 2017-07-06

Family

ID=58579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863A KR101754485B1 (ko) 2015-10-02 2015-10-02 자전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4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167Y1 (ko) * 2003-02-05 2003-07-16 박현수 길이 조정 발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292B1 (ko) 2001-12-29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밝기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167Y1 (ko) * 2003-02-05 2003-07-16 박현수 길이 조정 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399A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23171A1 (en) Engine stand with rear mount support
JP3159376U (ja) 運搬用台車および運搬用台車用のアタッチメント
KR101754485B1 (ko) 자전거 거치대
JP2011130756A (ja) ビニールハウス内運搬器具。
CN102950985A (zh) 重型载货汽车后悬架钢板弹簧与后桥组装工艺设备
KR20130137280A (ko) 자동차 엔진 리프트 장치
US9045000B1 (en) Tire changing apparatus
JP2009280183A (ja) バイク用駐輪台
US7469867B2 (en) Wall-mountable support bracket for a component unit of a base station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and method of hoisting the component unit
KR20130006534U (ko) 지게차 포크 부착형 지그
CN110857211B (zh) 带伸缩轮的升降机底座
JP2017104211A (ja) 車両用親綱支持装置
CN217022606U (zh) 一种用于小型机械设备的转运工装
CN202781124U (zh) 一种周转器具车
CN205022717U (zh) 一种备胎升降器的托架
CN211166959U (zh) 一种罐体转运车
JP201112431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装置
CN214356075U (zh) 一种建筑手推车
CN215701324U (zh) 缸体安装设备
KR20120126901A (ko) 가스통 운반 기구
CN211166961U (zh) 一种适用于多种环境的搬运小车
CN219971595U (zh) 后处理器吊具
CN208181095U (zh) 条形板材搬运车
CN208916720U (zh) 一种自动升降台车
CN210792967U (zh) 一种用于油气运输的油罐限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