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794B1 - 용접기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용접기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794B1
KR101753794B1 KR1020160167257A KR20160167257A KR101753794B1 KR 101753794 B1 KR101753794 B1 KR 101753794B1 KR 1020160167257 A KR1020160167257 A KR 1020160167257A KR 20160167257 A KR20160167257 A KR 20160167257A KR 101753794 B1 KR101753794 B1 KR 101753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blocks
transformer
block
dio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
Original Assignee
태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7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23K11/241Electric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5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는, 유로가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쿨링 블록;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의 사이사이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정류하는 복수의 다이오드; 및 상기 각각의 유로와 연결되도록 제1, 2 커먼 유로가 형성되어 냉각수가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 모두를 순환하도록 하는 커먼 블록(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는, 인버터 저항 용접기에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정류한다.

Description

용접기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 {Diode assembly for welding transformer}
본 발명은 인버터 저항 용접기에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정류하도록 하는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버터 저항 용접기는 직류 전류를 이용하여 용접한다. 한편, 상용 전류는 교류 전류로 제공될 수 있고,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전환하기 위하여 다이오드 어셈블리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저항 용접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좀 더 높은 전압이 요구될 수 있다. 전류의 승압은 트랜스포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인버터 저항 용접기의 성능을 양호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상용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안정적으로 정류하고,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전압으로 승압 하여야 한다. 그리고 높은 전압을 안정되게 구현하기 위하여 정류 과정이 안정되어야 한다.
한편으로, 다이오드 어셈블리에 의해 교류 전류가 직류 전류로 정류되는 과정에서 다이오드에 열이 발생하고, 과열되는 경우에 인버터 저항 용접기의 성능이 불안정하거나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종래에는 인버터 저항 용접기의 성능을 양호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높은 전압의 전류를 출력하는 경우에 요구되는 전류의 용량만큼 다이오드 어셈블리의 외형 크기가 대단히 크게, 예를 들면, 50cm 내지 100cm 정도의 크기로 제공되어 점유 공간을 넓게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다이오드 어셈블리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물을 끼얹거나 송풍기를 강하게 틀어서 냉각시키는 경우가 있었고, 이러한 방안은 매우 불안정하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7027호(2014.12.2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6186호(2009.06.29.)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를 대용량의 전류를 정류할 수 있으면서도 외형의 크기는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안정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는, 유로가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쿨링 블록;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의 사이사이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정류하는 복수의 다이오드; 및 상기 각각의 유로와 연결되도록 제1, 2 커먼 유로가 형성되어 냉각수가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 모두를 순환하도록 하는 커먼 블록(18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과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는 직렬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쿨링 블록의 양쪽 외측에 각각 배치된 제1, 2 가드 블록(112, 114); 상기 제1, 2 가드 블록(112, 114)과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이 관통되는 볼트 샤프트(220); 및 상기 볼트 샤프트(220)의 양쪽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제1, 2 가드 블록(112, 114)과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이 밀착되도록 하는 너트(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는, 상기 볼트 샤프트(220)의 외주에 씌워져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 간에 절연되도록 하는 절연 파이프(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는,상기 제1, 2 가드 블록(112, 114)에 각각 형성된 제1, 2 포켓(116a, 116b); 및 상기 제1, 2 포켓(116a, 116b)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2 가드 블록(112, 114)과 쿨링 블록을 벌리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제1, 2 스프링 유닛(231, 2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은 제1 내지 제6 쿨링 블록(131 ~ 136)이고,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는 제1 내지 제4 다이오드(171 ~ 174)이며, 상기 제1 가드 블록(112), 제1 절연 패드(122), 제1 쿨링 블록(131), 제1 다이오드(171), 제2 쿨링 블록(132), 제2 다이오드(172), 제3 쿨링 블록(133), 제2 절연 패드(123), 제4 쿨링 블록(134), 제3 다이오드(173), 제5 쿨링 블록(135), 제4 다이오드(174), 제6 쿨링 블록(136), 제3 절연 패드(124) 및 제2 가드 블록(114)의 순서로 배열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는 복수의 다이오드와 복수의 냉각 블록을 교대로 밀착시켜 구성하고, 냉각수가 복수의 냉각 블록을 순환하여 흐르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다이오드를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는, 다이오드와 쿨링 블록이 직접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냉각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다이오드 어셈블리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안정적으로 소망하는 대용량의 직류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직렬로 연달아 배치함으로써 짜임새가 있고, 이로써 다이오드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외형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가 변압기 조립체와 조립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10)는, 복수의 쿨링 블록, 복수의 다이오드 및 커먼 블록(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131 ~ 136)은 각각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냉각수가 진입 되는 유입구와 냉각수가 진출되는 배출구의 방향이 동일한 방향에 형성되거나,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171 ~ 174)는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131 ~ 136)의 사이사이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고,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정류할 수 있다.
상기 커먼 블록(180)은 제1, 2 커먼 유로(181, 18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2 커먼 유로(181, 182)는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131 ~ 136)에 각각 형성된 유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냉각수가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131 ~ 136) 모두를 순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10)는 복수의 다이오드와 복수의 냉각 블록을 교대로 밀착시켜 구성하고, 냉각수가 복수의 냉각 블록을 순환하여 흐르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다이오드를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10)는, 다이오드와 쿨링 블록이 직접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냉각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다이오드 어셈블리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안정적으로 소망하는 대용량의 직류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10)는,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과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는 직렬로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복수의 쿨링 블록과 복수의 다이오드를 짜임새가 있게 배치하여 다이오드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외형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10)는, 제1, 2 가드 블록(112, 114), 볼트 샤프트(220) 및 너트(2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가드 블록(112, 114)은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쿨링 블록의 양쪽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트 샤프트(220)는 상기 제1, 2 가드 블록(112, 114)과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이 관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 2 가드 블록(112, 114)에 각각 제1 체결 홀(118)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131 ~ 136)에는 각각 제3 내지 8 체결 홀(151 ~ 15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볼트 샤프트(220)는 상기 제1 체결홀(118)과 상기 제3 내지 8 체결 홀(151 ~ 156)으로 관통될 수 있다.
상기 너트(224)는 상기 볼트 샤프트(220)의 양쪽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10)는, 상기 제1, 2 가드 블록(112, 114)과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이 밀착되도록 조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볼트 샤프트(220)를 복수로 구비하고, 복수의 너트(224)를 조일 때에 균일한 압력으로 조임으로써 각각의 다이오드와 쿨링 블록은 균일한 압력으로 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10)는, 상기 볼트 샤프트(220)의 외주에 씌워지도록 절연 파이프(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파이프(222)는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 간에 절연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10)는, 상기 제1, 2 가드 블록(112, 114)에 각각 제1, 2 포켓(116a, 116b)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2 포켓(116a, 116b)에 각각 제1, 2 스프링 유닛(231, 2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 유닛(231)은 상기 제1 가드 블록(112)과 쿨링 블록을 벌리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스프링 유닛(232)는 상기 제2 가드 블록(114)과 쿨링 블록을 벌리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스프링 유닛(231, 232)은 외력이 작용되면 그러한 외력에 의하여 수축될 수 있다. 이에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의 다이오드(171 ~ 174)에서 발열 될 수 있고, 그러한 발열에 의하여 다이오드 어셈블리(10)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길이 변화를 상기 제1, 2 스프링 유닛(231, 232)의 수축 변형에 의하여 수용되어 다이오드 어셈블리(10)의 전체적인 외형은 뒤틀리거나 임의로 변형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가드 블록(112, 114)에는 에어 홀(117)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홀(117)은 유체가 상기 제1, 2 가드 블록(112, 114)의 내외로 자유롭게 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1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은 제1 내지 제6 쿨링 블록(131 ~ 13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는 제1 내지 제4 다이오드(171 ~ 174)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10)는, 상기 제1 가드 블록(112), 제1 절연 패드(122), 제1 쿨링 블록(131), 제1 다이오드(171), 제2 쿨링 블록(132), 제2 다이오드(172), 제3 쿨링 블록(133), 제2 절연 패드(123), 제4 쿨링 블록(134), 제3 다이오드(173), 제5 쿨링 블록(135), 제4 다이오드(174), 제6 쿨링 블록(136), 제3 절연 패드(124) 및 제2 가드 블록(114)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패드(122)는 상기 제1 가드 블록(112)과 상기 제1 쿨링 블록(131) 간에 전류가 통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 절연 패드(123)는 상기 제3 쿨링 블록(133)과 상기 제4 쿨링 블록(134) 간에 전류가 통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3 절연 패드(124)는 상기 제6 가드 블록(136)과 상기 제2 가드 블록(114) 간에 전류가 통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2, 3 절연 패드(122, 123, 124)에는 각각 제2 체결 홀(12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체결 홀(125)을 통하여 상기 볼트 샤프트(220)와 상기 절연 파이프(222)가 관통될 수 있다.
제1 쿨링 블록(131)에는 제1 유로(141)가 형성될 수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유로(141)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상기 커먼 블록(180)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쿨링 블록(132)에는 제2 유로(142)가 형성될 수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유로(142)는 유입구가 측면에 형성되고 배출구가 상기 커먼 블록(180)을 대면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쿨링 블록(133)에는 제3 유로(143)가 형성될 수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3 유로(143)는 유입구가 커먼 블록(180)을 대면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배출구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쿨링 블록(134)에는 제4 유로(144)가 형성될 수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4 유로(164)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상기 커먼 블록(180)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 쿨링 블록(135)에는 제5 유로(145)가 형성될 수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5 유로(145)는 유입구가 측면에 형성되고 배출구가 상기 커먼 블록(180)을 대면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6 쿨링 블록(136)에는 제6 유로(144)가 형성될 수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6 유로(166)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상기 커먼 블록(180)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먼 블록(18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먼 유로(181)에 제1, 5, 7, 8 포트(191, 195, 197, 198)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커먼 유로(182)에 제2, 3, 4, 6, 9 포트(192, 193, 194, 196, 19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쿨링 블록(131)의 제1 유로(141)의 배출구와 유입구는 상기 제1, 2 포트(191, 19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쿨링 블록(132)의 제2 유로(142)는 상기 제3 포트(19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쿨링 블록(133)의 제3 유로(143)는 상기 제4 포트(19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쿨링 블록(134)의 제4 유로(144)의 유입구와 배출구는 상기 제5, 6 포트(195, 196)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5 쿨링 블록(135)의 제5 유로(145)는 상기 제7 포트(197)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6 쿨링 블록(136)의 제6 유로(144)의 유입구와 배출구는 상기 제8, 9 포트(198, 199)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6 쿨링 블록(131 ~ 136)에는 각각 제1 내지 제6 탭(161 ~ 166)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커먼 블록(180)에는 상기 제1 내지 6 탭(161 ~ 166)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8 내지 제13 체결 홀(201 ~ 206)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6 볼트(211 ~ 216)에 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6 쿨링 블록(131 ~ 136)과 상기 커먼 블록(180)이 조립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10)이 변압기 조립체(300)에 조립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가 변압기 조립체와 조립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10)는 변압기 조립체(300)의 한쪽에 배치될 수 있고, 변압기 조립체(300)의 외측에는 복수의 쿨링 블록(3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쿨링 블록(310)은 제1 내지 제6 쿨링 블록(131 ~ 136)과 연통되어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10)는, 변압기 조립체(300)와 직접적으로 조립됨으로써 직류 전류를 곧바로 변압기 조립체에 제공할 수 있고, 전류의 이동거리가 짧아 저항으로 인한 전기 에너지 손실을 낮출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는 인버터 저항 용접기에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정류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다이오드 어셈블리
112, 114: 제1, 2 가드 블록 116a, 116b: 제1, 2 포켓
117: 에어 홀 118: 제1 체결 홀
122, 123, 124: 제1 내지 3 절연 패드
125: 제2 체결 홀
131 ~ 136: 제1 내지 6 쿨링 블록
141 ~ 146: 제1 내지 6 유로
151 ~ 156: 제3 내지 8 체결 홀
161 ~ 166: 제1 내지 6 탭
171 ~ 174: 제1 내지 4 다이오드
180: 커먼 블록 181, 182: 제1, 2 커먼 유로
191 ~ 199: 제1 내지 9 포트
201 ~ 206: 제8 내지 13 체결 홀
211 ~ 216: 제1 내지 6 볼트
220: 볼트 샤프트 222: 절연 파이프
224: 너트
231, 232: 제1, 2 스프링 유닛
300: 변압기 조립체 310: 쿨링 블록

Claims (6)

  1. 유로가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쿨링 블록;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의 사이사이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정류하는 복수의 다이오드;
    상기 각각의 유로와 연결되도록 제1, 2 커먼 유로가 형성되어 냉각수가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 모두를 순환하도록 하는 커먼 블록(180);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쿨링 블록의 양쪽 외측에 각각 배치된 제1, 2 가드 블록(112, 114);
    상기 제1, 2 가드 블록(112, 114)과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이 관통되는 볼트 샤프트(220);
    상기 볼트 샤프트(220)의 양쪽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제1, 2 가드 블록(112, 114)과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이 밀착되도록 하는 너트(224);
    상기 제1, 2 가드 블록(112, 114)에 각각 형성된 제1, 2 포켓(116a, 116b); 및
    상기 제1, 2 포켓(116a, 116b)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2 가드 블록(112, 114)과 쿨링 블록을 벌리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제1, 2 스프링 유닛(231, 232);
    을 포함하는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과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는 직렬로 배치되는 것
    을 포함하는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샤프트(220)의 외주에 씌워져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 간에 절연되도록 하는 절연 파이프(222);
    를 더 포함하는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쿨링 블록은 제1 내지 제6 쿨링 블록(131 ~ 136)이고,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는 제1 내지 제4 다이오드(171 ~ 174)이며,
    상기 제1 가드 블록(112), 제1 절연 패드(122), 제1 쿨링 블록(131), 제1 다이오드(171), 제2 쿨링 블록(132), 제2 다이오드(172), 제3 쿨링 블록(133), 제2 절연 패드(123), 제4 쿨링 블록(134), 제3 다이오드(173), 제5 쿨링 블록(135), 제4 다이오드(174), 제6 쿨링 블록(136), 제3 절연 패드(124) 및 제2 가드 블록(114)의 순서로 배열되는 것
    을 포함하는 용접기의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
KR1020160167257A 2016-12-09 2016-12-09 용접기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 KR101753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257A KR101753794B1 (ko) 2016-12-09 2016-12-09 용접기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257A KR101753794B1 (ko) 2016-12-09 2016-12-09 용접기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794B1 true KR101753794B1 (ko) 2017-07-04

Family

ID=5935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257A KR101753794B1 (ko) 2016-12-09 2016-12-09 용접기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7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4699A (ja) * 2011-02-17 2012-09-10 Koyo Giken:Kk 溶接トランス
JP7115205B2 (ja) * 2018-10-10 2022-08-09 株式会社デンソー 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4699A (ja) * 2011-02-17 2012-09-10 Koyo Giken:Kk 溶接トランス
JP7115205B2 (ja) * 2018-10-10 2022-08-09 株式会社デンソー 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5724B2 (en) Heat exchangers for dual-sided cooling
CN106059257B (zh) 冷却式功率转换组件
JP6423890B2 (ja) 電池モジュール
US20220178627A1 (en) Multi-channel high-efficiency heat dissipation water-cooling radiator
US9955613B2 (en) Cooler and power electronic module having the same
US9521781B2 (en) Power component device
KR101753794B1 (ko) 용접기 변압기용 다이오드 어셈블리
CN105990946B (zh) 具双重冷却流道的电机外壳组件
CN107134877B (zh) 电机、电动汽车
US10462941B2 (en) Heat sink assembly
US20150003014A1 (en) Electric apparatus
JP6666083B2 (ja) 伝熱板
JP5225759B2 (ja) 機器冷却装置
CN206959636U (zh) 一种低热阻的波纹板散热器单元
CN203369018U (zh) 多件式水冷散热器结构
CN209804643U (zh) 一种晶闸管集成散热装置
US4460956A (en) Rectifying device
JP5468690B2 (ja) 機器冷却装置
KR101716143B1 (ko)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
CN207217508U (zh) 一种汽车整流桥用散热装置
JP2019160849A (ja) 液冷ヒートシンク
JP6317306B2 (ja) 水冷鉄心
KR101926638B1 (ko) 대전력 반도체소자용 수냉식 냉각장치
US11412637B2 (en) Apparatus for conducting heat
CN219145946U (zh) 散热器、空调变频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