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143B1 -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 - Google Patents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143B1
KR101716143B1 KR1020160173904A KR20160173904A KR101716143B1 KR 101716143 B1 KR101716143 B1 KR 101716143B1 KR 1020160173904 A KR1020160173904 A KR 1020160173904A KR 20160173904 A KR20160173904 A KR 20160173904A KR 101716143 B1 KR101716143 B1 KR 101716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units
core
unit
cool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
Original Assignee
태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3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01F38/085Welding trans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23K11/241Electric supp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20Cooling by special gases or non-ambient 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09Printed windings on stacked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는, 제1 코일 유닛(102)과 제2 코일 유닛(104)의 사이에 제1 쿨링 블록(310)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일 유닛(104)과 제3 코일 유닛(106)의 사이에 제2 쿨링 블록(320)이 배치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의 상기 제1, 2 쿨링 블록(310, 320)에는 냉매가 순환되어 상기 제1, 2, 3 코일 유닛(102, 104, 106)의 발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Transformers of inverter resistance welders}
본 발명은 인버터 저항용접기에서 직류 전류로 정류된 전원을 소망하는 전압으로 변압하도록 하는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버터 저항용접기는 직류 전류를 이용하여 용접한다. 한편, 상용 전류는 교류 전류로 제공될 수 있고,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전환하기 위하여 다이오드 어셈블리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좀 더 높은 전압이 요구될 수 있다. 전류의 전압을 올리는 것은 변압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성능을 양호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상용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안정적으로 정류하고, 변압기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전압으로 승압 하여야 한다. 그리고 높은 전압을 안정되게 구현하기 위하여 정류 과정이 안정되어야 한다.
한편으로, 변압기는 승압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고, 그러한 열은 변압기의 성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과열되는 경우에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성능이 불안정하거나 화재의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다이오드 어셈블리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물을 끼얹거나 송풍기를 강하게 틀어서 냉각시키는 경우가 있었고, 이러한 방안은 매우 불안정하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7027호(2014.12.2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6186호(2009.06.29.)
대한용접학회지 제15권 제2호 11페이지, 저항용접기의 종류와 신개발 동향(1997년 4월)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발열 원점을 집중하여 안정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는, 링 형태로 제공되는 제1 코일 유닛(111); 링 형태로 제공되고 제1 수용부(210)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1 코일 유닛(111)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코일 유닛(112); 링 형태로 제공되고 제2 수용부(220)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2 코일 유닛(112)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코일 유닛(113); 디귿자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제1, 2, 3 코일 유닛(111, 112, 113)의 링의 한쪽에 조립되는 제1, 2 코어 유닛(102, 104); 디귿자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제1, 2, 3 코일 유닛(111, 112, 113)의 링의 다른 한쪽에 조립되는 제3, 4 코어 유닛(106, 108); 상기 제1, 2, 3 코어 유닛(111, 112, 113)의 하측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1, 2, 3, 4 코어 유닛(102, 104, 106, 108)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바디(142); 상기 제1, 2, 3 코어 유닛(111, 112, 113)의 상측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1, 2, 3, 4 코어 유닛(102, 104, 106, 108)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바디(144); 및 상기 제1 바디(142)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2, 3 코어 유닛(111, 112, 113)의 전원 입출력 단자(130)를 관통시키는 커버(146); U자 형상으로 제1 파이프(312)가 형성되어 냉매가 상기 제1 파이프(312)에 순환되고, 상기 제1 파이프(312)는 상기 제1 수용부(210)에 배치되어 어느 한쪽에 상기 제1 코어 유닛(111)에 밀착되고, 다른 한쪽에 상기 제2 코어 유닛(112)이 밀착되는 제1 쿨링 블록(310); 및 U자 형상으로 제2 파이프(322)가 형성되어 냉매가 상기 제2 파이프(322)에 순환되고, 상기 제2 파이프(322)는 상기 제2 수용부(220)에 배치되어 어느 한쪽에 상기 제2 코어 유닛(112)에 밀착되고, 다른 한쪽에 상기 제3 코어 유닛(113)이 밀착되는 제2 쿨링 블록(32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는, 상기 제1 쿨링 블록(310)과 상기 제2 쿨링 블록(320)의 유로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쿨링 블록(320)에 유입된 냉매의 일부가 상기 제1 쿨링 블록(310)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브릿지 블록(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는, 상기 제1, 2 파이프(312, 322)의 재질은 순동 재질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는, 상기 제1 바디(142)와 상기 제2 바디(144)의 내부에 수지가 채워지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는 수냉식의 쿨링 블록을 코어 유닛의 내부에 배치된 코일 유닛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에서 변압기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한 분해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에서 쿨링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에서 변압기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한 분해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에서 쿨링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10)는, 제1, 2, 3, 4 코어 유닛(102, 104, 106, 108), 제1, 2, 3 코일 유닛(111, 112, 113), 제1, 2 바디(142, 144), 커버(146), 제1, 2 쿨링 블록(310, 320) 및 브릿지 블록(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3 코일 유닛(111, 112, 113)은 코일이 링 형태로 감겨져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3 코일 유닛(111, 112, 113)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 제1 내지 제6 절연 패드(121 ~ 1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 유닛(111)과 제2 코일 유닛(112)은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1 코일 유닛(111)과 제2 코일 유닛(112)의 사이에 제1 수용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코일 유닛(112)과 제3 코일 유닛(113)은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2 코일 유닛(112)과 제3 코일 유닛(113)의 사이에 제2 수용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2, 3, 4 코어 유닛(102, 104, 106, 108)은 디귿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2 코어 유닛(102, 104)은 상기 제1, 2, 3 코일 유닛(111, 112, 113)의 링의 한쪽에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제3, 4 코어 유닛(106, 108)은 상기 제1, 2, 3 코일 유닛(111, 112, 113)의 링의 다른 한쪽에 조립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코일 유닛에 전류가 제공되면 상기 제1, 2, 3, 4 코어 유닛(102, 104, 106, 108)을 따라 자기장이 형성되고, 그 자기장은 다른 코일 유닛에 유도 전류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출력되는 전류는 입력된 전류의 전압보다 높을 수 있고, 높은 정도는 상기 각 코일 유닛의 권선 횟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42)는 상기 제1, 2, 3 코어 유닛(111, 112, 113)의 하측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1, 2, 3, 4 코어 유닛(102, 104, 106, 108)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144)는 상기 제1, 2, 3 코어 유닛(111, 112, 113)의 상측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1, 2, 3, 4 코어 유닛(102, 104, 106, 108)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2 바디(142, 144)는 상기 제1, 2, 3, 4 코어 유닛(102, 104, 106, 108)과 상기 제1, 2, 3 코일 유닛(111, 112, 113)을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146)는 상기 제1 바디(142)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2, 3 코어 유닛(111, 112, 113)의 전원 입출력 단자(130)를 관통 시킨다. 즉, 커버(146)은 상기 제1 바디(142)의 내부를 마감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쿨링 블록(310)은 U자 형상으로 제1 파이프(312)가 형성될 수 있고, 냉매가 상기 제1 파이프(312)에 순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이프(312)는 상기 제1 수용부(210)에 배치되어 어느 한쪽에 상기 제1 코어 유닛(111)에 밀착되고, 다른 한쪽에 상기 제2 코어 유닛(112)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쿨링 블록(320)은 U자 형상으로 제2 파이프(322)가 형성될 수 있고, 냉매가 상기 제2 파이프(322)에 순환될 수 있다. 상기 제2 파이프(322)는 상기 제2 수용부(220)에 배치되어 어느 한쪽에 상기 제2 코어 유닛(112)에 밀착되고, 다른 한쪽에 상기 제3 코어 유닛(113)이 밀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10)는, 상기 제1, 2 파이프(312, 322)에 냉매를 흐르도록 할 수 있고, 제1, 2 파이프(312, 32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 3 코일 유닛(111, 112, 113)가 밀착됨으로써, 제1, 2, 3 코일 유닛(111, 112, 113)과 열교환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 2, 3 코일 유닛(111, 112, 113)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10)는, 상기 제1, 2 파이프(312, 322)를 통하여 냉매를 대용량으로 유통시킬 수 있는 것으로써 냉각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10)는, 브릿지 블록(33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블록(330)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 쿨링 블록(310, 320)의 한쪽에 배치될 수 있고, 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브릿지 블록(330)은 상기 제1 쿨링 블록(310)과 상기 제2 쿨링 블록(320)의 유로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쿨링 블록(320)에 유입된 냉매의 일부가 상기 제1 쿨링 블록(310)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10)는, 하나의 유로를 통하여 냉매가 유입된 경우에, 상기 제2 쿨링 블록(320)의 내부에서 냉매의 일부는 제2 쿨링 블록(320)을 순환하고, 냉매의 일부는 상기 제2 쿨링 블록(320)에서 분기되어 상기 브릿지 블록(330)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쿨링 블록(310)에 제공될 수 있다.
즉, 냉매를 흐르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10)는, 유로를 복수의 블록에 형성하고 각각의 블록을 밀착시켜 조립함으로써 유로의 순환 경로에 구현하면서도 전체적인 외형 크기가 최소화할 수 있고, 변압기(10)의 외형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냉매 순환 경로는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 쿨링 블록(31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파이프(312)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제1, 2 헤드 블록(314, 316)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 2 헤드 블록(314, 316)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헤드 블록(314)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냉매가 유입될 수 있고, 그 냉매는 상기 제2 헤드 블록(316)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쿨링 블록(32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파이프(322)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제3, 4 헤드 블록(324, 326)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3, 4 헤드 블록(324, 326)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헤드 블록(324)의 유로를 통하여 냉매가 유입될 수 있고, 그 냉매는 상기 제2 파이프(322)를 경유하여 상기 제4 헤드 블록(326)의 유로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쿨링 블록(320)의 제3 헤드 블록(324)에는 유로에 분기 유로(325)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쿨링 블록(320)의 한쪽에는 제1 연결 블록(410)이 구비되어 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쿨링 블록(320)의 출구 쪽에는 제2 연결 블록(420)이 연결되며, 상기 제2 쿨링 블록(320)의 후방에는 상기 브릿지 블록(330)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 연결 블록(420)의 다른 한쪽에는 다이오드 어셈블리(430)가 연결되고, 냉매가 상기 제2 연결 블록(420)에서 상기 다이오드 어셈블리(430)쪽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냉매는 상기 제2 쿨링 블록(320)의 분기 유로(325)를 통하여 상기 브릿지 블록(330)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브릿지 블록(330)는 상기 제1 쿨링 블록(3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쿨링 블록(310)의 한쪽에는 제3 연결 블록(440)이 연결되며, 상기 제3 연결 블록(440)의 다른 한쪽에는 상기 다이오드 어셈블리(430)가 연결될 수 있다. 냉매가 상기 제1 쿨링 블록(310)과 상기 제3 연결블록(440)을 순서로 흐른 후에 상기 다이오드 어셈블리(430)로 흐를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 어셈블리(430)에는 제4 연결 블록(45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4 연결 블록(450)을 통하여 냉매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각 연결 블록이 연결되는 위치에는 O링이 구비되어 냉각수의 누출을 막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10)의 상기 제1, 2 파이프(312, 322)의 재질은 순동 재질인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열 전도율을 향상시켜 코일 유닛에서 발생되는 발열을 더욱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10)는, 상기 제1 바디(142)와 상기 제2 바디(144)의 내부에 수지가 채워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써, 상기 제1, 2, 3 코일 유닛(111, 112, 113) 중에 어느 하나의 코일 유닛에 유도 전류가 생성될 때에 제1, 2, 3, 4 코어 유닛(102, 104, 106, 108)은 떨림이 형성될 수 있고, 그러한 떨림은 귀에 거슬리는 소음일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상기 떨림을 약화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고 나아가 변압기에서 발생되는 귀에 거슬리는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10)는 냉매로 물을 이용하여 수냉식으로 냉각시킬 수 있고, 특히, 각 코일 유닛가 쿨링 블록이 직접적으로 밀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높고, 냉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는 인버터 저항용접기에서 전류의 전압을 높일 때에 발생되는 발열을 냉각시키도록 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변압기
100: 변압기 어셈블리
102, 104, 106, 108: 제1, 2, 3, 4 코어 유닛
111, 112, 113: 제1, 2, 3 코일 유닛
121 ~ 126: 제1 내지 제6 절연 패드
130: 전원 입출력 단자
142, 144: 제1, 2 바디 146: 커버
210, 220: 제1, 2 수용부
310, 320: 제1, 2 쿨링 블록
312, 322: 제1, 2 파이프
314, 316: 제1, 2 헤드 블록
324, 326: 제3, 4 헤드 블록
325: 분기 유로
330: 브릿지 블록
410, 420, 440, 450: 제1, 2, 3, 4 연결 블록
430: 다이오드 어셈블리

Claims (4)

  1. 링 형태로 제공되는 제1 코일 유닛(111);
    링 형태로 제공되고 제1 수용부(210)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1 코일 유닛(111)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코일 유닛(112);
    링 형태로 제공되고 제2 수용부(220)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2 코일 유닛(112)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코일 유닛(113);
    디귿자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제1, 2, 3 코일 유닛(111, 112, 113)의 링의 한쪽에 조립되는 제1, 2 코어 유닛(102, 104);
    디귿자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제1, 2, 3 코일 유닛(111, 112, 113)의 링의 다른 한쪽에 조립되는 제3, 4 코어 유닛(106, 108);
    상기 제1, 2, 3 코어 유닛(111, 112, 113)의 하측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1, 2, 3, 4 코어 유닛(102, 104, 106, 108)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바디(142);
    상기 제1, 2, 3 코어 유닛(111, 112, 113)의 상측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1, 2, 3, 4 코어 유닛(102, 104, 106, 108)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바디(144); 및
    상기 제1 바디(142)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2, 3 코어 유닛(111, 112, 113)의 전원 입출력 단자(130)를 관통시키는 커버(146);
    U자 형상으로 제1 파이프(312)가 형성되어 냉매가 상기 제1 파이프(312)에 순환되고, 상기 제1 파이프(312)는 상기 제1 수용부(210)에 배치되어 어느 한쪽에 상기 제1 코어 유닛(111)에 밀착되고, 다른 한쪽에 상기 제2 코어 유닛(112)이 밀착되는 제1 쿨링 블록(310); 및
    U자 형상으로 제2 파이프(322)가 형성되어 냉매가 상기 제2 파이프(322)에 순환되고, 상기 제2 파이프(322)는 상기 제2 수용부(220)에 배치되어 어느 한쪽에 상기 제2 코어 유닛(112)에 밀착되고, 다른 한쪽에 상기 제3 코어 유닛(113)이 밀착되는 제2 쿨링 블록(320);
    을 포함하는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쿨링 블록(310)과 상기 제2 쿨링 블록(320)의 유로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쿨링 블록(320)에 유입된 냉매의 일부가 상기 제1 쿨링 블록(310)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브릿지 블록(330);
    을 더 포함하는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파이프(312, 322)의 재질은 순동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142)와 상기 제2 바디(144)의 내부에 수지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
KR1020160173904A 2016-12-19 2016-12-19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 KR101716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904A KR101716143B1 (ko) 2016-12-19 2016-12-19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904A KR101716143B1 (ko) 2016-12-19 2016-12-19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143B1 true KR101716143B1 (ko) 2017-03-14

Family

ID=5845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904A KR101716143B1 (ko) 2016-12-19 2016-12-19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1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854A (ko) 2018-05-09 2019-11-19 한국트랜스 주식회사 알루미늄 리츠선을 이용한 변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인버터 용접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86B1 (ko) 2009-03-31 2009-07-06 지성수 수냉식 방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082478A (ja) * 2009-09-10 2011-04-21 Koyo Giken:Kk 溶接トランス
JP2011088160A (ja) * 2009-10-20 2011-05-06 Art−Hikari株式会社 抵抗溶接用電源装置及び当該電源を使用した抵抗溶接装置、並びに電源制御方法
JP2011251339A (ja) * 2010-05-06 2011-12-15 Daihen Corp 直流抵抗溶接機用トランス
KR20140026558A (ko) * 2012-02-29 2014-03-05 가부시키가이샤 고요 기켄 용접 트랜스, 용접 트랜스 조립체, 용접 장치, 및 저항 용접 방법
KR20140147027A (ko) 2013-06-17 2014-12-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냉식 단일 용접기 모듈 및 수냉식 용접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86B1 (ko) 2009-03-31 2009-07-06 지성수 수냉식 방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082478A (ja) * 2009-09-10 2011-04-21 Koyo Giken:Kk 溶接トランス
JP2011088160A (ja) * 2009-10-20 2011-05-06 Art−Hikari株式会社 抵抗溶接用電源装置及び当該電源を使用した抵抗溶接装置、並びに電源制御方法
JP2011251339A (ja) * 2010-05-06 2011-12-15 Daihen Corp 直流抵抗溶接機用トランス
KR20140026558A (ko) * 2012-02-29 2014-03-05 가부시키가이샤 고요 기켄 용접 트랜스, 용접 트랜스 조립체, 용접 장치, 및 저항 용접 방법
KR20140147027A (ko) 2013-06-17 2014-12-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냉식 단일 용접기 모듈 및 수냉식 용접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용접학회지 제15권 제2호 11페이지, 저항용접기의 종류와 신개발 동향(1997년 4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854A (ko) 2018-05-09 2019-11-19 한국트랜스 주식회사 알루미늄 리츠선을 이용한 변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인버터 용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5306B2 (ja) リアクトル
US20170047809A1 (en) Dynamo-electric machine
US20180261374A1 (en) Reactor, motor driver, power conditioner and machine
JP2015230904A (ja) リアクトル
EP0116070A1 (en) Welding system
JP2016519564A (ja) リニアモータ用のヒートシンク
EP3466603A1 (en) Structural arrangement for a cooling system for welding, plasma cutting or laser machines
US20200321154A1 (en) Reactor, motor driver, power conditioner and machine
JP2009218417A (ja) リアクトル冷却装置
KR101716143B1 (ko) 인버터 저항용접기의 변압기
KR101066144B1 (ko) 변압기
CN102737813A (zh) 液冷式感应部件
JP6527931B1 (ja) 水冷式変圧器
JP3713172B2 (ja) 静止誘導電器
JP2008186904A (ja) リアクトルおよび空調機
CN110164652A (zh) 一种带有热管散热器的变压器电抗器
CN106057419A (zh) 一种变压器油箱
CN207489629U (zh) 一种油浸式电力变压器散热片
JP6914171B2 (ja) リアクトル
JP2007294536A (ja) 水冷式トランスの水冷コイルとその水冷式トランス
KR20100026408A (ko) 대전력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JP2007141981A (ja) 整合変圧器
JP2008130657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の外皮冷却構造
JP2019129192A (ja) 誘導加熱用の出力変成器
JP6081181B2 (ja) トランス用コアおよび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