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488B1 - 감즙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감즙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488B1
KR101753488B1 KR1020150156622A KR20150156622A KR101753488B1 KR 101753488 B1 KR101753488 B1 KR 101753488B1 KR 1020150156622 A KR1020150156622 A KR 1020150156622A KR 20150156622 A KR20150156622 A KR 20150156622A KR 101753488 B1 KR101753488 B1 KR 101753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aw
juice
soybean
bean spro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991A (ko
Inventor
김일두
신동현
손진환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6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4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Y02P60/2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즙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즙을 전(前)처리 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원료콩의 세척 및 수침(soaking)시 적용하는 것으로써 제 1단계는 콩선별 과 생감의 전(前)처리로 콩나물 재배용 감즙 추출물 제조 단계; 제 2단계는 1~10% 감즙 추출물을 이용한 원료콩 세척 단계; 제 3단계는 5~20% 감즙 추출물을 이용한 원료콩 침지 단계; 제 4단계는 1~5% 감즙 추출물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단계; 제 5단계는 포장 및 제품 단계로 이루어지는 감즙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즙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Preparation of soybean sprouts by adding persimmon juice}
본 발명은 감즙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콩나물의 재배는 공업적으로 대량 생산시 재배중 온도와 습도의 조절의 미숙으로 미생물의 오염으로 최종제품의 부패가 상당히 초래되어 왔다. 이런 문제점을 제거하기위해서 물주는 방법, 식품 첨가제 처리, 천연 물질( 녹차,키토산등)처리 심지어는 음성적으로 유해한 생장 조절제등의 사용하여 제품을 생산하였으나 그 맛과 위생적인 면에서 낮은 소비자 기호도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콩나물 제조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감과실을 전(前)처리하여 콩나물 재배시 원료콩 세척, 원료콩 수침 및 재배 단계에 적용하여 새로운 기능성을 함유한 위생적인 감즙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감즙 추출물 이용한 콩나물을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콩나물 재배시 전(前)처리된 감즙 추출물을 이용하여 원료콩의 세척, 콩의 침지(수침), 재배시 적용하므로써 최종 콩나물의 수량과 품질 면에서 맛, 향, 기능성 향상에 관한 것이다. 감은 한국, 중국, 일본이 주산지로 우리나라는 중부 이남에서만 자라지만 병충해에 강하고 특별한 관리를 하지 않아도 재배가 되는 실정이다. 고서안 제민요술(齊民要述 ; 6세기에 저술된 책으로 현재 남아있는 중국에서 가장 오래 된 농업에 관한 책)에는 이미 곶감 만드는 법과 떫은맛 빼는 방법까지 소개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명종 때(1138년) 고욤(감과 비슷한데 과실이 작다)에 대한 기록이 가장 오래된 것이나 감 재배는 고려 때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감은 식품학적으로 수분이 83% , 당분이 14% 이상, 유기산 함량은 0.1~0.15%, pectin의 함량도 1.3~1.8%이며, 비타민C도 300mg% 가량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감에는 수렴(收斂)작용이 강한 타닌(tannin)이라는 떫은 맛(shibuol 0.39~0.77%)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과육의 색은 carotene, cryptoxanthin 등의 carotenoid류 함량이 많은 과실이다. 가공 및 조리는 단감은 주로 생식을 하고, 떫은 감은 탈삽하여 식용을 하거나 그 외 수정과 및 통조림을 만들며, 감잎은 차로 끓여 마신다. 감의 효능은 숙취해독, 야뇨증, 장 기능강화, 해열과 지열작용, 기침, 만성 기관지염등에 효과가 있다고 하고, 홍시는 위장허약을 다스리며 술독을 풀어준다. 위열을 제거하여 구건(九乾)을 없앤다고 한다. 종래의 콩나물 제조 기술로는 출원 번호 “10-2013-0048990” “헛개나무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등록 번호 “10-1427169” “폴리페놀 성분이 함유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출원 번호 “10-2005-0023359” “키토산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 산물” , 출원번호 “10-2001-0081699” “ 녹차분을 이용한 녹차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하여 재배된 녹차콩나물”, 출원번호 “10-2005-0046919” “원적외선 방사 소금 조성물을 이용한 무공해 콩나물재배방법”, 출원번호 “10-2001-0029965” “한약재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 출원번호 “10-2013-0004975”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콩나물의 재배방법”과 출원 번호 “10-2012-0065497” “편백나무를 이용한 콩나물 및 재배방법”, 등록 번호 “10-1381994” “상황버섯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출원 번호 “10-2013-0137050” “홍삼 콩나물의 재배방법” ,출원 번호 “10-2001-0043893” “느릅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과 출원 번호 “10-2013-0031030” “허브 추출액을 이용한 기능성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이 있고, 한편 감과실을 이용한 것으로는 등록 번호 “10-11502950000” “감을 첨가한 감 막걸리 제조 방법” 과 등록 번호 “10-11702780000” “감을 이용한 감 막걸리 제조 방법”등과 같이 출원 및 등록되었지만 이들은 본 특허와 같이 콩나물 제배시 감즙 추출물을 이용한 제배방법에 관한 기술과 그 사용이 지금까지 보고 된 바가 없었다.
감의 효능은 숙취해독, 야뇨증, 장 기능강화, 해열과 지열작용, 기침, 만성 기관지염등에 효과가 있다고 하고, 홍시는 위장허약을 다스리며 술독을 풀어준다. 위열을 제거하여 구건(九乾)을 제거 등에 효능이 있다고도 밝혀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감즙 추출물을 콩나물 재배시 원료콩 세척, 원료콩 수침 및 재배 단계에 적용하여 새로운 기능성을 함유한 위생적인 콩나물 재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고자 감을 전(前)처리 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원료콩의 세척 및 수침(soaking)시 적용하는 것으로써 제 1단계는 콩선별과 생감의 전(前)처리로 콩나물 재배용 감즙 추출물 제조 단계, 제 2단계는 1~10% 감즙 추출물을 이용한 원료콩 세척 단계, 제 3단계는 5~20% 감즙 추출물을 이용한 원료콩 침지 단계, 제 4단계는 1~5% 감즙 추출물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단계 , 제 5단계는 포장 및 제품 단계로 이루어지는 콩나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하여 콩 재배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감즙을 이용하여 재배시 최종 제품은 농약등 오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해소되며, 그 효능을 극대화 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콩나물 재배시 전(前)처리된 감즙 추출물을 이용하여 원료콩의 세척, 콩의 침지(수침), 재배시 적용하므로써 위생적이며, 기능성 성분과 고유한 맛, 색상 및 새로운 향기가 잘 보존된 은 고기능(高)품질 및 식품학적 가치가 향상된 콩나물 생산으로 국민 서민식품으로 시장성의 경쟁력 확보와 경제적 유익을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보인 콩나물 재배방법 공정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보인 콩나물 재배방법 공정도로서 본 발명은 콩선별 및감즙 추출물 제조, 콩세척, 콩 수침(침지),재배, 포장 및 제품을 통한 감즙 콩나물의 재배방법으로 그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단계는 콩 선별 과 생감의 전(前)처리로 콩나물 재배용 감즙 추출물 제조 단계,
상기 단계는 콩나물 콩(상주산 ,2014년)을 구입하여 개체중량 120±10mg인 준저리 콩을 시료로 하였으며 ,외관상 이상이 없는 것을 정선하여 4±1℃에서 저장하면서 사용하였다. 한편 실험에 사용된 감은 2014년 상주생산으로 품종은 상주둥시를 사용하였고 콩나물 재배용 감즙 추출물 제조는 과중이 약 180g되는 시료를 쌀뜨물에 3회 세척후, 다시 수돗물에 2회 세척후 감을 약 2센티미터로 자른 후 믹서기(한일,k-234,한국)를 이용하여 5분간 분쇄 후 분쇄물을 1차 부직포로 여과 후 여액을 건식 초음파 기기(스텐 통 : 가로×세로×높이=28㎝×30㎝×18㎝, 테콘 사, 미국)를 이용하여 28 KHz로 60분 처리 후 냉장고 4℃에서 48시간 저장 후 꺼내어 여과지(Whatman NO.1)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콩나물 재배용 감즙으로 사용하였다.
제 2단계는 감즙 추출물을 이용한 원료콩 세척 단계,
상기 단계는 (1)에서 제조된 감즙 추출물을 원료콩 세척하는 단계로 이때 세척은 감즙 추출물 : 지장수 = 1:5(w/w)의 비율로 혼합물을 제조하여 원료콩수침하는 물에 1~10% 감즙 추출물을 첨가하여 원료콩을 3회 세척하는 단계이다.
제 3단계는 감즙 추출물을 이용한 원료콩 침지 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의 원료콩의 수침(침지)단계로 원료콩을 수침하는 물에 5~20% 감즙 추출물을 첨가하여 8시간 원료콩의 침지(수침)단계이다.
제 4단계는 감즙 추출물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처리된 콩나물 콩을 재배시 주수(watering)물에 1~5% 감즙 추출물을 첨가하여 콩나물 재배 단계이다.
제 5단계는 포장 및 제품 단계,
상기 감즙을 이용한 재배 콩나물의 포장 및 제품 단계에 관한 것이다.
이하, 표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5108791949-pat00001
본 발명은 원료콩에 대한 감즙 추출물 세척이 콩나물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시 예로서 측정 결과 표1에서와 같이 나타났다.
① 콩나물 성장도(수율)
표 1을 참고하면 콩나물 재배는 원료콩(2014년, 상주산 , 준저리 나물콩) 1킬로씩을 수침온도 20±1℃,수침시간 8시간후 플라스틱시루(직경31㎝×높이29㎝)에 담아 수온 약18℃로 주수횟수 1일 9회,주수시간 2분, 재배온도 20±1℃에서 재배기간 5일로 하였다. 콩나물의 수율은 전기식 지시저울(SW-1,CAS,Co.,한국)을 이용하여 재배 시루당 콩나물 무게를 측정하였다.
② 원료콩에 대한 감즙 추출물 세척이 콩나물 성장에 미치는 영향 결과
표 1을 참고하면 5%감즙추출물 첨가 처리구가 가장 좋았다.
Figure 112015108791949-pat00002
본 발명은 원료콩 수침시 감즙 추출물이 콩나물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시 예로서 측정 결과 표2에서와 같이 나타났다.
① 콩나물 성장도(수율)
표 2를 참고하면 콩나물 재배는 원료콩(2014년, 상주산 , 준저리 나물콩) 1킬로씩을 수침온도 20±1℃,수침시간 8시간후 플라스틱시루(직경31㎝×높이29㎝)에 담아 수온 약18℃로 주수횟수 1일 9회,주수시간 2분, 재배온도 20±1℃에서 재배기간 5일로 하였다. 콩나물의 수율은 전기식 지시저울(SW-1,CAS,Co.,한국)을 이용하여 재배 시루당 콩나물 무게를 측정하였다.
② 원료콩 수침시 감즙 추출물이 콩나물 성장에 미치는 영향 측정결과
표 2를 참고하면 10%감즙추출물 첨가 처리구가 가장 좋았다.
Figure 112015108791949-pat00003
본 발명은 원료콩 재배 감즙 추출물이 콩나물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시 예로서 측정 결과 표 3에서와 같이 나타났다.
① 콩나물 성장도(수율)
표 3를 참고하면 콩나물 재배는 원료콩(2014년, 상주산 , 준저리 나물콩) 1킬로씩을 수침온도 20±1℃,수침시간 8시간후 플라스틱시루(직경31㎝×높이29㎝)에 담아 수온 약18℃로 주수횟수 1일 9회,주수시간 2분, 재배온도 20±1℃에서 재배기간 5일로 하였다. 콩나물의 수율은 전기식 지시저울(SW-1,CAS,Co.,한국)을 이용하여 재배 시루당 콩나물 무게를 측정하였다.
② 원료콩 재배 감즙 추출물이 콩나물 성장에 미치는 영향 측정 결과
표 3을 참고하면 전체적으로 큰 증가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Figure 112015108791949-pat00004
본 발명은 원료콩 세척시 감즙 추출물처리 콩나물 요리시 관능평가에 대한 실시 예로서 측정 결과 표4에서와 같이 나타났다.
① 관능 평가
표 4를 참고하면 감즙 처리된 콩나물을 5일 재배후 콩나물을 물에 씻고 각각300g 씩 냄비에 넣고 물 450 mL, 소금 5g을 첨가한 후 가영하여 끓기 시작 할때부터 1분간 익힌 후 찬물로 냉각 후 각각 일정량을 접시에 담아 색상,냄새, 종합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잘 훈련된 10명의 패널 요원에 의하여 5점 강도법(아주 약하다:1점, 약하다:2점, 보통이다:3점, 강하다:4점, 아주 강하다:5점)으로 평점하여 처리하였다.
② 원료콩 세척시 감즙 추출물처리 콩나물 요리시 관능평가 측정 결과
표 4를 참고하면 콩나물의 요리시 색상, 향, 전체적인 기호도등의 관능 평가에서 5%감즙추출물 처리구가 가장 좋았다.
Figure 112015108791949-pat00005
본 발명은 원료콩에 감즙추출물 수침처리 콩나물 요리시 관능평가에 대한 실시 예로서 측정 결과 표5에서와 같이 나타났다.
① 관능 평가
표 5를 참고하면 감즙 처리된 콩나물을 5일 재배후 콩나물을 물에 씻고 각각300g 씩 냄비에 넣고 물 450 mL, 소금 5g을 첨가한 후 가영하여 끓기 시작 할때부터 1분간 익힌 후 찬물로 냉각 후 각각 일정량을 접시에 담아 색상,냄새, 종합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잘 훈련된 10명의 패널 요원에 의하여 5점 강도법(아주 약하다:1점, 약하다:2점, 보통이다:3점, 강하다:4점, 아주 강하다:5점)으로 평점하여 처리하였다.
② 원료콩 세척시 감즙 추출물처리 콩나물 요리시 관능평가 측정 결과
표 5를 참고하면 콩나물의 요리시 색상, 향, 전체적인 기호도등의 관능 평가에서 10%감즙추출물 처리구가 가장 좋았다.

Claims (5)

  1. 생감을 이용하여 콩나물 재배용 감즙 추출물 제조 단계; 상기 감즙 추출물을 이용한 원료콩 세척 단계; 상기 감즙 추출물을 이용한 원료콩 침지 단계; 상기 감즙 추출물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단계; 로 이루어지는 감즙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즙 추출물 제조 단계는 과중이 180g 초과 되는 감을 선택하되 쌀뜨물과 물에 순차적으로 세척 후, 분쇄하여 분쇄물을 1차 부직포로 여과하고 여액을 건식 초음파 기기를 이용하여 28 KHz로 60분 처리하며, 냉장고 4℃에서 48시간 저장 후 꺼내어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상기 원료콩 세척 단계는 상기 감즙 추출물 : 지장수 = 1:5(w/w)의 비율로 혼합물을 제조하여 원료콩 수침하는 물에 5중량% 감즙 추출물을 첨가하여 원료콩을 3회 세척하며,
    상기 원료콩 침지단계는 원료콩을 수침하는 물에 10중량% 감즙 추출물을 첨가하며, 수침온도 20±1℃,수침시간 8시간 수침하고,
    상기 콩나물 재배 단계에서 주수물에 1~5%감즙 추출물을 첨가하고, 상기 수침된 원료콩을 플라스틱시루에 담아 수온 18°C로 주수횟수 1일 9회 주수시간 2분, 재배온도 20±1℃에서 5일간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즙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56622A 2015-11-09 2015-11-09 감즙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KR101753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622A KR101753488B1 (ko) 2015-11-09 2015-11-09 감즙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622A KR101753488B1 (ko) 2015-11-09 2015-11-09 감즙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991A KR20170053991A (ko) 2017-05-17
KR101753488B1 true KR101753488B1 (ko) 2017-07-19

Family

ID=5904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622A KR101753488B1 (ko) 2015-11-09 2015-11-09 감즙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4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991A (ko) 2018-10-02 2020-04-10 김승원 칼라만시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KR102396164B1 (ko) * 2021-10-07 2022-05-09 주식회사 아오스 일라이트(illite)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 콩나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기농 재배 농가에서 식물로 병해충 방제하기,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발행 책자(2014년11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991A (ko) 2018-10-02 2020-04-10 김승원 칼라만시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KR102396164B1 (ko) * 2021-10-07 2022-05-09 주식회사 아오스 일라이트(illite)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 콩나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991A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53223B (zh) 一种饮食两用芦笋保健品的制备方法
KR20120134750A (ko) 약초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753488B1 (ko) 감즙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CN103952260A (zh) 一种茶树花酒的生产加工工艺
KR101685458B1 (ko) 천연한방재료를 이용한 건강식 약초된장 제조방법
CN105077060A (zh) 一种即食薇菜的加工方法
KR101583518B1 (ko) 김밥 제조방법
KR101875768B1 (ko) 감 분말을 이용하여 저장 안정성이 향상된 콩나물 제조 방법
KR101674199B1 (ko) 감 증류주 제조 방법
KR101745180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장류 제조방법
KR102320421B1 (ko) 식방풍잎차 및 그 제조방법
RU2416298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мпота из яблок
KR101875758B1 (ko) 감잎 및 감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차 제조 방법
RU2385632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мпота из груш
RU2417684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компота из вишни
RU239601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мпота из яблок
RU2408231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мпота из персиков
RU2417703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компота из яблок
RU238563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мпота из айвы
RU2417706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компота из яблок
KR100583824B1 (ko) 신선초 두유 및 그 제조방법
RU2396844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мпота из яблок
RU2417009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компота из персиков
RU241183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та из персиков
RU238325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мпота из ябл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