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224B1 - 이취가 제거된 해조류 및 이취의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이취가 제거된 해조류 및 이취의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224B1
KR101753224B1 KR1020150109402A KR20150109402A KR101753224B1 KR 101753224 B1 KR101753224 B1 KR 101753224B1 KR 1020150109402 A KR1020150109402 A KR 1020150109402A KR 20150109402 A KR20150109402 A KR 20150109402A KR 101753224 B1 KR101753224 B1 KR 101753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buffer solution
carbonic acid
odor
ke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082A (ko
Inventor
유현일
백재민
황미숙
박은정
이상훈
조승목
윤민석
최인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09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2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6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7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취가 제거된 해조류 및 이취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완충용액에 탄산가스를 충전시킨 탄산완충용액에 해조류를 침지시켜 상기 탄산가스의 기포와 상기 해조류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해조류의 물성 및 식감의 변화가 없이 해조류 특유의 갯내음(이취)만 제거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취가 제거된 해조류 및 이취의 제거방법{Ascidian removing off-flavors and removal process of off-flavors}
본 발명은 해조류의 물성 및 식감의 변화없이 해조류 특유의 이취만 제거할 수 있는 방법 및 이취가 제거된 해조류에 관한 것이다.
해조류는 생물 상태로는 유통이 매우 취약하여 가공이 필수적인데도 불구하고, 현재 건조된 가공품이나 염장된 가공품 등의 단순 일차 가공품으로만 가공되어 있어, 미역의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한 실정이다.
실제로 해조류를 건강식품 소재로 하는 다양한 가공 제품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해조분말, 해조분말 환과 같은 1차 가공제품에서부터 해조면과 같은 해조의 화학적 특성을 이용한 가공제품까지 시판되고 있다. 미역과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는 특별한 처리공정을 거치지 않는 경우 비린내가 심하여 다양한 용도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해조류를 원료로 하는 건강음료의 개발에는 많은 제한이 있어 왔는데, 이것은 해조류 특유의 비린내, 즉 갯내음 때문이다.
해조류의 갯내음과 같은 이취를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 왔는데, 이중에는 미역의 유기산 추출물에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방법; 해조류를 곡물류, 과일류, 약초류 등 식물류 분말 등을 혼합하여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있으나, 해조류 특유의 이취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해조류를 마쇄한 후 알칼리 용액에 침지시켜 이취를 제거한 기술도 있으나 이는 해조류의 이취가 완전히 제거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침지되었던 알칼리 용액의 성분이 해조류에 남을 수 있어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또한, 해조류 중 미역의 이취를 차폐시킬 목적으로 계피 분쇄물을 가열 초기에 첨가하고, 합성향이나 분말을 첨가하여 잼으로 제조한 기술이 있다.
해조류의 냄새성분에 관한 연구로서, 다시마의 향미성분에 관한 연구로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향미성분을 분석하였으며, 효소와 열수로 추출 및 한외여과에 의한 알긴산 제거 시 다시마 추출액의 휘발성 향미성분을 분석한 기술 등이 있다.
한편, 미역(Undaria pinnatifida)은 다시마목 미역과에 속하는 갈조류로서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하며, 연해주, 중국, 일본 등 극동지방 특산의 해조류이다. 미역은 Na, K, Ca, Mg, P, S, 식이섬유소, 리놀산, 비타민 등이 풍부한 알칼리성 건강식품으로 생리활성 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미역에 들어 있는 점질 다당류인 알긴산(alginic acid)은 중금속 및 방사능 물질의 체외 배출, 콜레스테롤 저하, 비만 및 변비 방지 효능과 더불어 혈압이나 당뇨예방 효과가 높다. 또한, 미역에 들어 있는 후코이단(fucoidan)은 항암, 항 콜레스테롤, 혈액응고저해, 혈압 조절 등의 혈류개선작용이 우수하며, 지질대사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 이처럼 미역은 열량보다는 건강 및 약리적으로 우수한 식품임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인 내수 소비 및 수출 감소로 재고가 매년 누적되고 있다.
또한, 다시마(Laminaria)는 다시마목 다시마과에 속하는 갈조류로서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하며, 일본, 캄차카반도, 사할린섬 등의 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 특히, 다시마에 들어 있는 점질 다당류인 라미닌이라는 아미노산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해조류의 물성, 식감 및 맛을 유지하면서 이취를 제거하여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903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7000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해조류의 물성 및 식감의 변화없이 해조류 특유의 갯내음(이취)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에 따라 이취가 제거된 해조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조류의 이취 제거방법은 완충용액에 탄산가스를 충전시킨 탄산완충용액에 해조류를 침지시켜 상기 탄산가스의 기포와 상기 해조류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산완충용액에 침지된 해조류에 50 내지 250 MPa의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산완충용액의 탄산가스의 농도는 0.1%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완충용액은 포스페이트 완충용액, 시트르산 완충용액 및 초산 완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상기 완충용액의 pH는 6.0 내지 7.5일 수 있다.
상기 해조류의 수분함량은 80 내지 90%일 수 있다.
상기 압력을 가하는 단계에서 탄산완충용액의 온도는 4 내지 30 ℃일 수 있으며, 압력을 가하는 시간은 10 내지 120분일 수 있다.
상기 해조류는 미역, 다시마, 김, 우뭇가사리, 톳, 파래, 매생이 및 청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취가 제거된 해조류는 완충용액에 탄산가스를 충전시킨 탄산완충용액에 침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산완충용액에 침지된 해조류에 50 내지 250 MPa의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탄산완충용액의 탄산가스의 농도는 0.1%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완충용액은 포스페이트 완충용액, 시트르산 완충용액 및 초산 완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일 수 있으며; 상기 해조류는 미역, 다시마, 김, 우뭇가사리, 톳, 파래, 매생이 및 청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조류의 이취 제거방법에 따르면 물성, 식감, 맛 및 형태의 변화 없이 소비자가 비선호하는 해조류 특유의 이취만 제거되므로 남녀노소뿐만 아니라 외국인의 선호도를 높임으로써 내수 및 수출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해조류의 이취 제거방법에 따라 제조된 해조류는 해조류 그대로의 형태를 유지하므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되지 못하던 샐러드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조류의 물성 및 식감의 변화가 없이 해조류 특유의 갯내음(이취)만 제거할 수 있는 방법 및 이취가 제거된 해조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해조류의 이취 제거방법은 완충용액에 탄산가스를 충전시킨 탄산완충용액에 해조류를 침지시켜 상기 탄산가스의 기포와 상기 해조류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탄산완충용액에 침지된 해조류에 50 내지 250 MPa의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해조류를 탄산완충용액에 침지시킨다.
상기 해조류는 탄산완충용액에 충전된 탄산가스의 기포와 접촉되면 상기 기포가 해조류와 반응하여 해조류의 물성 및 식감의 변화가 없이 해조류 특유의 갯내음, 즉 이취만 제거된다.
상기 탄산완충용액은 탄산수제조기를 이용하여 4 내지 25 ℃의 완충용액에 이산화탄소(탄산가스)가 충전되어 탄산가스의 기포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탄산완충용액의 탄산가스의 농도는 0.1% 내지 1.0%이다.
탄산가스의 농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탄산가스에 의하여 해조류의 이취를 제거할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해조류의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완충용액의 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해조류의 물성 및 맛이 변질될 수 있다.
상기 완충용액으로는 포스페이트 완충용액, 시트르산 완충용액 및 초산 완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들 수 있으며, 이취를 대부분 제거하기 위해서는 포스페이트 완충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용액의 pH는 6.0 내지 7.5이며, 완충용액의 pH사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식감 및 맛이 저하되고 이취가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용액 대신에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조류에 산분해가 발생하여 해조류의 물성, 식감 및 맛은 저하되고 이취는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해조류로는 미역, 다시마, 김, 우뭇가사리, 톳, 파래, 매생이 및 청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해조류는 탄산완충용액에 침지되기 전에 증류수에 30 내지 90분 동안 침지시켜 탈염시킬 수 있는데, 상기 탈염시키는 단계를 거치지 않는 경우에는 짠맛이 강할 뿐만 아니라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산완충용액에 침지되는 해조류의 수분함량은 80 내지 90%이다.
다음으로, 상기 탄산완충용액에 침지된 해조류에 높은 압력을 가하여 해조류에 탄산완충용액이 더욱 침투함으로써 반응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상기 고압을 가하면 해조류의 물성 및 식감은 저하되지 않으면서 영양성분은 오히려 증대될 뿐만 아니라 이취가 거의 제거된다.
상기 고압을 가하는 과정은 초고압처리기에서 수행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압력은 50 내지 250 MPa,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50 MPa이며; 고압으로 처리하는 시간은 10 내지 120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분이고; 고압과정에서의 탄산완충용액의 온도는 4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이다.
압력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해조류에 탄산완충용액이 침투하지 못하여 이취가 거의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해조류의 물성 및 식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처리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이취가 제거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식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탄산완충용액의 온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해조류에 이취가 남아있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물성이 변할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 기포가 발생되는 탄산완충용액을 이용하는 것은 해조류의 물성, 식감 및 맛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취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탄산가스의 기포가 발생될 때 고압을 가하게되면 물성, 식감 및 맛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거의 모든 이취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조류의 신선도를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같은 영양성분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처리된 해조류는 물성, 식감 및 맛은 처리 전의 해조류와 동일하면서 갯내음과 같은 이취만 제거된다. 또한, 영양성분이 오히려 증대되었으며 신선도가 더욱 연장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대조군.
건조미역을 증류수에 1시간 침지시킨 후 건져내어 탈수한 미역(수분함량 50 %)이다.
실시예 1. 탄산완충용액
건미역을 증류수에 1시간동안 침지시켜 탈염시킨 후 이를 건져내어 세절한 다음 탈수하여 미역(수분함량 50 %)을 준비하였다.
한편, 100 mM 포스페이트 완충용액(pH 7.0)에 탄산가스를 충전(1000 ppm)하여 탄산가스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탄산포스페이트 완충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탄산포스페이트 완충용액에 상기 탈수한 미역 10 g을 침지시켜 탄산포스페이트 완충용액으로 처리된 미역을 얻었다.
실시예 2. 탄산완충용액 + 고압처리
상기 실시예 1의 탈수한 미역 10 g을 팔콘 튜브에 넣고 상기 실시예 1의 탄산포스페이트 완충용액을 채운 후 초고압처리기(TFS-2L, TFS3000, 이노웨이, 한국)에 투입하여 25 ℃, 100 MPa에서 60분 동안 반응시켜 처리된 미역을 얻었다.
실시예 3. 탄산완충용액 + 고압처리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미역 대신 다시마를 사용하여 처리된 다시마를 얻었다.
비교예 1. 완충용액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탄산포스페이트 완충용액 대신 일반 포스페이트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처리된 미역을 얻었다.
비교예 2. 탄산수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탄산포스페이트 완충용액 대신 탄산수를 사용하여 처리된 미역을 얻었다. 상기 탄산수는 증류수에 탄산가스를 충전하여 제조된 것이다.
< 시험예 >
실험결과는 Mean ± SD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각 실험군간의 비교분석은 SPSS 14.01 프로그램(SPSS.inc Headquarters, IL, USA)을 이용하여 ANOVA분석을 실시한 후 a=0.05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시험예 1. 이취 제거
해조류의 관능적 저해 요소인 휘발성 성분 분석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한 SPME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분석에 사용된 시료 6 g 을 칭량하여 20 ml 부피의 갈색 스크류 캡 병(Supleco, USA)에 넣고, 60 ℃ Heat block에서 20분간 평행화시킨 다음 SPME 니들(PDMS, 100 um)을 삽입하여 40분간 이취성분을 흡착한 후 GC/MS의 인젝터내로 도입되도록 하였으며, 세부 조건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휘발성 성분의 동정은 GCQ library search system(NIST Mass Spectra Data Base)에 의한 검색, Willey/NBS Registry of Mass Spectra Data, Eight Peak Index of Mass Spectra에 의한 문헌의 질량분석 데이터 검색으로 물질을 추정하였으며, 유사성 80% 이하와 신빙성이 낮은 피크에 대해서는 미지의 물질로 분류하였다.
Oven temp. 40 ℃ (2 min)
6 ℃/min - 120 ℃(10 min)
8 ℃/min - 180 ℃(7 min)
12 ℃/min - 250 ℃(10 min)
Column HP-1MS, 30m, 0.25mm
Control mode splitless
Injection Temp. 250 ℃
Column flow 1ml/min constant flow
Acquisition mode Interface Scan
Interface temp. 250 ℃
Ionization energy Scan 70 eV
Mass range 35-400 amu
Column pressure 4.2 Psi
Carrier gas He (99.9999%)
도 1은 대조군의 미역(A), 비교예 1의 미역(B), 실시예 1의 미역(C), 및 실시예 2의 미역(D)을 GC-MS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그래프이다.
상기 GC-MS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는 미역의 이취가 제거된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처리된 미역의 피크의 수가 대조군 및 비교예 1의 미역에 비하여 적으므로 이취가 제거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의 미역에 비하여 실시예 2에 따라 처리된 미역의 휘발성 성분 분석 피크의 수가 적고 및 높이가 낮으므로 실시예 2의 미역이 이취가 가장 많이 제거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휘발성 화합물의 분석
대조구,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 따라 제조된 미역의 휘발성 화합물을 GC-MS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단위: Peak Area)
No 휘발성 화합물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1 β-론원(β-lonone) 4,347,000 3,671,000 2,804,000 4,125,000 4,315,000
2 펜타데칸(Pentadecane) 5,627,000 3,677,000 2,299,000 5,214,000 5,619,000
3 페놀, 2,4,6-트리스(1-메틸에틸)(Phenol, 2,4,6-tris(1-methylethyl)) 1,659,000 581,556 68,339 1,378,002 1,607,842
4 펜타데카논산(Pentadecanoic acid) 1,370,000 846,024 75,967 1,159,376 1,357,157
5 프로피온산, 2-메틸-1-(1,1-디메틸에틸)-2-메틸-1,3-프로판디일-에스터)Propanoic acid, 2-methyl-, 1-(1,1-dimethylethyl)-2-methyl-1,3-propanediyl ester 3,237,000 2,026,000 1,116,000 2,989,543 3,215,496
6 아세테이트(Acetate, [6-(acetyloxy)-5,5,8a-trimethyl-2-methyleneperhydro-1-naphthalenyl]methyl ester) 1,015,000 583,404 92,504 985,128 1,011,284
7 1,4-메타노벤조사이클로데칸, 1,2,3,4,4a,5,8,9,12,12a-디카하이드로(1,4-Methanobenzocyclodecene, 1,2,3,4,4a,5,8,9,12,12a-decahydro) 1,054,000 4,038,000 1,445,000 1,178,159 1,059,238
8 2,5-디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비스(트리메틸실릴)에테르(2,5-Dihydroxyacetophenone, bis(trimethylsilyl) ether) 1,552,000 237,632 125,677 1,396,281 1,511,443
9 3-이소프로폭시-1,1,1,7,7,7-헥사메틸-3,5,5-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테트라실록산(
3-Isopropoxy-1,1,1,7,7,7-hexamethyl-3,5,5-tris(trimethylsiloxy)tetrasiloxane)
3,563,000 833,816 212,279 3,012,196 3,547,268
10 벤조사이오펜-2-카르복실산(Benzothiophene-2-carboxylic acid, 4,5,6,7-tetrahydro-7-hydroximino-3-[2-(4-morpholyl)-1-oxoethylamino]-, ethyl ester) 1,307,000 266,391 119,703 1,129,394 1,294,155
11 2-메틸-4-(나프틸)-2-펜텐(2-Methyl-4-(naphthyl)-2-pentene) 2,735,000 1,758,000 570,179 2,419,240 2,698,160
12 나프토[1,2-b]퓨란, 2,3-디하이드로-2-(1-메틸에텐일(Naphtho[1,2-b]furan, 2,3-dihydro-2-(1-methylethenyl)) 2,798,000 1,953,000 465,145 2,314,881 2,764,267
13 발트레이트(Valtrate) 1,371,000 558,945 261,881 1,125,435 1,369,204
14 2,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2,4,6-Trimethoxyacetophenone) 3,360,000 1,127,000 305,975 3,012,005 3,348,129
15 테트라데칸산(Tetradecanoic acid) 7,363,000 950,161 257,689 6,988,567 7,359,168
16 도트리아콘탄(Dotriacontane) 1,422,000 421,612 155,683 1,256,843 1,415,274
17 11-옥타데센알(11-octadecenal) 1,471,000 801,045 305,438 1,295,462 1,465,188
18 2-펜타데카논, 6,10,14-트리메틸(2-Pentadecanone, 6,10,14-trimethyl) 3,042,000 243,113 388,194 2,698,184 2,984,964
19 펜타데카논산(Pentadecanoic acid) 4,756,000 4,011,000 73,328 4,558,493 4,715,897
20 모르폴린, 4-옥타데실-(Morpholine, 4-octadecyl-) 15,130,000 785,862 3,573,000 14,956,184 15,002,571
21 부트릴피티라인(Butriptyline) 3,365,000 343,085 57,257 3,051,167 3,352,431
22 9-옥타데센산(9-Octadecenoic acid) 3,070,000 1,658,000 304,107 2,812,046 3,002,086
23 9-헥사데센산(Z)-(9-Hexadecenoic acid (Z)-) 6,857,000 427,741 129,539 6.513,186 6,819,237
24 헥사데센산(Hexadecenoic acid) 14,770,000 1,442,000 102,442 13,110,051 14,689,513
25 디부틸프탈산(Dibutyl phthalate) 3,184,000 710,589 679,904 2,468,294 3,059,152
26 3-이소프로필-1,1,1,7,7,7-헥사메틸-3,5,5-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테트라실록산(
3-Isopropoxy-1,1,1,7,7,7-hexamethyl-3,5,5-tris(trimethylsiloxy)tetrasiloxane)
4,992,000 543,959 222,078 4,012,591 4,925,437
27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18,390,000 8,831,000 2,565,000 15,468,057 18,138,596
28 시스-5,8,11,14,17-에이코사펜타엔산, 메틸 에스터(
cis-5,8,11,14,17-Eicosapentaenoic acid, methyl ester)
57,670,000 30,620,000 14,910,000 54,496,189 57,196,537
29 모르폴린, 4-옥타데실-(Morpholine, 4-octadecyl-) 7,318,000 669,854 1,951,000 6,882,423 7,159,375
30 옥타데논산(Octadenoic acid) 4,082,000 1,101,288 1,217,377 3,846,146 4,002,156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처리된 미역은 대조군의 미역과 동일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및 2의 미역은 대조군에 비하여 알칸은 거의 감소되지 않았지만 다른 냄새성분인 헥사데센산(Hexadecanoic acid, No 23)이 거의 제거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1 및 2의 미역은 대조군에 비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거의 제거되지 않을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신선도 확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처리된 미역을 20일 동안 15 ℃ 저장고에서 저장한 후 미생물 수를 측정하였다. 총 균수의 측정은 3M사의 건조배지(petrifilm, USA)를 사용하였으며, 총 균수 측정용 배지는 petrifilm aerobic count 배지로 37 ℃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측정하였다. 총 균수는 처리구 1 g 당 colony forming unit(CFU)로 나타내었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총균수(CFU/g)
5day 10day 20day
대조구 11.41 11.84 15.68
실시예 1 5.19 5.34 7.01
실시예 2 5.02 5.18 6.28
실시예 3 5.36 5.42 6.84
비교예 1 9.24 9.56 13.26
비교예 2 10.98 11.32 15.27
*N.D: Not detective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처리된 미역 및 다시마는 비교예에 비하여 총균수의 증가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3은 5일 후에 총균수의 증가폭이 적었으나, 비교예 1 및 2는 5일 후에 총균수의 증가폭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관능 검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처리된 미역을 전문패널 18명이 이취, 씹힘성, 미끌거림, 맛 및 종합적 기호도를 평가한 후 9점 척도법(정도가 클수록 9점에 가까움)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씹힘성, 미끌거림, 맛 및 종합적 기호도 : 1=매우 나쁘다, 9점=매우 좋다
-이취, 미끌거림 : 1=매우 낮다, 9점=매우 높다
구분 이취 씹힘성 미끌거림 종합적 기호도
대조구 1day 6.7 5.0 5.5 2.8 4.5
5day 7.0 4.6 6.0 2.1 4.1
15day 7.9 3.9 7.1 1.4 3.0
실시예 1 1day 5.4 5.7 4.4 3.8 5.6
5day 5.6 5.5 4.5 3.7 5.5
15day 6.0 5.2 5.0 3.3 5.1
실시예 2 1day 4.7 5.0 4.9 3.7 5.4
5day 4.8 4.8 4.9 3.7 5.4
15day 5.2 4.6 5.3 3.5 5.2
실시예 3 1day 4.8 5.2 5.3 3.4 5.2
5day 4.9 4.9 5.4 3.4 5.1
15day 5.2 4.6 5.6 3.1 4.9
비교예 1 1day 6.2 5.1 5.4 3.0 4.6
5day 6.5 4.6 5.6 2.8 4.3
15day 7.3 4.0 6.2 2.4 3.7
비교예 2 1day 6.5 5.0 5.5 2.8 4.5
5day 6.8 4.5 5.9 2.5 4.2
15day 7.6 3.5 6.8 1.9 3.3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처리된 미역 및 다시마는 비교예에 비하여 이취, 씹힘성, 미끌거림, 맛 및 종합적 기호도가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4)

  1. 완충용액에 탄산가스를 충전시킨 탄산완충용액에 해조류를 침지시켜 상기 탄산가스의 기포와 상기 해조류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탄산완충용액에 침지된 해조류에 50 내지 250 MPa의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탄산가스의 기포와 상기 해조류를 접촉시키는 단계에서 탄산완충용액의 탄산가스 농도는 0.1% 내지 1.0%이며,
    상기 압력을 가하는 단계에서 탄산완충용액의 온도는 4 내지 30 ℃이고 압력을 가하는 시간은 10 내지 12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의 이취 제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액은 포스페이트 완충용액, 시트르산 완충용액 및 초산 완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의 이취 제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액의 pH는 6.0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의 이취 제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완충용액에 침지되는 해조류의 수분함량은 8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의 이취 제거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는 미역, 다시마, 김, 우뭇가사리, 톳, 파래, 매생이 및 청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의 이취 제거방법.
  10. 완충용액에 탄산가스를 충전시키고 탄산가스의 농도가 0.1% 내지 1.0%이며 온도가 4 내지 30 ℃인 탄산완충용액에 침지되어 50 내지 250 MPa의 압력으로 10 내지 120분 동안 처리됨으로써 이취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액은 포스페이트 완충용액, 시트르산 완충용액 및 초산 완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는 미역, 다시마, 김, 우뭇가사리, 톳, 파래, 매생이 및 청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KR1020150109402A 2015-08-03 2015-08-03 이취가 제거된 해조류 및 이취의 제거방법 KR101753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402A KR101753224B1 (ko) 2015-08-03 2015-08-03 이취가 제거된 해조류 및 이취의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402A KR101753224B1 (ko) 2015-08-03 2015-08-03 이취가 제거된 해조류 및 이취의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082A KR20170016082A (ko) 2017-02-13
KR101753224B1 true KR101753224B1 (ko) 2017-07-05

Family

ID=5815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402A KR101753224B1 (ko) 2015-08-03 2015-08-03 이취가 제거된 해조류 및 이취의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2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1058A1 (en) 2019-07-02 2021-01-07 Nanoalgae Solutions Ag Method for deodorizing algae
KR20220000020A (ko) 2020-06-24 2022-01-03 완도전복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 전복내장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000A (ko) 2007-07-13 2009-01-16 (주)청호씨푸드 이취 없는 해조분말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해조분말이 함유된 쿠키조성물
KR20130139037A (ko) 2012-06-12 2013-12-2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임계 또는 아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해조류의 이취 성분 제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1058A1 (en) 2019-07-02 2021-01-07 Nanoalgae Solutions Ag Method for deodorizing algae
KR20220000020A (ko) 2020-06-24 2022-01-03 완도전복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 전복내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082A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res et al. Towards integral utilization of grape pomace from winemaking process: A review
Lucena-Padrós et al. Microbial diversity and dynamics of Spanish-style green table-olive fermentations in large manufacturing companies through culture-dependent techniques
KR20180098195A (ko) 참기름 및 이의 제조 방법
Morata et al. Electron beam irradiation of wine grapes: Effect on microbial populations, phenol extraction and wine quality
KR101753224B1 (ko) 이취가 제거된 해조류 및 이취의 제거방법
Tufariello et al. Efficacy of yeast starters to drive and improve Picual, Manzanilla and Kalamàta table olive fermentation
KR102323299B1 (ko)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아로니아 발효 주정 추출물 및 이의 용도
Zanoni et al. Investigation on microbiology of olive oil extraction process
Shin et al. Rhamnogalacturonan I‐rich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fermented persimmon fruit increases macrophage‐stimulatory activity by activating MAPK and NF‐κB signaling
Villanueva et al. Characterization and use of Mangifera indica L. seeds from four varieties
Montaño et al. Production of volatile compounds by wild-type yeasts in a natural olive-derived culture medium
KR20170091233A (ko) 특이취가 제거된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17243363B (zh) 一种发酵辣椒酱及其制备方法
Jamaluddin et al. Effects of solid state fermentation by Monascus purpureus on phenolic content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coconut testa and rice bran
KR102039262B1 (ko) 소나무 오일 추출방법
Najla et al. Olive fruit by-products: from waste streams into a promising source of value-added products
Tu et al. Dynamics of microbial communities, flavor,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mbucha-fermented Sargassum fusiforme beverage during fermentation
KR101703075B1 (ko) 젖산균 살라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079534A (ja) 発酵食品
Li et al. A new antioxidant from the marine sponge-derived fungus Aspergillus versicolor
Kadam et al. Ferment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ine from dried Ficus carica (L)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NCIM 3282
Mulyadi et al. An overview of factors that affected in quality of virgin coconut oil
CN104962446A (zh) 一种利用超高压、超高磁技术处理酒的方法
KR101476028B1 (ko) 현미 막걸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현미 막걸리
Tufariello et al. Biotechnology can improve a traditional product as table ol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