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876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876B1
KR101752876B1 KR1020100129285A KR20100129285A KR101752876B1 KR 101752876 B1 KR101752876 B1 KR 101752876B1 KR 1020100129285 A KR1020100129285 A KR 1020100129285A KR 20100129285 A KR20100129285 A KR 20100129285A KR 101752876 B1 KR101752876 B1 KR 101752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orous
porous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7730A (ko
Inventor
오민호
조윤형
이병덕
김용탁
이소영
정윤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9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876B1/ko
Priority to US13/088,912 priority patent/US8878201B2/en
Priority to TW100122814A priority patent/TWI548077B/zh
Priority to CN201110215050.8A priority patent/CN102569664B/zh
Publication of KR20120067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730A/ko
Priority to US14/504,269 priority patent/US1103814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876B1/ko
Priority to US17/346,150 priority patent/US2021030553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용 무기막이 주는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가혹환경하에서도 장시간동안 특성이 유지되고 유기 발광 소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제1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전극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덮도록 형성되고, 무기막을 포함하는 밀봉막과, 상기 밀봉막과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사이에 개재된 다공질막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봉 구조를 개선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시야각, 콘트라스트(contrast), 응답속도, 소비전력 등의 측면에서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MP3 플레이어나 휴대폰 등과 같은 개인용 휴대기기에서 텔레비젼(TV)에 이르기까지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산소나 수분의 침투에 의해 열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산소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밀봉 구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밀봉 구조 중에 유기막과 무기막을 이용한 박막 밀봉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박막 밀봉구조에서 산소나 수분의 침투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고밀도의 무기막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고밀도의 무기막은 박형화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압축 또는 인장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에 고온 다습의 가혹한 환경하에 둘 경우 하부의 유기 발광 소자에 영향을 주게 된다.
실제 밀봉구조에서 사용되는 무기막의 베리어 특성 향상에만 집중하게 되면 가혹 조건 하에 장시간 노출 시 막두께가 얇고 상대적으로 연성인 유기발광소자에 영향을 미쳐 수명이 오히려 떨어지는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밀봉용 무기막이 주는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가혹환경하에서도 장시간동안 특성이 유지되고 유기 발광 소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제1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전극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덮도록 형성되고, 무기막을 포함하는 밀봉막과, 상기 밀봉막과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사이에 개재된 다공질막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막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제2전극과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밀봉막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및 다공질막의 외부에의 노출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밀봉막의 무기막이 상기 다공질막과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막은 제1다공질막과 제2다공질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다공질막의 밀도는 상기 제2다공질막의 밀도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다공질막이 제2전극과 접하고 상기 제1다공질막의 밀도가 제2다공질막의 밀도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막은 그 두께 방향으로 밀도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밀도구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막은 무기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막은 유기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제1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전극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접하고, 다공질막을 포함하는 제1막과, 상기 유기 발광 소자 및 제1막을 덮도록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막과 접하며, 무기막을 포함하는 제2막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막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제2전극과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막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및 제1막의 외부에의 노출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막의 무기막이 상기 제1막과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막은 제1다공질막과 제2다공질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다공질막의 밀도는 상기 제2다공질막의 밀도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다공질막이 상기 제2전극과 접하고 상기 제1다공질막의 밀도가 제2다공질막의 밀도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막은 그 두께 방향으로 밀도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밀도구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막은 무기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막은 무기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막은 상기 다공질막과 접하는 무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다공질막은 유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 발광 소자를 덮는 막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유기 발광 소자가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각 화소의 미세 암점 등의 발현을 막아주고, 장시간 발광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일 화소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막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막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유기 발광 소자 상에 형성된 고밀도 SiNx막의 전자 현미경 사진,
도 6은 도 5의 고밀도 SiNx막 상으로 유기물막 및 무기물막을 교호적으로 적층하여 박막 밀봉구조를 형성한 이 후,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100시간 보존한 후의 화소의 현미경 사진,
도 7은 다공성의 SiNx막의 전자 현미경 사진,
도 8은 도 7의 다공성 SiNx막을 박막 밀봉구조와 유기 발광 소자의 사이에 개재한 이 후,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240시간 보관 후의 화소를 나타낸 현미경 사진,
도 9는 도 7과 같은 다공성 SiNx막을 3층으로 나눠 플라즈마 이온 밀도를 3단계로 올리면서 도 3에서 볼 수 있는 구조의 막을 형성한 경우,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500시간 보관 후의 화소를 나타낸 현미경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1의 일 화소의 다른 일 예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 12는 도 1의 일 화소의 또 다른 일 예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 13은 도 1의 일 화소의 또 다른 일 예에 대한 부분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 화소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기판(1)의 일면에 유기 발광 소자(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유기 발광 소자(2)를 밀봉막인 제2막(4)에 의해 덮도록 제2막(4)을 기판(1) 상에 형성한다.
상기 기판(1)은 글라스재 기판일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비된 기판일 수도 있다.
비록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 기판(1)은 각 화소 당 하나의 화소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화소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2)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1전극(21)과 제2전극(22) 및 제1전극(21)과 제2전극(22)의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막(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전극(21)은 전술한 기판(1)에 포함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전극(21)과 제2전극(22)은 서로 대향되고, 유기 발광막(23)에 의해 상호 전기적 절연이 유지된다.
제1전극(21) 및 제2전극(22)은 각각 애노드 및 캐소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데, 극성은 서로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제1전극(21)이 애노드로 사용될 경우, 상기 제1전극(21)으로는 일함수의 절대값이 높은 물질을 사용하고, 제2전극(22)이 캐소드로 사용될 경우, 상기 제2전극(22)으로는 일함수의 절대값이 제1전극(21)보다 낮은 것을 사용한다. 제1전극(21) 및 제2전극(22)의 극성이 반대로 될 경우 물질도 반대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제1전극(21)이 애노드로, 제2전극(22)이 캐소드로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토록 한다.
제1전극(21)은 ITO, IZO, ZnO, 및 In2O3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전극(22)은 Al, Ag, Mg 및 Cr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기판(1)의 방향으로 화상이 구현되는 배면 발광형 구조의 경우 상기 제2전극(22)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여 기판(1) 방향으로의 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막(4)의 방향으로 화상이 구현되는 전면 발광형 구조의 경우, 상기 제2전극(22)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제2전극(22)이 반투과 반사막이 되도록 하거나, 제2전극(22)을 전술한 물질 이외에도 투명한 도전체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제1전극(21)이 반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막(23)은 발광층(EML)을 포함하는 복수 유기막의 적층 구조로 형성한다. 발광층과 제1전극(21)의 사이에는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등이 구비될 수 있고, 발광층과 제2전극(22)의 사이에는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의 제2막(4)은 제1무기막(41) 및 제2무기막(43)의 사이에 유기막(42)이 개재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무기막과 유기막이 서로 교호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막(4)과 유기 발광 소자(2)의 사이에 제1막(3)이 개재된다.
상기 제1막(3)은 유기 발광 소자(2)와 제2막(4)에 각각 접하는 것으로, 제2막(4)에 포함된 무기막에 의해 스트레스가 증가되는 것을 막아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막(3)은 유기 발광 소자(2)의 제2전극(22)에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막(3)은 제2막(4)의 제1무기막(41)에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막(3)에 의한 상기 스트레스 완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막(3)은 다공질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막(3)을 다공질막으로 형성함으로써 제2막(4)에 의한 투습, 투기 방지 기능의 향상보다는 제1막(3)에 의한 스트레스 완화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공질막은 무기물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제2막(4)에 의한 스트레스 증대, 특히, 제1무기막(41) 및 제2무기막(43)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스트레스 증대를 완화시켜줄 수 있다.
상기 제1막(3)의 다공질막은 SiNx, SiOx, SiCN, SiON 등과 같은 무기물을 PECVD 공정을 이용하여 저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즉, PECVD 공정 시, 플라즈마 이온 밀도를 낮춰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막(3)의 두께는 제2막(4)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제1막(3)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전면 발광형의 구조에서 가시광 투과율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제2막(4)의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한 최소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막(3)의 두께는 제2막(4)의 제1무기막(4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제1막(3)을 단일의 다공질막으로 형성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다공질막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제1막(3')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제1막(3')을 복수의 다공질막으로 구성한 것이다. 복수의 다공질막은 적어도 2층 이상의 밀도가 서로 다른 다공질막으로 형성할 수 있는 데, 도 3에 따른 실시예는 제1다공질막(31), 제2다공질막(32) 및 제3다공질막(33)의 적층체로 형성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제1다공질막(31), 제2다공질막(32) 및 제3다공질막(33)은 서로 막 밀도가 상이한 데, 제1다공질막(31)이 밀도가 가장 낮고, 제3다공질막(33)이 밀도가 가장 높도록, 즉 제1다공질막(31)에서 제3다공질막(33)으로 갈수록 밀도 구배가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밀도 구배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층의 다공질막을 포함하는 제1막(3')의 경우에도 전체 두께는 단일층의 다공질막 두께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막(3")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제1막(3")은 SiCN을 PECVD 공정으로 형성한 것으로, SiN으로 이루어진 제3무기막(34)과 제4무기막(35)의 사이에 카본(Carbon) 또는 카본을 포함한 물질에 의해 제4다공질막(36)이 형성된다.
이러한 카본으로 이루어진 제4다공질막(36)은 베리어 특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이 제4다공질막(36)에 의해 무기막이 섞여있는 제1막(3") 및 이 위에 형성되는 제2막(4)에 의한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줄 수 있다.
도 5는 유기 발광 소자 상에 형성된 고밀도 SiNx막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이 고밀도 SiNx막 상으로 유기물막 및 무기물막을 교호적으로 적층하여 박막 밀봉구조를 형성한 이 후,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100시간 보존한 후의 화소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 좌측은 발광 상태, 우측은 비발광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고밀도 SiNx막은 밀도가 높아 그 자체의 베리어 특성은 우수하나 강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하부의 유기 발광 소자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도 6과 같은 암점을 나타낸다.
도 7은 베리어 특성이 거의 없는 다공성의 SiNx막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이 다공성 SiNx막을 전술한 박막 밀봉구조와 유기 발광 소자의 사이에 개재한 이 후,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240시간 보관 후의 화소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서 좌측은 발광 상태, 우측은 비발광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처럼 베리어 특성이 거의 없는 다공성의 SiNx막을 더 개재시키는 것만으로,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암점의 수가 현저히 줄어듦을 알 수 있다.
도 9는 도 7과 같은 다공성 SiNx막을 3층으로 나눠 플라즈마 이온 밀도를 3단계로 올리면서 도 3에서 볼 수 있는 구조의 막을 형성한 경우,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500시간 보관 후의 화소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가혹 환경 하에서 더욱 많은 시간을 유지하여도 암점의 발생이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미세 암점이 발현하지 않는 구조, 즉, 다공질 SiNx막은 베리어 특성이 거의 없는 막이다. 상기 다공질막은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주는 층으로만 사용되는 데, 이 다공질막은 베리어 특성을 갖는 SiNx막에 비해 Si-H 결합비율이 높고, Si-N 결합 비율이 낮다. 따라서, 전술한 스트레스의 완화를 위한 다공질막으로는 Si-H 결합비율이 높게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공질막은 전술한 밀봉 구조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서와 같이 밀봉 기판(4')을 실링제(44)에 의해 기판(1)에 접합시키는 구조에서 유기 발광 소자(2)를 덮는 패시베이션막으로서 제1막(3)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 패시베이션막 위에도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제2막(4)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제1막(3)으로는 도 2 내지 도 4의 구조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다공질막인 제1막은 제2전극과 반드시 접하도록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2전극과 고밀도 베리어막인 무기막의 사이에 개재되면 무기막의 스트레스 완화 구조로 충분히 작용할 수 있게 되어 화소의 미세 암점 발현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제2전극(22) 위에 유기 발광 소자(2)의 공진 구현을 위해 적용하는 박막의 무기막인 캐핑 층(5)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제1막(3)을 형성하며, 이 제1막(3) 상으로 제2막(4)을 더 형성하는 구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도 1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다공질막인 제1막(3)이 밀봉막인 제2막(4') 내에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제2전극(22) 위로 밀봉막인 제2막(4')의 제1유기막(42')이 먼저 형성된 후, 이 제1유기막(42') 위에 제1막(3)을 형성한 것이다. 제1막(3) 위로는 제1무기막(41'), 제2유기막(45) 및 제2무기막(43')이 순차 적층되어 밀봉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제1무기막(41') 및 제2무기막(43')이 고밀도 베리어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스트레스가 크게 되는 데, 제1유기막(42')과의 사이에 상기 제1막(3)이 개재됨으로 인해 이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줘 미세 암점의 발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도 11과 도 12의 실시예를 복합적으로 적용한 것으로, 도 12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2전극(22)과 제1유기막(42')의 사이에 도 11과 같은 캐핑층(5)이 더 개재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무기막(41') 및 제2무기막(43')이 고밀도 베리어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스트레스가 크게 되는 데, 제1유기막(42')과의 사이에 상기 제1막(3)이 개재됨으로 인해 이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줘 미세 암점의 발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도 11 내지 도 13의 실시예에서도 제2막(4)(4')은 반드시 도시된 적층 순서 및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막과 무기막이 복수회 더 교대로 적층된 구조도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도 10의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기판 2: 유기 발광 소자
3, 3', 3": 제1막 4,4': 제2막
41,41' 제1무기막 42: 유기막
42': 제1유기막 43,43': 제2무기막
45: 제2유기막 34: 제3무기막
35: 제4무기막 31: 제1다공질막
31: 제2다공질막 33: 제3다공질막

Claims (22)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제1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전극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덮도록 형성되고, 무기막 및 상기 무기막 위에 형성된 유기막을 포함하는 밀봉막; 및
    상기 밀봉막과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사이에 개재된 다공질막;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막은 상기 다공질막보다 두꺼운 유기 발광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제2전극과 접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다공질막의 사이에 무기막 및 유기막 중 적어도 하나가 더 개재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및 다공질막의 외부에의 노출을 차단하도록 구비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의 무기막이 상기 다공질막과 접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은 제1다공질막과 제2다공질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다공질막의 밀도는 상기 제2다공질막의 밀도와 서로 다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공질막과 제2다공질막 중 제1다공질막이 상기 제2전극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다공질막의 밀도가 제2다공질막의 밀도보다 낮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은 그 두께 방향으로 밀도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밀도구배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은 상기 밀봉막의 무기막보다 밀도가 낮은 무기물로 구비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은 유기물로 구비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1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제1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전극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접하고, 다공질막을 포함하는 제1막;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 및 제1막을 덮도록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막과 접하며, 무기막 및 상기 무기막 상에 형성된 유기막을 포함하는 제2막;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막은 상기 다공질막보다 두꺼운 유기 발광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막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제2전극과 접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제1막의 사이에 무기막 및 유기막 중 적어도 하나가 더 개재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막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및 제1막의 외부에의 노출을 차단하도록 구비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막의 무기막이 상기 제1막과 접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은 제1다공질막과 제2다공질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다공질막의 밀도는 상기 제2다공질막의 밀도와 서로 다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공질막과 제2다공질막 중 제1다공질막이 상기 제2전극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다공질막의 밀도가 제2다공질막의 밀도보다 낮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은 그 두께 방향으로 밀도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밀도구배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은 상기 제2막의 무기막보다 밀도가 낮은 무기물로 구비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막은 무기물로 구비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막은 상기 다공질막과 접하는 무기막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은 유기물로 구비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0100129285A 2010-12-16 2010-12-1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752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285A KR101752876B1 (ko) 2010-12-16 2010-12-1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3/088,912 US8878201B2 (en) 2010-12-16 2011-04-18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TW100122814A TWI548077B (zh) 2010-12-16 2011-06-29 有機發光顯示設備
CN201110215050.8A CN102569664B (zh) 2010-12-16 2011-07-26 有机发光显示装置
US14/504,269 US11038144B2 (en) 2010-12-16 2014-10-01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7/346,150 US20210305536A1 (en) 2010-12-16 2021-06-11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285A KR101752876B1 (ko) 2010-12-16 2010-12-1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737A Division KR101886284B1 (ko) 2017-06-26 2017-06-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730A KR20120067730A (ko) 2012-06-26
KR101752876B1 true KR101752876B1 (ko) 2017-07-03

Family

ID=4623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285A KR101752876B1 (ko) 2010-12-16 2010-12-1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878201B2 (ko)
KR (1) KR101752876B1 (ko)
CN (1) CN102569664B (ko)
TW (1) TWI5480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6453A (ko) * 2011-03-18 2012-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48441A (ko) 2012-10-15 2014-04-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1231A (ko) 2013-07-22 2015-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84673B1 (ko) 2013-08-14 2020-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80052161A (ko) * 2016-11-09 2018-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N109244268B (zh) * 2018-09-19 2021-01-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021029B1 (ko) * 2018-10-16 2019-09-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0566A (ja) 2004-10-25 2006-05-11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有機el素子の封止方法
JP3962572B2 (ja) 2001-10-30 2007-08-22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37085A1 (en) 1998-08-03 2000-02-17 Uniax Corporation Encapsulation of polymer-based solid state devices with inorganic materials
US6573652B1 (en) * 1999-10-25 2003-06-03 Battelle Memorial Institute Encapsulated display devices
US6624568B2 (en) * 2001-03-28 2003-09-2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Multilayer barrier region containing moisture- and oxygen-absorbing material for optoelectronic devices
TW546857B (en) 2001-07-03 2003-08-1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emit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6888305B2 (en) 2001-11-06 2005-05-0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Encapsulation structure that acts as a multilayer mirror
KR100477745B1 (ko) * 2002-05-23 2005-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봉지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 패널
KR100490118B1 (ko) 2003-04-01 2005-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기발광소자
TWI221678B (en) * 2003-04-04 2004-10-0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Method of forming sealing structure for electroluminescent organic device
KR100552973B1 (ko) * 2003-11-17 2006-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US7722929B2 (en) * 2005-08-18 2010-05-25 Corning Incorporated Sealing technique for decreasing the time it takes to hermetically seal a device and the resulting hermetically sealed device
JP4106076B2 (ja) 2005-09-29 2008-06-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有機el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38073B1 (ko) * 2005-12-30 2008-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40105B1 (ko) * 2007-02-23 2014-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8053984B2 (en) * 2008-05-26 2011-11-08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O2011037938A2 (en) * 2009-09-25 2011-03-31 Sri International A method for encapsulation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US11038144B2 (en) * 2010-12-16 2021-06-1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2572B2 (ja) 2001-10-30 2007-08-22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発光装置
JP2006120566A (ja) 2004-10-25 2006-05-11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有機el素子の封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05536A1 (en) 2021-09-30
TW201227948A (en) 2012-07-01
US20120153308A1 (en) 2012-06-21
CN102569664B (zh) 2016-03-16
US8878201B2 (en) 2014-11-04
CN102569664A (zh) 2012-07-11
TWI548077B (zh) 2016-09-01
KR20120067730A (ko) 201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87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8570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18130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81476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787241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WI503043B (zh) 電激發光顯示面板
KR10197036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987122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multiple films
JP2007536697A (ja) フレキシブル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バイス
CN104122615A (zh) 功能性偏振膜以及包含该偏振膜的有机发光显示设备
TW201322515A (zh) 可撓性主動元件陣列基板以及有機電激發光元件
CN110571347B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US996656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having cover unit with different thickness
US7545093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P3598502B1 (en) Package structur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0830334B1 (ko)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8628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00020666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
KR20080104324A (ko) 가요성 전기발광 소자
KR10083943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WO2005066920A1 (ja) 表示装置
KR2012001959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1129096A (zh) 有机发光二极管器件及其制作方法
JP2024019105A (ja) 表示パネルおよ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KR102345793B1 (ko)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