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767B1 -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767B1
KR101752767B1 KR1020160164165A KR20160164165A KR101752767B1 KR 101752767 B1 KR101752767 B1 KR 101752767B1 KR 1020160164165 A KR1020160164165 A KR 1020160164165A KR 20160164165 A KR20160164165 A KR 20160164165A KR 101752767 B1 KR101752767 B1 KR 101752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heet
sensor
touch
hole form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토모아키 츠치야
도모야 사사키
신야 아베
야스노리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60164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767B1/ko
Priority to CN201780074515.8A priority patent/CN110023890B/zh
Priority to JP2018554876A priority patent/JP6765440B2/ja
Priority to EP17877409.7A priority patent/EP3550411B1/en
Priority to PCT/JP2017/040499 priority patent/WO2018105305A1/ja
Priority to US16/407,402 priority patent/US1083855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Abstract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는,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과 센서시트에 의해 전기적 연결되는 터치패널, 및 상기 센서시트가 관통하는 관통구 형성부가 마련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형성부의 양측 내면에는, 센서시트의 양측부 일부분의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관통구 형성부 및 돌기부를 구비함으로써, 제품 동작 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터치센서의 잘못된 터치 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Detecting Error Preventive Structure for Touch Sensor, and Electr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 동작 시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터치센서의 잘못된 터치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측 절단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관통구 및 센서시트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터치패널 동작 시 센서시트가 움직여 관통구의 내부면과 접촉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 절단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전자기기(1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14) 외에도 다수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기기(10)는, 케이스(11)의 내부에 장착된 회로기판(12), 회로기판(12)과 센서시트(13)에 의해 전기적 연결되는 터치패널(14), 및 센서시트(13)가 관통하는 관통구 형성부(15)가 마련된 케이스(11)를 포함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기기(10)는, 터치패널(14)을 케이스의 일측에 상하방향 왕복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터치패널(14) 하부에는 회로기판(12) 상에 탑재된 스위칭 부재(17)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스위칭 서포트(18)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10)의 경우, 상하 방향 왕복 슬라이딩 구동되는 터치패널(14)로 인해 센서시트(13)가 움직이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시트(13)는 관통구 형성부(15)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시트(13)는 잘못된 터치 신호를 감지하여 전자기기(10)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센서시트(13)에는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다수의 일렉트로노드 패턴(Electronode pattern)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일렉트로노드 패턴이 관통구 형성부(15)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잘못된 터치 신호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06-0108999 (2006년 10월 19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전자기기 동작 시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터치센서의 잘못된 터치 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는,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과 센서시트에 의해 전기적 연결되는 터치패널, 및 상기 센서시트가 관통하는 관통구 형성부가 마련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형성부의 양측 내면에는, 센서시트의 양측부 일부분의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기부가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형성부의 관통구는 센서시트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평면상 직사각형 구조이고, 상기 돌기부는 관통구의 평면상 네 모서리부분에 형성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시트는, 센서시트의 양측부에 형성된 그라운드 패턴(Ground pattern); 및 상기 그라운드 패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양측부에 형성된 두 개의 그라운드 패턴 사이에 형성된 일렉트로노드 패턴(Electronode pattern);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는 센서시트의 그라운드 패턴의 일부분과 접촉할 수 있도록 관통구 형성부의 양측 내면에 소정 길이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센서시트의 일렉트로노드 패턴과 1.0 내지 2.0 mm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은 케이스의 일측에 상하방향 왕복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터치패널 하부에는 회로기판 상에 탑재된 스위칭 부재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스위칭 서포트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형성부는, 회로기판의 상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구 형성부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는, 관통구의 연장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형성부의 관통구의 길이는, 센서시트의 폭 대비 105 내지 115 %의 길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관통구 형성부 및 돌기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자기기 동작 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터치센서의 잘못된 터치 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에 따르면, 센서시트의 그라운드 패턴과 일렉트로노드 패턴을 특정 위치에 배치하고, 이와 동시에 관통구에 형성된 돌기부의 위치를 그라운드 패턴과 접촉하도록 특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전자기기 동작 시 흔들림이 발생하여도 센서시트의 일렉트로노드 패턴과 관통구의 내부면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잘못된 터치 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에 따르면, 회로기판의 상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관통구 및 관통구에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함으로써, 센서시트에 형성된 일렉트로노드 패턴이 관통구의 내부면과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잘못된 터치 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따르면,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전자기기 동작 시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터치센서의 잘못된 터치 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측 절단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관통구 및 센서시트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터치패널 동작 시 센서시트가 움직여 관통구의 내부면과 접촉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 절단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통구 및 센서시트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 절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통구, 센서시트, 센서시트에 형성된 그라운드 패턴 및 일렉트로노드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를 나타내는 측 절단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통구 및 센서시트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4의 B-B'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100)는, 케이스(101)의 내부에 장착된 회로기판(102), 상기 회로기판(102)과 센서시트(130)에 의해 전기적 연결되는 터치패널(103), 및 상기 센서시트(130)가 관통하는 관통구 형성부(110)가 마련된 케이스(101)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특정 구조의 관통구 형성부(110) 및 돌기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제품 동작 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터치센서의 잘못된 터치 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통구 형성부(110)의 관통구(111)는 센서시트(130)의 폭(W)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평면상 직사각형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돌기부(120)는 관통구(111)의 평면상 네 모서리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20)는 관통구 형성부(110)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구성으로서, 센서시트(130)의 양측부 일부분의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 형성부(110)는, 회로기판(102)의 상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관통구 형성부(110)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120)는, 관통구(111)의 연장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구 형성부(110)의 관통구(111)의 길이(L)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시트(130)의 폭(W) 대비 105 내지 115 %의 길이임이 바람직하다. 관통구(111)의 길이(L)가 센서시트(130)의 폭(W) 대비 115 %의 길이를 초과할 경우, 센서시트(130)의 폭 방향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구속시킬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관통구(111)의 길이(L)가 센서시트(130)의 폭(W) 대비 105 %의 길이 미만일 경우, 센서시트(130)의 폭 방향 움직임을 과도하게 구속하여 터치패널(103)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통구, 센서시트, 센서시트에 형성된 그라운드 패턴 및 일렉트로노드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를 나타내는 측 절단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4 내지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시트(130)는, 그라운드 패턴(Ground pattern, 131) 및 일렉트로노드 패턴(Electronode pattern, 132)이 형성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센서시트(130)의 그라운드 패턴(13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시트(130)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일렉트로노드 패턴(132)은 그라운드 패턴(131)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양측부에 형성된 두 개의 그라운드 패턴(131) 사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20)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시트(130)의 그라운드 패턴(131)의 일부분과 접촉할 수 있도록 관통구 형성부(110)의 양측 내면에 소정 길이의 폭(D)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20)는 센서시트(130)의 일렉트로노드 패턴(132)과 1.0 내지 2.0 mm 이격(E)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100)는, 케이스(101)의 일측에 상하방향 왕복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터치패널(10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터치패널(103) 하부에는 회로기판(102) 상에 탑재된 스위칭 부재(104)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스위칭 서포트(105)가 장착되어 상하 방향 푸쉬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 푸쉬 동작을 구현하며 터치패널(103)이 움직이는 경우에도, 관통구 형성부(110)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120)에 의해 일렉트로노드 패턴(132)과 관통구(111)의 내부면이 소정 거리(도 6의 d)만큼 이격되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잘못된 터치 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 구조(100)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100)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관통구 형성부(110) 및 돌기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제품 동작 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터치센서의 잘못된 터치 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100)에 따르면, 센서시트(130)의 그라운드 패턴(131)과 일렉트로노드 패턴(132)을 특정 위치에 배치하고, 이와 동시에 관통구(111)에 형성된 돌기부(120)의 위치를 그라운드 패턴(131)과 접촉하도록 특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전자기기 동작 시 흔들림이 발생하여도 센서시트(130)의 일렉트로노드 패턴(132)과 관통구(111)의 내부면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잘못된 터치 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100)에 따르면, 회로기판(102)의 상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관통구(111) 및 관통구(111)에 형성된 돌기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센서시트(130)에 형성된 일렉트로노드 패턴(132)이 관통구(111)의 내부면과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잘못된 터치 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따르면,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100)를 구비함으로써, 전자기기 동작 시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터치센서의 잘못된 터치 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기기
11: 케이스
12: 회로기판
13: 센서시트
14: 터치패널
15: 관통구 형성부
16: 관통구
17: 스위칭 부재
18: 스위칭 서포트
100: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101: 케이스
102: 회로기판
103: 터치패널
104: 스위칭 부재
105: 스위칭 서포트
110: 관통구 형성부
111: 관통구
120: 돌기부
130: 센서시트
131: 그라운드 패턴(Ground pattern)
132: 일렉트로노드 패턴(Electronode pattern)

Claims (10)

  1. 케이스(101)의 내부에 장착된 회로기판(102), 상기 회로기판(102)과 센서시트(130)에 의해 전기적 연결되는 터치패널(103), 및 상기 센서시트(130)가 관통하는 관통구 형성부(110)가 마련된 케이스(101)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형성부(110)의 양측 내면에는, 센서시트(130)의 양측부 일부분의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기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형성부(110)의 관통구(111)는 센서시트(130)의 폭(W)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평면상 직사각형 구조이고,
    상기 돌기부(120)는 관통구(111)의 평면상 네 모서리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시트(130)는,
    센서시트(130)의 양측부에 형성된 그라운드 패턴(Ground pattern, 131); 및
    상기 그라운드 패턴(131)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양측부에 형성된 두 개의 그라운드 패턴(131) 사이에 형성된 일렉트로노드 패턴(Electronode pattern, 1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20)는 센서시트(130)의 그라운드 패턴(131)의 일부분과 접촉할 수 있도록 관통구 형성부(110)의 양측 내면에 소정 길이의 폭(D)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20)는 센서시트(130)의 일렉트로노드 패턴(132)과 1.0 내지 2.0 mm 이격(E)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103)은 케이스(101)의 일측에 상하방향 왕복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터치패널(103) 하부에는 회로기판(102) 상에 탑재된 스위칭 부재(104)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스위칭 서포트(105)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형성부(110)는, 회로기판(102)의 상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형성부(110)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120)는, 관통구(111)의 연장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형성부(110)의 관통구(111)의 길이(L)는, 센서시트(130)의 폭(W) 대비 105 내지 115 %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60164165A 2016-12-05 2016-12-05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1752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165A KR101752767B1 (ko) 2016-12-05 2016-12-05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N201780074515.8A CN110023890B (zh) 2016-12-05 2017-11-09 触摸传感器误感测防止构造以及包含其的电子设备
JP2018554876A JP6765440B2 (ja) 2016-12-05 2017-11-09 タッチセンサ誤検知防止構造、及びそれを含む電子機器
EP17877409.7A EP3550411B1 (en) 2016-12-05 2017-11-09 Touch sensor false detection preventi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PCT/JP2017/040499 WO2018105305A1 (ja) 2016-12-05 2017-11-09 タッチセンサ誤検知防止構造、及びそれを含む電子機器
US16/407,402 US10838552B2 (en) 2016-12-05 2019-05-09 Touch sensor false detection preve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165A KR101752767B1 (ko) 2016-12-05 2016-12-05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767B1 true KR101752767B1 (ko) 2017-06-30

Family

ID=5927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165A KR101752767B1 (ko) 2016-12-05 2016-12-05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38552B2 (ko)
EP (1) EP3550411B1 (ko)
JP (1) JP6765440B2 (ko)
KR (1) KR101752767B1 (ko)
CN (1) CN110023890B (ko)
WO (1) WO201810530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199B1 (ko) 2005-04-14 2006-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오작동 방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2008071239A (ja) * 2006-09-15 2008-03-27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KR101670258B1 (ko) * 2009-07-06 2016-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5886489B2 (ja) * 2009-09-21 2016-03-16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US8611077B2 (en) * 2010-08-27 2013-12-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mponent mounting structures
KR101822657B1 (ko) * 2011-06-24 2018-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5871307B2 (ja) * 2011-09-30 2016-03-01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位置検出装置
JP5868721B2 (ja) * 2012-02-10 2016-02-24 ホシデン株式会社 入力装置
WO2014192336A1 (ja) * 2013-05-29 2014-12-04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基板
KR102345612B1 (ko) * 2015-07-08 2022-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9851837B2 (en) * 2015-12-28 2017-12-26 Olympus Scientific Solutions Americas, Inc. Touchscreen display assembly for harsh environment
WO2017142870A1 (en) * 2016-02-15 2017-08-24 Neocoil, Llc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mpatible mobile compu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50411A1 (en) 2019-10-09
EP3550411B1 (en) 2021-04-28
JP6765440B2 (ja) 2020-10-07
EP3550411A4 (en) 2020-07-08
CN110023890A (zh) 2019-07-16
US10838552B2 (en) 2020-11-17
JPWO2018105305A1 (ja) 2019-07-11
US20190265838A1 (en) 2019-08-29
CN110023890B (zh) 2022-04-01
WO2018105305A1 (ja)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8289B2 (ja) 電化製品用の制御装置
US7920127B2 (en) Capacitive coordinate detection device
EP0003434A1 (en) Electrical switch
WO2005086811A3 (en) Tilt sensor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2014043111A5 (ko)
KR20180017000A (ko) 개량된 터치 및 제스처 디코딩을 위한 센서 구조체
KR101752767B1 (ko) 터치센서 오감지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JP4912428B2 (ja) 振動感知スイッチ
US10680610B2 (en) Capacitive switch
CN114514429A (zh) 电流检测装置
CN100353473C (zh) 多方向输入装置
JP6994423B2 (ja) 電装ユニット
KR102046526B1 (ko) 압력센서
KR101344731B1 (ko) 수위 레벨 센서용 pcb
KR101419461B1 (ko) Pcb부품삽입검출장치
JP2020190503A (ja) 光学センサおよび電子機器
EP3221816B1 (en) Secure keypad
US8471164B2 (en) Capacitive switch
KR101483151B1 (ko)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
KR920000889Y1 (ko) 텐션을 이용한 노브 보호장치
JPWO2022034765A5 (ko)
KR101340948B1 (ko) 전자 방해 검출 장치
JP2007091443A (ja) 移載装置
JP4862625B2 (ja) 非接触型変位センサ装置
JP2007285486A (ja) インヒビタ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