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442B1 - 평판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평판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442B1
KR101752442B1 KR1020100127792A KR20100127792A KR101752442B1 KR 101752442 B1 KR101752442 B1 KR 101752442B1 KR 1020100127792 A KR1020100127792 A KR 1020100127792A KR 20100127792 A KR20100127792 A KR 20100127792A KR 101752442 B1 KR101752442 B1 KR 101752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isplay
polarizing
panel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6443A (ko
Inventor
박정목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7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442B1/ko
Priority to US13/185,104 priority patent/US8817210B2/en
Publication of KR20120066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평판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판, 및 반사방지 편광판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은 상기 기판의 일 면 위에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어 그 내부를 투과한 외부광 중에서 상기 기판의 표면 또는 상기 표시패널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흡수한다. 또한,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은 상기 외부광을 선편광하는 상부 편광필름, 상기 상부 편광필름을 투과한 광을 원편광하는 상부 위상차필름, 상기 상부 편광필름과 상기 위상차필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을 지지하는 제1 지지필름, 및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필름과 마주하여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을 지지하는 제2 지지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품질이 향상된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표시장치는 소형화, 박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전력으로 구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평판표시장치 중에 액정표시장치는 모니터 및 TV와 같은 중대형 표시장치에 적용되고 있고,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표시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평판표시장치가 휴대용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 평판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커버하는 윈도우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평판표시장치는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을 검출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터치스크린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표시패널의 상부에 윈도우기판 또는 터치스크린패널이 배치되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외부광이 상기 윈도우기판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에 반사되어 반사광이 발생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영상 정보를 갖지 않는 상기 반사광을 시인하게 되어 평판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품질이 향상된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평판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판 및 반사방지 편광판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은 상기 기판의 일 면 위에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어 그 내부를 투과한 외부광 중에서 상기 기판의 표면 또는 상기 표시패널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흡수한다.
또한,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은 상기 외부광을 선편광하는 상부 편광필름, 상기 상부 편광필름을 투과한 광을 원편광하는 상부 위상차필름, 상기 상부 편광필름 및 상기 위상차필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을 지지하는 제1 지지필름, 및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필름과 마주하여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을 지지하는 제2 지지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상기 표시패널을 커버하는 윈도우기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은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판표시장치는 반사방지 편광판을 구비하여 영상정보를 갖지 않는 반사광이 사용자에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여 평판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방지 편광판 내에서 두 개의 지지필름들 사이에 위상차필름이 개재되어 위상차필름은 상기 두 개의 지지필름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위상차필름이 외부에 노출되어 그 표면에 흠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위상차필름이 점착층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면서 상기 위상차필름 및 상기 점착층 사이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평판표시장치의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평판표시장치의 반사방지 편광판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원리와 외부광을 흡수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사방지 편광판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반사방지 편광판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반사방지 편광판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아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함께 제시된 도면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다소 간략화되거나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평판표시장치의 반사방지 편광판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원리와 외부광을 흡수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들을 참조하면, 상기 평판표시장치(300)는 백라이트(10), 표시패널(200), 제1 편광판(210), 제2 편광판(220), 윈도우기판(100) 및 반사방지 편광판(11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평판표시장치(300)는 액정표시장치일 수 있고, 상기 표시패널(200)은 액정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10)는 상기 표시패널(2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백라이트(10)는 소오스광(L0)을 발생시켜 상기 소오스광(L0)을 상기 표시패널(200) 측으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패널(200)은 서로 마주보는 두 기판들 및 상기 두 기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200)은 상기 백라이트(10)로부터 상기 소오스광(L0)을 제공받아 표시광(L1)을 출력한다. 상기 표시광(L1)은 영상 정보를 갖는 광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표시패널(200)은 상기 액정층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200)을 투과하는 상기 소오스광(L0)의 광량을 조절하여 상기 표시광(L1)을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제1 편광판(210)은 상기 표시패널(200)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편광판(220)은 상기 표시패널(200)의 전면에 부착된다.
상기 제1 편광판(210)은 상기 제1 편광판(210)은 제1 편광필름(211) 및 제1 위상차필름(212)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10) 위로 상기 제1 편광필름(211) 및 상기 제1 위상차필름(212)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편광판(220)은 제2 위상차필름(221), 제2 편광필름(222) 및 제3 위상차필름(223)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200) 위로 상기 제2 위상차필름(221), 상기 제2 편광필름(222) 및 상기 제3 위상차필름(223)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상기 제1 편광필름(211) 및 상기 제2 편광필름(223) 각각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과 같은 물질을 포함하여 일측 방향의 투과축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편광필름들(211,223) 각각은 상기 투과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만을 투과시켜 상기 제1 및 제2 편광필름들(211,223) 각각을 투과한 광은 선편광된다.
또한, 상기 제1 위상차필름(211), 상기 제2 위상차필름(221), 및 상기 제3 위상차필름(223) 각각은 λ/4 위상차판(quarter wave plate, QWP)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위상차필름들(211,221,223) 각각은 편광축 또는 느린축(slow axis)을 가져 상기 편광축 또는 느린축을 따라 진동하는 광의 위상을 지연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위상차필름들(211,221,223) 각각은 선편광된 광을 원편광시키거나, 원편광된 광을 선편광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들(210, 220)이 부착된 상기 표시패널(200)의 상부에는 윈도우기판(100)이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기판(100)은 상기 표시패널(200)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윈도우기판(1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은 상기 윈도우기판(100)의 배면에 부착되어 공기층(AR)을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패널(200)과 마주한다.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외부광(L2)이 상기 윈도우기판(100) 및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을 순차적으로 투과한 이후에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의 표면 또는 상기 제1 편광판(220)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발생되는 반사광(RL)을 흡수한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광(L1)과 달리 영상정보를 갖지 않는 상기 반사광(RL)을 사용자가 시인하여 상기 평판표시장치(300)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진동하는 외부광(L2)이 상부 편광필름(113)을 투과한다. 상기 상부 편광필름(113)은 X축 방향(↔)과 나란한 투과축을 갖는 경우에, 상기 상부 편광필름(113)을 투과한 광은 상기 X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선편광으로 변환된다. 그 이후에, 상기 상부 편광필름(113)에 의해 선편광된 광은 상부 위상차필름(115)을 투과한다.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5)은 λ/4 위상차판(quarter wave plate, QWP)일 수 있고,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5)의 편광축 또는 느린축(slow axis)이 상기 상부 편광필름(113)의 투과축을 기준으로 +40도 내지 +50도로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상부 편광필름(113)에 의해 선편광된 광은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5)을 투과하여 우원편광된다.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5)에 의해 우원편광된 광은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반사광(도 1의 RL)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5)에 의해 우원편광된 광은 그 위상이 180도 변경되어 좌원편광된다. 그 이후에, 상기 좌원편광된 광은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5)을 투과하면서 상기 X축 방향(↔)과 수직인 Y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선편광으로 변환되고,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5)을 투과하면서 선편광된 광은 상기 X축 방향(↔)으로 나란한 투과축을 갖는 상기 상부 편광필름(113)에 의해 모두 흡수된다.
따라서, 영상정보를 갖지 않는 반사광(도 1의 RL)은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에 의해 흡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반사광을 시인하여 상기 평판표시장치(300)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되는 실시예와 달리,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5)의 편광축 또는 느린축은 상기 상부 편광필름(113)의 투과축을 기준으로 -40도 내지 -50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10)로부터 발생되는 소오스광(L0)을 이용하여 상기 평판표시장치(300)가 표시광(L1)을 출력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상기 소오스광(L0)은 모든 방향으로 진동하고, 상기 소오스광(L0)이 제1 편광필름(211)을 지나면서 선편광된다. 도 2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편광필름(211)은 제1 투과축을 갖고, 상기 제1 투과축이 Y축 방향(⊙)과 나란한 경우에, 상기 소오스광(L0)이 상기 제1 편광필름(211)을 투과하면서 상기 Y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으로 선편광된다. 그 이후에, 상기 제1 편광필름(211)에 의해 선편광된 광은 제1 위상차필름(212)을 투과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위상차필름(212)은 제1 편광축을 갖는 λ/4 위상차판(quarter wave plate, QWP)일 수 있고, 상기 제1 편광축이 상기 제1 투과축을 기준으로 +45°로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편광필름(211)에 의해 선편광된 광은 제1 위상차필름(212)을 투과하면서 우원편광된다.
상기 제1 위상차필름(212)에 의해 우원편광된 광은 상기 표시패널(200)을 투과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패널(200)이 갖는 액정층은 λ/2 만큼 위상차를 발생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상기 제1 위상차필름(212)에 의해 우원편광된 광은 상기 액정층에 의해 좌원편광된다.
상기 표시패널(200)을 투과한 광은 제2 위상차필름(221)을 투과한다. 상기 제2 위상차필름(221)은 제2 편광축을 갖고, 상기 제2 편광축이 상기 제1 편광축과 직교하도록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액정층에 의해 좌원편광된 광은 X축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선편광된다. 상기 제2 위상차필름(221)을 투과한 광은 제2 편광필름(222)을 투과한다. 상기 제2 편광필름(222)은 상기 Y축 방향(⊙)과 수직인 상기 X축 방향(↔)으로 나란한 제2 투과축을 갖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위상차필름(221)을 투과한 광은 그 위상이 변경되지 않는다.
상기 제2 편광필름(222)을 투과한 광은 제3 위상차필름(223)을 투과한다. 상기 제3 위상차필름(223)은 상기 제2 편광축과 평행하거나 직교하는 제3 편광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3 편광축 및 상기 제2 편광축이 서로 나란한 경우에, 상기 제3 위상차필름(223)을 투과한 광은 우원편광된다. 상기 제3 위상차필름(223)을 투과한 광은 상부 위상차필름(115)을 투과한다.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5)의 편광축이 상기 제3 편광축과 직교하도록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3 위상차필름(223)에 의해 우원편광된 광은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5)에 의해 상기 X축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선편광된다.
그 이후에,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5)에 의해 선편광된 광은 상기 상부 편광필름(113)을 투과한다. 상기 상부 편광필름(113)은 상기 X축 방향(↔)으로 나란한 투과축을 갖고,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5)에 의해 선편광된 광은 그 위상의 변경 없이 상기 상부 편광필름(113)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되어 표시광(L1)이 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을 구비하는 윈도우기판(100)은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들(210,220)을 구비하는 표시패널(200)과 공기층(A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다. 즉,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의 어느 하나의 면은 상기 공기층(AR)에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을 구성하는 다수의 필름들 중에 표면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필름이 상기 공기층(AR)에 노출되어 그 표면에 스크래치와 같은 흠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의 구조를 도 3과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사방지 편광판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반사방지 편광판(110)은 상부 위상차필름(111), 제1 지지필름(112), 제2 지지필름(113), 제3 지지필름(114), 상부 편광필름(115), 및 점착층(116)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에서 상기 점착층(116)은 최상부에 위치하여 윈도우기판(100)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점착층(116)의 아래로 상기 제3 지지필름(114), 상기 제3 지지필름(114), 상기 상부 편광필름(115), 상기 제1 지지필름(112),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 및 상기 제2 지지필름(113)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술한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은 상기 제1 지지필름(112) 및 상기 제2 지지필름(113)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상부 편광필름(115)은 상기 제1 지지필름(112) 및 상기 제3 지지필름(114) 사이에 개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필름들(111,112,113) 각각은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 Acetate Cellulose, TAC)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 보다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고, 비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지지필름(112)은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의 상부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지지필름(113)은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특히, 상기 제2 지지필름(113)은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이 공기층(AR)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을 커버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이 상기 공기층(AR)에 노출되어 외부환경 요인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되거나, 외압에 의해 그 표면에 흠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2 지지필름(113)은 반사방지필름(anti-reflecting film)과 같은 기능성 필름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반사방지필름은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광(L1)이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의 배면에서 반사되는 광량을 감소시켜, 반투과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표시패널(도 1의 200) 측으로 제공되는 외부광(도 1의 L2)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반사방지 편광판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평판표시장치(301)는, 반사방지 편광판(150)의 구성을 제외하면, 앞서 도 1 내지 도 3들을 설명한 평판표시장치(도 1의 3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50) 및 도 1 내지 도 3들에 도시된 반사방지 편광판(도 1 내지 도 3들의 110)에 있어서, 편광필름 및 위상차필름과 관련된 구성은 서로 동일하므로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50) 및 도 1 내지 도 3들에 도시된 반사방지 편광판(도 1 내지 도 3들의 110)은 서로 동일한 광학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50)의 광학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고, 앞서 도 1 내지 도 3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평판표시장치(301)는 백라이트(10), 표시패널(200), 제1 편광판(210), 제2 편광판(220), 윈도우기판(100), 및 반사방지 편광판(150)을 포함한다. 도 4a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평판표시장치(301)는 액정표시장치일 수 있고, 상기 표시패널(200)은 액정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50)은 상기 윈도우기판(100)의 전면에 부착된다. 그 결과,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50)은 외부광(L2)이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을 투과한 이후에 상기 윈도우기판(100)의 표면 또는 제2 편광판(220)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발생되는 반사광(RL)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50)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b를 참조하면, 반사방지 편광판(150)은 상부 위상차필름(111), 제1 지지필름(112), 제2 지지필름(113), 제3 지지필름(114), 상부 위상차필름(115), 점착층(116) 및 코팅막(117)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50)에서 상기 점착층(116)은 최하부에 위치하여 윈도우기판(100)의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점착층(116)의 위로 상기 제2 지지필름(113),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 상기 제1 지지필름(112),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5), 상기 제3 지지필름(114) 및 코팅막(117)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50)에서 상기 코팅막(117)은 최상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팅막(117)은 투명한 수지를 포함하여 비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코팅막(117)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50)의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2 지지필름(113) 없이, 상기 점착층(116)이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에 직접적으로 점착되는 경우에, 외부환경 요인에 의해 상기 점착층(116) 및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 간의 계면에 기포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기포는 상기 점착층(116) 및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 간의 결합력을 저하시킬수 있고, 외부에서 상기 기포가 시인되어 상기 평판표시장치(301)의 외관 불량을 야기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 지지필름(113)이 상기 점착층(116) 및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에, 상기 기포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증명할 수 있는 테스트들의 결과가 아래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구분
테스트 시료수 불량품수 양품수 테스트 조건 비고
제1 테스트 10 0 10 85℃에 72시간 동안 시료를 노출시킴 제2 테스트의 경우, 3시간 내에 모든 시료에 직경이 0.2mm 이상의 기포가 발생
제2 테스트 10 10 0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제1 테스트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301)를 신뢰성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평판표시장치(301)를 85℃로 유지되는 챔버 내에 72시간 동안 방치하고, 그 이후에, 점착층(116) 및 제2 지지필름(113) 사이의 계면 또는 상부 위상차필름(111) 및 상기 제2 지지필름(113) 사이의 계면에 기포가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테스트 한 것이다.
제2 테스트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신뢰성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가 갖는 반사방지 편광판은 제2 지지필름(113)을 구비하지 않아 상부 위상차필름(111)은 점착층(116)에 직접적으로 부착된다. 단, 상기 제1 테스트의 조건과 상기 제2 테스트의 조건은 서로 동일하다.
상기 제1 테스트 결과를 참조하면, 10개의 테스트 시료들 모두에서 기포가 발생되지 않았다. 하지만, 상기 제2 테스트 결과를 참조하면, 테스트 후에, 10개의 테스트 시료들 모두에서 직경이 0.2mm이상인 기포들이 발생되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테스트들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 및 상기 점착층(116) 사이에 상기 제2 지지필름(113)을 개재시키는 경우에, 상기 기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반사방지 편광판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평판표시장치(302)와 도 1에 도시된 평판표시장치(도 1의 300)의 구성을 비교할 때, 상기 평판표시장치(302)는 터치스크린패널(120)을 구성요소로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평판표시장치(302)는 앞서 도 1 내지 도 3들을 참조하여 설명한 반사방지 편광판(도 3의 160)과 동일한 광학 기능을 가지나 구조가 상이한 반사방지 편광판(160)을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따라서, 도 5a 및 도 5b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20) 및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60) 외에, 앞서 도 1 내지 도 3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과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60)의 광학 기능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평판표시장치(302)는 백라이트(10), 표시패널(200), 제1 편광판(210), 제2 편광판(220), 윈도우기판(100), 터치스크린패널(120) 및 반사방지 편광판(160)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20)은 상기 표시패널(200)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여 발생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도 5a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평판표시장치(302)는 액정표시장치일 수 있고, 상기 표시패널(200)은 액정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평판표시장치(302)가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20)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60)은 상기 윈도우기판(100) 및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20)의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50)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외부광(L2)이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20)의 표면 또는 제2 편광판(220)에서 반사되어 발생되는 반사광(RL)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60)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5b를 참조하면, 반사방지 편광판(160)은 상부 위상차필름(111), 제1 지지필름(112), 제2 지지필름(113), 제3 지지필름(114), 상부 위상차필름(115), 제1 점착층(116a) 및 제2 점착층(116b)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60)에서 상기 제1 점착층(116a)은 최상부에 위치하여 윈도우기판(100)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점착층(116b)은 최하부에 위치하여 터치스크린패널(120)의 전면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제1 점착층(116a)의 아래로 상기 제3 지지필름(114), 상기 상부 편광필름(115), 상기 제1 지지필름(112),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 상기 제2 지지필름(113) 및 상기 제2 점착층(116b)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점착층(116b)이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20)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지지필름(113) 없이 상기 제2 점착층(116b)이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경우에, 외부환경 요인에 의해 상기 제2 점착층(116b)과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111) 간의 계면에 기포가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 지지필름(113)이 상기 제2 점착층(116b) 및 상기 제2 지지필름(113)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에, 상기 기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기포에 발생에 따른 상기 평판표시장치(302)의 외관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a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와 달리, 상기 표시패널(200)은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20)과 일체화된 상기 표시패널(200)은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이 부착된 상기 윈도우기판(100)과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60)의 일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1 내지 도 3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평판표시장치(303)는 윈도우기판(100), 반사방지 편광판(110) 및 표시패널(250)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평판표시장치(303)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이고, 상기 표시패널(250)은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250)은 화소영역들을 갖고, 상기 화소영역들 각각에 자체적으로 표시광(L1)을 발생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화소가 형성된다. 상기 표시광(L1)은 외부로 출사되어 상기 평판표시장치(303)는 상기 표시광(L1)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광(L2)이 상기 윈도우기판(100) 및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을 순차적으로 투과한 이후에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의 표면 또는 상기 표시패널(250)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반사광(RL)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은 상기 반사광(RL)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광(L1)과 달리 영상정보를 갖지 않는 상기 반사광(RL)을 사용자가 시인하여 상기 평판표시장치(303)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평판표시장치(304)는 윈도우기판(100), 터치스크린패널(120), 반사방지 편광판(110) 및 표시패널(250)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평판표시장치(304)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로, 상기 표시패널(250)은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250)은 화소영역들을 갖고, 상기 화소영역들 각각에 자체적으로 표시광(L1)을 발생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화소가 형성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광(L2)이 상기 윈도우기판(100) 및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을 순차적으로 투과한 이후에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20)의 표면 또는 상기 표시패널(250)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반사광(RL)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은 상기 반사광(RL)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광(L1)과 달리 영상정보를 갖지 않는 상기 반사광(RL)을 사용자가 시인하여 상기 평판표시장치(304)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와 달리, 상기 표시패널(250)은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20)과 일체화된 상기 표시패널(250)은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이 부착된 상기 윈도우기판(100)과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110)의 일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백라이트 100: 윈도우기판
110: 반사방지 편광판 111: 위상차필름
112: 제1 지지필름 113: 제2 지지필름
114: 제3 지지필름 115: 편광필름
116: 점착층 200: 표시패널
210: 제1 편광판 220: 제2 편광판

Claims (18)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하부면에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어 그 내부를 투과한 외부광 중에서 상기 기판의 하부면 또는 상기 표시패널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흡수하는 반사방지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은,
    상기 외부광을 선편광하는 상부 편광필름;
    상기 상부 편광필름을 투과한 광을 원편광하는 상부 위상차필름;
    상기 상부 편광필름 및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을 지지하는 제1 지지필름; 및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필름과 마주하여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을 지지하는 제2 지지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제1 편광판이 구비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에 제2 편광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편광판은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 상에 구비되며 제1 투과축을 갖는 제1 편광필름 및 제1 편광축을 갖는 제1 위상차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편광판은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편광축과 교차하는 제2 편광축을 갖는 제2 위상차필름, 상기 제2 위상차필름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투과축과 교차하는 제2 투과축을 갖는 제2 편광필름 및 상기 제2 편광필름 상에 구비되며 제3 편광축을 갖는 제3 위상차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은 상기 기판 및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은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패널과 이격되어 상기 제2 지지필름은 상기 공기층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필름은 반사방지필름(anti-reflecting fil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과 결합되는 터치스크린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은,
    상기 제2 지지필름의 일 면 위에 부착되어 상기 제2 지지필름을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에 부착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축과 상기 제2 편광축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이 갖는 편광축과 상기 제3 편광축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광축과 상기 제3 편광축은 서로 직교하거나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과축과 상기 제2 투과축은 서로 직교하고, 상기 상부 편광필름의 투과축은 상기 제2 투과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의 편광축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편광축 각각은 상기 제1 또는 제2 투과축을 기준으로 +40도 내지 +50도 또는 -40도 내지 -50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스크린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일체화되는 터치스크린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은 상기 기판 및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은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패널과 이격되어 상기 제2 지지필름은 상기 공기층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필름은 반사방지필름(anti-reflecting fil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과 결합되는 터치스크린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 편광판은,
    상기 제2 지지필름의 일면 위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필름을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에 부착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일체화되는 터치스크린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위상차필름의 편광축은 상기 상부 편광필름의 투과축을 기준으로 +40도 내지 +50도 또는 -40도 내지 -50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KR1020100127792A 2010-12-14 2010-12-14 평판 표시 장치 KR101752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792A KR101752442B1 (ko) 2010-12-14 2010-12-14 평판 표시 장치
US13/185,104 US8817210B2 (en) 2010-12-14 2011-07-18 Flat pane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792A KR101752442B1 (ko) 2010-12-14 2010-12-14 평판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443A KR20120066443A (ko) 2012-06-22
KR101752442B1 true KR101752442B1 (ko) 2017-07-04

Family

ID=4619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792A KR101752442B1 (ko) 2010-12-14 2010-12-14 평판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17210B2 (ko)
KR (1) KR101752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27768A1 (en) * 2011-11-17 2013-05-23 Nokia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GB2503884B (en) * 2012-07-09 2014-08-20 Visteon Global Tech Inc Display unit
KR20140056548A (ko) 2012-10-29 2014-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102028157B1 (ko) * 2012-11-20 2019-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112219B1 (ko) 2013-10-11 2020-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410265B1 (ko) * 2015-07-13 2022-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591767B2 (en) * 2015-07-29 2020-03-17 Sharp Kabushiki Kaisha Sunlight readable LCD with uniform in-cell retarder
CN105261714B (zh) * 2015-11-18 2017-04-12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JP7280009B2 (ja) * 2016-04-18 2023-05-23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19059067A1 (ja) * 2017-09-22 2019-03-2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真正性判定用ビュワー
US11038150B1 (en) * 2020-01-30 2021-06-15 Sharp Kabushiki Kaisha QLED/OLED pixel having reflective cavity electrode configuration
CN111708210A (zh) * 2020-06-12 2020-09-25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8471A1 (en) * 2005-05-23 2007-01-11 Wang Ran-Hong R Controlling polarization for liquid crystal displays
US20090225263A1 (en) * 2000-05-31 2009-09-10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5956B (en) * 2006-03-09 2008-07-23 Cambridge Display Tech Ltd Current drive systems
US20100062189A1 (en) 2006-11-17 2010-03-11 Takatoshi Yosomiya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080054573A (ko) 2006-12-13 2008-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08262326A (ja) 2007-04-11 2008-10-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
JP5107366B2 (ja) * 2007-12-05 2012-12-2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5306718B2 (ja) 2008-06-19 2013-10-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5263A1 (en) * 2000-05-31 2009-09-10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20070008471A1 (en) * 2005-05-23 2007-01-11 Wang Ran-Hong R Controlling polarization for liquid crystal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47299A1 (en) 2012-06-14
KR20120066443A (ko) 2012-06-22
US8817210B2 (en) 201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442B1 (ko) 평판 표시 장치
JP3125414U (ja) 超高輝度低反射液晶ディスプレイ
KR10139770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564150B1 (ko) 터치 패널 디바이스, 및 터치 패널 디바이스 부착 표시 장치
KR101122835B1 (ko) 액정표시장치
EP3460560B1 (en) Display device having an eyepiece
TWI533189B (zh) 觸控式螢幕
WO2016038832A1 (ja) 液晶表示装置
US7586483B2 (en) Touch panel
KR20170028848A (ko) 편광판, 반사 방지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시스템
JP5584672B2 (ja) 液晶表示装置
JP2010204480A (ja)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
KR102647393B1 (ko) 편광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110634409A (zh) 一种大弯曲程度的保护镜片显示屏组合
US2007023663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6773201B (zh) 液晶显示器及其显示面板
CN210349103U (zh) 一种大弯曲程度的保护镜片显示屏组合
KR101587681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8643821B2 (en) 3D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0042232A1 (zh) 显示模组及电子装置
KR20150142521A (ko) 커브드 표시장치
JP2004117646A (ja) タッチセンサ付き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69964B1 (ko) 정전기 방전구조를 가진 액정표시소자
JP2002207211A (ja)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CN202583501U (zh) 偏光片及液晶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