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399B1 - 배액 캐뉼러 - Google Patents

배액 캐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399B1
KR101751399B1 KR1020150077037A KR20150077037A KR101751399B1 KR 101751399 B1 KR101751399 B1 KR 101751399B1 KR 1020150077037 A KR1020150077037 A KR 1020150077037A KR 20150077037 A KR20150077037 A KR 20150077037A KR 101751399 B1 KR101751399 B1 KR 101751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tube
inner tube
cannula
presen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1412A (ko
Inventor
이해범
차재관
박형호
김가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코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코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코렘
Priority to KR1020150077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39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M1/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액 캐뉼러에 관한 것으로, 관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와 연통되는 외부튜브; 전단부가 상기 외부튜브의 내외부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외부튜브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단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배액홀이 형성된 내부튜브;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튜브를 전방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캐뉼러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별도의 투관침 등이 장착될 필요가 없어 종래의 배액 캐뉼러에 비하여 적용 시간이 빠르고 간단하여 수술 과정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투관침에 의한 관절 손상 및 기구 조작시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의인성 관절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액 캐뉼러{Egress cannula}
본 발명은 배액 캐뉼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관절내시경 시술 시 관류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액 캐뉼러에 관한 것이다.
관절내시경 시술은 관절내 다양한 병변의 진단과 치료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의(human medicine)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에 대한 수의 임상영역에서도 점차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관절내시경에 사용되는 기구로 인한 관절면 손상 위험성이 존재하며, 특히 작은 동물의 관절이나 인간의 작은 관절에 적용시 기구 조작에 의한 의인성 관절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
관절내시경 시술시에는 시술 중 관절낭 내 적절한 공간을 확보하거나 시술시 발생하는 출혈이나 부유물에 의한 혼탁을 제거하여 적절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관절 내 관류가 필요하다. 관류액의 주입과 배출이 적절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적정 압력과 충분한 양의 관류액을 주입시켜주는 것과 관류액을 외부로 배출시켜주는 것이 적절하게 유지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관류액 배출을 위해서 고안된 배액 캐뉼러(egress cannula)를 사용하거나 배액관을 사용할 수 없는 작은 크기의 관절에서는 주사침(hypodermic needle)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작은 관절에서 배액 캐뉼러를 사용할 경우, 투관침(trocar) 삽입시 또는 기구 조작시에 의인성 관절 손상이 유발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주사침의 경우에는 날카로운 주사침 원위부에 의한 의인성 손상이 문제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액 캐뉼러에 비하여 자주 막히거나 빠짐으로써 시술 시 더욱 많은 조작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5913852호(1999.06.22.)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절내시경 시술 시 원활한 관류액 배출을 가능토록 하고, 관절의 의인성 손상을 최소화 하며, 작은 크기의 관절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개선된 배액 캐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와 연통되는 외부튜브; 전단부가 상기 외부튜브의 내외부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외부튜브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단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배액홀이 형성된 내부튜브;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튜브를 전방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캐뉼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튜브의 전단에는 날카롭게 형성되는 첨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튜브의 전방부분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배액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튜브의 전단은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내부튜브의 후방 외주면에는 지름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관류액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투관침 등이 장착될 필요가 없어 종래의 배액 캐뉼러에 비하여 적용 시간이 빠르고 간단하여 수술 과정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투관침에 의한 관절 손상 및 기구 조작시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의인성 관절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원위부 구조로 관류액의 배액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주사침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튜브의 막힘에 의한 조작 필요성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 캐뉼러의 내부튜브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 캐뉼러의 내부튜브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 캐뉼러에 구비되는 외부튜브와 내부튜브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 캐뉼러의 내부튜브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 캐뉼러의 내부튜브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 캐뉼러에 구비되는 외부튜브와 내부튜브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 캐뉼러(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 캐뉼러(100)는 몸체부(110), 조절밸브(120), 외부튜브(130), 내부튜브(140) 및 탄성부재(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 캐뉼러(100)는 관절 내 관류액을 원활하게 배출하고 조작 시 관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튜브(130)와 내부튜브(140)로 이루어지는 이중 튜브 구조를 갖추고, 몸체부(110) 내부에 장착된 탄성부재(150)를 통해 내부튜브(140)를 전방으로 탄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10)는 전단과 후단이 개구된 관형으로 형성된다.
조절밸브(120)는 몸체부(110)의 후단에 연결되어 몸체부(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관류액의 양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조절밸브(120)는 루어록(luer-lock)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레버(122)를 회전시켜 몸체부(110) 내부로 유입되는 관류액의 배액량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밸브(120)의 형태는 공지된 기술들을 통해 쉽게 구현이 가능한 것이므로 조절밸브(12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외부튜브(130)는 기다란 관형으로 형성되어 몸체부(110)와 연통되고, 후방이 몸체부(110)의 전방 개구부분에 밀실하게 결합되어 고정된다.
외부튜브(130)의 전방부분 외주면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배액홀(132)이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외부튜브(130)의 전단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날카롭게 형성되는 첨단부(134)가 형성된다.
내부튜브(140)는 전단부가 외부튜브(130)의 내외부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외부튜브(130)의 내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내부튜브(140)의 외경은 외부튜브(13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내부튜브(140)가 외부튜브(13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내부튜브(140)의 전방부분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배액홀(142)이 형성되고, 내부튜브(140)의 전단은 뾰족하게 형성되는 외부튜브(130)와 달리 둥근 곡면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튜브(140)의 후방 외주면에는 지름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44)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플랜지(144)는 직경이 외부튜브(13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플랜지(144)가 외부튜브(130)의 후단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내부튜브(140)가 외부튜브(1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부재(150)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튜브(140)를 전방으로 탄지하는 역할을 하며,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세하게 탄성부재(150)는 전단이 플랜지(144)에 접하고, 후단은 몸체부(110)에 접하여 내부튜브(140)를 전방을 향해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 캐뉼러(100)는 관절내시경 시술 시 배액홀(132,142)이 구비된 외부튜브(130)와 내부튜브(140)의 전방부분이 배액통로(egress portal)의 피부절개 부위로 진입하게 된다.
진입 시 전단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뭉툭한 형태를 갖는 내부튜브(140)는 체내 조직에 접하게 되어 탄성부재(150)를 압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내부튜브(140)의 전방부분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튜브(130)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외부튜브(130)의 첨단부(134)가 배액 캐뉼러(100)의 최전단에 위치하게 되는데, 날카로운 첨단부(134)를 이용하여 관절낭을 뚫고 그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
관절낭 내로 외부튜브(130)의 첨단부(134)가 진입한 직후에는 탄성부재(150)의 압축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외부튜브(130)의 내부에 삽입되었던 내부튜브(140)의 전방부분이 축방향을 따라 인출되며, 구비된 배액홀(142)을 통해 관류액을 흘려보내게 된다.
이때, 내부튜브(140)의 전단은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접하는 조직이나 관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 캐뉼러(100)는 1회용 또는 다회용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회사용을 위해서는 세척, 소독 및 멸균에 적합한 재질과 구조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액 캐뉼러(100)는 전방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배액홀(132,142)에 의한 다공성 구조를 통해 관절내시경 시술 시 발생하는 부유물을 포함한 관류액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관절내시경 시술 시 피부 절개부로 진입되어 관절낭을 뚫을 때에는 날카로운 외부튜브(130)의 첨단부(134)가 사용되고, 관절낭 내에 진입된 직후에는 탄성부재(150)에 의하여 전단이 뭉툭한 내부튜브(140)를 인출시킴으로써 의인성 관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배액 캐뉼러
110: 몸체부 120: 조절밸브
122: 레버 130: 외부튜브
132, 142: 배액홀 134: 첨단부
140: 내부튜브 144: 플랜지
150: 탄성부재

Claims (6)

  1. 관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와 연통되고, 전단에는 날카롭게 형성되는 첨단부가 구비된 외부튜브;
    전방부분이 상기 외부튜브의 내외부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외부튜브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부분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배액홀이 형성된 내부튜브;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튜브를 전방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캐뉼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튜브의 전방부분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배액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캐뉼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튜브의 전단은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캐뉼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내부튜브의 후방 외주면에는 지름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캐뉼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관류액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캐뉼러.
KR1020150077037A 2015-06-01 2015-06-01 배액 캐뉼러 KR101751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037A KR101751399B1 (ko) 2015-06-01 2015-06-01 배액 캐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037A KR101751399B1 (ko) 2015-06-01 2015-06-01 배액 캐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412A KR20160141412A (ko) 2016-12-09
KR101751399B1 true KR101751399B1 (ko) 2017-06-27

Family

ID=5757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037A KR101751399B1 (ko) 2015-06-01 2015-06-01 배액 캐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3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2473B2 (en) * 2001-05-24 2004-02-17 John A. St. Cyr Dual lumen adjustable length cannulae for liquid perfusion or lavage
US20040073195A1 (en) 1990-12-14 2004-04-15 Cucin Robert L. Power-assisted tissue-aspiration instrument system employing an electronically-controlled air-flow valve assembly within an external instrument controller
US20150087906A1 (en) 2004-01-29 2015-03-26 Cannuflow, Inc. Atraumatic arthroscopic instrument sheat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3195A1 (en) 1990-12-14 2004-04-15 Cucin Robert L. Power-assisted tissue-aspiration instrument system employing an electronically-controlled air-flow valve assembly within an external instrument controller
US6692473B2 (en) * 2001-05-24 2004-02-17 John A. St. Cyr Dual lumen adjustable length cannulae for liquid perfusion or lavage
US20150087906A1 (en) 2004-01-29 2015-03-26 Cannuflow, Inc. Atraumatic arthroscopic instrument shea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412A (ko) 201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3004B2 (ja) 紐形要素、特にカテーテルを患者の身体へ挿入するためのシースアセンブリ
EP2081483B1 (en) Anti-extravasation catheter
US20060276688A1 (en) Hemostasis flushing device
US201000121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ocar cleaning
EP2324873A3 (en) One piece low drag septum
JP2009527337A (ja) 内視鏡の吸引装置
US10758115B2 (en) Mini-invasive device for the endourologic treatment
WO2006121028A1 (ja) 透明な脳穿刺用套管針
JP2017537747A (ja) カテーテル開通性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6334149A (ja) 内視鏡用バルーン付カテーテル
JP4925729B2 (ja) 経皮的血栓除去用デバイス
KR101751399B1 (ko) 배액 캐뉼러
ATE376441T1 (de) Diagnosekatheter
JP6412701B2 (ja) 軟性内視鏡用外套管
JP6312465B2 (ja) ループ型内視鏡用組織切除器具
JP2023182304A (ja) トロッカー用補助具
EP3103377A1 (en) Endoscope with continuous luminal perfusion and reflux functions
WO2019163914A1 (ja) 異物除去デバイス
US201600222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thiasis treatment
JP2020058671A (ja) 脳内血腫除去用デバイス
JPH04307053A (ja) カテーテル
JP2005237761A (ja) クリ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